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550A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550A
KR20180026550A KR1020187005559A KR20187005559A KR20180026550A KR 20180026550 A KR20180026550 A KR 20180026550A KR 1020187005559 A KR1020187005559 A KR 1020187005559A KR 20187005559 A KR20187005559 A KR 20187005559A KR 20180026550 A KR20180026550 A KR 2018002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rogrammable display
screen
licen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609B1 (ko
Inventor
사토루 가네타
겐고 고아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06Safety, monitoring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78Display status of currently selected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67Encryption, password, user access privile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 중,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하는 조작권 관리부를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조작권을 해방했을 경우,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갱신하는 사용 상황 갱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
본 출원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등의 FA(Factory Automation) 기기에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 등의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FA 기기용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복수 개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중, 조작권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0-20600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서는, 조작권을 가지지 않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조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 중,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解放)하는 조작권 관리부를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조작권을 해방했을 경우,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갱신하는 사용 상황 갱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210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의한 조작권 해방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의한 조작권 해방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의한 조작권 취득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의한 조작권 취득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의한 화면 표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에 있어서의 화면의 배타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에 의한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각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은 제어 장치(10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를 가지고,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제어 장치(100)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를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10)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을 포함해도 된다.
제어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등의 FA 기기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복수의 화면에 대응한 화면 데이터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서로 상이한 화면에 대응한 화면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로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같은 화면에 대응한 화면 데이터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이란, 화면을 조작하기 위해서 조작권을 필요로 하지 않는 화면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이란, 화면을 조작하기 위해서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으로서, 화면 「B-25」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으로서, 화면 「B-38」 및 화면 「B-45」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으로서, 화면 「B-33」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으로서, 화면 「B-5」 및 화면 「B-12」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 「B-38」, 화면 「B-45」, 화면 「B-5」 및 화면 「B-12」 중 어느 것을 조작할 때 필요한 조작권이 1개만으로 한정되므로,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 중 어느 것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은 다른 화면을 조작할 수 없는 배타적인 조작이 실현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 시스템(1)에 있어서 관리되는 조작권은, 배타 조작권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능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의 조작권을 관리하는 표시기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화면 데이터(210a),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210b), 및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을 기억하는 기억부(210)와, 조작권 관리부(220)와, 사용 상황 갱신부(230)와, 표시 제어부(240)와, 표시부(250)를 구비한다.
화면 데이터(210a)는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위한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화면 데이터(210a)는, 예를 들면, 화면 「B-25」, 화면 「B-38」 및 화면 「B-45」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포함한다.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210b)은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위한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지어, 화면의 조작에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지를 나타내는 당해 조작권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210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210b)은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데이터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1」은 조작권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고, 「0」은 조작권이 불필요한 것을 나타낸다.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은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은 어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조작권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있어서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조작권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고유한 식별자(예를 들면, got_300)를 기억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고유한 식별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송신되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에 따른 프레임 내로부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의해 취득되어도 되고, 제어 시스템(1)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미리 기억부(200)에 격납되어도 된다. 한편,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 중 어느 것도 조작권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있어서도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0)를 기억한다.
조작권 관리부(22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을 참조하여,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할 수 있다. 조작권의 취득 요구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내부의 요구를 계기로 하여 발생하는 경우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외부의 요구를 계기로 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내부의 요구를 계기로 하여 발생하는 경우란, 표시 제어부(240)로부터 송출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해당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외부의 요구를 계기로 하여 발생하는 경우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송신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에 해당한다.
조작권 관리부(22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내부에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을 참조하여,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한다. 조작권 관리부(220)는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조작권 관리부(220)는 팝업 윈도우 등의 모들 윈도우(modal window), 또는 위젯(widget) 등의 각종 데스크탑 툴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조작권 관리부(22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외부에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송신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도, 조작권 관리 테이블(210c)을 참조하여,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하고,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송신한다. 조작권 관리부(220)는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송신한다.
조작권 관리부(22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조작권을 반환한다는 취지의 반환 통지를 수신하면, 반환을 접수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결과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 상황 갱신부(230)는 조작권 관리부(220)에 의해 조작권이 해방되었을 경우, 조작권 관리부(210c)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사용 상황 갱신부(23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조작권을 반환한다는 취지의 반환 통지를 수신하면, 조작권 관리부(210c)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부터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50)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제어부(240)는 표시부(250)에 표시하는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210b)을 참조하여,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지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부(240)는, 판정의 결과,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 경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조작권 관리부(220)에 송출한다. 표시 제어부(240)는 조작권 관리부(220)에 의해 조작권이 해방되면,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화면 데이터(210a)로부터 읽어들여,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4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지를 판정한 결과, 조작권을 필요로 하지 않는 화면인 경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일 없이,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화면 데이터(210a)로부터 읽어들여,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 출력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기능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조작권을 관리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대해서, 조작권의 해방에 따른 문의를 행하는 표시기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화면 데이터(310a),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310b) 및 조작권 취득 상황 관리 테이블(310c)을 기억하는 기억부(310)와, 조작권 취득부(320)와, 표시 제어부(330)와, 표시부(340)를 구비한다.
화면 데이터(310a)는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위한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화면 데이터(310a)는, 예를 들면, 화면 「B-33」, 화면 「B-5」 및 화면 「B-12」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포함한다.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310b)은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는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위한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지어, 화면의 조작에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지를 나타내는 당해 조작권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데이터의 구성은 상기 화면 속성 테이블(210b)과 같고,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데이터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억하여 구성된다.
조작권 취득 상황 관리 테이블(310c)은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인지, 혹은 미취득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조작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을 표시부(340)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조작권을 관리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대해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권 취득부(320)는 표시 제어부(330)로부터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다는 취지를 접수하면,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310b)을 참조하여,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지를 판정한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판정의 결과,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 경우, 조작권 취득 상황 관리 테이블(310c)을 참조하여,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을 미취득한 상태인 경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대해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에 대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면, 수신한 응답을 표시 제어부(330)에 전송한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의 응답이,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인 경우, 조작권 취득 상황 관리 테이블(310c)에 기억되어 있는 조작권의 취득 상황에 관한 정보를,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로 갱신한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 아닌 경우, 조작권이 불필요하다는 취지의 통지를 표시 제어부(330)에 송출할 수 있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고, 또한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인 경우, 조작권을 취득이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표시 제어부(330)에 송출할 수 있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처음부터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 아닌 경우더라도, 전환 요구의 발생을 계기로 하여,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조작권 취득부(32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인 경우, 취득 완료된 조작권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반환한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반환 통지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30)는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을 경우,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을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부(34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제어부(330)는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하면,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다는 취지를 조작권 취득부(320)에 송출한다. 표시 제어부(330)는 조작권 취득부(320)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의 응답이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인 경우,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전환 요구의 대상인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을,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부(340)에 표시시킨다. 한편, 표시 제어부(330)는 조작권 취득부(320)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의 응답이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응답인 경우,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표시 제어부(330)는 팝업 윈도우 등의 모들 윈도우, 또는 위젯 등의 각종 데스크탑 툴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30)는 조작권 취득부(320)로부터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에 대해서 조작권이 불필요하다는 취지의 통지를 접수하면, 전환 대상이 되는 화면을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부(34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30)는 조작권 취득부(320)로부터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상태라는 취지를 접수하면, 전환 대상이 되는 화면을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부(34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 출력한다.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있어서, 조작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권이 필요한 화면으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의 처리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 「B-15」를 표시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있어서, 조작권이 필요한 화면 「B-5」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확인하여, 조작권이 사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권을 해방하고,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허가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허가 응답을 수신하면,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다는 취지를 통지하고, 화면 「B-5」를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한다.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있어서,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 「B-10」으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하면, 취득 완료된 조작권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반환하기 위한 반환 통지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조작권을 반환한다는 취지의 반환 통지를 수신하면,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미사용의 상태로 갱신하고, 반환을 접수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결과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화면 「B-10」을 표시한다.
도 7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있어서, 조작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권이 필요한 화면으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 「B-15」를 표시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있어서, 조작권이 필요한 화면 「B-5」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로부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확인하여,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불가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불가 응답을 수신하면,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의한 조작권 해방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내부에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의 조작권 해방 처리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0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스텝 S101, Yes),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10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경우(스텝 S102, Yes), 조작권을 해방하고(스텝 S103), 도 8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스텝 S102, No),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통지하고(스텝 S104), 도 8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101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1, No), 도 8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9는,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의 외부에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의 조작권 해방 처리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20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201, Yes),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0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경우(스텝 S202, Yes), 조작권을 해방하고,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송신하고(스텝 S203),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스텝 S202, No),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응답을 송신하고(스텝 S204),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201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1, No), 도 9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의한 조작권 취득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30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스텝 S301, Yes),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30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 경우(스텝 S302, Yes), 조작권을 취득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303).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경우(스텝 S303, Yes),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을 표시하고(스텝 S30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을 취득 완료하지 않은 경우(스텝 S303, N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305).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306).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한 것으로 판정하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로부터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한 것으로 판정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을 경우(스텝 S306, Yes),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스텝 S307), 상기 스텝 S304의 처리 절차로 이동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을 경우(스텝 S306, No),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스텝 S308),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의 스텝 S302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 아닌 경우(스텝 S302, No), 조작권을 취득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309).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을 취득 완료한 경우(스텝 S309, Yes),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조작권을 반환한다는 취지의 반환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310).
이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을 표시하고(스텝 S311),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309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조작권을 취득 완료하지 않은 경우(스텝 S309, No), 상기 스텝 S311의 처리 절차로 이동한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 아니고, 또한 조작권을 취득 완료하지도 않은 경우, 그대로 화면 표시를 실행한다.
상기 스텝 S301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판정의 결과,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01, No),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가 구비하는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해서, 화면의 조작에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지를 미리 설정해 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에 있어서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더라도,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이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표시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에 따라 조작권의 취득을 시도한 결과,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을 경우에,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행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에 의한 화면 표시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와 기본적으로 같은 처리 절차를 가지지만, 스텝 S409의 처리 절차가 상이하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는지를 판정한 결과,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을 경우(스텝 S406, No),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스텝 S408),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을 표시하고(스텝 S409), 도 12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이면, 임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 중에서 이용자가 미리 선택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용자는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을 경우에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홈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혹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기 전에 표시하고 있던 화면을 그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와 마찬가지로,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을 경우,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을 시스템 단위로 개별로 관리해도 된다. 도 13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2)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 3에 따른 제어 시스템(2)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 및 제어 장치(500A)를 포함하는 시스템(G1)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 및 제어 장치(500B)를 포함하는 시스템(G2)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제어 장치(500A)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당해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는, 제어 장치(500B)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당해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한다.
제어 시스템(2)에서는,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에서 이용되는 조작권을 관리하고,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에서 이용되는 조작권을 관리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 경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에 대해서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 경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에 대해서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조작권의 관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가 구비하는 기능 구성과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구비하면 되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가 구비하는 기능 구성과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구비하면 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조작권의 관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의 각각이 구비하는 기능 구성과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겸비하면 된다. 도 14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화면 데이터(410a),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410b), 조작권 관리 테이블(410c) 및 조작권 취득 상황 관리 테이블(410d)을 기억하는 기억부(410)와, 조작권 관리부(420)와, 사용 상황 갱신부(430)와, 조작권 취득부(440)와, 표시 제어부(450)와, 표시부(460)를 구비한다. 기억부(410)는, 도 2에 나타내는 기억부(210) 및 도 3에 나타내는 기억부(310)에 대응하고, 조작권 관리부(420)은, 도 2에 나타내는 조작권 관리부(220)에 대응하고, 사용 상황 갱신부(430)는, 도 2에 나타내는 사용 상황 갱신부(230)에 대응하고, 조작권 취득부(440)는, 도 5에 나타내는 조작권 취득부(320)에 대응하고, 표시 제어부(450)는, 도 2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240) 및 도 5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330)에 대응하고, 표시부(460)는, 도 2에 나타내는 표시부(250) 및 도 5에 나타내는 표시부(340)에 대응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상기의 각종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의 처리를 실현한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인 경우이고, 또한 조작권을 취득 완료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에 대해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에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의 송신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A)의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하면,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을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시킨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로부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하고, 조작권의 취득 요구의 송신원에 대해서,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에는, 조작권의 취득 요구의 송신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의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가 실현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각종 기능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D)에 실장하면 된다.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을 시스템 단위로 개별로 관리하므로, 적어도, 다른 시스템에 속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대해서는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 조작할 수 없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존재하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4.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을 서로 관련된 화면끼리로 미리 그룹지어, 그룹마다 조작권을 할당하고, 조작권의 해방을 관리해도 된다. 서로 관련된 화면이란, 표시하는 기기의 정보 및 당해 기기에 대한 조작 내용이 적어도 일부에서 중복하는 화면이 포함된다. 도 15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 제어 장치(700A), 및 제어 장치 7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는, 각각, 제어 장치(700A) 및 제어 장치 700(B)에 접속되는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당해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으로서, 화면 「B-25」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으로서, 화면 「B-38」 및 화면 「B-45」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으로서, 화면 「B-66」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으로서, 화면 「B-40」 및 화면 「B-57」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으로서, 화면 「B-33」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으로서, 화면 「B-5」 및 화면 「B-12」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는 배타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면으로서, 화면 「B-91」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배타 제어를 행하는 화면으로서, 화면 「B-8」 및 화면 「B-88」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에 있어서의 화면의 배타 제어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에 있어서의 화면의 배타 제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 중, 제어 장치(700A)에 접속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화면 「B-5」, 화면 「B-8」, 화면 「B-38」 및 화면 「B-40」을 그룹 1로 하고, 제어 장치 700(B)에 접속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화면 「B-12」, 화면 「B-45」, 화면 「B-57」 및 화면 「B-88」을 그룹 2로 한다. 그리고, 그룹 1에 속하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가 관리하고, 그룹 2에 속하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가 관리한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는, 도 14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400B)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가 구비하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화면의 배타 제어의 실현에 관련하여,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가 구비하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에도,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도 19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에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38」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A」가 설정되고,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45」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B」가 설정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에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5」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A」가 설정되고,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12」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B」가 설정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는, 도 19에 나타내는 조작권의 문의처를 참조함으로써,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38」인 경우에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의 확인 및 조작권의 해방을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고,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38」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에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는, 도 20에 나타내는 조작권의 문의처를 참조함으로써,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5」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에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고,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12」인 경우에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의 확인 및 조작권의 해방을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21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는, 도 5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300)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구비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가 구비하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화면의 배타 제어의 실현에 관련하여,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가 구비하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에도,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도 2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에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40」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A」가 설정되고,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57」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B」가 설정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에는,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8」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A」가 설정되고,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88」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표시기 「600B」가 설정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는, 도 23에 나타내는 조작권의 문의처를 참조함으로써,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40」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에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고,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57」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에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는, 도 24에 나타내는 조작권의 문의처를 참조함으로써,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8」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에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고, 전환 대상의 화면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 「B-88」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에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5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제어 시스템(3)에 의한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는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 「B-40」으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도 23에 나타내는 조작권의 문의처를 참조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에 대해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로부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하고,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에 송신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는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 「B-88」로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도 24에 나타내는 조작권의 문의처를 참조하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에 대해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로부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조작권을 해방하고,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에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26 및 도 27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4에 따른 조작권 취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7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라고 표기하는 것은, 도 14에 나타내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 중 어느 것에 해당한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와 기본적으로는 같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점이 상이하다.
즉,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이라는 판정 결과(스텝 S502, Yes)에 따라서, 조작권을 취득 완료했는지를 판정한 결과(스텝 S503), 조작권을 취득 완료하지는 않았다는 판정 결과(스텝 503, No)를 얻었을 경우,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를 참조하여,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에 대한 조작권의 문의처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505).
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화면이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은 아니라는 판정 결과(스텝 S502, No)에 따라서, 조작권을 취득 완료했는지를 판정한 결과(스텝 S509), 조작권을 취득 완료했다는 판정 결과(스텝 S509, Yes)를 얻었을 경우, 표시 중의 화면에 대한 조작권의 문의처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조작권을 반환한다는 취지의 반환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510).
실시 형태 4에서는, 예를 들면,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기기의 정보 및 당해 기기에 대한 조작 내용이 적어도 일부에서 중복하는 화면끼리로 그룹화하여, 그룹마다 조작권을 관리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관련되는 화면 사이에서 조작권을 교환할 수 있어, 조작권이 없기 때문에 조작할 수 없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존재하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5.
상기의 실시 형태 4에서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가 각각 개별의 조작권을 관리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가 일괄하여 조작권을 관리해도 된다.
도 28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것처럼,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은 서로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타입 및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여 구성된다.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은 화면 번호 「B-5」, 「B-8」, 「B-38」 및 「B-40」에 대응지어, 당해 각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 「1」 및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기억한다. 추가로,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은 화면 번호 「B-12」, 「B-45」, 「B-57」 및 「B-88」에 대응지어, 당해 각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 「2」 및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기억한다. 도 28에 나타내는 것처럼,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에는, 서로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의 그룹마다 개별의 조작권이 할당되어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조작권 1 및 조작권 2의 사용 상황에 대해, 모두 조작권이 사용되어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0」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조작권의 사용 상황으로서, 조작권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고유한 식별자가 기억된다.
도 29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은 각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필요 여부, 조작권의 타입, 및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를 기억하여 구성된다. 도 29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A)에는,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만이 설정된다.
도 30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것처럼,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은 각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필요 여부, 조작권의 타입, 및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를 기억하여 구성된다. 도 30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에는,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만이 설정된다.
도 31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 나타내는 것처럼,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은, 각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필요 여부, 조작권의 타입, 및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를 기억하여 구성된다. 도 31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에는,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만이 설정된다.
도 32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것처럼,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은, 각 화면 번호에 대응지어, 조작권의 필요 여부, 조작권의 타입, 및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를 기억하여 구성된다. 도 32에 나타내는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에는,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만이 설정된다.
도 29 내지 도 3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의 조작권 관리 테이블(613A)에 대해서, 서로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의 그룹마다 개별의 조작권이 할당됨과 아울러,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B)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B),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C)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C),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D)의 화면 속성 관리 테이블(612D)에 대해서, 조작권의 문의처로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표시기(600A)가,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권을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는, 제어 시스템 내에 수용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가 조작권을 관리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대신에, 제어 시스템 내에 조작권의 관리를 행하는 장치를 마련해도 된다.
도 33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3은 각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것처럼,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로서의 컴퓨터(80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801), RAM(Random Access Memory)(802), ROM(Read Only Memory)(803), 입력 인터페이스(804), 입력 디바이스(805), 출력 인터페이스(806), 출력 디바이스(807), 통신 인터페이스(808), 및 버스(809)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801), RAM(802), ROM(803), 입력 인터페이스(804), 입력 디바이스(805), 출력 인터페이스(806), 출력 디바이스(807), 및 통신 인터페이스(808)는, 버스(809)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RAM(802)은 읽고 쓰기 가능한 메모리 장치로서, 예를 들면, SRAM(Static RAM) 또는 DRAM(Dynamic 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 또는 RAM이 아니어도 플래쉬 메모리 등이 이용된다. ROM(803)은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ROM(803)은 PROM(Programmable ROM) 등도 포함한다. ROM(803)은, 예를 들면, 기억부(210, 310, 410, 610A, 610B, 610C, 601D)에 대응한다.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기억부(210, 310, 410, 610A, 610B, 610C, 601D)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 및 각종 파라미터에 대응한다.
입력 인터페이스(804)는 입력 디바이스(805)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801)에 전달하는 회로이다. 출력 인터페이스(806)는 프로세서(801)의 지시에 따른 출력 디바이스(807)로의 출력을 실행시키는 회로이다. 통신 인터페이스(808)는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실행하는 통신의 제어를 행하는 회로이다. 통신 인터페이스(808)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이다. 입력 인터페이스(804) 및 출력 인터페이스(806)는, 통합된 1개의 유닛이어도 된다.
프로세서(801)는 ROM(8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RAM(802)에 전개(展開)하고, RAM(802)에 전개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프로세서(801)가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가 실현된다. 프로세서(801)에 의한 명령의 실행시, RAM(802)은 프로세서(8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및 당해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반드시 처음부터 ROM(803)에 기억시켜 둘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공중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8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에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800)가 이들로부터 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도 된다.
도 33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로세서(801)가 ROM(8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현하는 예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의 각각을 실현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 회로를 연계시킨 와이어드 로직에 의해,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기능에 기초하는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 회로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2, 3: 제어 시스템
10: 네트워크
100, 500A, 500B, 700A, 700B: 제어 장치
200, 300, 400A, 400B, 400C, 400D, 600A, 600B, 600C, 600D: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800: 컴퓨터

Claims (8)

  1.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서,
    상기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상기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 중,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조작권을 해방하는 조작권 관리부와,
    상기 조작권을 해방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갱신하는 사용 상황 갱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권 관리부는, 상기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상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조작권을 해방하고, 상기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표시하는 상기 기기의 정보 및 당해 기기에 대한 조작 내용이 적어도 일부에서 중복되는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그룹마다 할당되는 상기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조작 관리부는, 상기 조작권의 취득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당해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화면이 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상기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당해 취득 요구에 대응하는 화면이 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상기 조작권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4.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서,
    표시부와,
    상기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상기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지어, 당해 화면의 조작에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지를 나타내는 당해 조작권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의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을 관리하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대해서 상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조작권 취득부와,
    상기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을 조작 가능한 상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권이 불필요한 화면으로서, 이용자가 미리 설정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지어, 상기 조작권의 문의처의 정보를 추가로 기억하고,
    상기 조작권 취득부는, 상기 조작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전환 요구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전환 요구의 대상이 되는 상기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권의 문의처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문의처에 대해 상기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8. 생산 라인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제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복수의 제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 복수의 상기 제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로 접속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상기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 중, 배타 제어의 대상이 되는 화면의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권의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제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상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사용 상황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조작권을 해방하고, 상기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제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송신하는 한편으로, 상기 조작권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제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송신하는 조작권 관리부와,
    상기 조작권을 해방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의 사용 상황을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갱신하는 사용 상황 갱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상기 기기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상기 기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조작 입력을 행하는 복수의 화면의 각각에 대응지어, 당해 화면의 조작에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지를 나타내는 당해 조작권의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권을 취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권을 필요로 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경우, 상기 제1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 대해서 상기 조작권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조작권 취득부와,
    상기 조작권을 허락한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의 취득에 성공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조작권을 허락할 수 없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했을 경우, 상기 조작권의 취득에 실패했다는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화면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87005559A 2015-10-30 2015-10-3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 KR101886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0840 WO2017072973A1 (ja) 2015-10-30 2015-10-30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550A true KR20180026550A (ko) 2018-03-12
KR101886609B1 KR101886609B1 (ko) 2018-09-06

Family

ID=5748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559A KR101886609B1 (ko) 2015-10-30 2015-10-3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38418B1 (ko)
KR (1) KR101886609B1 (ko)
CN (1) CN108027595B (ko)
WO (1) WO2017072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7604B2 (ja) * 2017-12-21 2022-05-3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受付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477402B2 (ja) 2020-08-27 2024-05-01 アズビル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12233498B (zh) * 2020-10-14 2023-01-06 烟台鼎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表格式可编程显示控制器
JP2022154330A (ja) * 2021-03-30 2022-10-13 株式会社アマダ 工作機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22A (ja) * 2006-11-16 2008-06-05 Tokyo Electron Ltd 上位制御装置、下位制御装置、画面の操作権付与方法および画面の操作権付与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10020600A (ja) 2008-07-11 2010-01-28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システム
JP2012009622A (ja) * 2010-06-24 2012-01-12 Citizen Electronics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JP2014085782A (ja) * 2012-10-23 2014-05-12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3138B2 (ja) * 2009-10-05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40364968A1 (en) * 2012-01-24 2014-1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quipment management device, equipment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N203324800U (zh) * 2013-07-04 2013-12-04 中能电力科技开发有限公司 风电机组上报数据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22A (ja) * 2006-11-16 2008-06-05 Tokyo Electron Ltd 上位制御装置、下位制御装置、画面の操作権付与方法および画面の操作権付与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10020600A (ja) 2008-07-11 2010-01-28 Digital Electronics Corp 制御システム
JP2012009622A (ja) * 2010-06-24 2012-01-12 Citizen Electronics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JP2014085782A (ja) * 2012-10-23 2014-05-12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7595B (zh) 2019-10-08
CN108027595A (zh) 2018-05-11
WO2017072973A1 (ja) 2017-05-04
KR101886609B1 (ko) 2018-09-06
JPWO2017072973A1 (ja) 2017-10-26
JP6038418B1 (ja)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609B1 (k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및 제어 시스템
WO2019082619A1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設定装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527403B (zh) 机器人的数据设定系统及其方法、计算机可读取记录介质
WO2016016953A1 (ja) 表示操作システム
JP2017138707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40344428A1 (en) System architecture support tool
JP2010287034A (ja) 外部機器とPLCとのModbusプロトコル通信アドレス表示方式
JP5333138B2 (ja) 表示装置
KR20180042325A (k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정보 처리 장치, 화면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및 화면 표시 시스템
JP2013024434A (ja) 保守作業用端末装置
JP2016100846A (ja) 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そのコントローラ、表示装置
WO2019167246A1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制御装置、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JPWO2019187015A1 (ja) 管理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JP6351646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JP741976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フィグレーション方法
WO2020179581A1 (ja) 制御装置およびソフトウェアのデプロイ方法
CN113874847B (zh) 控制器以及空调管理系统
JP2019144956A (ja) I/o管理装置
JP5208710B2 (ja) プラント運転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運転監視制御方法
US20220147296A1 (en) Screen data generating system, screen data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JP2020135019A (ja) 処理システム、処理方法、保守者支援装置および保守者支援プログラム
JP2019040283A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方法
CN113508345A (zh) 控制系统、支持装置以及支持程序
JP2020119129A (ja) 表示データ提供装置
JP2019113905A (ja) 操作受付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