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739B1 -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739B1
KR100703739B1 KR1020050007555A KR20050007555A KR100703739B1 KR 100703739 B1 KR100703739 B1 KR 100703739B1 KR 1020050007555 A KR1020050007555 A KR 1020050007555A KR 20050007555 A KR20050007555 A KR 20050007555A KR 100703739 B1 KR100703739 B1 KR 100703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gnal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669A (ko
Inventor
김용덕
고재우
안태윤
백병석
추정훈
허희석
김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7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11/02Massage devices with strips oscill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기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는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정보 저장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연결 상태 감지부와,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외부 입력 단자

Description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Video equipment and multiple input processing method for video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외부 입력 단자의 연결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의 등록 방법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등록시 출력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출력되는 영상 기기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든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출력되는 영상 기기가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식별 정보 저장부 111: 신호 수신부
120: 연결 상태 감지부 130: 입력 신호 감지부
140: 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기기와 연결되는 다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은 VCR(Video Cassette Recorder),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캠코더 등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된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방송 입력을 위주로 하고, 부가적으로 Composite나 S-Video 등의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VCR, DVD 플레이어 및 캠코더 등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 텔레비전에서는 Composite나 S-Video 이외에도 Component, DVI, VGA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외부 입력 단자를 제공하고, 하나의 입력 방식에 대해서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를 제공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텔레비전과 연결된 외부 기기들을 모두 기억한 다음, 현재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고 있는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비디오 신호를 보고자 할때는 텔레비전에 설치된 조작 버튼이나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통해 다른 외 부 입력 단자로 수동으로 변경하게 된다.
사용자가 외부 입력 단자 변경시, 텔레비전은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 출력하거나 각 외부 입력 단자의 연결 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출력되는 연결 상태는 OSD(On Screen Display)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외부 입력 단자의 연결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은 각 외부 입력 단자명(11) 및 해당 외부 입력 단자와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12)를 OS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된 OSD 정보를 통해 현재 텔레비전과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외부 입력 단자의 연결 상태는 실제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가 아닌 해당 외부 입력 단자명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해당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기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해당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신호를 통해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는,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정보 저장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연결 상태 감지부와,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기기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100)는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정보 저장부(110)와,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연결 상태 감지부(120)와,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130)와,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 저장부(110)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 수신부(111)에 따라 해당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가 식별 정보로 사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해당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제어 신호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식별 정보에는 해당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 이외에도 기기명 등의 기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영상 기기(100)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영상 기기(100)에 형성된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하고, 영상 기기(100)로 연결된 외부 기기의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 등록을 위한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게 되고 사용자는 등록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을 조작하게 된다. 전원 버튼 조작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가 신호 수신부(111)로 수신되면, 식별 정보 저장부(11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식별 정보 등록시, 사용자가 해당 외부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기 정보(예를 들어, 기기명 등)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에 외부 입력 단자명만 출력된 것에 비하여 외부 기기의 기기 정보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 상태 감지부(120)는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영상 기기(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의 등록을 마친 후, 소정의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영상 기기(100)를 통해 시청하고자할 때 해당 외부 기기의 전원 버튼을 조작하게 된다. 이때, 신호 수신부(111)로 전원 버튼에 따른 수신 신호가 수신되고, 연결 상태 감지부(12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감지부(130)는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해당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전원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는, 해당 외부 기기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을 온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 가 입력될 것이고,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것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출력된 신호를 통해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가 맞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이외에 기기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다 해당 외부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별 정보 이외에 다른 외부 기기를 사용하려는 경우,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해당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결 상태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 연결된 모든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된 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영상 기기(100)와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를 영상 기기(100)의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하게 된다(S110).
영상 기기(100)의 외부 입력 단자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영상 기기(100)로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S120). 이때, 사용자의 외부 기기 등록 요청시, 영상 기기(100)는 외부 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의 기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제 1영역(210)과, 해당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 2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 1영역(210)에 해당 외부 기기의 기기명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제 2영역(220)을 통해 제어 신호가 영상 기기(100)로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영역(220)에는 영상 기기(100)에서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수신 완료' 메시지가 출력되고, 비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 '수신 미완료'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전술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 해당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기기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130). 예를 들어, 해당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 후 제 2영역(220)을 통해 제어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제 1영역(210)에 해당 외부 기기의 기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가 신호 수신부(111)로 수신되면, 식별 정보 저장부(110)는 수신된 제어 신호와 더불어 사용자가 입력한 기기 정보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생성 저장하게 된다(S140).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S2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발생된 제어 신호는 신호 수신부(111)로 수신되고,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S220).
판단 결과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140)는 연결 상태 감지부(120)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가 영상 기기(100)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30).
해당 외부 기기가 영상 기기(1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S240), 제어부(140)는 입력 신호 감지부(130)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50).
확인 결과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S260), 제어부(140)는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270). 이때, 사용자는 출력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에서 입력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기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해당 외부 기기의 기기 정보(310)와 입력된 신호(320)를 출력하여 사용자 가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에서 출력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연결 상태 감지부(120) 및 입력 신호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해당 외부 기기가 연결되지 않았거나 연결은 되었으나 입력되는 신호가 없을 경우에 각각 연결 상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거나(S280) 입력 신호 오류 메시지를 출력(S290)하여 사용자가 해당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발생한 제어 신호가 식별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연결 상태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 영상 기기(100)와 연결된 모든 외부 기기에서 입력 신호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영상 기기(100)로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되는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영상 기기(100)에 연결하는 외부 기기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영상 기기(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식별 정보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기기(100)와 연결된 모든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출력된 신호들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 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은, 영상 기기에 연결하려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판단된 외부 기기의 연결 상태 및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통해 손쉽게 사용하려는 외부 기기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정보 저장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연결 상태 감지부와,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 신호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에 따른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연결 상태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된 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2. 삭제
  3. 삭제
  4. 외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선택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에 따른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연결 상태 감지부가 감지한 결과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된 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5. 삭제
KR1020050007555A 2005-01-27 2005-01-27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KR10070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55A KR100703739B1 (ko) 2005-01-27 2005-01-27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55A KR100703739B1 (ko) 2005-01-27 2005-01-27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69A KR20060086669A (ko) 2006-08-01
KR100703739B1 true KR100703739B1 (ko) 2007-04-05

Family

ID=3717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555A KR100703739B1 (ko) 2005-01-27 2005-01-27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19B1 (ko) * 2006-06-09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력 dvr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491A (ko) * 1997-04-29 1998-11-16 윤종용 복합 영상 기기의 주변시스템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2156A (ko) * 1997-10-16 1999-05-06 전주범 텔레비젼수상기의 외부기기선택방법
JP2000041196A (ja) 1998-07-24 2000-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30022605A (ko) * 2001-09-11 200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491A (ko) * 1997-04-29 1998-11-16 윤종용 복합 영상 기기의 주변시스템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37303B1 (ko) * 1997-04-29 2000-01-15 윤종용 복합 영상기기의 주변 시스템 연결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2156A (ko) * 1997-10-16 1999-05-06 전주범 텔레비젼수상기의 외부기기선택방법
JP2000041196A (ja) 1998-07-24 2000-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30022605A (ko) * 2001-09-11 200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69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3591A2 (en) Method of determining input port status in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JPH05219454A (ja) 信号スイッチング装置
KR20050119308A (ko) 전자기기의 시간 설정방법
US7372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on-screen display user-guide information about status of external device
US20070188658A1 (en) Graphic display device
US20140240600A1 (en) Method for selecting an input media source
US20120092558A1 (en) Television and displaying method for information source thereof
KR100725797B1 (ko) 적응형 수평 sync 검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3739B1 (ko)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의 다중 입력 처리 방법
US20170041567A1 (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isoperation, and display device
JPH077679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JP3001459B2 (ja) テレビ接続検出装置
JP2006310922A (ja) テレビ
JP2005134944A (ja) 画像表示を用いた制御装置
KR20050075586A (ko) 외부입력 표시장치 및 방법
US20080284912A1 (en) Display and Television
KR101101674B1 (ko) 외부입력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3280625A (ja) 表示装置
WO20050765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format switching according to input aspect ratio
JP200625403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584289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디지털 신호 유무 판단 방법
KR960007537B1 (ko) 시청시점의 최적 온도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8374B1 (ko) 외부입력단들의 연결상태를 현시하는 vcr
KR100717167B1 (ko) 외부신호 수신상태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방송수신방법
KR101518058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캡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