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678A -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678A
KR20180027678A KR1020160114004A KR20160114004A KR20180027678A KR 20180027678 A KR20180027678 A KR 20180027678A KR 1020160114004 A KR1020160114004 A KR 1020160114004A KR 20160114004 A KR20160114004 A KR 20160114004A KR 20180027678 A KR20180027678 A KR 20180027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ontrol bits
resistors
contro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932B1 (ko
Inventor
?호앙 두엉
?o호앙 두엉
고유석
공정운
신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932B1/ko
Priority to US15/602,532 priority patent/US10008996B2/en
Publication of KR2018002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1Digital control of analog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0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being continuously controlled by a controlling signal, e.g. the controlling signal of a transistor implemented as variable resistor in a supply path for, an IC-block showed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022One or more added resistors to the amplifying transistors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116Feedback coupled to the inpu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22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one or more potentio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one or more passive resistors and being coupled between the LC and the 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IC comprising balancing means, e.g. trimm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91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IC comprising one or more potentio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IC comprising one or more resistors, which are not biasing resis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1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 H03G1/0023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in emitter-coupled or cascode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이득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 이득 증폭기는 증폭기, 증폭기의 제1 입력과 제1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저항 및 제1 가변 저항, 증폭기의 제2 입력과 제2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고정 저항 및 제2 가변 저항, 증폭기의 제1 입력과 제1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3 고정 저항 및 제3 가변 저항, 증폭기의 제2 입력과 제2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4 고정 저항 및 제4 가변 저항, 그리고 디코더를 포함한다. 디코더는 제1 제어 비트들을 수신하고, 제1 제어 비트들로부터 제2 제어 비트들 및 제3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고, 제2 제어 비트들로부터 제4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고, 제1 제어 비트들 및 제3 제어 비트들을 이용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고, 그리고 제2 및 제4 제어 비트들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한다.

Description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VARIABLE GAIN AMPLIFIER AND OPERATING METHOD OF VARIABLE GAIN AMPLIFIER}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변 이득 증폭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LTE (Long Term Evolution)과 같은 통신 분야에서, 데시벨에서 선형적인 넓은 가변 이득 범위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가변 이득 증폭기는 수 데시벨 수준의 선형적인 가변 이득 범위만을 제공하며, 따라서 다수의 가변 이득 증폭기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배치하여 필요한 선형 가변 이득 범위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필요한 선형 가변 이득 범위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수의 가변 이득 증폭기들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가변 이득 증폭기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비용 증가 및 면적 증가를 유발한다.
따라서, 기존의 가변 이득 증폭기보다 더 넓은 선형 가변 이득 범위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넓은 선형 가변 이득 범위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이득 증폭기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그리고 제1 출력 및 제2 출력을 갖는 증폭기, 제1 입력과 제1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저항 및 제1 가변 저항, 제2 입력과 제2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고정 저항 및 제2 가변 저항, 제1 입력과 상기 제1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3 고정 저항 및 제3 가변 저항, 제2 입력과 상기 제2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4 고정 저항 및 제4 가변 저항, 제1 출력 및 제2 출력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출력 터미널 및 제2 출력 터미널, 그리고 디코더를 포함한다. 디코더는 제1 제어 비트들을 수신하고, 제1 제어 비트들로부터 제2 제어 비트들 및 제3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고, 제2 제어 비트들로부터 제4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고, 제1 제어 비트들 및 제3 제어 비트들을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에 전달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고, 그리고 제2 및 제4 제어 비트들을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에 전달하여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한다.
본 발명은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 이등 증폭기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그리고 제1 출력 및 제2 출력을 갖는 증폭기, 제1 입력과 제1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저항 및 제1 가변 저항, 제2 입력과 제2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고정 저항 및 제2 가변 저항, 제1 입력과 제1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3 고정 저항 및 제3 가변 저항, 그리고 제2 입력과 제2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4 고정 저항 및 제4 가변 저항을 포함한다. 동작 방법은 제1 제어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제어 코드를 반전하여 제2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또는 제2 제어 코드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갖는 제3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또는 제2 제어 코드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갖는 제4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및 제3 제어 코드들을 조합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제2 및 제4 제어 코드들을 조합하여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 넓은 선형 가변 이득 범위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가변 이득 증폭기의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제1 제어 비트들의 값에 따른 가변 저항들의 값들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5는 제어 값에 따른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 및 가변 이득의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가변 이득 및 이상 가변 이득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5의 에러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를 보여준다.
도 9는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도 11은 제1 제어 비트들의 값에 따른 제3 제어 비트들의 값을 보여준다.
도 12는 제2 제어 비트들의 값에 따른 제4 제어 비트들의 값을 보여준다.
도 13은 제1 제어 비트들의 값에 따른 제3 및 제4 제어 비트들 및 가변 저항들의 값들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14는 제어 값에 따른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 및 가변 이득의 예를 보여준다.
도 15는 고정 저항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이득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고정 저항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에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가변 이득 증폭기(10)의 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 이득 증폭기(100)는 증폭기(110), 디코더(120), 제1 내지 제4 고정 저항들(R0a~R0d), 그리고 제1 내지 제4 가변 저항들(R1a, R1b, Rc, Rd)을 포함한다.
증폭기(11)는 양의 입력 및 음의 입력을 포함하는 차동 입력 및 양의 출력 및 음의 출력을 포함하는 차동 출력을 구비한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일 수 있다. 증폭기(11)의 음의 입력은 제3 가변 저항(Rc) 및 제1 고정 저항(R0a)에 연결된다. 증폭기(11)의 양의 입력은 제4 가변 저항(Rd) 및 제2 고정 저항(R0b)에 연결된다. 증폭기(11)의 양의 출력은 제1 출력 터미널(VOUT1) 및 제3 고정 저항(R0c)에 연결된다. 증폭기(11)의 음의 출력은 제2 출력 터미널(VOUT2) 및 제4 고정 저항(R0d)에 연결된다.
제1 가변 저항(R1a) 및 제1 고정 저항(R0a)은 제1 입력 터미널(VIN1) 및 증폭기(11)의 음의 입력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가변 저항(Rc) 및 제3 고정 저항(R0c)은 증폭기(11)의 음의 입력 및 양의 출력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피드백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변 저항(R1b) 및 제2 고정 저항(R0b)은 제2 입력 터미널(VIN2) 및 증폭기(11)의 양의 입력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4 가변 저항(Rd) 및 제4 고정 저항(R0d)은 증폭기(11)의 양의 입력 및 음의 출력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피드백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4 고정 저항들(R0a~R0d)은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가질 수 있다.
디코더(12)는 제어 입력 터미널(CIN)을 통해 제1 제어 비트들(B[1:N])을 수신할 수 있다. 디코더(12)는 제1 제어 비트들(B[1:N])을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에 전달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의 저항 값들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12)는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이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갖도록 제1 제어 비트들(B[1:N])을 이용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을 제어할 수 있다.
디코더(12)는 제1 제어 비트들(B[1:N])을 반전하여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01
)을 생성할 수 있다. 디코더(12)는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02
)을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에 전달하여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의 저항 값들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12)는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이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갖도록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03
)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 비트들(B[1:N]) 및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04
) 각각은 N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이득 증폭기(10)는 제1 및 제2 입력 터미널들(VIN1, VIN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 또는 전압들의 차이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출력 터미널들(VOUT1, VOUT2)로 출력할 수 있다. 증폭의 이득은 디코더(12)에 의해 조절되는 제1 내지 제4 가변 저항들(R1a, R1b, Rc, Rd)의 저항 값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이득 증폭기(10)의 이득은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수학식 1에서, Av는 가변 이득 증폭기(10)의 데시벨 단위의 이득을 가리키고, R0는 제1 내지 제4 고정 저항들(R0a~R0d)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저항 값을 가리키고, R1은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저항 값을 가리키고, R은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저항 값을 가리킨다.
도 2는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N이 4일 때의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R)(예를 들어 제3 또는 제4 가변 저항(Rc 또는 Rd))은 고정 저항(R0)(예를 들어, 제3 또는 제4 고정 저항(R0c 또는 R0d))과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R)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은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저항(R)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과 병렬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은 제1 제어 비트들(B[1:N])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어 비트가 '0'의 값을 가질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온될 수 있다. 각 제어 비트가 '1'의 값을 가질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제1 저항(Ru1)과 병렬 연결되며, 제1 제어 비트들(B[1:N])의 최하위 비트(LS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온 되면, 제1 저항(Ru1)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1 저항(Ru1)의 저항 값이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2 스위치(SW2)는 제2 및 제3 저항들(Ru2, Ru3)과 병렬 연결되며, 제1 제어 비트들(B[1:N])의 두 번째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W2)가 턴-온 되면, 제2 및 제3 저항들(Ru2, Ru3)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2 및 제3 저항들(Ru2, Ru3)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3 스위치(SW3)는 제4 내지 제7 저항들(Ru4~Ru7)과 병렬 연결되며, 제1 제어 비트들(B[1:N])의 세 번째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3 스위치(SW3)가 턴-온 되면, 제4 내지 제7 저항들(Ru4~Ru7)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4 내지 제7 저항들(Ru4~Ru7)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4 스위치(SW4)는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 연결되며, 제1 제어 비트들(B[1:N])의 최상위 비트(MS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4 스위치(SW4)가 턴-온 되면,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도 2의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은 수학식 2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수학식 2에서, Ru는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저항 값을 가리킨다.
도 3은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N이 4일 때의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저항(R1)(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가변 저항(R1a 또는 R1b))은 고정 저항(R0)(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고정 저항(R0a 또는 R0b))과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R1)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은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저항(R1)은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이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07
)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제외하면, 가변 저항(R1)은 도 2의 가변 저항(R)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의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은 수학식 3으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도 4는 제1 제어 비트들(B[1:N])의 값에 따른 가변 저항들(R, R1)의 값들의 변화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N이 '4'일 때, 그리고 저항(Ru)의 저항 값이 '1'인 때의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00'의 값을 가질 때에, 제1 제어 비트들(B[1:N])이 가리키는 제어 값(X)은 '0'일 수 있다.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은 '0'이고,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은 '15'일 수 있다.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00'으로부터 '1111'로 증가함에 따라, 제어 값(X)은 0으로부터 15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은 0으로부터 15로 증가하고,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은 15로부터 1로 감소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 값(X)에 따른 가변 저항들(R, R1)의 저항 값들 및 가변 이득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의 고정 저항(R0)의 저항 값이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저항 값의 절반인 때의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값(X)이 증가함에 따라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은 증가하고,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은 감소할 수 있다. 고정 저항(R0)의 저항 값은 제어 값(X)에 관계 없이 유지될 수 있다.
가변 이득 증폭기(10)의 데시벨 단위의 가변 이득(Av[dB])은 제어 값(X)이 변화함에 따라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이득(Av[dB])은 음의 값으로부터 양의 값으로 점차 증가하는 대칭된 값들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들(R, R1)의 합은 '15'를 유지한다. 도 5에 기반하여, 수학식 1은 수학식 4로 다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이상 가변 이득(Avi[dB])은 데시벨 단위에서 선형인 이상적인 경우의 이득을 가리킨다. 이상 가변 이득(Avi[dB])을 표현하기 위하여, 변수(t)가 수학식 5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수학식 4는 수학식 6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수학식 6으로부터, 이상 가변 이득(Avi[dB])은 수학식 7로 근사화될 수 있으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에러(Error[dB])는 데시벨 단위에서 이상 가변 이득(Avi[dB]) 및 가변 이득(Av[dB]) 사이의 오차를 가리킨다.
도 6은 도 5의 가변 이득(Av[dB]) 및 이상 가변 이득(Avi[dB])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6에서, 가로축은 제어 값(X)을 가리키고, 세로축은 이득을 가리킨다. 도 6에서, 제어 값(X)에 대한 가변 이득(Av[dB]) 및 이상 가변 이득(Avi[dB])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값(X)이 중간 값에 가까울수록, 가변 이득(Av[dB]) 및 이상 가변 이득(Avi[dB])의 차이가 감소한다. 또한, 제어 값(X)이 중간 값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변 이득(Av[dB]) 및 이상 가변 이득(Avi[dB]) 사이의 차이가 증가한다. 즉, 가변 이득(Av[dB])은 제어 값(X)의 중간 값 주변에서 데시벨 스케일의 선형성을 갖는다.
도 7은 도 5의 에러(Error[dB])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7에서, 가로축은 제어 값(X)을 가리키고, 세로축은 이득을 가리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값(X)이 중간 값에 가까울수록, 에러(Error[dB])가 감소한다. 또한, 제어 값(X)이 중간 값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에러(Error[dB])가 증가한다. 즉, 가변 이득(Av[dB])은 제어 값(X)의 중간 값 주변에서 데시벨 스케일의 선형성을 갖는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가변 이득 증폭기(10)는 제어 값(X)의 조절 범위 내에서 전체적으로 선형성을 갖지 않으며, 제어 값(X)의 조절 범위 내에서도 한정된 범위에서 선형성을 갖는다. 따라서, 넓은 데시벨 단위의 선형 가변 이득이 필요한 경우, 가변 이득 증폭기들(10)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변 이득 증폭기들(10)을 포함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면적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이득 증폭기(100)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변 이득 증폭기(10)는 증폭기(11), 디코더(12), 제1 내지 제4 고정 저항들(R0a~R0d), 그리고 제1 내지 제4 가변 저항들(R1a, R1b, Rc, Rd)을 포함한다.
증폭기(110)는 양의 입력 및 음의 입력을 포함하는 차동 입력 및 양의 출력 및 음의 출력을 포함하는 차동 출력을 구비한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일 수 있다. 증폭기(110)의 음의 입력은 제3 가변 저항(Rc) 및 제1 고정 저항(R0a)에 연결된다. 증폭기(110)의 양의 입력은 제4 가변 저항(Rd) 및 제2 고정 저항(R0b)에 연결된다. 증폭기(110)의 양의 출력은 제1 출력 터미널(VOUT1) 및 제3 고정 저항(R0c)에 연결된다. 증폭기(110)의 음의 출력은 제2 출력 터미널(VOUT2) 및 제4 고정 저항(R0d)에 연결된다.
제1 가변 저항(R1a) 및 제1 고정 저항(R0a)은 제1 입력 터미널(VIN1) 및 증폭기(110)의 음의 입력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가변 저항(Rc) 및 제3 고정 저항(R0c)은 증폭기(110)의 음의 입력 및 양의 출력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피드백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변 저항(R1b) 및 제2 고정 저항(R0b)은 제2 입력 터미널(VIN2) 및 증폭기(110)의 양의 입력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제4 가변 저항(Rd) 및 제4 고정 저항(R0d)은 증폭기(110)의 양의 입력 및 음의 출력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피드백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4 고정 저항들(R0a~R0d)은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가질 수 있다.
디코더(120)는 제어 입력 터미널(CIN)을 통해 제1 제어 비트들(B[1:N])을 수신할 수 있다. 디코더(120)는 제1 제어 비트들(B[1:N])로부터 제3 제어 비트들(Sa[1:N])을 생성할 수 있다. 디코더(120)는 제1 제어 비트들(B[1:N]) 및 제3 제어 비트들(Sa[1:N])을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에 전달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의 저항 값들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120)는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이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갖도록 제1 제어 비트들(B[1:N]) 및 제3 제어 비트들(Sa[1:N])을 이용하여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을 제어할 수 있다.
디코더(120)는 제1 제어 비트들(B[1:N])을 반전하여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3
)을 생성할 수 있다. 디코더(120)는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4
)로부터 제4 제어 비트들(Sb[1:N])을 생성할 수 있다. 디코더(120)는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5
) 및 제4 제어 비트들(Sb[1:N])을 제1 및 제1 가변 저항들(R1a, R1b)에 전달하여 제1 및 제1 가변 저항들(R1a, R1b)의 저항 값들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120)는 제1 및 제1 가변 저항들(R1a, R1b)이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갖도록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6
) 및 제4 제어 비트들(Sb[1:N])을 이용하여 제1 및 제1 가변 저항들(R1a, R1b)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 비트들(B[1:N]),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7
), 제3 제어 비트들(Sa[1:N]) 및 제4 제어 비트들(Sb[1:N]) 각각은 N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이득 증폭기(10)는 제1 및 제2 입력 터미널들(VIN1, VIN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 또는 전압들의 차이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출력 터미널들(VOUT1, VOUT2)로 출력할 수 있다. 증폭의 이득은 디코더(12)에 의해 조절되는 제1 내지 제4 가변 저항들(R1a, R1b, Rc, Rd)의 저항 값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이득 증폭기(10)의 이득은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R1a, R1b)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N이 4일 때의 예가 도 9에 도시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R1)(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가변 저항(R1a 또는 R1b))은 고정 저항(R0)(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고정 저항(R0a 또는 R0b))과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R1)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은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저항(R1)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과 병렬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은 제1 제어 비트들(B[1:N])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어 비트가 '1'의 값을 가질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온될 수 있다. 각 제어 비트가 '0'의 값을 가질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제1 저항(Ru1)과 병렬 연결되며,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8
)의 최하위 비트(LS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온 되면, 제1 저항(Ru1)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1 저항(Ru1)의 저항 값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2 스위치(SW2)는 제2 및 제3 저항들(Ru2, Ru3)과 병렬 연결되며,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19
)의 두 번째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W2)가 턴-온 되면, 제2 및 제3 저항들(Ru2, Ru3)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2 및 제3 저항들(Ru2, Ru3)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3 스위치(SW3)는 제4 내지 제7 저항들(Ru4~Ru7)과 병렬 연결되며,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20
)의 세 번째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3 스위치(SW3)가 턴-온 되면, 제4 내지 제7 저항들(Ru4~Ru7)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4 내지 제7 저항들(Ru4~Ru7)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4 스위치(SW4)는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 연결되며,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21
)의 최상위 비트(MS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4 스위치(SW4)가 턴-온 되면,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가변 저항(R1)은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 연결되는 제5 내지 제8 스위치들(SW5~SW8)을 더 포함한다. 제5 내지 제8 스위치들(SW5~SW8)은 제4 제어 비트들(Sb[1:N])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어 비트가 '1'의 값을 가질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온될 수 있다. 각 제어 비트가 '0'의 값을 가질 때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오프될 수 있다.
제5 스위치(SW5)는 제8 저항(Ru8)과 병렬 연결되며,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최하위 비트(LS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5 스위치(SW5)가 턴-온 되면, 제8 저항(Ru8)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8 저항(Ru8)의 저항 값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최하위 비트(예를 들어 Sb1)의 값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최하위 비트(B1) 및 두 번째 비트(B2)의 값들 그리고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22
)의 세 번째 비트(
Figure pat00023
) 및 최상위 비트(
Figure pat00024
)의 값들의 논리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6 스위치(SW6)는 제8 및 제9 저항들(Ru8, Ru9)과 병렬 연결되며,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두 번째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6 스위치(SW6)가 턴-온 되면, 제8 및 제9 저항들(Ru8, Ru9)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8 및 제9 저항들(Ru8, Ru9)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두 번째 비트(Sb2)의 값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두 번째 비트(B2)의 값 그리고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25
)의 최하위 비트(
Figure pat00026
), 세 번째 비트(
Figure pat00027
) 및 최상위 비트(
Figure pat00028
)의 값들의 논리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7 스위치(SW7)는 제8 내지 제11 저항들(Ru8~Ru11)과 병렬 연결되며,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세 번째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7 스위치(SW7)가 턴-온 되면, 제8 내지 제11 저항들(Ru8~Ru11)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8 내지 제11 저항들(Ru8~Ru11)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세 번째 비트(Sb3)의 값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최하위 비트(B1)의 값 그리고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29
)의 두 번째 비트(
Figure pat00030
), 세 번째 비트(
Figure pat00031
) 및 최상위 비트(
Figure pat00032
)의 값들의 논리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8 스위치(SW8)는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 연결되며,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최상위 비트(MS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8 스위치(SW8)가 턴-온 되면,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의 쇼트 경로가 형성되고,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의 저항 값들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합산되지 않는다.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최상위 번째 비트(Sb4)의 값은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33
)의 최하위 비트(
Figure pat00034
), 두 번째 비트(
Figure pat00035
), 세 번째 비트(
Figure pat00036
) 및 최상위 비트(
Figure pat00037
)의 값들의 논리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9의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은 수학식 8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3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39
)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과 병렬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에 공급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 각각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 중 2^k 개(k는 제1 제어 비트들(B[1:N]) 중 대응하는 비트의 차수)의 저항들에 병렬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은 서로 다른 저항들에 연결된다.
제4 제어 비트들(Sb[1:N]) 각각은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과 병렬 연결되는 제5 내지 제8 스위치들(SW5~SW8)에 공급된다. 제5 내지 제8 스위치들(SW5~SW8) 각각은 제8 내지 제15 저항들(Ru8~Ru15) 중 2^k 개(k는 제3 제어 비트들(Sa[1:N]) 중 대응하는 비트의 차수)의 저항들에 병렬 연결된다.
도 10은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Rc, Rd) 중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N이 4일 때의 예가 도 10에 도시된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변 저항(R)(예를 들어 제3 또는 제4 가변 저항(Rc 또는 Rd))은 고정 저항(R0)(예를 들어, 제3 또는 제4 고정 저항(R0c 또는 R0d))과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R)은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은 동일한 저항 값들을 가질 수 있다.
가변 저항(R)은 제1 내지 제8 스위치들(SW1~SW8)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이 제1 제어 비트들(B[1:N])에 의해 제어되고 제5 내지 제8 스위치들(SW5~SW8)이 제3 제어 비트들(Sa[1:N])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제외하면, 가변 저항(R)은 도 9의 가변 저항(R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의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은 수학식 9으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pat00040
도 11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값에 따른 제4 제어 비트들(Sb[1:N])의 값을 보여준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00', 즉 '0'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1000'의 값을 갖는다.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01', 즉 '1'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0100'의 값을 갖는다.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10', 즉 '2'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0010'의 값을 갖는다.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11', 즉 '3'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0001'의 값을 갖는다. 제1 제어 비트들(B[1:N])이 그 외의 값을 갖는 경우,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0000'의 값을 갖는다. 즉, 제1 제어 비트들(B[1:N]) 또는 제1 제어 비트들(B[1:N])이 가리키는 제어 값(X)이 가장 낮은 값(예를 들어 '0')을 포함하는 N 개(N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비트 수)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질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제1 제어 비트들(B[1:N]) 또는 제1 제어 비트들(B[1:N])이 가리키는 제어 값(X)이 가장 낮은 값(예를 들어 '0')을 포함하는 N 개(N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비트 수)의 값들 중 하나를 갖지 않을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이 턴-오프될 때, 제8 스위치(SW8)가 턴-온 되고 제5 내지 제7 스위치들(SW5~SW7)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온 되고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SW2~SW4)이 턴-오프될 때, 제7 스위치(SW7)가 턴-온 되고 제5, 제6 및 제8 스위치들(SW5, SW6, SW8)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SW2)가 턴-온 되고, 제1, 제3 및 제4 스위치들(SW1, SW3, SW4)이 턴-오프될 때, 제6 스위치(SW6)가 턴-온 되고 제5, 제7 및 제8 스위치들(SW5, SW7, SW8)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들(SW1, SW2)이 턴-온 되고 제3 및 제4 스위치들(SW3, SW4)이 턴-오프될 때, 제5 스위치(W5)가 턴-온 되고 제6 내지 제8 스위치들(SW6~SW8)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1
)의 값에 따른 제3 제어 비트들(Sa[1:N])의 값을 보여준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2
)이 '0000', 즉 '0'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1000'의 값을 갖는다.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3
)이 '0001', 즉 '1'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0100'의 값을 갖는다.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4
)이 '0010', 즉 '2'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0010'의 값을 갖는다.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5
)이 '0011', 즉 '3'의 제어 값(X)을 가리킬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0001'의 값을 갖는다.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6
)이 그 외의 값을 갖는 경우,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0000'의 값을 갖는다. 즉,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7
) 또는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8
)이 가리키는 제어 값(X)이 가장 낮은 값(예를 들어 '0')을 포함하는 N 개(N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비트 수)의 값들 중 하나를 가질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49
) 또는 제2 제어 비트들(
Figure pat00050
)이 가리키는 제어 값(X)이 가장 낮은 값(예를 들어 '0')을 포함하는 N 개(N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비트 수)의 값들 중 하나를 갖지 않을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SW1~SW4)이 턴-오프될 때, 제8 스위치(SW8)가 턴-온 되고 제5 내지 제7 스위치들(SW5~SW7)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치(SW1)가 턴-온 되고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SW2~SW4)이 턴-오프될 때, 제7 스위치(SW7)가 턴-온 되고 제5, 제6 및 제8 스위치들(SW5, SW6, SW8)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SW2)가 턴-온 되고, 제1, 제3 및 제4 스위치들(SW1, SW3, SW4)이 턴-오프될 때, 제6 스위치(SW6)가 턴-온 되고 제5, 제7 및 제8 스위치들(SW5, SW7, SW8)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들(SW1, SW2)이 턴-온 되고 제3 및 제4 스위치들(SW3, SW4)이 턴-오프될 때, 제5 스위치(W5)가 턴-온 되고 제6 내지 제8 스위치들(SW6~SW8)이 턴-오프되어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제1 제어 비트들(B[1:N])의 값에 따른 제3 및 제4 제어 비트들(Sa[1:N], Sb[1:N]) 및 가변 저항들(R, R1)의 값들의 변화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N이 '4'일 때, 그리고 저항(Ru)의 저항 값이 '1'인 때의 예가 도 13에 도시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제어 비트들(B[1:N])이 '0000' 내지 '0011' 중 하나일 때, 즉 제어 값(X)이 0 내지 3 중 하나일 때, 제2 제어 비트들(Sa[1:N])은 '1000', '0100', '0010', '0001'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가변 저항(R1)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값이 아닌 '7', '10', '11', '11'의 값을 갖는다. 제어 값(X)이 0 내지 3이 아닌 다른 값을 가질 때, 제3 제어 비트들(Sa[1:N])은 '0000'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어 값(X)이 0 내지 3이 아닌 다른 값을 가질 때, 가변 저항(R1)의 저항 값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제1 제어 비트들(B[1:N])이 '1100' 내지 '1111' 중 하나일 때, 즉 제어 값(X)이 12 내지 15 중 하나일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0001', '0010', '0100', '1000'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달리, 가변 저항(R)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값이 아닌 '11', '11', '10', '7'의 값을 갖는다. 제어 값(X)이 12 내지 15가 아닌 다른 값을 가질 때, 제4 제어 비트들(Sb[1:N])은 '0000'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제어 값(X)이 12 내지 15가 아닌 다른 값을 가질 때, 가변 저항(R)의 저항 값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4 제어 비트들(Sa[1:N], Sb[1:N])을 이용하여 가변 저항들(R, R1)의 저항 값들이 더 조절되면, 가변 저항들(R, R1)의 저항 값들이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는 수학식 1과 같은 데시벨 단위에서, 선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발생한다.
도 14는 제어 값(X)에 따른 가변 저항들(R, R1)의 저항 값들 및 가변 이득의 예를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도 9 및 도 10의 고정 저항(R0)의 저항 값이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의 저항 값의 절반인 때의 예가 도 14에 도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및 제4 제어 비트들(Sa[1:N], Sb[1:N])이 적용되는 범위, 즉 제어 값(X)이 0 내지 3 또는 12 내지 15에 속할 때, 도 5에 도시된 에러(Error[dB])보다 더 적은 에러(Error[dB])가 발생한다. 도 14에 도시된 가변 이득(Av[dB])은 도 5에 도시된 가변 이득(Av[dB])보다 더 이상 가변 이득(Avi[dB])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즉,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가변 이득 증폭기(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가변 이득 증폭기(10)보다 더 적은 에러를 가지며, 데시벨 단위에서 더 높은 선형성을 갖는다.
도 15는 고정 저항(R0)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이득(Av)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가로축은 제어 값(X)을 가리키고, 세로축은 이득을 가리킨다. 도 15에서, 제어 값(X)에 대한 도 5의 가변 이득(Av[dB]) 및 이상 가변 이득(Avi[dB]), 그리고 고정 저항(R0)의 변화에 따른 도 8 내지 도 10의 가변 이득 증폭기(100)의 가변 이득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들(R1, R)의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 대한 고정 저항(R0)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예를 들어, 0.5, 1.0, 1.1, 1.3의 순으로 증가할수록, 가변 이득 증폭기(100)의 데시벨 단위(dB)의 선형성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가변 이득 증폭기(100)의 데시벨(dB) 단위의 선형 가변 이득 범위가 확장된다.
도 16은 고정 저항(R0)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에러(Error[dB])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에서, 가로축은 제어 값(X)을 가리키고, 세로축은 에러(Error[dB])를 가리킨다. 도 16에서, 제어 값(X)에 대한 도 7의 에러, 그리고 고정 저항(R0)의 변화에 따른 도 8 내지 도 10의 가변 이득 증폭기(100)의 에러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들(R1, R)의 제1 내지 제15 저항들(Ru1~Ru15) 중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 대한 고정 저항(R0)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예를 들어, 0.5, 1.0, 1.1, 1.3의 순으로 증가할수록, 가변 이득 증폭기(100)의 데시벨 단위(dB)의 에러(Error[dB]) 더욱 감소한다. 따라서, 가변 이득 증폭기(100)의 데시벨(dB) 단위의 선형 가변 이득 범위가 확장된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10, 100; 가변 이득 증폭기
11, 110; 증폭기
12, 120; 디코더
R1a, R1b, Rc, Rd: 가변 저항
R0a, R0b, R0c, R0d; 고정 저항

Claims (10)

  1. 제1 입력 및 제2 입력, 그리고 제1 출력 및 제2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제1 입력과 제1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저항 및 제1 가변 저항;
    상기 제2 입력과 제2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고정 저항 및 제2 가변 저항;
    상기 제1 입력과 상기 제1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3 고정 저항 및 제3 가변 저항;
    상기 제2 입력과 상기 제2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4 고정 저항 및 제4 가변 저항;
    상기 제1 출력 및 상기 제2 출력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출력 터미널 및 제2 출력 터미널; 그리고
    제1 제어 비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비트들로부터 제2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 비트들로부터 제3 및 제4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비트들 및 상기 제3 제어 비트들을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에 전달하여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4 제어 비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에 전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을 반전하여 상기 제2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이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가장 높은 저항 값을 포함하는 N 개(N은 양의 정수)의 연속한 저항 값들 중 하나로 조절할 때,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제3 제어 비트들이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3 제어 비트들을 생성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의 비트 수인 가변 이득 증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 비트들 각각은 동일한 비트 수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 각각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저항들 및 상기 복수의 저항들과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의 제1 비트는 제1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의 제2 비트는 제2 및 제3 저항들과 병렬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의 제3 비트는 제4 내지 제7 저항들과 병렬 연결된 제3 스위치를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비트들의 제4 비트는 제8 내지 제15 저항들과 병렬 연결된 제4 스위치를 제어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 비트들의 제1 비트는 상기 제8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5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제어 비트들의 제2 비트는 상기 제8 및 제9 저항들과 병렬 연결된 제6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제어 비트들의 제3 비트는 상기 제8 내지 제11 저항들과 병렬 연결된 제7 스위치를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제4 제어 비트들의 제4 비트는 상기 제8 내지 제15 저항들과 병렬 연결된 제8 스위치를 제어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들이 턴-오프 될 때, 상기 제8 스위치가 턴-온 되고 상기 제5 내지 제7 스위치들이 턴-오프 되는 가변 이득 증폭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 되고 상기 제2 내지 제4 스위치들이 턴-오프 될 때, 상기 제7 스위치가 턴-온 되고 상기 제5, 제6 및 제8 스위치들이 턴-오프 되는 가변 이득 증폭기.
  10.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등 증폭기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 그리고 제1 출력 및 제2 출력을 갖는 증폭기;
    상기 제1 입력과 제1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고정 저항 및 제1 가변 저항;
    상기 제2 입력과 제2 입력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고정 저항 및 제2 가변 저항
    상기 제1 입력과 상기 제1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3 고정 저항 및 제3 가변 저항; 그리고
    상기 제2 입력과 상기 제2 출력 사이에 연결되는 제4 고정 저항 및 제4 가변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제1 제어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코드를 반전하여 제2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 코드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갖는 제3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 코드의 값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갖는 제4 제어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3 제어 코드들을 조합하여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4 제어 코드들을 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들의 저항 값들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160114004A 2016-09-05 2016-09-05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KR10262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04A KR102628932B1 (ko) 2016-09-05 2016-09-05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US15/602,532 US10008996B2 (en) 2016-09-05 2017-05-23 Variable gain amplifi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04A KR102628932B1 (ko) 2016-09-05 2016-09-05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678A true KR20180027678A (ko) 2018-03-15
KR102628932B1 KR102628932B1 (ko) 2024-01-25

Family

ID=6128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04A KR102628932B1 (ko) 2016-09-05 2016-09-05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8996B2 (ko)
KR (1) KR102628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50719A (ja) * 2020-03-17 2021-09-27 株式会社東芝 可変利得増幅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95B1 (ko) * 2004-06-30 2007-01-16 강근순 디지털 입력의 증감에 따라 전압 이득이 지수적으로 증감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068A (ja) 2001-09-17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ゲインアンプ
US6833759B2 (en) * 2002-01-23 2004-12-2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programmable gain amplifier
US7274915B2 (en) 2003-08-29 2007-09-25 Broadcom Corporation Low-noise transmitter system and method
US7102441B2 (en) * 2003-12-31 2006-09-05 Realtek Semiconductor Corp. Variable gain amplifying circuit
KR100698319B1 (ko) 2005-02-17 200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득 제어 증폭기 및 이에 기초한 캐스코드 이득 제어 증폭기
US7339434B1 (en) 2005-06-30 2008-03-04 Marvell International Ltd. Linear-in-dB variable gain amplifier using geometric ladder circuit
US7352238B2 (en) * 2006-06-21 2008-04-01 Newport Media, Inc. dB-linear analog variable gain amplifier (VGA) re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1191391B1 (ko) * 2008-12-22 2012-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날로그 회로에서 dB-선형 이득 제어가 가능한 이득 조절 장치 및 그에 따른 증폭기
TWI509987B (zh) 2009-08-14 2015-11-21 That Corp 區域效率之可程式增益放大器
US8433274B2 (en) 2010-03-19 2013-04-30 SiTune Corporation Dynamic gain assignment in analog baseband circuits
US8378731B1 (en) * 2010-06-14 2013-02-19 Marvell International Ltd. Asymmetric correction circuit with negative resistance
US8350623B2 (en) 2011-03-14 2013-01-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ariable gain amplifier
JP2013121033A (ja) 2011-12-07 2013-06-17 Toshiba Corp 可変抵抗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可変利得増幅器
KR101873298B1 (ko) 2011-12-16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코드에 따라 지수적으로 제어되는 가변 이득과 차단주파수를 특성을 갖는 필터 및 증폭기
KR20160015093A (ko) * 2014-07-30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게인 증폭기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95B1 (ko) * 2004-06-30 2007-01-16 강근순 디지털 입력의 증감에 따라 전압 이득이 지수적으로 증감하는 가변이득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9520A1 (en) 2018-03-08
US10008996B2 (en) 2018-06-26
KR102628932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154B2 (ja) 広いコモンモード入力範囲を有する差動比較回路
JP3748371B2 (ja) 指数変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可変利得回路
EP1783898B1 (en) High-bandwidth high-gain amplifier
US107977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urrent source mismatches in current-steering DAC by re-using R2R network
KR20130069141A (ko) 디지털 코드에 따라 지수적으로 제어되는 가변 이득과 차단주파수를 특성을 갖는 필터 및 증폭기
EP1783899B1 (en) High-bandwidth high-gain amplifier
US7417499B2 (en) Gain controlled amplifier and cascoded gain controlled amplifier based on the same
JP2006311361A (ja) 減衰器、それを用いた可変利得増幅器ならびに電子機器
JP6307980B2 (ja) 差動増幅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US9276597B1 (en) Circuit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analog-to-digital converter
KR20180027678A (ko) 가변 이득 증폭기 및 가변 이득 증폭기의 동작 방법
US20100149009A1 (en) Calibration method, a/d converter, and radio device
US7098732B2 (en) Multi-stage variable gain amplifier utilizing overlapping gain curves to compensate for log-linear errors
JP5728367B2 (ja) Ad変換回路及びその補正方法
US7446605B2 (en) Amplifier arrangement with controllable ga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mplifier gain
WO2010137222A1 (ja) 並列補間型a/d変換器及びディジタル等化装置
KR20120140550A (ko) 가변 이득 증폭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신기
CN109639249B (zh) 合成电阻电路及可变增益放大电路
JP2019161556A (ja) データ収録装置
WO2023060841A1 (zh) 模数转换器和级间增益的校准方法
US20240048149A1 (en) Complementary current-steering digital-to-analog converter
WO2022201670A1 (ja)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及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JP7081783B2 (ja) 増幅回路
JP2017130743A (ja) プログラマブルゲインアンプ回路
JP5325587B2 (ja) D/a変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