KR20180028382A -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382A
KR20180028382A KR1020170113231A KR20170113231A KR20180028382A KR 20180028382 A KR20180028382 A KR 20180028382A KR 1020170113231 A KR1020170113231 A KR 1020170113231A KR 20170113231 A KR20170113231 A KR 20170113231A KR 20180028382 A KR20180028382 A KR 20180028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larm screen
screen
uni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2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보 통지 직후에서의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101)와,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하는 경보 화면 생성부(102)와,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표시하는 경보 화면 표시부(103)와,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 의해 경보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기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를 구비하고,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한다.

Description

감시 장치{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설비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경보 통지를 행하는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시 장치는, 빌딩, 공장 또는 플랜트 등의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의 동작 및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감시 장치는,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면, 단말 장치에 대하여 경보 화면의 표시 또는 경보음의 출력을 행함으로써, 경보 통지를 행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04723호 공보
그러나, 단말 장치에서는, 경보 통지가 갑자기 행해지기 때문에, 우연히, 경보 통지 전의 사용자 조작(클릭 등)이 경보 통지에 대한 조작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오(誤)조작으로 이어진다. 예컨대, 경보 화면을 의도치 않게 닫아버리거나, 경보음을 의도치 않게 꺼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경보 통지 직후에서의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장치는,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이상 검출부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하는 경보 화면 생성부와,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표시하는 경보 화면 표시부와, 경보 화면 표시부에 의해 경보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기정(旣定)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는 조작 요구 접수부를 구비하고, 경보 화면 표시부는, 조작 요구 접수부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경보 통지 직후에서의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경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감시 장치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경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감시 장치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경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감시 장치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1)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감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장치(1) 및 단말 장치(2)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1)는, 빌딩, 공장 또는 플랜트 등의 시설 내에 설치된 설비(도시하지 않음)의 동작 및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감시 장치(1)는, 설비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통지를 단말 장치(2)에 대하여 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2)는, 감시 장치(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화면의 표시 및 각종 음성의 출력을 행한다. 도 1에서, 단말 장치(2)는, 감시 장치(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감시 장치(1)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감시 장치(1)는, 경보 통지에 관한 기능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 검출부(101), 경보 화면 생성부(102), 경보 화면 표시부(103) 및 조작 요구 접수부(104)를 구비한다. 이 감시 장치(1)는, 시스템 LSI 등의 처리 회로나, 메모리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등에 의해 실현된다.
이상 검출부(101)는, 설비의 이상을 검출한다.
경보 화면 생성부(102)는,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한다.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단말 장치(2)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한다.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 의해 경보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기정(旣定) 시간(예컨대, 1초)이 경과한 후,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실시형태 1에서는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를 접수한다.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1)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감시 장치(1)의 동작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이상 검출부(101)는, 설비의 이상을 검출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201). 이 이상 검출부(101)에 의한 이상 검출 처리는 종래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단계 ST201에 있어서, 이상 검출부(101)가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퀀스는 단계 ST201로 되돌아가, 대기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 ST201에 있어서, 이상 검출부(101)가 설비의 이상을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경보 화면 생성부(102)는,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한다(단계 ST202). 도 3은 경보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되는 경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경보 화면에서는, 경보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상이 발생한 설비에 관한 정보, 상기 이상에 관한 정보)(301)와,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기 위한 표시 정지 버튼(「닫기」 버튼)(302)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경보 화면 생성부(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된 이상의 레벨에 따라, 경보 화면에 있어서의 배경색을 바꿔도 좋다.
계속해서,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단말 장치(2)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단계 ST203). 이 때,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경보 화면을, 개별 윈도우로 표시하여도 좋고, 이미 표시되어 있는 윈도우의 일부의 영역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경보 화면을 개별 윈도우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보 화면을 단말 장치(2)의 화면 상의 가장 전면(前面)에 표시하고, 또한, 다른 윈도우로부터 포커스는 빼앗지 않도록 한다. 즉, 경보 통지에 포커스를 갑자기 옮겨 버리면, 그 직전의 사용자 조작이 경보 화면에 대한 오조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이것을 회피한다.
또한,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경보 화면을 슬라이드시키면서 표시하여도 좋다. 예컨대, 경보 화면을 윈도우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윈도우의 최상부에 설치된 인디케이터의 하측으로부터 서서히 경보 화면이 나타나도록 하여도 좋다. 즉, 경보 화면이 갑자기 표시되면, 사용자를 놀라게 해버릴 우려가 있어, 냉정한 판단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회피한다.
계속해서,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 의해 경보 화면이 표시된 후, 기정 시간을 경과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T204).
이 단계 ST204에 있어서,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경보 화면이 표시된 후, 기정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는 접수하지 않고, 시퀀스는 단계 ST204로 되돌아간다. 즉, 경보 화면이 표시된 후, 기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사용자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경보 화면 상의 표시 정지 버튼(302)이 눌려졌다고 해도,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그 조작 요구를 접수하지 않아, 경보 화면은 닫히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경보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기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은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지 않음으로써, 경보 통지에 대한 오조작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T204에 있어서,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경보 화면이 표시된 후, 기정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한다(단계 ST205).
그 후, 사용자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경보 화면 상의 표시 정지 버튼(302)이 눌려져, 조작 요구 접수부(104)가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한다(단계 ST206).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101)와,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하는 경보 화면 생성부(102)와,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표시하는 경보 화면 표시부(103)와,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 의해 경보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기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를 구비하고,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경보 통지 직후에서의 의도치 않은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단말 장치(2)에 현재의 경보 화면만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것에 대하여, 실시형태 2에서는, 과거의 경보 통지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감시 장치(1)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 2에 따른 감시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1)에 대하여, 경보 화면 기억부(105) 및 경보 이력 표시부(106)를 추가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경보 화면 기억부(105)는, 경보 화면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기억한다. 이 경보 화면 기억부(105)는, HDD, DVD,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경보 이력 표시부(106)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에 의해 경보 화면의 일람 표시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경보 화면 기억부(105)에 기억된 경보 화면의 일람을, 단말 장치(2)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의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서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전환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경보 화면 기억부(105)에 기억된 해당하는 경보 화면을 추출하여 표시의 전환을 행한다.
예컨대, 실시형태 2에서의 경보 화면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경보 화면에 대하여, 현재 표시되어 있는 경보 화면을 경보 화면 기억부(105)에 기억된 별도의 경보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303), 경보 화면의 건수를 나타내는 정보(304), 경보 화면 기억부(105)에 기억된 경보 화면을 일람 표시하기 위한 이력 버튼(305)도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전환 버튼(303)은, 현재 표시되어 있는 경보 화면에 대하여 전후의 경보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전환 버튼(303)이 눌려져, 조작 요구 접수부(104)가 경보 화면의 표시 전환 요구를 접수하면,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경보 화면 기억부(105)로부터 해당하는 경보 화면을 추출하여 표시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이력 버튼(305)이 눌려져, 조작 요구 접수부(104)가 경보 화면의 일람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경보 이력 표시부(106)는, 경보 화면 기억부(105)에 기억된 경보 화면의 일람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과거의 경보 통지를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비에 발생하는 이상의 경향이 파악되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감시 장치(1)가, 경보 이력 표시부(106)에 의한 경보 화면의 일람 표시 기능과,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 의한 경보 화면의 표시 전환 기능을 모두 갖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 장치(1)가, 상기 양 기능 중 한쪽 기능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서는,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것에 대하여, 실시형태 3에서는,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의 표시에 덧붙여, 경보음의 출력을 행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감시 장치(1)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 3에 따른 감시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1)에 대하여, 경보음 생성부(107) 및 경보음 출력부(108)를 추가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경보음 생성부(107)는,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음을 생성한다.
경보음 출력부(108)는,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 표시부(103)에 의한 경보 화면의 표시와 함께, 경보음 생성부(107)에 의해 생성된 경보음을, 단말 장치(2)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경보음 출력부(108)는, 조작 요구 접수부(104)에 의해 경보음의 출력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기능에 덧붙여, 경보음 출력부(108)에 의해 경보음이 출력되고 나서 상기 기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음에 대한 조작 요구(경보음의 출력 정지 요구)를 접수한다. 또한,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경보음의 출력 정지 요구를 접수할 때까지의 동안은,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는 접수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경보 화면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경보 화면에 덧붙여,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경보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306),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하기 위한 출력 정지 버튼(307)도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경보 화면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출력 정지 버튼(307)이 눌려져 경보음의 출력이 정지되면, 출력 정지 버튼(307) 대신에,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기 위한 표시 정지 버튼(「닫기」 버튼)(302)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보 화면의 표시 및 경보음의 출력으로부터 기정 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에 의해 출력 정지 버튼(307)이 눌려져, 조작 요구 접수부(104)가 경보음의 출력 정지 요구를 접수하면, 경보음 출력부(108)는,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한다. 그 후, 경보 화면 상에서는, 출력 정지 버튼(307)이 비표시가 되고, 대신에 표시 정지 버튼(302)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표시 정지 버튼(302)이 눌려져, 조작 요구 접수부(104)가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를 접수하면,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한다.
이와 같이, 경보 통지로서, 경보 화면의 표시에 덧붙여, 경보음의 출력을 행하도록 하여도, 경보 통지가 행해진 후(경보 화면의 표시 및 경보음의 출력이 행해진 후), 기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경보 통지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경보 통지에 대한 오조작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경보 화면에 출력 정지 버튼(307)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경보음을 확인한 후, 즉시 경보음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장치(1)에 경보음의 출력 기능을 추가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 2에 따른 감시 장치(1)에 경보음의 출력 기능을 추가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감시 장치(1)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 4에 따른 감시 장치(1)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 3에 따른 감시 장치(1)에 대하여, 레벨 비교부(109)를 추가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레벨 비교부(109)는, 경보음 출력부(108)에 의해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새로운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경보음에 있어서의 이상의 레벨과 상기 새로운 이상의 레벨을 비교한다.
또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경보음 생성부(107)에서는, 레벨 비교부(109)에 의해 새로운 이상의 레벨 쪽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생성한다.
예컨대, 경보음 출력부(108)에 의해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상 검출부(101)에 의해 새로운 이상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 레벨 비교부(109)는, 상기 경보음에 있어서의 이상의 레벨과, 새로운 이상의 레벨을 비교한다. 그리고, 새로운 이상의 레벨 쪽이 출력되고 있는 경보음에 있어서의 이상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는, 경보음 생성부(107)는, 새로운 이상의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생성한다. 그리고, 경보음 출력부(108)는, 경보음 생성부(107)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경보음을 출력한다. 한편, 출력되고 있는 경보음에 있어서의 이상의 레벨 쪽이 새로운 이상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는, 경보음 생성부(107)는 새로운 경보음의 생성은 행하지 않고, 경보음 출력부(108)는 현재 출력하고 있는 경보음의 출력을 계속한다.
또한, 경보 화면 생성부(102)는, 통상대로, 새로운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하고, 경보 화면 표시부(103)는, 이 새로운 경보 화면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경보음에 있어서의 이상의 레벨과, 새롭게 발생한 이상의 레벨을 비교하여, 새로운 이상의 레벨 쪽이 높은 경우에는, 경보음을 변경하고 또한 경보 화면의 내용을 변경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출력중인 경보음 상태에서 경보 화면의 내용만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새롭게 발생한 이상의 레벨을 파악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경보 화면에 각종 버튼[표시 정지 버튼(302), 전환 버튼(303), 이력 버튼(305), 출력 정지 버튼(307)]을 표시하고,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요구(표시 정지 요구, 표시 전환 요구, 일람 표시 요구, 출력 정지 요구)를 접수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보 화면에는 상기 버튼은 표시하지 않고, 조작 요구 접수부(104)는, 그 밖의 방법(미리 정해진 특정한 키를 입력하는 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혹은 각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혹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1 : 감시 장치 2 : 단말 장치
101 : 이상 검출부 102 : 경보 화면 생성부
103 : 경보 화면 표시부 104 : 조작 요구 접수부
105 : 경보 화면 기억부 106 : 경보 이력 표시부
107 : 경보음 생성부 108 : 경보음 출력부
109 : 레벨 비교부

Claims (8)

  1. 설비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 화면을 생성하는 경보 화면 생성부와,
    경보 통지로서, 상기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표시하는 경보 화면 표시부와,
    상기 경보 화면 표시부에 의해 경보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기정(旣定)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 화면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는 조작 요구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보 화면 표시부는, 상기 조작 요구 접수부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화면 생성부는, 상기 이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이상의 레벨에 따라, 경보 화면에 있어서의 배경색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화면 표시부는, 상기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슬라이드시키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기억하는 경보 화면 기억부와,
    상기 조작 요구 접수부에 의해 경보 화면의 일람 표시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 기억부에 기억된 경보 화면의 일람을 표시하는 경보 이력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보 화면을 기억하는 경보 화면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보 화면 표시부는, 상기 조작 요구 접수부에 의해 경보 화면의 표시 전환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 화면 기억부에 기억된 해당하는 경보 화면을 추출하여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출부에 의해 설비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설비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보음을 생성하는 경보음 생성부와,
    경보 통지로서, 상기 경보 화면 표시부에 의한 경보 화면의 표시와 함께, 상기 경보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요구 접수부는,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의해 경보음이 출력되고 나서 상기 기정 시간이 경과한 후, 경보음에 대한 조작 요구를 접수하며,
    상기 경보음 출력부는, 상기 조작 요구 접수부에 의해 경보음의 출력 정지 요구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요구 접수부는, 경보음의 출력 정지 요구를 접수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경보 화면의 표시 정지 요구는 접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출력부에 의해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상 검출부에 의해 새로운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경보음에 있어서의 이상의 레벨과 상기 새로운 이상의 레벨을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보음 생성부는, 상기 레벨 비교부에 의해 새로운 이상의 레벨 쪽이 높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장치.
KR1020170113231A 2016-09-08 2017-09-05 감시 장치 KR20180028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5473A JP6701038B2 (ja) 2016-09-08 2016-09-08 監視装置
JPJP-P-2016-175473 2016-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82A true KR20180028382A (ko) 2018-03-16

Family

ID=6157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231A KR20180028382A (ko) 2016-09-08 2017-09-05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01038B2 (ko)
KR (1) KR20180028382A (ko)
CN (1) CN1078085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2230A (zh) * 2018-04-19 2019-10-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变电站无人值守系统
CN109828545B (zh) * 2019-02-28 2020-09-11 武汉三工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Ai智能过程异常识别闭环控制方法、主机及装备系统
JP7284788B2 (ja) * 2021-09-06 2023-05-31 株式会社ピンプレイジャパン 見守りシステム
WO2023100364A1 (ja) * 2021-12-03 2023-06-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産業機械の制御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6401A (ja) * 1998-05-07 1999-11-26 Nec Eng Ltd 警報報知回路及びその報知方法
JP2002222471A (ja) * 2001-01-29 2002-08-09 Nittan Co Ltd 防災受信機
KR20040003097A (ko) * 2002-06-25 2004-01-13 정재곤 2 단계 동작 방식의 안전 스위치
JP2010204723A (ja) * 2009-02-27 2010-09-16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警報通知方法
JP2012190228A (ja) * 2011-03-10 2012-10-04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040663A (ja) * 2014-08-12 2016-03-24 村田機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2804A (en) * 1981-05-08 1982-11-10 Toshiba Corp Plant monitor device
JPS6254304A (ja) * 1985-09-02 1987-03-10 Nippon Atom Ind Group Co Ltd プラントの警報装置
JPS6289196A (ja) * 1985-10-15 1987-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侵入警報装置
JP2823877B2 (ja) * 1989-02-07 1998-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ラー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セス監視システム
CH689319A5 (de) * 1994-03-24 1999-02-15 Baumer Holding Ag Funkalarm-Sicherheitsanlage.
JP2004066504A (ja) * 2002-08-02 2004-03-04 Kyocera Mita Corp 電気機器
US20040081023A1 (en) * 2002-10-29 2004-04-29 Ho Wai Kwan Pill container
US20050141677A1 (en) * 2003-12-31 2005-06-30 Tarmo Hyttinen Log system for calendar alarms
KR101480564B1 (ko) * 2008-10-21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면 인식을 이용한 알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706850A (zh) * 2009-10-21 2010-05-12 杭州乐港科技有限公司 一种网页游戏的消息提示方法
CN101783057A (zh) * 2010-02-10 2010-07-2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手机报警方法及手机
JP2012059151A (ja) * 2010-09-10 2012-03-22 Toshiba Corp 監視制御装置
CN102595206B (zh) * 2012-02-24 2014-07-02 央视国际网络有限公司 基于体育赛事视频的数据同步方法及装置
CN103093585B (zh) * 2013-01-08 2015-08-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防止手机丢失的装置和方法
KR102017700B1 (ko) * 2013-03-15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32888A (ja) * 2014-01-09 2015-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5163920A (ja) * 2014-02-28 2015-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システム
DE112014000084B4 (de) * 2014-07-30 2018-06-21 Komatsu Ltd. Anzeigevorrichtung einer Arbeitsmaschine, Anzeigeverfahren derselben und Arbeitsfahrzeug
JP6482204B2 (ja) * 2014-08-08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4833552U (zh) * 2015-07-15 2015-12-02 颜景颐 一种基于单片机的电脑防盗报警器
CN205375624U (zh) * 2016-01-19 2016-07-06 北京瑞茂金属装饰有限公司 一种门禁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6401A (ja) * 1998-05-07 1999-11-26 Nec Eng Ltd 警報報知回路及びその報知方法
JP2002222471A (ja) * 2001-01-29 2002-08-09 Nittan Co Ltd 防災受信機
KR20040003097A (ko) * 2002-06-25 2004-01-13 정재곤 2 단계 동작 방식의 안전 스위치
JP2010204723A (ja) * 2009-02-27 2010-09-16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警報通知方法
JP2012190228A (ja) * 2011-03-10 2012-10-04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040663A (ja) * 2014-08-12 2016-03-24 村田機械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41310A (ja) 2018-03-15
JP6701038B2 (ja) 2020-05-27
CN107808500B (zh) 2020-03-27
CN107808500A (zh)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8382A (ko) 감시 장치
US20180255356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osting video comments
US20080136628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US9997048B2 (en) Power failure monitoring device of digital protection relay
US200600719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13298B2 (ja) 制御試験装置及び制御試験方法
US9823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device, and touch device
KR100472461B1 (ko) 비 정상 비디오 신호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JP200804656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外部表示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52950A1 (en) Power Supply Mod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9122702A1 (ja) 垂直同期制御装置
KR10217786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회로 및 검출 방법
JP2012141075A (ja) 給湯機および給湯機用リモコン
KR20100025709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입력신호 안내방법 및 장치
KR100703739B1 (ko)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KR100658855B1 (ko) 모니터의 입력신호 해상도 검출방법
US1180472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management control
JP6976463B1 (ja) ブルートゥース機器の無線接続方法
US202103576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884537B2 (en)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peration
KR101472589B1 (ko)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5460573A (zh) 蓝牙设备故障的检测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100268374B1 (ko) 외부입력단들의 연결상태를 현시하는 vcr
JP2021103458A (ja) 火災検出システム及び中継器
JP2021002973A (ja) 保護継電器試験方法、保護継電器試験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