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218A -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218A
KR20180025218A KR1020170107635A KR20170107635A KR20180025218A KR 20180025218 A KR20180025218 A KR 20180025218A KR 1020170107635 A KR1020170107635 A KR 1020170107635A KR 20170107635 A KR20170107635 A KR 20170107635A KR 20180025218 A KR20180025218 A KR 2018002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in body
terminals
tension
co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663B1 (ko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츠노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5Arrangements for fixing trolley wires to supporting-lines which are under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0Details of contact b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5/00Arrangements along running rails or at joints thereof for current conduction or insulation, e.g. safety devices for reducing earth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폭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조임 장치(3)는, 본체(31)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와, 장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31)는, 전후 방향의 양측에 표면(311) 및 이면을 갖고 있다. 장력 발생부는, 좌우 방향의 일단부에, 본체(31)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다. 표면(311)에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면에는, 고정부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TENSION GENERATOR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급전로에 대하여 장력을 작용시키는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JP 2008-301577 A)에는, 급전로로부터 크레인 등의 이동 기기에 전력을 전달하는 집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집전 장치는, 집전 암과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 암은, 집전자와 암을 구비하고 있다. 암은, 그 일단부가 집전자를 유지하고, 집전자와는 반대쪽의 단부가 고정 부재에 유지되어 있다. 이 집전 장치는, 고정 부재가 이동 기기에 고정됨으로써, 이동 기기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 기기와 함께 집전 장치가 이동했을 때, 집전자는 급전로에 접하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로부터 집전자에 집전되고, 급전로의 전력이 집전자를 통해서 이동 기기에 공급된다.
그런데,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급전로(절연 트롤리 선)로서, 그 연장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장력식의 급전로가 알려져 있다. 장력식의 급전로는, 그 연장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조임 장치가 배치되고, 조임 장치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른 장력을 급전로에 작용시킨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급전로를, 예컨대 덕트 레일 등과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설치 대상물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급전로 자체의 폭 치수뿐만 아니라 조임 장치의 폭 치수도 작게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져 있고, 폭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조임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심선을 갖는 급전로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을 따른 장력을 작용시키는 조임 장치이다. 상기 조임 장치는, 본체와, 한 쌍의 제 1 단자와, 한 쌍의 제 2 단자와, 장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제 1 단자는, 상기 한 쌍의 심선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부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단자는, 상기 한 쌍의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한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심선과는 반대쪽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장력을 상기 본체에 작용시킨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양측에 표면 및 이면을 갖고 있다.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다. 상기 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제 2 단자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에는, 상기 고정부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은, 상기 조임 장치와, 상기 급전로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급전로와 유지 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유지 부재에 급전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감아 포갠 상태」에 있는 급전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조임 장치의 왼쪽 앞 위쪽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전술한 조임 장치의 왼쪽 뒤 위쪽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전술한 조임 장치의 덮개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전술한 조임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전술한 조임 장치의 단면도이다.
(1) 개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로(1)와, 유지 부재(2)와, 조임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급전 시스템(10)은, 설치 대상물로서의 덕트 레일(4)을 더 구비하고 있다. 단, 급전 시스템(10)은, 설치 대상물(덕트 레일(4))을 구성 요소에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적어도 급전로(1) 및 조임 장치(3)를 구성 요소에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유지 부재(2)를 구성 요소에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급전 시스템(10)은, 예컨대, 자동 창고 또는 공장 등의 시설에 있어서, 시설 내를 이동하는 이동 기기로의 급전에 이용되는, 이른바 절연 트롤리(trolley)이다. 이동 기기의 일례로서, 시설 내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고, 선반 등으로의 물품의 출납을 행하는 전동 수레 등이 있다. 이동 기기는, 급전 시스템(10)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로(1)는, 전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1개의 심선(111, 112)으로 이루어지는 도선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기는, 집전자를 갖는 집전 장치(5)(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 장치(5)는, 도선 부재(11)에 대하여 집전자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 기기는, 집전 장치(5)에 의해 급전로(1)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으면서,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주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집전 장치(5)의 개략 형상을 상상선(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류 모터를 갖고 직류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는 이동 기기로의 급전을 행하는, 직류용의 급전 시스템(10)을 예로서 설명한다. 이 급전 시스템(10)은, 집전 장치(5)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급전로(1)의 도선 부재(11)로서, 양극 및 음극의 한 쌍(2개)의 심선(111, 112)으로 이루어지는 도선 부재(11)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이동 기기로서, 비교적 소비 전력이 작은, 이른바 경부하의 기기를 상정하고 있고, 급전로(1)의 허용 전류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 가정한다.
급전로(1)는, 유지 부재(2)를 통해서 설치 대상물(여기서는, 덕트 레일(4))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기기로의 급전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덕트 레일(4)에 급전로(1)가 설치된다. 이하, 급전로(1)가 덕트 레일(4)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아래쪽(연직 방향)을 「아래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급전로(1)와 집전 장치(5)가 대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급전로(1)로부터 봐서 집전 장치(5) 쪽을 「앞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덕트 레일(4)의 긴 방향, 다시 말해 이동 기기의 이동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급전로(1)를 정면에서 봐서 우측을 「우측」, 좌측을 「좌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설명을 위해 표기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실체를 동반하지 않는다. 단, 이러한 방향은 급전로(1)의 사용 방향(설치 방향)을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그런데, 급전로(1)에는, 장력식과, 연결식(비 장력식)의 2종류가 있다. 장력식의 급전로(1)는,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도선 부재(11)에 대하여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도선 부재(11)에 대한 장력은, 조임 장치(3)에 의해 발생한다. 조임 장치(3)는, 급전로(1)에 대하여,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의 한쪽에만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고,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장력식의 급전로(1)이면, 충분히 긴 급전로(1)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된다. 그 때문에, 장력식의 급전로(1)에 있어서는, 충분한 길이(예컨대, 50m)의 급전로(1)가, 반경 수 십 ㎝ 정도의 고리 형상으로 감긴 상태(이하, 「감아 포갠 상태」라고도 한다)로 시공 현장(시설)에 반입된다. 한편, 연결식의 급전로(1)는, 도선 부재(11)에 대하여 장력은 작용하지 않고, 복수의 급전로(1)를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제 1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로 사용된다. 연결식의 급전로(1)이면, 시설로의 급전로(1)의 설치시에, 소정 길이(예컨대, 3m)의 급전로(1)가, 필요한 수만큼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 때문에, 연결식의 급전로(1)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급전로(1)가 포개진 상태(이하, 「적층 상태」라고도 한다)로 시공 현장(시설)에 반입된다.
장력식과 연결식을 비교하면, 장력식의 급전로(1)는, 비교적 긴 급전로를 이음매 없이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복수의 급전로(1)를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의 수고를 덜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급전로(1)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2)의 설치 간격에 대해서도, 장력식의 급전로(1)가, 연결식의 급전로(1)보다 넓게 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력식의 급전로(1)는, 장력에 의해 급전로(1)의 휘어짐이 억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유지 부재(2)의 설치 간격이 넓더라도, 연결식의 급전로(1)와 마찬가지의 휘어지기 어려움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식에서의 유지 부재(2)의 설치 간격이 50㎝인 경우에, 장력식에서의 유지 부재(2)의 설치 간격은 2m 정도로까지 넓힐 수 있다. 그 때문에, 장력식의 급전로(1)는, 유지 부재(2)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연결식의 급전로(1)이면, 도선 부재(11)에 대하여 장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임 장치(3)는 불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가 장력식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2) 상세
이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의 각 부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2. 1) 설치 대상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대상물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덕트 레일(4)로 이루어진다. 덕트 레일(4)은, 예컨대, 금속제이다. 덕트 레일(4)은, 예컨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지주 사이에 가설된다.
덕트 레일(4)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배치되는 후벽(41)과, 후벽(4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 상벽(42)과, 후벽(41)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 하벽(43)과, 상벽(42)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전벽(44)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후벽(41)과 상벽(42)과 하벽(43)과 전벽(44)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후벽(41)과 상벽(42)과 하벽(43)과 전벽(44)은,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덕트 레일(4)은, 전벽(44)의 하단 가장자리와 하벽(43)의 전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개구부(45)를 갖고 있다. 개구부(4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레일(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는, 유지 부재(2)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덕트 레일(4)에 대하여, 급전로(1)는, 유지 부재(2)에 의해 후벽(41)의 전면에 설치된다. 급전로(1)가 덕트 레일(4)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벽(41), 상벽(42), 하벽(43), 및 전벽(4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급전로(1)가 수납되고, 개구부(45)를 통해서 급전로(1)가 앞쪽으로 노출된다. 덕트 레일(4)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벽 또는 천정 등의 구조물이 없더라도, 유지 부재(2)를 소망하는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고, 급전로(1)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덕트 레일(4)은, 급전로(1)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 급전로(1)를 보호하는 기능도 갖는다.
(2. 2) 급전로
급전로(1)는, 도 3(a),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부재(11)와, 피복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도선 부재(11)는, 적어도 1개의 심선(111, 11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로(1)가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도선 부재(11)는, 양극 및 음극의 한 쌍(2개)의 심선(111, 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심선(111, 112)은, 도전성을 갖고 있고, 또한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형상의 부재이다. 다시 말해, 각 심선(111, 112)의 연장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각 심선(111, 112)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이고, 연장 방향(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플랫 와이어이다. 이하에서는,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중, 각 심선(111, 112)의 단면의 짧은 방향을 「제 2 방향」으로 하고, 각 심선(111, 112)의 단면의 긴 방향을 「제 3 방향」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방향은 각 심선(111, 112)의 두께 방향이고, 제 3 방향은 각 심선(111, 112)의 폭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이 「제 1 방향」이고, 전후 방향이 「제 2 방향」이고, 상하 방향이 「제 3 방향」이다.
피복 부재(12)는,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고, 도선 부재(11)를 피복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부재이다. 다시 말해, 피복 부재(12)는, 도선 부재(11)와 마찬가지로 제 1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피복 부재(12)는, 경질 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제이다. 피복 부재(12)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양측에, 제 1 면(121)(전면) 및 제 2 면(122)(후면)을 갖고 있다. 피복 부재(12)의 제 1 면(121)에는, 앞쪽으로 개방된 개방부(123)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도선 부재(11)는 개방부(123) 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는, 개방부(12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선 부재(11)는, 개방부(123)의 개구를 통해서 앞쪽으로 노출된다. 바꿔 말하면, 피복 부재(12)는, 개방부(123)의 개구를 통해서 도선 부재(11)가 노출되도록 도선 부재(11)를 피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선 부재(11)는 한 쌍의 심선(111, 112)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복 부재(12)에 대해서도, 한 쌍의 심선(111, 112)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개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방부(123)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개방부(123)에 수납되는 한 쌍의 심선(111, 112)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1)에 대하여 앞쪽으로부터 집전 장치(5)를 맞대는 것에 의해, 집전 장치(5)의 집전자를 개방부(123) 내의 도선 부재(11)에 접촉시킬 수 있고, 급전로(1)(도선 부재(11))로부터 집전 장치(5)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피복 부재(12)는, 각 개방부(123)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 제 1 면(121)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측벽(124)을 갖고 있다. 제 1 면(121)에는, 상하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2매)의 측벽(124)을 1조로 하여, 2조(합계 4매)의 측벽(124)이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124)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조의 한 쌍의 측벽(124)의 사이에 개방부(123)가 형성된다. 각 개방부(123)의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는, 각 개방부(123)의 후단부, 다시 말해 저부에 있어서 확대되어 있다. 각 개방부(123)의 후단부의 폭 치수는, 각 심선(111, 112)의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한 쌍의 측벽(124) 사이의 간격은, 각 심선(111, 112)의 폭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심선(111, 112)은, 한 쌍의 개방부(123)의 후단부에 수납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측벽(124)의 사이로부터 각 심선(111, 112)이 노출되고, 집전 장치(5)의 집전자는, 한 쌍의 측벽(124)의 사이를 통해서 도선 부재(11)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벽(124) 사이의 간격이 개방부(123)의 개구 쪽(앞쪽)일수록 넓어지도록, 각 측벽(124)에 있어서의 개방부(123) 쪽의 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 부재(12)는, 제 2 면(12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주연 리브(125)를 갖고 있다. 주연 리브(12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주연 리브(125)의 돌출 치수는, 측벽(124)의 돌출 치수에 비하여 충분히 작다. 한 쌍의 주연 리브(125)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감아 포갠 상태」에 있는 급전로(1)의 감김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급전로(1)가 「감아 포갠 상태」에 있으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주연 리브(125) 사이에, 포갬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뒤쪽)의 급전로(1)의 측벽(124)이 위치하는 것에 의해, 감아 포개진 급전로(1)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감김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연결식의 급전로(1)이면, 한 쌍의 주연 리브(125)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 상태」에 있는 복수 개의 급전로(1)의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로(1)는, 도 3(a), 도 3(b),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부재(12)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개방부(123)와는 반대쪽의 면(다시 말해, 제 2 면(122))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돌출하는 피유지부(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피유지부(13)는, 피복 부재(12)의 제 2 면(122)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급전로(1)는, 피유지부(13)가 유지 부재(2)에 의해 유지되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2)를 통해서 설치 대상물(덕트 레일(4))에 설치된다.
피유지부(13)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유지 부재(2)에 유지된다. 여기서, 피유지부(13)는,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유지 부재(2)에 있어서의 한 쌍의 클램프(21, 22)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2)에 유지된다. 피유지부(13)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2)는, 피복 부재(12)의 좌우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급전로(1)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 부재(2)의 상세에 대해서는, 「(2. 3) 유지 부재」의 난에서 설명한다.
피유지부(1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극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131, 13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돌출부(131, 132) 중 위쪽의 돌출부(131)는, 제 2 면(122)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131a)와, 제 1 돌기(131a)의 선단부(후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131b)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돌출부(131, 132) 중 아래쪽의 돌출부(132)는, 제 2 면(122)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132a)와, 제 1 돌기(132a)의 선단부(후단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하는 제 2 돌기(132b)를 갖고 있다. 제 2 돌기(131b, 132b)는, 제 1 돌기(131a, 132a)의 선단부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 제 1 돌기(131a, 132a)와 제 2 돌기(131b, 132b)의 사이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하고 있다. 한 쌍의 돌출부(131, 132)가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클램프(21, 22)에 안기도록 하여, 피유지부(13)는 유지 부재(2)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돌기(131b, 132b)에 클램프(21, 22)의 갈고리(21b, 22b)(도 3(a) 참조)가 걸리는 것에 의해, 유지 부재(2)에 대한 피유지부(13)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유지 부재(2)로부터의 급전로(1)의 탈락이 방지된다.
여기에 있어서, 피유지부(13)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제 2 돌기(131b, 132b)의 선단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의 안쪽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한 쌍의 돌출부(131, 132) 중 위쪽의 돌출부(131)의 제 2 돌기(131b)의 선단면(상면)은, 피복 부재(12)의 상면(126)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한 쌍의 돌출부(131, 132) 중 아래쪽의 돌출부(132)의 제 2 돌기(132b)의 선단면(하면)은, 피복 부재(12)의 하면(127)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13)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제 2 돌기(131b, 132b)의 선단면)은 모두,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치수 L1만큼 후퇴한 위치에 있다. 다시 말해, 피유지부(13)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치수에 비하여 「2×L1」만큼 작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유지부(13)는 피복 부재(12)와 동일 재료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유지부(13)는, 피복 부재(12)의 강성을 높이는 보강 리브로서도 기능한다. 단, 피유지부(1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선단부(후단부)는, 소정의 극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선단부끼리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비하면, 피유지부(13) 자체의 강성은 낮아진다. 따라서, 피유지부(13)는 피복 부재(12)에 대하여 적당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고, 급전로(1) 전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휘어지기 어려움을 실현하면서도, 상술한 「감아 포갠 상태」와 같은 변형도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피유지부(1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선단부(후단부)가 극간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는 것에 의해, 급전로(1)가 「감아 포갠 상태」에 있으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131, 132)가 각각 한 쌍의 개방부(123)에 수납된다. 그 때문에, 「감아 포갠 상태」에 있어서, 급전로(1)의 포갬 방향(지름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식의 급전로(1)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 상태」에 있는 복수 개의 급전로(1)의 포갬 방향(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복 부재(12)는, 제 2 면(122) 중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지 부재(2)의 일부와 맞대어지는 지지면(128)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가 유지 부재(2)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유지 부재(2)에 있어서의 지지대(23)(도 3(b) 참조)가 지지면(128)에 맞대어진다. 다시 말해, 피복 부재(12)의 제 2 면(122) 중,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사이로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지지대(23)와 대향하는 부위가, 지지면(128)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급전로(1)가 유지 부재(2)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12)의 지지면(128)을 지지대(23)가 뒤쪽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므로, 급전로(1)의 뒤쪽으로의 휘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지지면(128)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홈(129)이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안내 홈(129)의 치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대(23)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안내 홈(129)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는, 지지대(23)가 접촉하기 위한 지지면(128)이 위치하게 된다. 안내 홈(129)은, 유지 부재(2)의 지지대(23)의 선단면(전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안내 돌기(24)(도 3(b) 참조)가 삽입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와 급전로(1)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즉, 급전로(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른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안내 돌기(24)가 안내 홈(129)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있어서 유지 부재(2)에 대한 급전로(1)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급전로(1)의 상하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급전로(1)의 시공시 등에 있어서, 급전로(1)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장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안내 홈(129)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안내 돌기(24)가 안내 홈(129) 내를 이동한다. 그 때문에,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유지 부재(2)에 대한 급전로(1)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유지 부재(2)에 대한 급전로(1)의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는, 지지면(128) 및 안내 홈(129)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2. 3) 유지 부재
유지 부재(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25)와, 한 쌍의 클램프(21, 22)와, 지지대(23)와, 안내 돌기(24)와, 한 쌍의 설치부(26)와, 한 쌍의 걸림부(27, 28)를 갖고 있다. 유지 부재(2)는, 급전로(1)를 설치 대상물(덕트 레일(4))에 대하여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유지 부재(2)는,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유지 부재(2)는 합성 수지제이고, 기초부(25)와 한 쌍의 클램프(21, 22)와 지지대(23)와 안내 돌기(24)와 한 쌍의 설치부(26)와 한 쌍의 걸림부(27, 2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25)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정방형 형상이 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설치부(26)는, 기초부(25)의 좌우 방향의 양 단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한다. 각 설치부(26)에는, 각 설치부(26)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261)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2)는, 이 긴 구멍(261)을 통해서, 설치 나사를 덕트 레일(4)의 나사 구멍(411)에 조이는 것에 의해,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 고정된다.
한 쌍의 클램프(21, 22)는, 기초부(25)의 전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다. 한 쌍의 클램프(21, 22) 중 위쪽의 클램프(21)는, 기초부(25)의 전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주편(21a)과, 주편(21a)의 선단부(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갈고리(21b)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클램프(21, 22) 중 아래쪽의 클램프(22)는, 기초부(25)의 전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주편(22a)과, 주편(22a)의 선단부(전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갈고리(22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갈고리(21b, 22b) 사이의 간격이 앞쪽일수록 넓어지도록, 각 갈고리(21b, 22b)의 선단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기초부(25)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적어도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피복 부재(12)로부터의 돌출 치수보다 크다.
또한, 각 클램프(21, 22)에 있어서의 주편(21a, 22a)의 상하 방향의 치수(두께 치수)는, 상술한 소정 치수 L1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클램프(21, 22)는, 정면에서 볼 때, 피복 부재(12)로부터 불거지는 일 없이 피복 부재(12)에 숨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클램프(21, 22)가, 피유지부(13)가 아닌 피복 부재(12) 자체를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구성에 비하여,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의 치수(폭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지지대(23)는, 기초부(25)의 전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다. 다시 말해, 지지대(23)는, 한 쌍의 돌출부(131, 1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23)의 기초부(25)로부터의 돌출 치수는,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기초부(25)로부터의 돌출 치수보다 약간 크다. 안내 돌기(24)는, 지지대(23)의 선단면(전단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안내 돌기(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복 부재(12)의 안내 홈(129)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와 급전로(1)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행한다.
한 쌍의 걸림부(27, 28)는, 한 쌍의 클램프(21, 22)로부터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유지부(13)와는 반대쪽으로 돌출한다. 한 쌍의 걸림부(27, 28)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걸림부(27, 28) 중 위쪽의 걸림부(27)는, 클램프(21)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27a)와, 제 1 돌기(27a)의 선단부(상단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27b)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걸림부(27, 28) 중 아래쪽의 걸림부(28)는, 클램프(2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28a)와, 제 1 돌기(28a)의 선단부(하단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28b)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한 쌍의 걸림부(27, 28) 중 위쪽의 걸림부(27)의 제 2 돌기(27b)의 하면은, 피복 부재(12)의 상면(126)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한 쌍의 걸림부(27, 28) 중 아래쪽의 걸림부(28)의 제 2 돌기(28b)의 상면은, 피복 부재(12)의 하면(127)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돌기(27b, 28b)의 상하 방향의 대향면은 모두,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 치수 L2만큼 불거진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면(126)과 걸림부(27)의 제 2 돌기(27b)의 사이, 및 피복 부재(12)의 하면(127)과 걸림부(28)의 제 2 돌기(28b)의 사이에는, 모두 「L2」만큼의 극간이 생기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유지 부재(2)로의 급전로(1)의 착탈 작업의 순서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지 부재(2)에 급전로(1)를 설치할 때에는, 작업자는, 유지 부재(2)의 앞쪽으로부터 급전로(1)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2)에 있어서는, 한 쌍의 클램프(21, 2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갈고리(21b, 22b)가 제 2 돌기(131b, 132b)를 넘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21, 22)로 피유지부(13)를 사이에 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선단면(전단면)은 피복 부재(12)의 제 2 면(122)에 접촉하지 않고, 지지대(23)의 선단면(전단면)이 피복 부재(12)의 제 2 면(122)(지지면(128))에 접촉한다. 이때, 유지 부재(2)는, 지지대(23)를 피복 부재(12)에 뒤쪽으로부터 접촉시키고, 갈고리(21b, 22b)를 제 2 돌기(131b, 132b)에 앞쪽으로부터 접촉시키므로, 유지 부재(2)에 대한 급전로(1)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급전로(1)가 유지 부재(2)에 유지된다.
한편, 유지 부재(2)로부터 급전로(1)를 떼어낼 때에는, 작업자는, 제 2 돌기(131b, 132b)에 대한 갈고리(21b, 22b)의 걸림을 해제하면서, 급전로(1)를 앞쪽으로 끌어당긴다. 이때, 한 쌍의 클램프(21, 22) 자체는, 정면에서 볼 때, 피복 부재(12)에 숨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한 쌍의 걸림부(27, 28)를 이용하여 한 쌍의 클램프(21, 22)를 휘어지게 함으로써, 제 2 돌기(131b, 132b)에 대한 갈고리(21b, 22b)의 걸림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피복 부재(12)의 상면(126)과 걸림부(27)의 제 2 돌기(27b)의 사이의 극간에, 예컨대,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끼워 넣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걸림부(27)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림부(27)와 함께 클램프(21)가 위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제 2 돌기(131b)에 대한 갈고리(21b)의 걸림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걸림부(28)를 이용한 경우에는, 걸림부(28)와 함께 사이에 클램프(22)가 아래쪽으로 휘어짐으로써, 제 2 돌기(132b)에 대한 갈고리(22b)의 걸림이 해제된다.
도 1 및 도 2 등에서는, 유지 부재(2)는 1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유지 부재(2)는 소망하는 간격(예컨대 2m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급전로(1)는, 이들 복수의 유지 부재(2)에 유지되는 것에 의해, 덕트 레일(4)에 대하여 유지 부재(2)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다시 말해, 급전로(1)는, 복수의 유지 부재(2) 사이에 가설되는 것에 의해, 덕트 레일(4)의 후벽(41)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급전로(1)의 전후 방향의 휘어짐은, 급전로(1) 자체의 강성, 및 급전로(1)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억제된다.
(2. 4) 조임 장치
조임 장치(3)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31)와, 덮개(32)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와, 장력 발생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 장치(3)는, 급전로(1)의 도선 부재(11)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장력을 작용시키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 조임 장치(3)는, 도선 부재(11)에 대하여, 도선 부재(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잡아당기는 방향의 힘(장력)을 작용시킨다.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는, 한 쌍의 심선(111, 112)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한 쌍의 심선(111, 1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제 1 단자(33, 34)는, 나사식 단자로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에 심선(111, 112)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 나사(331, 341)가 조여지는 것에 의해, 심선(111, 112)과 접속된다. 여기서는, 각 제 1 단자(33, 34)에 대하여, 조임 나사(331, 341)가 2개씩 이용되고 있고,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는, 한 쌍의 심선(111, 112)을 강고하게 유지한다. 또한, 각 조임 나사(331, 341)는, 과부하 보호 기능(토크 리미터)을 갖는 나사로서, 규정 토크 이상의 토크로 조여지면 머리 부분이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는, 전선(38)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여기서 말하는 전선(38)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에 대응하는 2선식(2심식)의 전선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제 2 단자(35, 36)는, 나사식 단자로서, 단자 나사(351, 361)가 조여지는 것에 의해, 전선(38)과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에 접속되는 전선(38)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심선(111, 112)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한 쌍의 제 2 단자(35, 36), 및 전선(38)을 통해서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는, 한쪽의 제 1 단자(33)와 한쪽의 제 2 단자(35)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제 1 단자(34)와 다른 쪽의 제 2 단자(36)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31) 및 덮개(32)는, 모두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본체(31) 및 덮개(32)는, 모두 합성 수지제이다. 본체(31)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양측에, 표면(311)(전면) 및 이면(312)(후면)을 갖고 있다. 덮개(32)는 본체(31)의 표면(311)측에 설치되고, 본체(31) 및 덮개(32)는, 본체(31)의 이면(312)을 덕트 레일(4)의 후벽(41)의 전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덕트 레일(4) 내에 수납된다. 본체(31)는, 도선 부재(11) 및 전선(38)과, 덕트 레일(4) 및 장력 발생부(37)의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애자로서 기능한다.
본체(31)의 표면(311)에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32)는, 수납 오목부(313)를 덮도록 본체(31)에 대하여 설치된다. 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31)의 표면(311)측(앞쪽)에 있어서는, 본체(31)와 덮개(32)의 사이에, 수납 오목부(313)에 의해,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31)는, 수납 오목부(313)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2분할하는 칸막이 벽(314)을 더 갖고 있다. 수납 오목부(313)의 내부 공간 중, 칸막이 벽(314)의 위쪽의 공간에는, 제 1 단자(33) 및 제 2 단자(35)가 수납된다. 수납 오목부(313)의 내부 공간 중, 칸막이 벽(314)의 아래쪽의 공간에는, 제 1 단자(34) 및 제 2 단자(36)가 수납된다.
수납 오목부(313)의 우측면에는, 본체(31)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단자 구멍(315)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구멍(315)은, 도선 부재(11)로서의 한 쌍의 심선(111, 112)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한 쌍의 단자 구멍(315)은, 칸막이 벽(314)의 위쪽 및 아래쪽에 나누어져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쪽의 심선(111)은, 본체(31)의 우측으로부터 한쪽의 단자 구멍(315)을 통해서, 수납 오목부(313)의 내부 공간 중 칸막이 벽(314)의 위쪽의 공간에 도입된다. 다른 쪽의 심선(112)은, 본체(31)의 우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단자 구멍(315)을 통해서, 수납 오목부(313)의 내부 공간 중 칸막이 벽(314)의 아래쪽의 공간에 도입된다. 그리고, 한쪽의 심선(111)은 수납 오목부(313) 내에 있어서 한쪽의 제 1 단자(33)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심선(112)은 수납 오목부(313) 내에 있어서 다른 쪽의 제 1 단자(34)에 접속된다.
여기서, 한 쌍의 단자 구멍(315)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를 관통할 수 없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는 수납 오목부(313)에 수납된 상태로 본체(31)에 유지되고,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에 대하여 우측 방향의 힘이 한 쌍의 심선(111, 112)으로부터 작용하더라도,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는 수납 오목부(313) 내에 멈추게 된다.
또한, 본체(31)의 표면(311)에는,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에 접속된 전선(38)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316)이 형성되어 있다. 홈(316)은, 수납 오목부(313)에 연결되어 있고, 수납 오목부(313)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체(31)의 이면(312)에는,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72)에 대하여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372)는 제 1 너트(372a)를 갖고 있다. 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31)의 이면(312)측(뒤쪽)에 있어서는, 유지 오목부(317)에 의해, 제 1 너트(372a)를 포함하는 고정부(372)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유지 오목부(317)의 좌측면에는, 본체(31)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18)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18)은, 장력 발생부(37)의 주축(371)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주축(371)에 대하여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축(371)은 머리 없는 나사(스터드 볼트)이다. 이것에 의해, 주축(371)은, 본체(31)의 좌측으로부터 관통 구멍(318)을 통해서, 유지 오목부(317) 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주축(371)의 우단부는 유지 오목부(317) 내에 있어서 고정부(372)(제 1 너트(372a))와 결합된다.
여기서, 관통 구멍(318)은, 고정부(372)를 관통할 수 없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정부(372)는 유지 오목부(317)에 수납된 상태로 본체(31)에 유지되고, 고정부(372)에 대하여 좌측으로의 힘이 주축(371)으로부터 작용했다고 하더라도, 고정부(372)는 유지 오목부(317) 내에 멈추게 된다.
덮개(32)는, 수납 오목부(313)를 덮는 주판(主板)(321)과, 주판(321)의 우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걸림편(322)을 갖고 있다. 본체(31)의 표면(311)의 우단부에 마련된 걸림 테두리(319)에 걸림편(322)을 건 상태에서, 주판(321)의 좌단부가 한 쌍의 조립 나사(391) 및 한 쌍의 조립 너트(392)를 이용하여, 본체(31)에 대하여 나사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32)가 본체(31)에 대하여 설치된다. 주판(321)의 좌단부에는, 한 쌍의 조립 나사(391)를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통과 구멍(3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32)의 본체(31)와의 대향면(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격벽(324)(도 7 참조)과, 전선(38)을 통과시키기 위한 선 통과 홈(325)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32)가 본체(31)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격벽(324)의 사이에 칸막이 벽(314)이 삽입된다(도 9 참조). 이것에 의해, 수납 오목부(313)의 내부 공간은, 한 쌍의 격벽(324)과 칸막이 벽(314)으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 확실히 격리된다. 선 통과 홈(325)은, 주판(321)의 좌단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통과 구멍(323)의 사이로서, 본체(31)의 표면(311)에 형성된 홈(31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31) 및 덮개(32)의 적어도 한쪽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에 접속된 전선(38)을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전선(38)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편(326)(도 7 참조)을 더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편(326)은, 덮개(32)의 선 통과 홈(325)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로 이루어진다. 덮개(32)가 본체(31)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전선(38)은, 본체(31)의 표면(311)과 덮개(32)의 후면의 사이에 홈(316) 및 선 통과 홈(325)으로 형성된 공간(구멍)을 통해서, 수납 오목부(313)로부터 꺼내어진다. 그 때문에, 선 통과 홈(325)의 내주면에 형성된 규제편(326)이 전선(38)에 접촉함으로써, 규제편(326)과 본체(31)의 표면(311)(홈(316)의 저면)의 사이에 전선(38)이 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선(38)의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시 말해, 규제편(326)은 전선(38)의 장력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기능한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32)는, 선 통과 홈(325)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통과 구멍(323)을 통해서, 한 쌍의 조립 나사(391)로 본체(31)에 나사 고정된다. 그 때문에, 조립 나사(391)를 조이는 것에 의해, 규제편(326)을 전선(38)에 파고들게 할 수 있고, 보다 강고하게 전선(38)의 장력 억제를 행할 수 있다.
장력 발생부(37)는, 주축(371)과, 고정부(372)와, 조임부(373)와, 조절부(374)(도 1 및 도 2 참조)와, 압축 코일 용수철(375)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 발생부(37)의 구성 요소는, 모두 금속제이다.
주축(371)은, 원기둥 형상으로서, 그 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이다. 여기서는, 주축(371)은, 긴 방향(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된, 머리 없는 나사(스터드 볼트)이다. 주축(371)은, 걸쇠(6)(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지지된다. 걸쇠(6)는, L 앵글 등의 범용 지그로 이루어진다. 걸쇠(6)는,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 고정되어 있고, 주축(371)은, 걸쇠(6)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걸쇠(6)에 지지된다.
고정부(372)는, 제 1 너트(372a) 및 평면 와셔(372b)를 갖고 있다. 고정부(372)는, 본체(31)의 유지 오목부(317)에 수납되고, 주축(371)의 긴 방향(좌우 방향)의 일단부(우단부)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 제 1 너트(372a)는, 본체(31)로부터 주축(371)이 빠지는 것을 막는 것으로서 기능한다. 조임부(373)는, 제 2 너트(373a), 용수철 와셔(373b), 및 평면 와셔(373c)를 갖고 있다. 조임부(373)는, 고정부(372)보다 약간 안쪽(좌측)의 위치에 있어서, 주축(371)에 장착되어 있다. 조임부(373)는, 고정부(372)와의 사이에, 본체(31)의 일부(유지 오목부(317)의 좌측벽)를 두는 것에 의해, 본체(31)에 대하여 주축(371)을, 덜컹거리지 않게 고정한다.
조절부(37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블 너트(374a) 및 평면 와셔(374b)를 갖고 있다. 조절부(374)는, 주축(371)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 중 고정부(372)와는 반대쪽의 단부(좌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용수철(375)은, 압축 코일 용수철(375)의 안쪽을 주축(371)이 관통하도록 주축(371)과 조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용수철(375)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걸쇠(6)와, 조절부(37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 코일 용수철(375)과 걸쇠(6)의 사이에는, 평면 와셔(376)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절부(374)(더블 너트(374a))를 조작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 조절부(37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장력 발생부(37)로부터 본체(31)를 통해서 한 쌍의 심선(111, 112)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조절부(374)가 걸쇠(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절부(374)와 걸쇠(6)의 사이에서 압축 코일 용수철(375)이 압축되고, 압축 코일 용수철(375)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374)가 걸쇠(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때, 조절부(374)는, 압축 코일 용수철(375)로부터 좌측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고, 주축(371)은, 조절부(374)와 함께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장력 발생부(37)로부터 본체(31)에 작용하는 장력(본체(31)를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은 커진다. 반대로, 조절부(374)가 걸쇠(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 코일 용수철(375)의 탄성력이 작아지고, 압축 코일 용수철(375)로부터 조절부(374)에 작용하는 좌측 방향의 힘이 작아진다. 따라서, 장력 발생부(37)로부터 본체(31)에 작용하는 장력(본체(31)를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은 작아진다.
그런데,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313)와 유지 오목부(317)는, 본체(31)의 표면(311)측(앞쪽)과, 본체의 이면(312)측(뒤쪽)에 나누어져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31)의 표면(311)에 형성된 수납 오목부(313)와, 본체(31)의 이면(312)에 형성된 유지 오목부(317)는, 구멍 등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본체(31)의 일부에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납 오목부(313)에 수납되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와, 유지 오목부(317)에 수납되는 고정부(372)의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이 확보된다.
또한, 장력 발생부(37)는, 서로 결합되는 수나사 및 암나사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나사」가 주축(371)이고, 「암나사」가 고정부(372)(제 1 너트(372a))이다. 그 때문에, 고정부(372)는, 주축(371)의 축 방향(좌우 방향)을 따른 중심축 C1(도 9 참조) 주위로, 주축(37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주축(371)과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오목부(317)의 내측면은, 고정부(372)(제 1 너트(372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중심축 C1 주위에 있어서의 고정부(372)(제 1 너트(372a))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317a)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오목부(317)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제 1 너트(372a)의 외형(육각형)에 맞추어, 뒤쪽으로 개방된 육각형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너트(372a)가 유지 오목부(317)에 수납된 상태에서, 유지 오목부(317)의 내측면은, 제 1 너트(372a)에 면 접촉하고, 제 1 너트(372a)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317a)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주축(371)에 대하여 고정부(372)(제 1 너트(372a))를 장착함에 있어서, 유지 오목부(317) 내에 고정부(372)를 수납한 상태에서, 주축(371)을 고정부(372)에 비틀어 넣도록 회전시키면 되고,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부(372)의 회전을 멈출 필요는 없다.
또한, 주축(371)의 축 방향(좌우 방향)을 따른 중심축 C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심선(111, 112)의 중심과 대략 동일한 위치로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심선(111, 112)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주축(371)으로부터 본체(31)에 대하여 작용하는 장력은, 한 쌍의 심선(111, 112)에 대하여, 똑바로 좌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본체(31)에 대하여 불필요한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조임 장치(3)에 의하면, 본체(31)의 표면(311)에,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가 마련되고, 본체(31)의 이면(312)에,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가 마련되어 있다. 요컨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와,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는, 본체(31)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나누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임 장치(3)에서는, 장력 발생부(37)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의 사이의 절연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장력 발생부(37)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임 장치(3)에서는, 본체(31)의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조임 장치(3)에서는, 장력 발생부(37)(주축(371), 고정부(372), 조임부(373), 조절부(374), 및 압축 코일 용수철(375))를 1개만 가지므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조임 장치(3)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장력 발생부를 갖는 조임 장치에서는, 본체의 상하 방향의 양 단부에 한 쌍의 장력 발생부가 연결되는 구성이 일반적이지만, 이와 같은 구성과 비교하면, 장력 발생부(37)가 1개이기 때문에 본체(31)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조임 장치(3)에서는,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는, 본체(31)의 이면(312)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본체(31)의 표면(311)측에 설치되는 덮개(32)를, 본체(31)에 대하여 나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고정부(372)가 본체(31)의 이면(312)측에 수납되는 것에 의해, 본체(31)의 표면(311)측에 설치되는 덮개(32)에 대해서는, 고정부(372)와 간섭하는 일 없이 한 쌍의 조립 나사(391)로 본체(31)에 고정할 수 있다.
(3)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상기 실시 형태 이외에도,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급전 시스템(10)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는 이동 기기는, 전동 수레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크레인, 및 사람을 태우기 위한 차량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설은, 자동 창고 또는 공장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유희 시설 및 점포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옥내용에 한하지 않고, 건물의 외부에서 사용되는 옥외용이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직류 전력의 공급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단상 2선식 등의 교류 전력의 공급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예컨대, 부하(여기서는 이동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등의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급전로(1)는 곡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급전 시스템(1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는 이동 기기의 이동 경로가 만곡한 경로인 경우에는, 급전로(1)는, 이 이동 경로를 따라 만곡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급전로(1)의 연장 방향으로 급전로(1)를 세분화함으로써, 급전로(1)의 연장 방향은 직선 형상의 제 1 방향으로서 규정된다. 다시 말해, 만곡한 급전로(1)에 있어서는, 세분화된 급전로(1)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이 제 1 방향이 된다.
또한, 각 심선(111, 112)의 연장 방향(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장방형 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각 심선(111, 112)의 전면에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유지 부재(2)에 관하여,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은 필수의 구성이 아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의 적어도 한쪽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복 부재(1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면(상면(126) 및 하면(127))의 바깥쪽에 위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클램프(21, 22)의 적어도 한쪽은, 정면에서 볼 때, 피복 부재(12)로부터 불거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한 쌍의 클램프(21, 22)가, 피유지부(13)가 아닌 피복 부재(12) 자체를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구성에 비하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의 치수(폭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의 지지면(128)에 안내 홈(129)이 형성되고 유지 부재(2)에 안내 돌기(24)가 형성되어 있지만, 안내 홈(129)과 안내 돌기(24)의 요철의 관계는 반대이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유지 부재(2)에 안내 홈이 형성되고, 이 안내 홈에 삽입되는 안내 돌기가 급전로(1)의 지지면(128)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조임 장치(3)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장력 발생부(37)에 있어서, 평면 와셔 및 용수철 와셔는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평면 와셔 및 용수철 와셔는 적당히 생략 가능하다. 또한, 조절부(374)는, 더블 너트가 아닌, 싱글 너트이더라도 좋다. 또한, 장력 발생부(37)는, 압축 코일 용수철(375)의 탄성력에 의해 도선 부재(11)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도선 부재(11)에 장력을 작용시키더라도 좋다. 예컨대, 조임 장치(3)는, 장력 발생부(37)를 복수 갖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되고, 예컨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는 개개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전선(38)의 장력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기능하는 규제편(326)은, 본체(31) 및 덮개(32)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예컨대, 본체(31)의 표면(311)(홈(316)의 저면)에 규제편(326)이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는, 본체(31)와 덮개(32)의 양쪽에, 규제편(326)이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덮개(32)는 본체(31)에 대하여 나사 고정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덮개(32)는 본체(31)에 대하여 스냅 피트에 의해 설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설치 대상물은 덕트 레일(4)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벽 또는 천정 등의 구조물이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급전로(1)는, 유지 부재(2)에 의해, 덕트 레일(4)을 사이에 두지 않고서, 벽 또는 천정 등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더라도 좋다.
(4)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과 관련되는 조임 장치(3)는, 제 1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심선(111, 112)을 갖는 급전로(1)에 대하여, 제 1 방향을 따른 장력을 작용시키는 조임 장치이다. 조임 장치(3)는, 본체(31)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와, 장력 발생부(37)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31)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한 쌍의 제 1 단자(33, 34)는, 한 쌍의 심선(111, 112)의 제 1 방향의 일단부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한 쌍의 심선(111, 1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38)을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장력 발생부(37)는, 본체(31)로부터 제 1 방향의 한쪽으로 돌출하고, 본체(31)를 제 1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심선(111, 112)과는 반대쪽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장력을 본체(31)에 작용시킨다. 본체(31)는,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전후 방향)의 양측에 표면(311) 및 이면(312)을 갖고 있다. 장력 발생부(37)는, 제 1 방향의 일단부에, 본체(31)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372)를 갖고 있다. 표면(311)에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면(312)에는,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31)의 표면(311)에는,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가 마련되고, 본체(31)의 이면(312)에는,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가 마련되어 있다. 요컨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와,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는, 본체(31)의 제 2 방향(전후 방향)의 양측에 나누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임 장치(3)에서는, 장력 발생부(37)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의 사이의 절연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장력 발생부(37)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임 장치(3)에 의하면,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덕트 레일(4) 등과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설치 대상물에 급전로(1)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덕트 레일(4) 내에서의 조임 장치(3)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다시 말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레일(4)의 치수가 일정하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조임 장치(3)의 치수가 작을수록, 덕트 레일(4) 내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조임 장치(3)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조임 장치(3)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는 급전로(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도 높아진다.
제 2 태양과 관련되는 조임 장치(3)는, 제 1 태양에 있어서, 수납 오목부(313)를 덮도록 본체(31)에 대하여 설치되는 덮개(3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체(31) 및 덮개(32)의 적어도 한쪽은,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에 접속된 전선(38)을 끼우는 것에 의해 제 1 방향(좌우 방향)으로의 전선(38)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편(32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편(326)은 전선(38)의 장력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기능하고, 전선(38)에 대하여 장력이 작용했을 때에,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와 전선(38)의 접속이 해소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이 구성은 조임 장치(3)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덮개(32) 또는 규제편(326)은 적당히 생략되더라도 좋다.
제 3 태양과 관련되는 조임 장치(3)는, 제 1 또는 2의 태양에 있어서, 장력 발생부(37)가, 서로 결합되는 수나사(주축(371)) 및 암나사(고정부(372))를 갖고, 수나사 및 암나사의 한쪽이 고정부(37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유지 오목부(317)의 내측면은, 고정부(37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1 방향(좌우 방향)을 따른 중심축 C1 주위에 있어서의 고정부(372)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317a)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나사(주축(371))와 암나사(고정부(372))를 서로 결합함에 있어서, 지그를 이용하여 고정부(372)의 회전을 멈출 필요가 없으므로, 수나사와 암나사를 서로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단, 이 구성은 조임 장치(3)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회전 규제부(317a)는 적당히 생략되더라도 좋다.
또한, 제 4 태양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제 1~3의 어느 하나의 태양과 관련되는 조임 장치(3)와, 급전로(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313)와, 장력 발생부(37)의 고정부(372)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317)는, 본체(31)의 제 2 방향(전후 방향)의 양측에 나누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임 장치(3)에서는, 장력 발생부(37)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의 사이의 절연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장력 발생부(37)와, 한 쌍의 제 1 단자(33, 34) 및 한 쌍의 제 2 단자(35, 36)를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급전 시스템(10)에 의하면, 조임 장치(3)의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1 : 급전로
3 : 조임 장치
4 : 덕트 레일(설치 대상물)
10 : 급전 시스템
31 : 본체
32 : 덮개
33, 34 : 제 1 단자
35, 36 : 제 2 단자
37 : 장력 발생부
38 : 전선
111, 112 : 심선
311 : 표면
312 : 이면
313 : 수납 오목부
317 : 유지 오목부
317a : 회전 규제부
326 : 규제편
371 : 주축(수나사)
372 : 고정부(암나사)

Claims (4)

  1.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심선을 갖는 급전로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을 따른 장력을 작용시키는 조임 장치로서,
    전기 절연성을 갖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심선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부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제 1 단자와,
    상기 한 쌍의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단자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한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심선과는 반대쪽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장력을 상기 본체에 작용시키는 장력 발생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양측에 표면 및 이면을 갖고 있고,
    상기 장력 발생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표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제 2 단자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면에는, 상기 고정부를 수납하는 유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오목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덮개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한 쌍의 제 2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선을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전선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편을 갖는
    조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발생부는, 서로 결합되는 수나사 및 암나사를 갖고,
    상기 수나사 및 상기 암나사의 한쪽이 상기 고정부이고,
    상기 유지 오목부의 내측면은, 상기 고정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을 따른 중심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구성하는
    조임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임 장치와,
    상기 급전로
    를 구비하는 급전 시스템.
KR1020170107635A 2016-08-29 2017-08-25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KR102019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7414A JP6748963B2 (ja) 2016-08-29 2016-08-29 引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給電システム
JPJP-P-2016-167414 2016-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218A true KR20180025218A (ko) 2018-03-08
KR102019663B1 KR102019663B1 (ko) 2019-09-09

Family

ID=6153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635A KR102019663B1 (ko) 2016-08-29 2017-08-25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48963B2 (ko)
KR (1) KR102019663B1 (ko)
CN (1) CN107791846B (ko)
TW (1) TWI6415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4707B (zh) * 2018-08-28 2019-10-11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跨接器與電源分配裝置
WO2024014247A1 (ja) * 2022-07-15 2024-01-18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給電装置、接続部材及び施工方法
WO2024014248A1 (ja) * 2022-07-15 2024-01-18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トロリー線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231A (ja) * 1994-12-26 1996-07-09 Hitachi Cable Ltd 絶縁トロリー線用引締装置
JP2001105934A (ja) * 1999-10-13 2001-04-17 Hitachi Cable Ltd 絶縁トロリー線用端末引留装置
JP2012001095A (ja) * 2010-06-16 2012-01-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続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7147B1 (it) * 1996-11-08 1998-08-04 Pfisterer Srl Dispositivo compensatore delle variazioni di lunghezza di funi tesate,con tiro sostanzialmente costante
JP2001334847A (ja) * 2000-05-26 2001-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の端末引締部材
JP3900109B2 (ja) * 2003-04-28 2007-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誘導線路カバーの接続構造
JP5559615B2 (ja) * 2010-06-16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続器
JP6471930B2 (ja) * 2014-08-18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絶縁トロリー線の引締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絶縁トロリー
CN204304194U (zh) * 2014-11-06 2015-04-29 东莞科多电气有限公司 单级滑触线拉紧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231A (ja) * 1994-12-26 1996-07-09 Hitachi Cable Ltd 絶縁トロリー線用引締装置
JP2001105934A (ja) * 1999-10-13 2001-04-17 Hitachi Cable Ltd 絶縁トロリー線用端末引留装置
JP2012001095A (ja) * 2010-06-16 2012-01-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91846A (zh) 2018-03-13
CN107791846B (zh) 2021-04-20
JP2018034565A (ja) 2018-03-08
JP6748963B2 (ja) 2020-09-02
TWI641514B (zh) 2018-11-21
TW201806801A (zh) 2018-03-01
KR102019663B1 (ko)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218A (ko) 조임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TWI463725B (zh) 電池單元用連接器及具備此連接器的電池單元
US20090272559A1 (en) Connection box for solar panel
WO2018123577A1 (ja) ラック型電源装置
JP2013008524A (ja) 車両用電源装置
JP6464528B2 (ja) 収納盤、蓄電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
JP2007326496A (ja) 電流センサーを備えた電源回路構造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20180025224A (ko) 급전로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KR101328884B1 (ko) 배터리용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KR102048691B1 (ko) 단말 유닛, 단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
JP6020332B2 (ja) 燃料電池ユニット
US10056601B2 (en) Battery pack
JP2011238591A (ja) 照明設備
JP3161027U (ja) 照明設備
JP4796208B1 (ja) ライティングダクト
CN220605073U (zh) 一种控制柜和灭火系统
KR100986436B1 (ko)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JP2836553B2 (ja) 屋外用機器の取付金具
KR102519172B1 (ko) 화재발생경보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라인 지지기구
JP4404669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CN218769971U (zh) 一种汇流排固定支架、电池包及用电设备
CN220107910U (zh) 一种弹性连接件和光伏系统
WO2020189658A1 (ja) 蓄電装置
CN215579848U (zh) 一种配电箱
JP2023106905A (ja) ボルト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