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565A - 칩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칩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565A
KR20180025565A KR1020160112391A KR20160112391A KR20180025565A KR 20180025565 A KR20180025565 A KR 20180025565A KR 1020160112391 A KR1020160112391 A KR 1020160112391A KR 20160112391 A KR20160112391 A KR 20160112391A KR 20180025565 A KR20180025565 A KR 20180025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ayer
stress buffer
electronic component
metal magnetic
chip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진
문제익
서정욱
유영석
오선우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5565A/ko
Priority to US15/629,259 priority patent/US20180061553A1/en
Publication of KR20180025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코일부가 배치되며, 금속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표면에 배치된 스트레스 버퍼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상기 바디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 보다 작은 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칩 전자부품 {Chip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칩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칩 전자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는 저항, 커패시터와 더불어 전자회로를 이루어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동소자이다.
박막형 파워 인덕터는 도금으로 코일부를 형성한 후, 자성체 분말 및 수지를 혼합시킨 자성체 분말-수지 복합체를 경화하여 바디를 제조하고, 바디의 외측에 외부전극을 형성하여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파워 인덕터는 코일을 자성 복합체가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패키지 내부에서는 여러 재료들 간의 외부전극인 열에 의한 열팽창 계수 (Coefficent of Thermal Expansion, CTE)의 미스 매칭(Mis-Matching)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패키지의 바디 재료인 EMC (Epoxy Mold Compound)가 내부에 배치된 파워 인덕터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파워 인덕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166455호
본 발명은 신뢰성을 개선한 칩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내부에 코일부가 배치되며, 금속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표면에 배치된 스트레스 버퍼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상기 바디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 보다 작은 칩 전자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칩 전자부품의 바디 표면에 스트레스 버퍼층을 배치함으로써, 패키지의 바디 재료인 EMC (Epoxy Mold Compound)와의 열팽창 계수 (Coefficent of Thermal Expansion, CTE)의 미스 매칭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스트레스 버퍼층이 흡수함으로써 칩 전자부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바디의 표면에 스트레스 버퍼층을 배치함으로써, 외부전극 형성 시 칩 전자부품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도금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코일부가 나타나게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LT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스트레스 버퍼층의 재료에 따른 크랙 억제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스트레스 버퍼층의 두께에 따른 응력 저감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칩 전자부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을 설명하되, 특히 박막형 인덕터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칩 전자부품에 따른 코일부가 나타나게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칩 전자부품의 일 예로써 전원 공급 회로의 전원 라인에 사용되는 박막형 인덕터(10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100)은 바디(50), 상기 바디(50)의 내부에 매설된 코일부(42, 44), 상기 바디(50)의 표면에 배치된 스트레스 버퍼층(60) 및 상기 바디(5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부(42, 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전극(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100)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도 1의 'L' 방향, '폭' 방향은 'W' 방향, '두께' 방향은 'T'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50)는 금속 자성체 분말(51, 52)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자성체 분말(51, 52)은 Fe, Si, Cr,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Fe-Si-B-Cr계 비정질 금속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50)는 열경화성 수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자성체 분말(51, 52)은 에폭시(epoxy)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디(50)에 포함되는 금속 자성체 분말의 충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입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금속 자성체 분말(51, 52)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정해진 단위 부피에서 높은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서 투자율이 높은 입도가 큰 금속 자성체 분말을 사용하며, 상기 입도가 큰 금속 자성체 분말과 함께 입도가 작은 금속 자성체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충진율을 향상시켜 고투자율을 확보할 수 있고, 고주파수 및 고전류에서의 자성 손실(Core Loss)에 따른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50)의 내부에 배치된 절연 기판(20)의 일면에는 코일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코일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 기판(20)의 반대 면에도 코일 형상의 패턴을 가지는 코일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 기판(20)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기판, 페라이트 기판 또는 금속계 연자성 기판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 기판(20)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은 금속 자성체 분말로 충진되어 코어부(55)를 형성한다. 금속 자성체 분말로 충진되는 코어부(55)를 형성함에 따라 인덕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부(42, 44)는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코일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기판(20)의 일면과 반대 면에 형성되는 코일부(42, 44)는 상기 절연 기판(20)에 형성되는 비아(46)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코일부(42, 44) 및 비아(46)는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니켈(Ni), 티타늄(Ti), 금(Au), 구리(C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코일부(42)의 일 단부는 바디(50)의 길이(L) 방향의 일 단면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절연 기판(20)의 반대 면에 형성되는 코일부(44)의 일 단부는 바디(50)의 길이(L) 방향의 타 단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디(50)의 길이(L) 방향의 양 단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코일부(42, 44)와 접속하도록 길이(L) 방향의 양 단면에는 외부전극(80)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42, 44)의 단부와 외부전극(80)이 접속하도록 상기 코일부(42, 44)의 단부 부분의 스트레스 버퍼층(60)은 연마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극(80)은 전도성 수지층(81)과, 상기 전도성 수지층(81) 상에 형성된 도금층(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수지층(81)은 구리(Cu), 니켈(Ni)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전성 금속과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수지층(81)에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와 상기 바디(50)에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는 동일한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바디(50)와 전도성 수지층(81)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50) 및 전도성 수지층(81)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를 동일한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모두 에폭시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바디(50)와 외부전극(80)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금층(82)은 니켈(Ni), 구리(Cu) 및 주석(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층과 주석(Sn)층이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82)을 형성하는 도금 공정 시 바디(50)의 표면에 노출된 조분의 금속 자성체 분말 상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도금 번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바디(50)의 표면에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을 형성하여 조분의 금속 자성체 분말에 의한 도금 번짐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버퍼층(60)은 바디(50)의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면 및 하면, 폭(W)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 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부(42, 44)의 단부와 외부전극(80)이 접속하도록 상기 코일부(42, 44)의 단부 부분의 스트레스 버퍼층(60)은 연마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워 인덕터는 코일을 자성 복합체가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패키지 내부에서는 여러 재료들 간의 외부전극인 열에 의한 열팽창 계수 (Coefficent of Thermal Expansion, CTE)의 미스 매칭(Mis-Matching)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패키지의 바디 재료인 EMC (Epoxy Mold Compound)가 내부에 배치된 파워 인덕터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파워 인덕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칩 전자부품(100)의 바디(50) 표면에 스트레스 버퍼층(60)을 배치함으로써, 패키지의 바디 재료인 EMC (Epoxy Mold Compound)와의 열팽창 계수 (Coefficent of Thermal Expansion, CTE)의 미스 매칭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스트레스 버퍼층이 흡수함으로써 칩 전자부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상기 바디(50)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상기 바디(50)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 보다 작은 재료로 상기 바디(50)의 표면에 배치됨으로써, 패키지 내에 상기 칩 전자부품을 배치할 경우 EMC (Epoxy Mold Compound) 재료와의 미스 매칭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낮은 모듈러스(Modulus)를 갖는 스트레스 버퍼층(60)이 흡수함으로써 칩 전자부품의 내부로 가해지는 응력을 막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10 G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이 영의 계수(Young's Modulus)가 10 GPa 이하인 재료를 포함하여 상기 바디(50) 표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칩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응력의 약 20%가 저감되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칩 전자부품의 크랙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10 GP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 저감 효과가 낮아 신뢰성 향상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을 상기 바디(50) 표면에 배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코팅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평균 두께는 10㎛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는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평균 두께가 10㎛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평균 두께를 10㎛ 내지 50㎛, 보다 효과적으로 10㎛ 내지 20㎛로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응력 저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평균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응력 저감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으며, 또한 금속 자성체 분말이 노출되어 도금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평균 두께가 20㎛를 초과하거나 50㎛를 초과할 경우 그만큼 바디의 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인덕턴스의 저하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은 절연성 부여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필러(fi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필러(filler)는 실리카(SiO2), 이산화티타늄(TiO2), 알루미나, 유리 및 티탄산바륨계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절연 필러(fiiler)는 치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구형 또는 프레이크(flake)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절연 필러(filler)를 10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은 두께 편차가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바디(50)의 표면 중 미분인 금속 자성체 분말과 열경화성 수지가 위치한 부분뿐만 아니라 노출된 조분인 금속 자성체 분말 상에도 균일하게 스트레스 버퍼층(6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두께 편차가 2㎛ 이하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의 두께 편차가 2㎛를 초과할 경우 조분인 금속 자성체 분말은 노출되어 도금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같이 입도가 큰 금속 자성체 분말과 입도가 작은 금속 자성체 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바디의 표면 조도가 커지게 된다. 특히, 개별 칩 사이즈로 절단된 바디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바디의 표면에 입도가 큰 금속 자성체 분말이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의 절연 코팅층이 박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전극의 도금층 형성 시 절연 코팅층이 박리된 금속 자성체 분말 상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도금 번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바디(50)의 표면에 스트레스 버퍼층(60)을 형성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은 바디의 표면에 돌출된 금속 자성체 분말을 커버(cover)하여 도금 번짐 방지층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바디(50)는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과, 상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보다 D50이 작은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52)이 혼합되어 포함된다.
D50이 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은 고투자율을 구현하며, D50이 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과 D50이 작은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52)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충진율을 향상시켜 투자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Q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은 D50이 18㎛ 내지 22㎛일 수 있고, 상기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52)은 D50이 2㎛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D50은 레이저 회절 산란법을 이용한 입자 지름,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상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 및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52) 각각의 입경은, 상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은 11㎛ 내지 53㎛일 수 있고, 상기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52)은 0.5㎛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바디(50)는 평균 입경이 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과, 상기 제 1 금속 자성체 분말(51)보다 평균 입경이 작은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52)이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LT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트레스 버퍼층(60)은 바디(50)의 폭 방향 양 측면 및 두께 방향 상하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조분인 금속 자성체 분말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도금 번짐 불량은 바디의 전면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바디의 상면 및 하면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금 번짐 방지를 위한 스트레스 버퍼층(60)은 바디(5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이 바디(50)의 폭 방향 양 측면 및 두께 방향 상하면에만 배치될 경우 길이 방향 양 측면에는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60)이 배치되지 않아 그만큼 바디(50)의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덕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스트레스 버퍼층의 재료에 따른 크랙 억제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버퍼층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스트레스 버퍼층은 영의 계수(Young's Modulus)가 10 GPa이며, 비교예 1 내지 3은 각각 영의 계수(Young's Modulus)가 20.0 GPa, 33.0 GPa, 40.0 GPa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스트레스 버퍼층이 영의 계수(Young's Modulus)가 10 GPa인 재료를 포함할 경우 약 20% 정도의 스트레스 저감 효과를 보여 크랙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스트레스 저감 효과가 미비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스트레스 버퍼층의 두께에 따른 응력 저감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직선으로 표시된 두꺼운 실선은 정규 스트레스 (Normalized Stress) 1.0인 상태로서 스트레스 버퍼층이 없는 경우이며, 하단의 실선은 스트레스 버퍼층의 두께에 따른 스트레스 저감 정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 6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 버퍼층의 두께가 10㎛ 이상의 영역에서부터 응력 저감 효과가 발생하며, 약 20 ㎛의 두께에서는 7% 정도의 응력 저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스트레스 버퍼층의 두께가 10㎛ 미만의 경우에는 스트레스 저감 효과가 미비하며,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는 바디의 금속 자성체 분말이 노출되어 도금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칩 전자부품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고 동일하거나 균등한 사상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되었지만 청구범위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한정해석되지 아니한다.
100 : 칩 전자부품 20 : 절연 기판
42, 44 : 코일부 46 : 비아
50 : 바디 51, 52 : 제 1 및 제 2 금속 자성체 분말
55 : 코어부 60 : 스트레스 버퍼층
80 : 외부전극 81 : 전도성 수지층
82 : 도금층

Claims (12)

  1. 내부에 코일부가 배치되며, 금속 자성체 분말을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표면에 배치된 스트레스 버퍼층;
    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상기 바디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 보다 작은 칩 전자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영의 계수(Young's Modulus)는 10 GPa 이하인 칩 전자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평균 두께는 10㎛ 내지 50㎛인 칩 전자부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평균 두께는 10㎛ 내지 20㎛인 칩 전자부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의 두께 편차는 2㎛ 이하인 칩 전자부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은 절연 필러(filler)를 더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은 상기 바디의 표면 전체에 배치된 칩 전자부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버퍼층은 상기 바디의 폭 방향 양 측면 및 두께 방향 상하면에 배치된 칩 전자부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전극은 전도성 수지층과, 상기 전도성 수지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수지층은 도전성 금속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니켈(Ni), 구리(Cu) 및 주석(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칩 전자부품.
KR1020160112391A 2016-09-01 2016-09-01 칩 전자부품 KR20180025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91A KR20180025565A (ko) 2016-09-01 2016-09-01 칩 전자부품
US15/629,259 US20180061553A1 (en) 2016-09-01 2017-06-21 Chip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stress buffer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91A KR20180025565A (ko) 2016-09-01 2016-09-01 칩 전자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65A true KR20180025565A (ko) 2018-03-09

Family

ID=6124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391A KR20180025565A (ko) 2016-09-01 2016-09-01 칩 전자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061553A1 (ko)
KR (1) KR201800255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849A (ko) * 2018-04-25 2019-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KR102093148B1 (ko) * 2018-11-07 2020-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20210081667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5773B2 (ja) * 2017-01-31 2019-09-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及び該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229A (ja) * 2000-11-29 2002-06-07 Tokin Corp 応力緩和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426B2 (ja) * 1999-09-16 2005-02-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58975A (ja) * 2003-11-25 2005-06-16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9236171B2 (en) * 2010-10-21 2016-01-12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862401B1 (ko) * 2011-11-07 2018-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3252A (ko) * 2012-05-02 2013-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25698B1 (ko) * 2013-12-05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80411B1 (ko) * 2014-09-22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229A (ja) * 2000-11-29 2002-06-07 Tokin Corp 応力緩和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849A (ko) * 2018-04-25 2019-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KR102093148B1 (ko) * 2018-11-07 2020-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US11935682B2 (en) 2018-11-07 2024-03-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081667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1553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411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US10892084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2138887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784366B2 (ja) チップ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7564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027B1 (ko) 칩 전자 부품 및 칩 전자 부품의 실장 기판
KR101652850B1 (ko) 칩 전자부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KR101580406B1 (ko) 칩 전자부품
KR101983146B1 (ko) 칩 전자부품
KR101792317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9905349B2 (en) Chip electronic component
JP6532387B2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25565A (ko) 칩 전자부품
KR101823193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JP2020047931A (ja) インダクター
US20160111194A1 (en)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KR20160102657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1957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4415A (ko) 칩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11193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2052768B1 (ko) 칩 전자 부품 및 칩 전자 부품의 실장 기판
US20180047494A1 (en) Coil component
KR101843222B1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KR20170099822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