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848A -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848A
KR20180024848A KR1020160111791A KR20160111791A KR20180024848A KR 20180024848 A KR20180024848 A KR 20180024848A KR 1020160111791 A KR1020160111791 A KR 1020160111791A KR 20160111791 A KR20160111791 A KR 20160111791A KR 20180024848 A KR20180024848 A KR 20180024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irbag cushion
folded
cov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840B1 (ko
Inventor
강이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840B1/ko
Priority to US15/690,638 priority patent/US10442388B2/en
Priority to CN201721111591.5U priority patent/CN207466593U/zh
Priority to DE202017004549.4U priority patent/DE202017004549U1/de
Publication of KR2018002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을 복수번 접는 단계; 복수번 접힌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적층시키는 단계; 및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을 접어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에 커버 폴딩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FOLDING METHOD OF KNEE AIR BAG APPARATUS AND KNEE 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부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보호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무릎 에어백은 전방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무릎 에어백은 하우징의 내부에 에어백 쿠션부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된다. 즉, 에어백 쿠션부는 인플레이터의 폭방향으로 복수번 겹쳐지도록 메인 폴딩부를 형성한 다음에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을 접어 사이드 폴딩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인플레이터에는 토출구가 일측 단부 또는 일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되므로, 인플레이터의 토출구가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으로 편중되게 연결된다. 이때, 일측의 사이드 폴딩부에 가스가 먼저 공급되므로, 일측의 사이드 폴딩부와 타측의 사이드 폴딩부의 전개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가 지연될 수 있고,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부가 일측으로 틀어지거나 흔들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06608호(2014. 06. 03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 글로브박스의 무릎에어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쿠션부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을 복수번 접는 단계; 복수번 접힌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을 접어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폴딩부에 커버 폴딩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폴딩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폴딩부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폴딩부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면 측으로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은 후 그 반대측으로 다시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커버 폴딩부의 전개시 하우징의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일측이 복수번 접히고,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가 중심부 측으로 접히는 에어백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는, 복수번 접힌 부분 중에서 양측 사이드부가 접히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폴딩부;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을 접어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폴딩부에 적층되도록 형성하는 커버 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폴딩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폴딩부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폴딩부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면 측으로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은 후 그 반대측으로 다시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커버 폴딩부의 전개시 하우징의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폴딩부가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를 감싸도록 접히므로, 한 쌍의 커버 폴딩부가 도어의 개방 이전까지 사이드 폴딩부를 가로막아 사이드 폴딩부의 전개를 제한한다. 커버 폴딩부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면,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가 서로 대칭되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가 서로 대칭되게 전개되므로, 에어백 쿠션부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가 지그재그로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를 지그재그로 접은 후 양측을 접어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사이드 폴딩부를 접어 커버 폴딩부를 덮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커버 폴딩부가 팽창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커버 폴딩부가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사이드 폴딩부가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가 지그재그로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를 지그재그로 접은 후 양측을 접어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120) 및 에어백 쿠션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탑승객이 앉는 전방 좌석(미도시) 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상측에는 후크부(112)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인플레이터(120) 및 에어백 쿠션부(130)가 내장된다.
하우징(110)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도어(115)가 설치된다. 도어(115)의 상측에는 후크부(112)에 걸리도록 걸림부(116)가 형성된다. 도어(115)에는 커버 폴딩부(135)의 팽창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절단되도록 절단 유도부(117)가 형성된다. 걸림부(116)가 후크부(112)에 구속됨에 따라 도어(115)가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인플레이터(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를 분사한다. 인플레이터(120)의 일측에는 가스 배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인플레이터(120)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130)는 인플레이터(120)에 연결되고, 하우징(110)에 접힌 상태로 설치된다. 에어백 쿠션부(130)는 일측이 복수번 접히고,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가 중심부 측으로 접힌다. 에어백 쿠션부(130)에는 복수의 봉재 라인(132)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봉재 라인(132)에는 내부 테더(미도시)가 연결되어 에어백 쿠션부(130)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에어백 쿠션부(130)는 메인 폴딩부(131),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 및 커버 폴딩부(135)를 포함한다.
메인 폴딩부(131)는 복수번 겹쳐지도록 접힌다. 메인 폴딩부(131)는 인플레이터(120)를 기준으로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형성한다. 메인 폴딩부(131)는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측을 복수번 접은 부분 중에서 양측 사이드부가 접히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메인 폴딩부(131)는 4-6번 접어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는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는 인플레이터(120)의 길이방향 중심부(메인 폴딩부(131)의 중심부) 측으로 접은 후 다시 반대측으로 접어 형성한다. 사이드 폴딩부(133)는 2겹으로 접힌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이드 폴딩부(133)가 에어백 쿠션부(130)의 양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메인 폴딩부(131)는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면에 위치되고, 사이드 폴딩부(133)는 에어백 쿠션부(130)의 타면 측으로 접어 형성한다. 메인 폴딩부(131)와 사이드 폴딩부(133)는 에어백 쿠션부(130)의 접히지 않은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커버 폴딩부(135)는 에어백 쿠션부(130)의 타측을 접어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에 적층되도록 형성한다. 커버 폴딩부(135)는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를 대칭적으로 전개시키도록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커버 폴딩부(135)는 접히지 않은 상태이다. 커버 폴딩부(135)가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도록 설치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30)에 가스 주입시 한 쌍의 커버 폴딩부(135)가 도어(115)의 개방 이전까지 사이드 폴딩부(133)를 가로막아 사이드 폴딩부(133)의 전개를 일시적으로 제한한다. 따라서, 커버 폴딩부(135)가 팽창됨에 의해 도어(115)가 개방되면,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가 서로 대칭되게 전개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30)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폴딩부(135)는 인플레이터(120)를 기준으로 메인 폴딩부(131)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도록 접힌다. 커버 폴딩부(135)가 메인 폴딩부(131)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도록 설치되므로, 인플레이터(120)에서 가스가 주입되는 초기에 커버 폴딩부(135)에 가스 주입이 집중된다. 따라서, 커버 폴딩부(135)가 사이드 폴딩부(133)나 메인 폴딩부(131) 보다 빨리 팽창되면서 전개됨에 따라 사이드 폴딩부(133)가 전개되기 이전에 도어(115)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커버 폴딩부(135)는 커버 폴딩부(135)의 전개시 하우징(110)의 도어(115)를 개방시키도록 에어백 쿠션부(130)의 전개방향에 적층된다. 이때, 커버 폴딩부(135)는 사이드 폴딩부(133)보다 먼저 팽창되면서 전개되도록 도어(115)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커버 폴딩부(135)가 사이드 폴딩부(133)보다 먼저 전개되고, 커버 폴딩부(135)의 팽창력에 의해 도어(115)가 개방된다. 도어(115)가 개방되면, 커버 폴딩부(135)가 사이드 폴딩부(133)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때, 사이드 폴딩부(133)가 팽창되면서 하우징(110)의 외부로 펼쳐지게 되고, 사이드 폴딩부(133)와 메인 폴딩부(131)가 펼쳐지면서 전개된다. 커버 폴딩부(135)가 전개된 후에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가 전개되므로,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가 서로 대칭되게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의 사이드 폴딩부(133)로 가스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쿠션부(130)가 비틀어지거나 흔들리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에어백 쿠션부(130)를 펼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30)에는 인플레이터(120)가 연결된다. 복수번 겹쳐지도록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측을 지그재그로 접는다. 즉,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측을 띠형태로 일측으로 접은 후 타측으로 접는 동작을 반복하여 지그재그로 접는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측을 대략 4-6번 정도 접는다. 에어백 쿠션부(130)의 접는 횟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측을 복수번 접은 후 에어백 쿠션부(130)를 뒤집는다. 복수번 접은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메인 폴딩부(131)와 사이드 폴딩부(133)를 적층시킨다. 이때, 메인 폴딩부(131)는 복수번 접힌 부분 중에서 양측 사이드부가 접히는 부분 사이에 형성되고, 사이드 폴딩부(133)는 복수번 접힌 부분 중에서 양측 사이드부가 중심부 측으로 접힌 부분이다.
에어백 쿠션부(130)에서 메인 폴딩부(131)가 위치되는 면이 하측에 위치되고, 메인 폴딩부(131)가 위치되지 않은 면이 상측에 위치된다.
사이드 폴딩부(133)는 메인 폴딩부(131)의 양측을 인플레이터(120)의 길이방향 중심부(메인 폴딩부(131)의 중심부) 측으로 접은 후 그 반대편으로 접어 형성한다. 사이드 폴딩부(133)는 2겹으로 접힌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일측의 사이드 폴딩부(133)를 접은 후 타측의 사이드 폴딩부(133)를 접는다. 양측의 사이드 폴딩부(13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메인 폴딩부(131)는 에어백 쿠션부(130)의 일면에 위치되고, 사이드 폴딩부(133)는 에어백 쿠션부(130)를 뒤집후 에어백 쿠션부(130)의 양측을 타면 측으로 접어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를 대칭적으로 전개시키도록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는 커버 폴딩부(135)를 형성한다. 커버 폴딩부(135)가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도록 접히므로, 커버 폴딩부(135)가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133) 보다 먼저 펼쳐진다.
커버 폴딩부(135)는 전개됨에 따라 도어(115)를 개방시키도록 에어백 쿠션부(130)의 전개방향에 배치된다. 커버 폴딩부(135)가 에어백 쿠션부(130)의 전개방향에 배치되므로, 커버 폴딩부(135)가 팽창되면서 전개됨에 따라 도어(115)를 개방한다.
커버 폴딩부(135)는 인플레이터(120)를 기준으로 메인 폴딩부(131)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사이드 폴딩부(133)를 감싸도록 접는다. 커버 폴딩부(135)가 메인 폴딩부(131)와 반대편에서 접히므로, 커버 폴딩부(135)가 메인 폴딩부(131)보다 먼저 팽창되면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폴딩부(135)는 메인 폴딩부(131)와 사이드 폴딩부(133)에 의해 팽창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인플레이터(120)의 가스 공급 초기에 커버 폴딩부(135)에 가스 주입량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폴딩부(135)가 에어백 쿠션부(130)에서 가장 먼저 펼쳐지면서 도어(115)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 쿠션부의 커버 폴딩부가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커버 폴딩부가 팽창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커버 폴딩부가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부에서 사이드 폴딩부가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이 충돌되면, 인플레이터(120)에서 가스가 배출된다. 인플레이터(120)의 배출부는 메인 폴딩부(131)와 커버 폴딩부(135)에 연결되므로, 메인 폴딩부(131)와 커버 폴딩부(135)에 가스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때, 메인 폴딩부(131)는 사이드 폴딩부(133)와 커버 폴딩부(135)의 접힌 구조 의해 팽창이 제한되는 상태이고, 커버 폴딩부(135)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어 구속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가스가 커버 폴딩부(135)에 집중적으로 주입된다. 커버 폴딩부(135)가 메인 폴딩부(131)나 사이드 폴딩부(133)보다 먼저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이때, 커버 폴딩부(135)가 메인 폴딩부(131)와 사이드 폴딩부(133)를 가압하므로, 메인 폴딩부(131)와 사이드 폴딩부(133)가 도어(115)의 개방 이전까지 전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커버 폴딩부(135)가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동안에 사이드 폴딩부(133)도 천천히 팽창된다.
커버 폴딩부(135)가 팽창되면서 전개될 때에 사이드 폴딩부(133)와 메인 폴딩부(131) 역시 천천히 팽창된다.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서는 커버 폴딩부(135)와 사이드 폴딩부(133)가 전개되는 과정에 관해 이해를 돕기 위해 커버 폴딩부(135)와 사이드 폴딩부(133)를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였다.
커버 폴딩부(135)의 전개시 커버 폴딩부(135)의 팽창력이 도어(115)에 가해지므로, 도어(115)가 커버 폴딩부(135)의 팽창력에 의해 개방된다. 커버 폴딩부(135)의 팽창력이 도어(115)에 가해짐에 따라 도어(115)의 절단 유도부(117)가 찢어지거나 절단됨에 의해 도어(115)의 상측과 하측이 분리된다. 도어(115)의 상측 부분은 후크부(112)에 걸리고, 도어(115)의 하측 부분은 하강된다. 이처럼 도어(115)가 개방됨에 따라 커버 폴딩부(135)는 도어(115)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어, 사이드 폴딩부(133)에 가스 주입량이 집중됨에 따라 사이드 폴딩부(133)가 팽창되면서 하우징(110)에서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빠져 나온다. 그리고, 사이드 폴딩부(133)가 전개되면서 에어백 쿠션부(130)의 양측으로 펼쳐지므로, 에어백 쿠션부(130)의 폭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커버 폴딩부(135)가 팽창되면서 에어백 쿠션부(130)의 양측으로 전개될 때에 메인 폴딩부(131) 역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메인 폴딩부(131)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 상태에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메인 폴딩부(131)가 팽창되면서 상측으로 전개됨에 따라 탑승자의 무릎과 정강이 부분을 커버한다. 따라서, 탑승자의 무릎과 정강이가 에어백 쿠션부(1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2: 후크부
115: 도어 116: 걸림부
117: 테어부 120: 인플레이터
130: 에어백 쿠션부 131: 메인 폴딩부
133: 사이드 폴딩부 135: 커버 폴딩부

Claims (12)

  1. 에어백 쿠션부의 일측을 복수번 접는 단계;
    복수번 접힌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메인 폴딩부와 사이드 폴딩부를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을 접어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폴딩부에 커버 폴딩부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딩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폴딩부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폴딩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면 측으로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은 후 그 반대측으로 다시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커버 폴딩부의 전개시 하우징의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7.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일측이 복수번 접히고,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가 중심부 측으로 접히는 에어백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는,
    복수번 접힌 부분 중에서 양측 사이드부가 접히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폴딩부;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어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폴딩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측을 접어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폴딩부에 적층되도록 형성하는 커버 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딩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폴딩부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폴딩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타면 측으로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폴딩부는 복수번 접힌 부분의 양측 사이드부를 중심부 측으로 접은 후 그 반대측으로 다시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폴딩부는 상기 커버 폴딩부의 전개시 하우징의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방향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에어백 장치.
KR1020160111791A 2016-08-31 2016-08-31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KR10257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91A KR102571840B1 (ko) 2016-08-31 2016-08-31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US15/690,638 US10442388B2 (en) 2016-08-31 2017-08-30 Knee airbag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the same
CN201721111591.5U CN207466593U (zh) 2016-08-31 2017-08-31 膝部气囊装置
DE202017004549.4U DE202017004549U1 (de) 2016-08-31 2017-08-31 Knieair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91A KR102571840B1 (ko) 2016-08-31 2016-08-31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48A true KR20180024848A (ko) 2018-03-08
KR102571840B1 KR102571840B1 (ko) 2023-08-29

Family

ID=6002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91A KR102571840B1 (ko) 2016-08-31 2016-08-31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42388B2 (ko)
KR (1) KR102571840B1 (ko)
CN (1) CN207466593U (ko)
DE (1) DE20201700454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188B4 (de) * 2014-07-10 2024-02-22 Autoliv Development Ab Knieschutz-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Kniegassackmodul zur Verwendung in einer solchen Knieschutz-Einrichtung
DE102016007748A1 (de) * 2016-06-27 2017-12-28 Dalphi Metal Espana, S.A.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gassack,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02016007749A1 (de) * 2016-06-27 2017-12-28 Dalphi Metal Espana, S.A.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gassack,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DE102016008001A1 (de) * 2016-07-01 2018-01-04 Dalphi Metal Espana, S.A.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Gassack,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JP7409341B2 (ja) 2021-03-03 2024-01-0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37206A (ko) * 2021-09-09 2023-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KR20230058972A (ko) * 2021-10-25 2023-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525A (ja) * 2002-02-18 2003-08-27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US20040201209A1 (en) * 2003-04-09 2004-10-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including an inflatable knee bag
JP2005041462A (ja) * 2003-05-30 2005-02-17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KR101561470B1 (ko) * 2009-06-18 2015-10-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에어백의 폴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407A (en) * 1991-07-08 1993-01-12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Folded air bag
US5419579A (en) * 1994-06-27 1995-05-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US5531477A (en) * 1995-06-06 1996-07-02 Alliedsignal Inc. Method of folding an airbag
US6499765B2 (en) * 2000-10-31 2002-12-31 Delphi Technologies, Inc. Bias deployment inflatable air bag
US20040251669A1 (en) * 2001-03-30 2004-1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ir bag and an associated apparatus
US6739622B2 (en) * 2001-03-30 2004-05-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ir bag
US6752417B2 (en) * 2001-05-21 2004-06-22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7926844B2 (en) * 2008-04-10 2011-04-19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y and method of packing
KR101406608B1 (ko) 2008-11-20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글로브박스의 무릎에어백
US8500157B2 (en) * 2009-04-27 2013-08-06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540276B2 (en) *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KR101627125B1 (ko) * 2013-04-19 2016-06-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무릎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에어백 폴딩방법
KR101724636B1 (ko) 2015-03-17 2017-04-10 (주)엠투엔 플레이트부의 제조 방법 및 프로브 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525A (ja) * 2002-02-18 2003-08-27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US20040201209A1 (en) * 2003-04-09 2004-10-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including an inflatable knee bag
JP2005041462A (ja) * 2003-05-30 2005-02-17 Takata Corp 乗員脚部保護装置
KR101561470B1 (ko) * 2009-06-18 2015-10-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에어백의 폴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840B1 (ko) 2023-08-29
US10442388B2 (en) 2019-10-15
US20180056923A1 (en) 2018-03-01
CN207466593U (zh) 2018-06-08
DE202017004549U1 (de)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4848A (ko) 무릎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및 무릎에어백 장치
JP5848091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9101758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530204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943464B2 (ja) 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JP5187818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237525A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2007308020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043855A (ja) 下肢保護用エアバッグ
US11230248B2 (en) Knee airbag apparatus
JP6623677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884445B1 (ko) 조수석 에어백 쿠션 및 조수석 에어백 쿠션의 폴딩방법
JP4909556B2 (ja) エアバッグ
JP5909130B2 (ja) ニー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収納方法
JP627442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460902B1 (ko) 무릎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JP613745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0655209B1 (ko) 가슴 에어백의 쿠션
US10399534B2 (en) Driver airbag module and bag with passively vented cushion
JP2007137150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552852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465610B2 (ja) エアバッグ
KR20190047512A (ko) 에어백 장치
KR20190010122A (ko)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