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924A -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924A
KR20180022924A KR1020187002823A KR20187002823A KR20180022924A KR 20180022924 A KR20180022924 A KR 20180022924A KR 1020187002823 A KR1020187002823 A KR 1020187002823A KR 20187002823 A KR20187002823 A KR 20187002823A KR 20180022924 A KR20180022924 A KR 20180022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nd
holder
steam
beverag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275B1 (ko
Inventor
핸드리커스 크리스티너스 마리아 웨셀스
핸드릭 조한 디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2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스 완드를 포함한다.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스팀 발생기, 스팀 발생기를 스팀 노즐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 및 프로스 완드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이고,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스팀 입구와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 홀더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스팀 노즐이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스팀 입구와 연통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의 작동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스 완드(froth wand)를 포함하고,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스팀 발생기(steamer), 스팀 발생기를 스팀 노즐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steam conduit), 및 프로스 완드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froth wand holder)를 포함한다.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그러한 시스템은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A1-2003/0131735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려진 시스템은 대체로 튜브형의 외부 슬리브(external sleeve) 및 외부 슬리브 내의 내측 코어(inner core)를 포함하는 긴 프로싱 완드(elongate frothing wand)를 포함한다. 내측 코어는 프로스 완드의 공급 단부로부터 스팀을 음료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스 완드의 배출 단부로 스팀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팀 도관을 한정한다. 내측 코어는 또한 음료 제조 장치의 스팀 공급부에 대한 프로스 완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메커니즘(coupl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결합 메커니즘은 스팀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그리고 유지보수 및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팀 공급부로부터의 프로싱 완드의 쉬운 분리 및 재결합을 허용하도록 상보적으로 구성되는 나사(thread), 클램프(clamp), 홈(groove), 신속 연결 메커니즘(quick connect mechanism),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슬리브는 쉽게 제거되어 세정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슬리브는 후속하여 제조되는 음료에 원하지 않는 향미(flavor)가 전해질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하나의 향미의 음료가 제조된 후에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 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수개의 상이한 외부 슬리브가 프로싱 완드에 교환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로싱 완드의 유용성을 다양화할 수 있다. 알려진 시스템이 프로스 완드를 세정하기 위해 프로스 완드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프로스 완드를 세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분리 및 재결합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위생의 관점에서, 프로스 완드는 사용되었을 때마다 분리, 세정 및 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그러한 시스템의 사용을 어느 정도 비실용적으로 만들어, 그 결과 시스템의 사용자가 종종 프로스 완드가 사용된 후에 프로스 완드의 세정을 꺼리게 되며, 이는 건강상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오염된 프로스 완드가 또한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 내부 오염은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위생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할 수 있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프로스 완드로 인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오염이 적어도 대부분 방지될 수 있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사용자 친화적이어서 음료를 제조하는 더욱 매력적인 방식을 제공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스 완드를 포함하고,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스팀 발생기, 스팀 발생기를 스팀 노즐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 및 프로스 완드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스팀 입구와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하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이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스팀 노즐이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스팀 입구와 연통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의 작동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재사용가능 프로스 완드 대신에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사용함으로써,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이 매우 위생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된 프로스 완드의 세정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별개의 음료들이 보다 짧은 기간 내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환경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일회용 프로스 완드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가열될 또는 프로싱될 음료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스팀 출구가 튜브형 벽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스팀 출구의 배향이 프로싱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이러한 배향이 프로싱을 적어도 어느 정도 사용자의 선호에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싱이 스팀 출구를 형성하는 스팀 개구들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는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가 1.0 mm 내지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일 때 음료의 가열 및 프로싱이 재현가능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는 수개의 스팀 출구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출구에 인접한 다공성 요소(porous element)를 포함한다. 스팀 출구 내에 다공성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다공성 요소가 프로싱을 적어도 어느 정도 사용자의 선호에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팀 채널은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의 가열 및 프로싱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가진 프로스 완드가 사용 중에 작동 파라미터들을 견딜 수 있고, 또한 재료의 비교적 적은 사용으로 인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스 완드가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thermal mass)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때, 사용된 프로스 완드(즉, 스팀이 통과한 프로스 완드)가 적어도 프로스 완드를 폐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수동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길이는 100 내지 120 mm, 특히 110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출구 단부에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가 제조된 음료 내의 휘젓개(stirrer)로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또는 대칭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이어서,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 단부에 그립(gri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그립은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또는 대칭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 단부에 상부 플랜지(upper flang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계적으로 간단하지만 여전히 매우 신뢰할 수 있다. 그러면, 상부 플랜지가 평평한 단부 면을 가질 때 그리고/또는 프로스 완드가 상부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retention flange)를 포함할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그러한 플랜지(들)는 프로스 완드에 추가의 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의 외경이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튜브형 벽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 스팀 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스 완드의 경우에, 기계적으로 간단하지만 여전히 매우 신뢰할 수 있는,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공기 개구,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기 슬롯(air slot)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팀 채널을 통한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이 실현될 수 있다. 순환 채널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배열되는 추가 튜브에 의해 또는 동축 순환 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축 순환 슬리브는 순환 슬리브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의 외벽 사이에 순환 채널을 형성한다.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를 작동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작은 풋프린트(footprint)를 갖는 상당히 소형(rather compact)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홀더는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되도록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가능 프로스 완드 홀더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이 매우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면, 특정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회전가능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시스템이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홀더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할 때 시스템의 사용자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다는 정확하고 즉각적인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안전이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 시트(horizontal seat)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의 재현가능하고 정확한 유지를 제공하면서도 프로스 완드 홀더를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수평 시트가 프로스 완드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를 포함할 때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 내로 삽입하는 것이 쉬운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수평 시트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개방되는 반경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경우에,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측부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메커니즘(clamp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는 중에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의 프로스 완드의 재현가능하고 정확한 클램핑이, 클램핑 메커니즘이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idle position)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 외부의 작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배열되는 이동가능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이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이, 맞물림 부분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해제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맞물림 부분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클램핑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클램핑 메커니즘은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분은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변위되도록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작동기와 협동한다.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 또는 별개의 프로스 완드 제거 위치에 있을 때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지만,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froth wand ejector)를 포함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용의 안전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의해 방출될 때 음료의 가열 및 프로싱이 완료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또한 명백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반경방향 슬롯을 통해 프로스 완드를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방출기가 스프링 작동식 방출기 아암(spring actuated ejector arm)을 포함할 때 프로스 완드가 신뢰할 수 있고 기계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방출되며, 상기 스프링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로딩되고(loaded),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될 때 방출기 아암을 작동시키도록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수평 시트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li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도관은 공기 입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팀 채널을 통한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바람직하게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공기를 스팀의 유동 내로 도입하기 위해 능동 공기 입구 튜브(active air inlet tube)를 통해 공기 입구에 연결되는 공기 펌프, 특히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를 포함한다. 스팀의 유동의 일관성을 개선하기 위해, 능동 공기 입구 튜브는 공기 오리피스(air orific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도관은 수동 공기 입구(passive air inlet)를 포함하고, 공기 펌프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되고, 여기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스팀 도관을 수동 공기 입구 또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 위치로 변위가능한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제조될 음료 또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수동 공기 입구 또는 능동 공기 입구를 통한 스팀 내로의 공기의 도입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냉수를 위한 저장소, 바람직하게는 냉수를 위한 별개의 저장소, 냉수 도관, 및 냉수를 스팀 발생기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스팀 노즐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면, 스팀 노즐이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설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선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될 수 있고 그 후에 스팀 노즐이 스팀을 스팀 채널 내에 공급하기 위해 스팀 채널 내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스템의 작동이 비교적 간단할 수 있다.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 내로의 그리고 스팀 채널을 통한 스팀의 공급을 개선하기 위해, 스팀 노즐은 스팀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벽의 내측 표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시일(seal)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또한 상기 음료의 적어도 일부로서 액체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커피 분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 커피가 예컨대 컵 내로 분배될 수 있고,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프로스 완드를 통해 액체 커피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커피가 컵 내로 분배되기 전에, 분배되는 중에, 또는 분배된 후에, 예를 들어 우유와 같은 다른 음료가 컵에 부어질 수 있고,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스팀을 프로스 완드를 통해 우유 또는 커피 또는 우유/커피 혼합물 내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커피 분배기가 바람직하게는 스팀 발생기에 연결되는 냉수 저장소에 부가적인 물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팀 발생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냉수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밸브를 각각의 연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정지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사용의 안전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또한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고 컨트롤러가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스팀 발생기를 정지시켰음을 나타낼 때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팀 발생기가 작동되기 전에 그리고 스팀 발생기가 작동된 후에, 즉 음료가 가열되고 프로싱된 후에,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되는 상황을 구별할 수 있다.
사용의 안전을 더욱 더 개선하기 위해,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에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프로스 완드 홀더에 의해 유지되는 프로스 완드가 없는 상황에서 시스템이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그러면, 컨트롤러가 적어도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배열될 때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은 컵을 위한 컵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와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작동 위치에서 지지체 상에 위치되는 컵 내로 연장되도록 상호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음료가 가열되고 프로싱되는 동안 그 자신 또는 그녀 자신이 컵을 잡고 있을 필요가 없고, 컵을 컵 지지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되는, 컵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position indicator)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되는, 컵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지표들은 만입부(indentation)들 또는 융기부(elevation)들 또는 시각 마크(visual mark)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프로스 완드가 그 내로 연장되는 컵 내에서의 위치를 선택하여 음료가 프로싱되는 방식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컵 내의 프로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프로스 온도 센서(froth temperatur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측정된 프로스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트롤러는 예컨대 요구되는 또는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스팀 발생기를 정지시켜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프로스 온도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컵 위에, 컵의 상부 에지 위에서 컵 옆에, 또는 컵의 상부 에지 아래에서 컵 옆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포함할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충전 표시 마크(fill indication mark)를 포함한다. 그러한 충전 표시 마크는 예컨대, 스팀 출구가 액체 레벨 아래로 연장되도록 컵이 충분한 양으로 충전되는 것을 보장하는 최소 충전 레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전 표시 마크는 제안된 충전 표시일 수 있으며, 이는 프로스 완드가 그 내로 연장되는 컵 내에 제안된 충전 표시 마크까지 충전되는 음료가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가열되고 프로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추가의 최대 충전 표시 마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최대 충전 표시 마크까지 컵에 부어진 음료가 이러한 음료가 가열되고 프로싱될 때 컵의 에지를 넘어 흐르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기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스팀 발생기, 스팀 발생기를 스팀 노즐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 및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의 작동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복의 이유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만이 기술되며,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각각의 유리한 효과는 하기에서 상세히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된 바가 참조되며, 여기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하여 관련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언급된 모든 특징이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작동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되도록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면, 프로스 완드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홀더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 시트를 포함한다. 그러면, 수평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 시트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개방되는 반경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메커니즘은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 외부의 작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배열되는 이동가능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맞물림 부분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해제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맞물림 부분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클램핑 작동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클램핑 메커니즘은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분은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변위되도록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작동기와 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슬롯을 통해 프로스 완드를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스프링 작동식 방출기 아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로딩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될 때 방출기 아암을 작동시키도록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수평 시트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도관은 공기 입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능동 공기 입구 튜브를 통해 공기 입구에 연결되는 공기 펌프, 특히 다이아프램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 공기 입구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도관은 수동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공기 펌프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되고, 여기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스팀 도관을 수동 공기 입구 또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 위치로 변위가능한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냉수를 위한 저장소, 냉수 도관, 및 냉수를 스팀 발생기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펌프를 포함한다. 스팀 노즐은 바람직하게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팀 노즐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벽의 내측 표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시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음료의 적어도 일부로서 액체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커피 분배기를 포함한다.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팀 발생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냉수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밸브를 각각의 연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정지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또한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고 컨트롤러가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스팀 발생기를 정지시켰음을 나타낼 때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배열된다. 컨트롤러는 특히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에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컨트롤러는 적어도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컵을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와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작동 위치에서 지지체 상에 위치되는 컵 내로 연장되도록 상호 배열된다. 그러면,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되는, 컵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들 및/또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되는, 컵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는 컵 내의 프로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프로스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측정된 프로스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로스 온도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로서, 여기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스팀 입구와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하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인, 프로스 완드에 관한 것이다. 중복의 이유로, 프로스 완드의 실시예만이 기술되며, 프로스 완드의 각각의 유리한 효과는 하기에서 상세히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된 바가 참조되며, 여기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하여 관련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언급된 모든 특징이 프로스 완드에 적용가능하다. 일회용 프로스 완드는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는 튜브형 벽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팀 출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스팀 출구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이다. 스팀 출구는 더 많은 출구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출구에 인접한 다공성 요소를 포함한다. 스팀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고,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길이는 100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출구 단부에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또는 대칭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 단부에 그립을 포함한다. 그립은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또는 대칭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 단부에 상부 플랜지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부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단부 면을 갖는다. 프로스 완드는 상부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의 외경이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튜브형 벽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 스팀 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공기 개구,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기 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이 실현될 수 있다. 순환 채널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배열되는 추가 튜브에 의해 또는 동축 순환 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축 순환 슬리브는 순환 슬리브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의 외벽 사이에 순환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충전 표시 마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방법은 프로스 완드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시키되,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유지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프로스 완드 홀더가, 스팀 노즐이 프로스 완드의 스팀 입구와 연통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의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스팀을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스팀이 프로스 완드를 통해 사전결정된 횟수만큼 통과한 후에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 및 프로스 완드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팀이 프로스 완드를 통해 사전결정된 횟수만큼 통과한 후에 프로스 완드를 폐기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위생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전결정된 횟수는 5회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전결정된 횟수는 1회이며, 이는 프로스 완드가 1회만 사용되어 위생적인 사용을 더욱 더 개선함을 의미한다. 중복의 이유로,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만이 기술되며, 이러한 방법의 각각의 유리한 효과는 하기에서 상세히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된 바가 참조되며, 여기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하여 관련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언급된 모든 특징이 방법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된 후에만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될 때 수행되고, 방법은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스팀을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후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 전에 프로스 완드 홀더를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면,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시키는 단계는 프로스 완드 홀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프로스 완드 홀더의 작동 위치에서 클램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는 단계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방법의 사용의 안전이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스팀 공급을 불능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팀 공급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만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는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은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지지체의 개구 내에 위치되었을 때 리드를 폐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스팀 공급은 리드가 폐쇄된 후에만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면,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는 리드를 프로스 완드 지지체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을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중에, 공기가 스팀 내로 흡입된다. 그러면, 스팀을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중에, 공기가 스팀 내로 펌핑될 때 바람직하다.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는 냉수를 스팀 발생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스팀을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전에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될 때 스팀 노즐을 프로스 완드의 스팀 입구 내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이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되기 전에 컵을 프로스 완드 홀더 아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음료가 비교적 쉽게 제조될 수 있다. 그러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컵을 우유와 같은 제1 음료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컵을 제1 음료로 충전하는 단계 중에, 컵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가 제1 음료 내로 연장되도록 충전 표시 마크까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순환 채널을 가진 프로스 완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순환 채널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방법은 예컨대 순환 채널 내에서의 음료의 순환을 실현하기 위해 순환 채널을 음료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우유의 더욱 효율적인 가열 및 프로싱이 달성될 수 있다.
방법이 스팀이 프로스 완드를 통해 제1 음료 내로 통과한 후에 제2 음료를 컵 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다용도의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스팀이 프로스 완드를 통해 제1 음료 내로 통과하기 전에, 통과하는 중에 또는 통과한 후에 제2 음료를 컵 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제2 음료는 커피이고, 제1 음료는 우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프로스 완드가 해제된 후에 프로스 완드를 휘젓개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또는 중심을 벗어나 연장되도록 컵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컵 내의 프로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프로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스로부터 소리를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소리로부터 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이점이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하기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된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컵이 컵 지지체 상에 배치된 도 1의 실시예의 일부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l은 도 1 및 도 2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g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의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의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공기를 스팀 도관 내로 도입하기 위한 능동 공기 입구 튜브 및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공기를 스팀 도관 내로 도입하기 위한 수동 공기 입구를 가진 스팀 도관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공기를 스팀 도관 내로 도입하기 위해 스팀 도관을 수동 공기 입구 또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 위치로 변위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수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를 가진,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프로스 완드 홀더의 수평 시트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개방되는 반경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e는 프로스 완드 홀더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 및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포함하는 회전가능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스팀 입구 단부에서 상이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수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d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고 스팀 노즐이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 내로 도입되고 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마이크로폰 위치를 표시하는, 온도 센서로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1)의 일 실시예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시스템(1)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2) 및 프로스 완드(3)를 포함한다.
장치(2)는 스팀 발생기(4), 예를 들어 서모 블록(thermo-block), 스팀 발생기(4)를 스팀 노즐(6)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5)을 포함한다. 냉수(8)를 위한 저장소(7)가 장치(2) 내에 제공되며, 이러한 냉수 저장소(7)는 냉수를 스팀 발생기(4)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펌프(10) 및 냉수 도관(9)을 통해 스팀 발생기(4)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2)는 또한 액체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커피 분배기(1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체 커피 분배기(11)는 농축된 액체 커피의 패키지(13)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12)를 포함한다. 액체 커피 분배기(11)는 또한 일정량의 농축된 액체 커피를 혼합 챔버(15) 내로 투입하기 위한 커피 투입 장치(coffee dosing apparatus)(14)를 포함한다. 온수가 온수기(water heater)(16)로부터 물 도관(17)을 통해 혼합 챔버(15)에 공급되어, 농축된 액체 커피를 마시기에 보다 적합한 농도를 갖는 액체 커피로 희석시킨다. 이러한 액체 커피는 액체 커피 출구(18)로부터 컵(도 1에 도시되지 않음) 내로 분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온수기(16)는 냉수 도관(9) 및 그의 연장부(9')에 의해 냉수 저장소(7)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온수기(16)는 냉수 저장소(7)와 별개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장치(2)는 또한 프로스 완드(3)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19)를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적어도 스팀 노즐(6)이 일회용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입구(20)와 연통하는 장치(2)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위치로 프로스 완드(3)를 유지시키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3)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 시트(29)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수평 시트(29)는 프로스 완드(3)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30)를 갖는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또한 수평 시트(29)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31)를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드(31)는 그것이 시트(29)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어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배치되거나 그로부터 취출될 수 있도록(이른바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 또는 시트(29)를 향해 회전되어 후속하여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위치되는 프로스 완드(3)를 둘러쌀 수 있도록, 회전 샤프트(32) 상에 장착된다.
프로스 완드(3)는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 튜브형 벽(21)을 포함하는, 그리고 스팀 입구(20)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22), 스팀 입구(20)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팀 출구(24)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23), 및 스팀 입구(20)와 스팀 출구(24) 사이에서 연장되는,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가진 스팀 채널(25)을 갖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24)는 튜브형 벽(21)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프로스 완드(3)의 튜브형 벽(21)은 벽을 통해 연장되는 공기 개구(3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개구는 슬롯 형상이며, 슬롯은 튜브형 벽(21)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개구는 하나 이상의 둥근 구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회용 프로스 완드(3)는 생분해성 재료, 특히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2에서, 또한, 시스템(1), 특히 장치(2)가 컵(27)을 위한 지지체(26)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리고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는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작동 위치에서 지지체(26) 상에 위치되는 컵(27) 내로 연장되도록 프로스 완드 홀더(19)와 지지체(26)가 상호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일정량의 우유(28)가 제1 음료로서 도 2에 또한 표시되는 한편, 액체 커피는 또한 본 설명에서 제2 음료로 불리고, 일회용 프로스 완드(3)는 스팀 출구(24)가 우유 메니스커스(meniscus) 아래에 위치되도록 100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0 mm의 길이를 갖는다.
도 3a 내지 도 3l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의 시스템(1)을 사용하여 가열하고 프로싱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도 3a에서, 리드(31)가 폐쇄되는 장치(2)의 시작 또는 휴지(rest) 위치가 도시된다. 음료가 제조될 수 있는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스팀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약 90℃의 대기 온도(idle temperature)로 유지되도록 스팀 발생기 또는 서모 블록(4)이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도 3b에 도시된 제1 단계에서, 리드(31)가 회전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개방되어 프로스 완드 홀더(19)를 이른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배치하고, 컵(27)이 지지체(26) 상에 배치된다. 시스템은 이러한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서 스팀의 공급이 불능화되도록 배열된다. 컵(27)을 배치할 위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지체는 컵의 중심 또는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표시하는, 예컨대 시각 마킹과 같은 위치 지표(33)를 포함한다. 중심 위치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될 때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됨을 의미하며,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될 것이다. 도 3c에 도시된 제2 단계에서, 프로스 완드(3)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도록 프로스 완드(3)가 장치(2)의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이른바 작동 위치에서, 스팀 노즐(6)이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입구(20)와 연통한다. 도 3d에 도시된 제3 단계에서, 리드(31)가 폐쇄된다. 리드(31)는 프로스 완드(3)의 상부 에지와의 시일을 제공하는 그리고 또한 프로스 완드(3)의 클램핑을 제공하는 밀봉 수단(34)을 포함한다. 스팀 공급이 단지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위치된 후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드(31)가 폐쇄되었을 때에 가능해지도록 시스템이 배열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e에 도시된 제4 단계에서, 컵(27)이 우유(28)와 같은 제1 음료로,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출구(24)가 우유(28) 내로 연장되도록 프로스 완드(3) 상에 제공되는 충전 표시 마크(35)까지 충전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5 단계에서, 스팀 발생기(4)가 작동되고, 물을 추가로 데워 스팀을 생성하며, 이러한 스팀은 이어서 프로스 완드(3)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스팀 출구(24)를 거쳐 우유(28) 내에 공급된다. 스팀 공급 중에, 냉수가 냉수 저장소(7)(도 1)로부터 스팀 발생기(4)에 공급된다. 프로스 완드(3)에 대한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한 스팀의 이러한 공급 중에, 공기가 공기 슬롯(36)을 통해 스팀 내로 흡입된다. 스팀의 공급은 우유(28)의 가열 및 프로싱을 실현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우유(28)를 충분히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기간 동안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간이 경과된 후에,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6 단계에서 스팀 발생기(4)가 정지된다. 이어서, 제7 단계(도 3h)에서, 액체 커피 분배기(11)가 작동되고, 제1 음료와 상이한 제2 음료로서의 커피가 커피의 투입이 완료될 때까지(도 3i) 컵(27) 내에 추가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스팀 발생기(4)가 다시 작동되어 커피/우유 혼합물을 가열하고 프로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유를 컵(27)에 붓고 가열 및 프로싱하기 전에 커피가 컵 내로 분배되고 선택적으로 가열 및 프로싱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 단계에서, 리드(31)가 개방되고(도 3j에 화살표에 의해 표시됨), 최종적으로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도달하여, 프로스 완드(3)를 프로스 완드 홀더(19)로부터 해제시킨다. 프로스 완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스 완드 홀더(19)로부터 수동으로 취출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 프로스 완드(3)는 프로스 완드(3)가 해제된 후에 휘젓개로서 사용될 수 있고(도 3l), 사용자는 제조된 음료를 마신 후에 프로스 완드(3)를 폐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3)는 그것이 단지 1회 사용된 때 폐기된다. 특히 시스템이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빈도에 따라, 프로스 완드(3)가 1회를 초과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위생의 관점에서 프로스 완드가 사용되는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5회 미만이어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g에서, 도 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24)를 가진 일회용 프로스 완드(3)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때 프로스 완드는 그것이 컵(27)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다. 스팀 출구(24)는 1.5 mm의 직경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도 4b에 컵 내의 프로스 완드(3)의 중심 위치가 표시되는 한편, 도 4c 및 도 4d에는 컵(27)에 대한 프로스 완드(3)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가 표시된다. 반경방향 연장 슬롯(24)은 도 4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컵 벽에 어느 정도 접하게 연장되고, 도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벽으로 지향된다. 도시되지 않은 위치에서, 반경방향 슬롯(24)은 프로스 완드(3)가 중심을 벗어나 위치될 때 컵의 중심으로 지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팀 출구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프로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 대로 프로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f 및 도 4g에서 (화살표(2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6)의 높이가 조절가능한 경우에, 사용자는 지지체의 높이 및 그에 따라 프로스 완드, 특히 스팀 출구(24)가 침지되는 우유 내로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 대로 프로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에는 우유 내로의 프로스 완드(3)의 침지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들 자체의 두께를 각각 갖는 수개의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스 완드(3)는 스팀을 우유 내로 하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기울어질 수 있다. 컵을 기울임으로써 스팀의 이러한 하향 방향을 또한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a 내지 도 5f에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1.5 mm의 직경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24)를 포함하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3)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때 프로스 완드(3)는 그것이 컵(27)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다. 도 5b에 컵 내의 프로스 완드(3)의 중심 위치가 표시되는 한편, 도 5c에는 컵(27)에 대한 프로스 완드(3)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가 표시된다. 도 5e 및 도 5f에서 (화살표(2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6)의 높이가 조절가능한 경우에, 사용자는 지지체의 높이 및 그에 따라 프로스 완드, 특히 스팀 출구(24)가 침지되는 우유 내로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 대로 프로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에는 우유 내로의 프로스 완드(3)의 침지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들 자체의 두께를 각각 갖는 수개의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스 완드(3)는 스팀을 우유 내로 하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기울어질 수 있다. 컵을 기울임으로써 스팀의 이러한 하향 방향을 또한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가 프로스 완드(3)의 공기 입구(36)를 통해 스팀 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될 바와 같이, 공기가 장치(2) 내의 스팀 내로 이전에 도입될 수 있다. 도시의 편의상 이들 도면에서 스팀 노즐이 배제되었으며, 따라서 스팀 도관(5)이 프로스 완드(3)와 직접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프로스 완드와 맞물리는 것이 스팀 노즐인 것은 명백할 것이다.
도 7에서, 스팀 도관(5)에는, 스팀이 스팀 도관을 통과하고 있을 때 공기가 스팀 도관(5)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예컨대 스팀 도관(5) 내에 벤처(venture), 구멍 또는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수동) 공기 입구(37)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는 공기 오리피스(40)를 포함하는 능동 공기 입구 튜브(39)를 통해 공기 입구(37)에 연결되는 (다이아프램 펌프와 같은) 공기 펌프(38)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가 스팀 입구(37)를 통해 스팀 내로 능동적으로 펌핑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팀 도관(5)은 수동 공기 입구(41)뿐만 아니라 능동 공기 입구(42)에 연결되는 공기 펌프(38), 및 스팀 도관(5)을 수동 공기 입구(41)(도 8c) 또는 능동 공기 입구(42)(도 8b)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 위치로 변위가능한 밸브(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24)에 의해 우유 내로 분배되는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가 프로스 완드(3)의 공기 입구(36)를 통해 스팀 내로 도입된다. 도 5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프로스 완드(3)가 표시되고, 도 9a에서 공기 슬롯을 가진 이러한 프로스 완드(3)가 도시된다. 도 9a 내지 도 9g 및 도 13a 내지 도 13c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스 완드의 수개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3)는 스팀 출구(24)에 인접한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축 순환 슬리브(45)를 가진 다공성 요소(44)를 포함하며, 이러한 동축 순환 슬리브는 슬리브(45)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3)의 외벽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 채널을 형성하여,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을 실현한다. 순환 슬리브(45)가 프로스 완드(3)의 단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순환 슬리브가 작동 중에 순환을 달성하기 위해 우유 내로 쉽게 침지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순환 슬리브(45)는 물론 다공성 요소(44)가 없는 실시예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공기가 프로스 완드(3) 내의 공기 슬롯(36)에 의해 스팀 내로 도입되지만,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의 스팀 도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추가 튜브(46)가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출구 단부(24) 부근에서 튜브형 벽(21) 상에 배열된다. 공기 추가 튜브(46)는 공기 흡입 개구(47), 및 스팀 출구(24)로부터 분리되지만 스팀 출구(2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공기 출구 개구(48)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컵을 우유(28)로 충전하는 중에, 액체 레벨이 공기 추가 튜브(46)의 공기 흡입 개구(47) 위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공기 추가 튜브(46)는 공기를 우유(28) 내로 도입하기 위해 공기 슬롯(3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공기 추가 튜브(46)는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튜브(46)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3)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을 실현하도록, 추가의 공기를 우유(28) 내로 도입하기 위해 또는 흡입 개구(47)가 우유의 레벨 아래에 위치될 때 또는 사용 중에 우유의 레벨이 흡입 개구(47) 위로 상승하게 될 때 공기 슬롯(36)(도 9c에 가상선으로 표시됨)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3)는 중심 스팀 채널(25), 및 튜브형 벽(21)을 둘러싸고 튜브형 벽과 공기 흡입 개구(47) 및 공기 출구 개구(48)를 갖는 링(ring) 형상의 공기 채널(50)을 형성하는 동축 튜브(49)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 개구(47)가 선택적으로 장치(2) 내에 존재하는 공기 펌프에 연결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e 내지 도 9g에서, 교반을 개선하기 위해 스팀 출구 단부(24)에 블레이드(51)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3)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블레이드(51)는 비대칭으로(도 9g) 또는 대칭으로(도 9e 및 도 9f) 형상화될 수 있다. 도 9e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3)는 또한 교반 중에 프로스 완드(3)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52), 예를 들어 대칭 그립, 또는 프로스 완드를 각각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배치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53)(도 9f 및 도 9g), 예를 들어 비대칭 그립을 포함한다. 도 9f 및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3)의 실시예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시트(29) 내에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상부 플랜지(53)를 스팀 입구 단부에 포함하며, 여기서 상부 플랜지(54)는 밀봉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평평한 단부 면(54A)을 갖는다. 프로스 완드가 그 내부에 유지될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구성에 따라, 프로스 완드(3)는 또한 상부 플랜지(54)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55)(도 9f, 도 9g 및 도 1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 및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의 실시예의 외경이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값을 갖지만, 프로스 완드의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의 외경이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21)은 스팀 입구 단부, 특히 상부 플랜지(54) 또는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56, 56A, 56B)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분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다. 이러한 부분은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정합하는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유극 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4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되도록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2)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 홀더(19)에 대한 대안적인 프로스 완드 홀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프로스 완드 개구(30)를 가진 시트(19)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도시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 개구(30)를 가진 시트(29)가 장치(2)의 하우징(2A) 외부에 위치되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된다. 프로스 완드(3)를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배치한 후에(도 10b), 시트(29)가 하우징(2A)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손잡이(57)에 의해, 이제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리드(31)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와 유사하게 폐쇄될 수 있다.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는 도 11a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실시예에서, 시트(29)는 반경방향 슬롯(30A)을 포함하며, 이러한 반경방향 슬롯은 프로스 완드를 시트의 측부로부터 반경방향 슬롯(30A)을 통해 변위시킴으로써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 특히 시트(29)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30)(파선에 의해 표시됨)가 장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지 않은 작동 위치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 홀더의 리드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장치(2)의 전방으로부터 반경방향 슬롯(30A)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드(31)는, 장치의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거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할 수 있는 챔버 부분(2B)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 홀더의 리드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리드(31)가 폐쇄됨에 따라 시일(34)에 의해 클램핑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과 클램핑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의 밀봉과 별개로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시키기 위한 임의의 다른 알려진 클램핑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클램핑 메커니즘(58)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4b에 개시된다. 클램핑 메커니즘(58)은 프로스 완드 개구(30)(실선에 의해 표시됨)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파선에 의해 표시되는 프로스 완드 개구 외부의 작동 위치(59')로 변위되도록 배열되는 이동가능 맞물림 부분(59)을 포함한다. 클램핑 메커니즘(58)은 또한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59, 59')에 결합되는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61)를 통해 함께 결합되는 2개의 이동가능 클램핑 아암 또는 부분(60, 60A)을 포함한다.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59)은, 맞물림 부분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부분의 아암(60, 60A)이 프로스 완드를 해제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해제 위치(RP)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맞물림 부분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즉 맞물림 부분(59A)이 프로스 완드에 의해 맞물리고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삽입함으로써 내향으로 밀릴 때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CP)로 위치되도록, 아암(60, 60A)에 결합된다. 프로스 완드 자체를 클램핑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로서 사용하는 대신에, 장치(2)는 클램핑 메커니즘을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 또는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위치시키는 별개의 클램핑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클램핑 작동기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그리고 그것이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클램핑 메커니즘을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로 동시에 그리고 자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손잡이(57) 또는 리드(31)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클램핑 메커니즘은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작동 위치에서 클램핑하도록 배열된다.
도 12a 내지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또한 반경방향 슬롯(30A)을 가진 시트(29)를 포함하며, 이러한 반경방향 슬롯은 프로스 완드를 시트의 전방으로부터 반경방향 슬롯(30A)을 통해 변위시킴으로써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 특히 시트(29)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됨)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30)가 장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지 않은 작동 위치(도 12c에 도시됨)로 회전가능하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시트(29)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57')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3)를 프로스 완드 홀더(19)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6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 방출기(62)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반경방향 슬롯(30A)을 통해 프로스 완드(3)를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의 시트(29)는 시트(29)의 정지 단부(29A)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시트 가이드(seat guide)(64)의 정지 표면(63)으로부터 이격되는 도 12d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정지 단부(29A)가 정지 표면(63)에 맞닿는 작동 위치까지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변위는 중심 보스(centre boss)(29D)를 통해 시트(2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시트 부분(29B)(도 12e)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상부 시트 부분(29B) 내에, 시트(29)에 고정되는 슬라이더(slider)(29C)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슬롯(29E)이 제공된다. 손잡이(57')의 작동에 의한 상부 시트 부분(29B)의 회전시, 슬롯(29D)의 측부 에지가 슬라이더(29C)와 맞물리며, 그 결과 시트(29)가 도 12d에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변위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시트 가이드(64)는, 보스(67)가 그 내부에 수용되고 시트(29)의 이동 중에 변위될 수 있는 2개의 캠 트랙(cam track)(65, 66)을 포함한다. 보스(67)는 아암(68)을 통해 회전축(69)에 연결되며, 프로스 완드 방출기(62)(아암으로서 형상화됨)가 또한 회전축(6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프링(70)에 의해 로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70)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보스(67)가 트랙(65) 내에서 안내되는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로딩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부터 보스(67)가 트랙(66) 내에서 안내되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될 때 프로스 완드를 반경방향 슬롯(30A)으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해 방출기 아암(62)을 작동시키도록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가 자동으로 방출된다. 시스템은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스팀이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된 후 또는 예컨대 적합한 각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주어지는 시스템에 대한 특정 명령시에만 시트(29)가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해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프로스 완드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될 때 수행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가 손잡이의 적용에 의해 프로스 완드 홀더의 시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가 스팀이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된 후에만 이루어지고, 그 후에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드(31)는 작동 위치에서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과 노즐(6)(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연장됨)의 연통을 보장하는 도관(31A)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노즐(6)이 예컨대 또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가 예를 들어 도 14a 내지 도 14d에 개시된다. 이들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팀 노즐(6)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2)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4d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팀 노즐(44)은 또한 그것이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채널(25)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된다. 스팀 노즐(6)은 스팀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벽의 내측 표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시일(71)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노즐(44)은 역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튜브(72)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리드의 일부 또는 리드의 대체물로서) 이러한 가이드 튜브(72)가 우선 하강되어, 프로스 완드의 상부 플랜지(54)에 맞대어져 밀봉하고, 클램핑 수단(58)에 의해 실현되는 클램핑에 더하여 클램핑을 제공한다(도 14c). 그 후에, 도 1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팀 노즐(6)이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 내로 하강되며, 그 후에 스팀이 스팀 노즐과 스팀 채널에 그리고 그들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계획(schedule)의 제1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장치는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팀 발생기(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트롤러(73)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73)는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냉수 펌프(1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밸브를 각각의 연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밸브(4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자기적으로 제어되는 프로스 완드 방출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컨트롤러(73)는 또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시스템은 또한 하기의 셸프 구성요소(shelf component), 즉 역류 방지 밸브(non-return valve)(74), 공기 제한기(air restrictor)(75), 덕빌 밸브(duck-bill valve)(76), 추가의 서모 블록(77) 및 스팀 전달 밸브(78), 수량계(water flow meter)(79), 스팀 덤프 밸브(steam dump valve)(80), 응축기(81) 및 스팀 충전 밸브(82)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제2 구성 계획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스팀 펌프(83)와 압력 조절기(84)가 도시된 방식으로 포함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양쪽 시스템은 또한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는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3)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7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컨트롤러(73)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전자기적으로 작동가능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정지시키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는 또한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프로스 완드 삽입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3)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러(73)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고 컨트롤러(73)가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스팀 발생기(4)를 정지시켰음을 나타낼 때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컨트롤러(73)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배열되고/되거나,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에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계획에서, 장치는 또한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86)를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86)는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7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컨트롤러(73)는 적어도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계획에서, 시스템, 특히 장치는 또한 컵(27) 내의 프로스(28A)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프로스 온도 센서(87)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87)는 측정된 프로스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7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로스 온도 센서는 컵(27) 위에(87A), 컵(27)의 상부 에지(27A) 위에서 컵(27) 옆에(87B), 또는 컵(27)의 상부 에지(27A) 아래에서 컵 옆에(87C)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도 17 참조)을 포함한다. 이어서, 프로스(28A)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프로스(28A)로부터 소리를 기록하는 것, 및 컨트롤러(73)에 저장된 적합한 알고리즘에 의해 기록된 소리로부터 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컨트롤러(73)가 스팀 발생기(4)를 정지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73)는 각각의 센서(79, 85, 86, 87)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료를 가열 및 프로싱하고 제조하는 방법을 제어한다.

Claims (160)

  1.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스 완드(froth wand)를 포함하고,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스팀 발생기(steamer), 상기 스팀 발생기를 스팀 노즐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steam conduit), 및 프로스 완드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froth wand hold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상기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상기 스팀 입구와 상기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하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이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상기 스팀 노즐이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입구와 연통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의 작동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상기 튜브형 벽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에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1.0 mm 내지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또는 상기 스팀 출구 내에 다공성 요소(porous element)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채널은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thermal mass)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길이는 100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0 mm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출구 단부에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상화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상화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에 그립(grip)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상화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상화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에 상부 플랜지(upper flange)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는 평평한 단부 면을 갖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retention flange)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의 외경이 상기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상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공기 개구,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기 슬롯(air slot)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상기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프로스 완드를 상기 작동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되도록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회전가능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 시트(horizontal seat)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시트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시트는 상기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개방되는 반경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메커니즘(clamping mechanism)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2. 제29항 및 제31항 또는 제30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idle position)로부터 상기 프로스 완드 개구 외부의 작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배열되는 이동가능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부분이 상기 프로스 완드를 해제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부분이 상기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3. 제25항 및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클램핑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분은 상기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변위되도록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작동기와 협동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프로스 완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froth wand ejector)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5. 제30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상기 반경방향 슬롯을 통해 상기 프로스 완드를 방출하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6. 제25항 및 제34항 또는 제25항 및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스프링 작동식 방출기 아암(spring actuated ejector arm)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로딩되고(loaded),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방출기 아암을 작동시키도록 해제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7. 적어도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수평 시트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lid)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도관은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능동 공기 입구 튜브(active air inlet tube)를 통해 상기 공기 입구에 연결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공기 입구 튜브는 공기 오리피스(air orifice)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는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2. 제38항 및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도관은 수동 공기 입구(passive air inlet)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펌프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되고,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스팀 도관을 상기 수동 공기 입구 또는 상기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 위치로 변위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냉수를 위한 저장소, 냉수 도관, 및 냉수를 상기 스팀 발생기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채널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설정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상기 스팀 채널을 둘러싸는 상기 튜브형 벽의 내측 표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시일(seal)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음료의 적어도 일부로서 액체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커피 분배기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팀 발생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49. 제39항 및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공기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0. 제43항 및 제48항 또는 제43항 및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냉수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1. 제42항 및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밸브를 각각의 연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2. 제34항 및 제48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정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4. 적어도 제25항, 제48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또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상기 스팀 발생기를 정지시켰음을 나타낼 때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5. 제54항 및 제48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상기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6.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에만 상기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7. 제48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상기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59. 제1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은 컵을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와 지지체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 상에 위치되는 컵 내로 연장되도록 상호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되는, 상기 컵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position indicator)들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되는, 상기 컵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들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2. 제48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5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컵 내의 프로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프로스 온도 센서(froth temperatur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측정된 프로스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온도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컵 위에, 상기 컵의 상부 에지 위에서 상기 컵 옆에, 또는 상기 컵의 상기 상부 에지 아래에서 상기 컵 옆에 위치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5. 제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충전 표시 마크(fill indication mark)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66.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로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를 스팀 노즐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 및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의 작동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상기 작동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68. 제66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되도록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회전가능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1. 제66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 시트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시트는 프로스 완드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시트는 상기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개방되는 반경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4. 제66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5. 제72항 및 제74항 또는 제73항 및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프로스 완드 개구 외부의 작동 위치로 변위되도록 배열되는 이동가능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해제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에 결합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6. 제68항 및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클램핑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로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부분은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변위되도록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램핑 작동기와 협동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7. 제6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8. 제73항 및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상기 반경방향 슬롯을 통해 프로스 완드를 방출하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79. 제68항 및 제77항 또는 제68항 및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는 스프링 작동식 방출기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로딩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방출기 아암을 작동시키도록 해제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0. 적어도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는 상기 수평 시트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1. 제66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도관은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능동 공기 입구 튜브를 통해 상기 공기 입구에 연결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공기 입구 튜브는 공기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4. 제82항 또는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는 다이아프램 펌프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5. 제81항 및 제82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도관은 수동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펌프는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되고,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스팀 도관을 상기 수동 공기 입구 또는 상기 능동 공기 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연결 위치로 변위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6. 제66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냉수를 위한 저장소, 냉수 도관, 및 냉수를 상기 스팀 발생기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7. 제66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노즐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벽의 내측 표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시일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89. 제66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음료의 적어도 일부로서 액체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커피 분배기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0. 제66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팀 발생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1. 제82항 및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공기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2. 제86항 및 제90항 또는 제86항 및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냉수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3. 제85항 및 제9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밸브를 각각의 연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4. 제77항 및 제90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5. 제94항에 있어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정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6. 적어도 제68항, 제90항 및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또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상기 스팀 발생기를 정지시켰음을 나타낼 때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7. 제96항 및 제90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상기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8. 제94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신호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에만 상기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99. 제90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는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상기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1. 제6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컵을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와 지지체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 상에 위치되는 컵 내로 연장되도록 상호 배열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되는, 상기 컵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들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3.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프로스 완드가 상기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되는, 컵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표들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4. 제90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10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컵 내의 프로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프로스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측정된 프로스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온도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106.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로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상기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상기 스팀 입구와 상기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하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인, 프로스 완드.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스 완드.
  108. 제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상기 튜브형 벽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스 완드.
  109. 제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에 배열되는, 프로스 완드.
  110. 제10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1.0 mm 내지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인, 프로스 완드.
  111. 제109항 또는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또는 상기 스팀 출구 내에 다공성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12. 제106항 내지 제1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채널은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 프로스 완드.
  113. 제106항 내지 제1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 프로스 완드.
  114. 제106항 내지 제1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스 완드.
  115. 제106항 내지 제1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길이는 100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0 mm인, 프로스 완드.
  116. 제106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출구 단부에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17.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18.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19. 제106항 내지 제1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에 그립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20.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21.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22. 제106항 내지 제1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에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23. 제1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는 평평한 단부 면을 갖는, 프로스 완드.
  124. 제122항 또는 제1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25. 제106항 내지 제1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의 외경이 상기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상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하는, 프로스 완드.
  126. 제106항 내지 제1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27. 제106항 내지 제1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공기 개구,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기 슬롯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28. 제106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상기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프로스 완드.
  129. 제106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충전 표시 마크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30. 제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프로스 완드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의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시키되,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유지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스팀 노즐이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입구와 연통하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 내의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스팀을 상기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스팀이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사전결정된 횟수만큼 통과한 후에 상기 프로스 완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스 완드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1.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횟수는 5회 미만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2.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결정된 횟수는 1회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3. 제130항, 제131항 또는 제1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된 후에만 가능해지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4. 적어도 제25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장치의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될 때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팀을 상기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후에 그리고 상기 프로스 완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5. 적어도 제26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6. 적어도 제31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4항 또는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의 상기 작동 위치에서 클램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7. 적어도 제33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8. 적어도 제55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4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스팀 공급을 불능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9. 적어도 제56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3항과 조합되는 제134항 내지 제1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만 가능해지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0. 적어도 제34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의해 수행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1. 적어도 제37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지지체의 개구 내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리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팀 공급은 상기 리드가 폐쇄된 후에만 가능해지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2.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리드를 상기 프로스 완드 지지체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수행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3. 적어도 제22항 또는 제42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을 상기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중에, 공기가 상기 스팀 내로 흡입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4. 적어도 제39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을 상기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중에, 공기가 상기 스팀 내로 펌핑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5. 적어도 제43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는 냉수를 상기 스팀 발생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6. 적어도 제45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팀을 상기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하는 단계 전에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될 때 상기 스팀 노즐을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입구 내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7. 적어도 제57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8. 적어도 제59항에 따른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프로스 완드가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되기 전에 컵을 상기 프로스 완드 홀더 아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9.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컵을 우유와 같은 제1 음료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0. 적어도 제65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컵을 제1 음료로 충전하는 단계 중에, 상기 컵은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출구가 상기 제1 음료 내로 연장되도록 상기 충전 표시 마크까지 충전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1. 제130항 내지 제1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순환 채널을 가진 프로스 완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채널은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상기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방법은 예컨대 상기 순환 채널 내에서의 상기 음료의 순환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순환 채널을 상기 음료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2. 제150항 또는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팀이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상기 제1 음료 내로 통과한 후에 제2 음료를 상기 컵 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3. 제150항 또는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스팀이 상기 프로스 완드를 통해 상기 제1 음료 내로 통과하기 전에 제2 음료를 상기 컵 내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4. 제152항 또는 제1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료는 상기 제1 음료와 상이한,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5. 제47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료는 커피인,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6. 제130항 내지 제1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가 해제된 후에 상기 프로스 완드를 휘젓개(stirrer)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7. 제60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적어도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컵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8. 제61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적어도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스 완드가 상기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되도록 상기 컵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59. 제62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30항 내지 제1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컵 내의 상기 프로스의 상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60. 제63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는 제15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의 상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스로부터 소리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소리로부터 상기 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7002823A 2015-07-01 2016-06-30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514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5068A NL2015068B1 (en) 2015-07-01 2015-07-01 A system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a device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suitable for being used in such a system, a froth wand suitable for being used in such a system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such a system.
NL2015068 2015-07-01
PCT/NL2016/050465 WO2017003289A2 (en) 2015-07-01 2016-06-30 A system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a device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suitable for being used in such a system, a froth wand suitable for being used in such a system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such 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924A true KR20180022924A (ko) 2018-03-06
KR102514275B1 KR102514275B1 (ko) 2023-03-27

Family

ID=5507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823A KR102514275B1 (ko) 2015-07-01 2016-06-30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11213161B2 (ko)
EP (3) EP3666135B1 (ko)
JP (1) JP6936740B2 (ko)
KR (1) KR102514275B1 (ko)
CN (2) CN112438603B (ko)
AU (3) AU2016286167B2 (ko)
BR (1) BR112017028439B1 (ko)
CA (1) CA2990767A1 (ko)
DK (2) DK3666135T3 (ko)
ES (2) ES2938045T3 (ko)
IL (1) IL256668B (ko)
NL (1) NL2015068B1 (ko)
PL (2) PL3316746T3 (ko)
RU (1) RU2710770C2 (ko)
WO (1) WO20170032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1717A1 (it) * 2018-01-24 2019-07-24 De Longhi Appliances Srl Dispositivo per il riscaldamento e l’emulsione di bevande
FR3083069B1 (fr) * 2018-06-28 2020-07-17 Seb S.A. Dispositif d'agitation rotatif de machine de preparation de boissons equipe d'un clapet anti-retour
US11058250B2 (en) * 2018-09-06 2021-07-13 Starbucks Corporation Apparatus for foaming a beverage
GB2579086B (en) * 2018-11-20 2022-11-16 Douwe Egberts Bv Froth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GB2580183B (en) 2018-12-24 2022-11-30 Douwe Egberts Bv A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GB2598076B (en) * 2019-06-14 2023-02-08 Douwe Egberts Bv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methods of connecting steam wands thereto
GB2590699B (en) 2019-12-24 2023-12-06 Douwe Egberts Bv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CN113854834A (zh) * 2020-06-30 2021-12-3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奶泡打发装置及包含其的咖啡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1299A1 (en) * 2009-04-20 2010-10-28 Sunbeam Corporation Limited Steam wand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1333A (en) * 1994-02-28 1996-02-13 Electro-Pro, Inc.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detects the presence and size of a cup and provides automatic fill control
DE19638355C2 (de) 1996-09-19 1998-08-20 Gaggenau Werke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Siede- und Kochpunktes eines in einem Gargefäß aufgenommenen Kochguts
US6100518A (en) * 1998-06-23 2000-08-08 Miller; Benjamin 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liquid into a receptacle
US6118104A (en) 1999-03-19 2000-09-1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oil state detection based on acoustic signal features
DE60118174T2 (de) * 2000-05-19 2007-01-04 Rancilio Macchine Per Caffe' S.P.A., Villastanza Di Parabiago Vorrichtung zum aufschaümen und erhitzen vo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milch
GB2374856B (en) 2001-04-27 2004-11-03 Mars Uk Ltd Production of edible foams
US6786138B2 (en) * 2002-01-16 2004-09-07 Boyd Coffee Company Device for preparing milk froth for cappuccino
AU2002309254A1 (en) * 2002-05-06 2003-11-17 Cimbali, S.P.A. Device for heating and working up milk
US9049961B2 (en) 2003-12-22 2015-06-09 Koninklijke Philips N.V. Liquid cartridge for use in a beverage system
ITMI20040777A1 (it) * 2004-04-21 2004-07-21 De Longhi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a base di latte
DE102005010601A1 (de) * 2004-05-18 2006-09-07 Eimer, Klaus, Dipl.-Ing. Vorrichtung zum Aufschäumen von Milch mit integrierter Milchansaugung und direkter Ankoppelung an die Dampfzuleitung
EP1746920B1 (de) * 2004-05-18 2010-04-14 Nestec S.A. Vorrichtung zum aufschäumen von milch mit externer milchansaugung
DE102004024721A1 (de) * 2004-05-19 2005-12-15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ufschäumen einer Flüssigkeit
ATE396636T1 (de) * 2005-04-25 2008-06-15 Nestec Sa Aufschäumvorrichtung mit schaumstromregelung
DE202005011476U1 (de) 2005-07-21 2005-10-27 Eugster/Frismag Ag Kaffeeautomat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und arretierbaren Auslaufeinheit
ITFI20050169A1 (it) * 2005-07-27 2007-01-28 Saeco Ipr Ltd Circuito idraulico per macchine da bevande espresso, valvola di scarico e sicurezza per detto circuito e relativo metodo per produzione di bevande espresso
DE102005055124A1 (de) * 2005-11-18 2007-05-24 Tchibo Gmbh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Schaum
EP1955623A1 (en) 2005-11-29 2008-08-13 Sanden Corporation Liquid food heating apparatus and steam jet nozzle for liquid food heating apparatus
ATE394977T1 (de) 2005-12-22 2008-05-15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Vorrichtung zum erhitzen einer flüssigkeit mit dampf
ITTO20060089U1 (it) * 2006-06-12 2007-12-13 Buzzi Srl Dispositiv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lde schiumose, particolarmente cappuccini e simili
CN2930548Y (zh) * 2006-07-13 2007-08-08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牛奶自动起泡装置
WO2008049162A1 (en) * 2006-10-24 2008-05-02 Brando International Limited Protective sheath
DE102009025986A1 (de) * 2009-06-17 2011-03-31 Cafina Ag Einrichtung zum Erwärmen und Aufschäumen von Milch
ITFI20090248A1 (it) * 2009-11-25 2011-05-26 Saeco Ipr Ltd "macchina da caffe' "
DE102010007143B4 (de) * 2010-02-05 2013-08-22 Eugster/Frismag Ag Kaffeemaschine mit einer Schäumvorrichtung und Mitteln zum Reinigen der Schäumvorrichtung und einer Milchansaugleitung sowie Verfahren zum Spülen der Milchansaugleitung
ITTV20100024A1 (it) * 2010-02-25 2011-08-26 Mixarte Srl Dispositivo per erogazione di vapore o liquido monouso amovibile e suo gruppo meccanico di aggancio-sgancio.
EP2433527B1 (en) * 2010-09-28 2013-04-03 Gruppo Cimbali S.p.A. Improved automatic milk frothing wand
CN103476265A (zh) * 2011-03-23 2013-12-25 Imi科尼利厄斯公司 热/冷饮料分配器和方法
US10383474B2 (en) * 2011-05-10 2019-08-20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chine with overflow feature
DE102011077776B4 (de) * 2011-06-17 2013-11-1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Aufschäumen eines Getränkeprodukts
EP2570059A1 (en) * 2011-09-16 2013-03-20 Nestec S.A.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R2984707B1 (fr) * 2011-12-22 2014-10-17 Seb Sa Dispositif demontable pour rechauffer et emulsionner un liquide et machine equipee d'un tel dispositif
CN202714725U (zh) * 2012-08-08 2013-02-06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奶泡机
US9060647B2 (en) * 2012-11-02 2015-06-23 Whirlpool Corporation Frothing device for an espresso machine
CH707603A1 (de) 2013-02-12 2014-08-15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und/oder Steuern eines Getränkebereiters sowie Getränkebereit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8991795B2 (en) * 2013-03-15 2015-03-31 Briggo, Inc. Frothing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364117B2 (en) * 2013-08-30 2016-06-14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Method for regulating flow rate in an espresso machine
US9433318B2 (en) * 2013-08-30 2016-09-06 Seattle Espresso Machine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flow rate in an espresso machine
CN203468337U (zh) * 2013-10-08 2014-03-12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起泡装置
WO2016025992A1 (en) * 2014-08-20 2016-02-25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ker
NL2015070B1 (en) * 2015-07-01 2017-01-30 Douwe Egberts Bv A froth wand.
WO2020000005A1 (de) 2018-06-26 2020-01-02 Pankowski Irina Teleskopartig zusammenschiebbares trinkgefäss sowie hand- und transportschutz für das trinkgefä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1299A1 (en) * 2009-04-20 2010-10-28 Sunbeam Corporation Limited Steam w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6668A (en) 2018-02-28
PL3666135T3 (pl) 2023-03-20
US20220079375A1 (en) 2022-03-17
RU2710770C2 (ru) 2020-01-13
IL256668B (en) 2021-12-01
BR112017028439B1 (pt) 2022-07-05
BR112017028439A2 (pt) 2018-08-28
CN107735003A (zh) 2018-02-23
AU2016286167A1 (en) 2018-02-15
CN112438603A (zh) 2021-03-05
US20180310752A1 (en) 2018-11-01
US11213161B2 (en) 2022-01-04
JP2018519113A (ja) 2018-07-19
EP3666135B1 (en) 2022-11-02
ES2938045T3 (es) 2023-04-04
RU2018103746A (ru) 2019-08-02
ES2787712T3 (es) 2020-10-16
CN112438603B (zh) 2022-11-18
DK3316746T3 (da) 2020-04-14
JP6936740B2 (ja) 2021-09-22
DK3666135T3 (da) 2023-02-06
AU2021286346B2 (en) 2023-11-02
AU2021286348A1 (en) 2022-01-20
WO2017003289A3 (en) 2017-05-04
EP3316746A2 (en) 2018-05-09
AU2021286346A1 (en) 2022-01-20
PL3316746T3 (pl) 2020-07-13
KR102514275B1 (ko) 2023-03-27
EP3673776A1 (en) 2020-07-01
EP3316746B1 (en) 2020-02-12
EP3666135A1 (en) 2020-06-17
AU2016286167B2 (en) 2021-09-16
US20220079374A1 (en) 2022-03-17
NL2015068B1 (en) 2017-01-30
CA2990767A1 (en) 2017-01-05
CN107735003B (zh) 2020-12-11
RU2018103746A3 (ko) 2019-08-02
WO2017003289A2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2924A (ko)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AU2016286168B2 (en) A froth wand.
EP2682027B1 (en) Container for brewed beverage appliance
JP6835845B2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JP2017537718A (ja) 自動的なコーヒーメーカ及び抽出飲料を調製する方法
JPH08336463A (ja) 飲料抽出装置
AU2014203154A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