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54A - 제함기 - Google Patents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54A
KR20180021654A KR1020170105701A KR20170105701A KR20180021654A KR 20180021654 A KR20180021654 A KR 20180021654A KR 1020170105701 A KR1020170105701 A KR 1020170105701A KR 20170105701 A KR20170105701 A KR 20170105701A KR 20180021654 A KR20180021654 A KR 2018002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upport member
panel
hous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마사 노자와
미츠아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교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교와
Publication of KR2018002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성형 장치를 몸통부의 내측에 삽입하지 않고 몸통부를 다른 형상을 갖는 다각형으로 개함하는 것이 가능한 제함기를 제공한다.
함체(2)를 접혀진 상태로부터 8각통형의 몸통부를 가지도록 개방하는 제함기(1)로서, 상부 플랩(2U)에 착탈하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설치되어 후방 패널(2PE)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18)와, 상부 플랩(2U)에 착탈하는 제2 걸어맞춤 장치(35)가 설치되어 좌측 패널(2PC)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19)를 갖는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그 지지 장치가 지지 부재를 지지 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 장치(25, 35)의 상대적인 배치가 편평하게 접혀진 함체의 걸어맞춤 장치에 대응하는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폐쇄 형태와, 지지 부재에 설치된 걸어맞춤 장치의 상대적인 배치가 개함 상태의 함체의 걸어맞춤 장치에 대응하는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개방 형태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제함기{Box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각통형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하연(下緣)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 플랩과, 몸통부의 상연(上緣)에 설치된 복수의 상부 플랩을 갖는 함체를 제함하는 제함기(製函機)에 관한 것이다.
다각통형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하연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 플랩과, 몸통부의 상연에 설치된 복수의 상부 플랩을 가지며, 몸통부의 단면이 8각형이 되는 함체를 평면상의 접혀진 상태로부터 입체의 함형으로 제함하는 제함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평면상의 접혀진 상태로부터 입체의 함형으로 제함하기 위해 제함기가 행하는 제함 공정은, 접혀진 상태로부터 몸통부를 4각통형으로 개함하는 개함 공정과, 4각통형의 함체를 8각통형으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포함한다. 성형 공정에서는, 몸통부의 내측에 케이스 성형 장치가 삽입되고, 케이스 성형 장치가 확대 개방되어 몸통부가 내측으로부터 눌려 벌어짐으로써 몸통부가 8각통형이 되는 상태로 성형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4813호 공보
그러나, 성형 공정에서는, 케이스 성형 장치를 몸통부의 내측까지 삽입하고, 성형 공정 후 케이스 성형 장치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퇴피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 성형 장치를 몸통부에 출입시키기 때문에 제함기가 대형화됨과 동시에, 케이스 성형 장치의 몸통부에의 출입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을 감안하여, 성형 장치를 몸통부의 내측에 삽입하지 않고 몸통부를 다각통형이 되도록 개함하는 것이 가능한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로 연장되고 접이선을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 복수의 측판을 구비한 8각통형의 몸통부(2P)와, 상기 몸통부의 상연에 설치된 복수의 상부 플랩(2U)과, 상기 몸통부의 하연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 플랩(2L)을 갖는 함체(2)를, 상기 몸통부가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몸통부가 통형을 이루는 개함 상태로 하는 개함 장치(10, 201)를 구비한 제함기(1, 200)로서, 상기 몸통부의 상기 측판, 상기 측판의 상연에 설치된 상부 플랩 및 상기 측판의 하연에 설치된 하부 플랩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장치(25, 35, 25, 45)가 설치된 2개의 지지 부재(18, 19)를 갖는 지지 장치(1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장치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장치가 상기 측판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측판을 지지하고, 상기 2개의 지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상기 측판을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 2개의 상기 측판(2PE, 2PC, 2PE, 2PA)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장치의 상대적인 배치가 편평하게 접혀진 상기 함체의 상기 걸어맞춤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폐쇄 형태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장치의 상대적인 배치가 상기 개함 상태의 상기 함체의 상기 걸어맞춤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개방 형태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8각통형의 몸통부를 갖는 함체의 측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판을 개재하여 접속하는 2개의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가 각각 개함 상태의 함체에 대응하는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함체가 8각통형의 몸통부를 가지도록 변형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하부 플랩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가 상기 하부 플랩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형된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개함 장치에 의해 함체가 개함 상태가 된 후 함체의 하부 플랩을 절곡함으로써, 함체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12)가, 제1 측판(2PE)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18)와, 상기 제1 측판에 하나의 중간 측판(2PD)을 개재하여 접속하는 제2 측판(2PC)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19)를 가지며,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에 있을 때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개방 형태에 있을 때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각도를 가지도록 개방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걸어맞춤 장치(25)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걸어맞춤 장치(35)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시키는 구동 장치(28)를 가지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로부터 상기 개방 형태로 변형될 때에,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구동 후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제1 측판과, 제1 측판에 직접 접속된 중간 측판과, 제2 측판이 서로 각도를 이루도록 몸통부가 개방되어 함체의 몸통부가 8각통형이 되도록 변형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의 개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서로 근접한 측의 단부를 근위단(近位端)으로 하고, 서로 떨어진 측의 단부를 원위단(遠位端)으로 한 경우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구동 후 위치는 상기 초기 위치보다 원위단 측에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중간 측판이 제1 측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중간 측판이 제2 측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함체의 몸통부가 8각통형이 되도록 변형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원위단 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장치(38)를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몸통부를 개방한 후에 제2 걸어맞춤 장치가 바이어스 장치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 개함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원위단 측의 이동 한계를 정하는 스토퍼(39)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원위단 측의 이동 한계를 변경 가능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제2 걸어맞춤 장치에 의해, 몸통부를 개방한 후에 제2 걸어맞춤 장치가 바이어스 장치에 의해 되돌아가는 위치가 정해진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베이스(14),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1세트의 동일 길이의 요동 링크(16) 및 상기 요동 링크 각각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중간 링크(17)를 구비한 평행 링크 기구(12)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요동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중간 링크의 한쪽에 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폐쇄 형태와,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각도를 가지도록 개방된 개방 형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개방 형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이 대략 90도이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이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다각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측판의 상기 제1 측판쪽의 접이선 또는 상기 제2 측판쪽의 접이선이 상기 접혀진 상태에서의 상기 몸통부의 측연(側緣)을 이루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접혀진 상태에서 형성된 접이선을 걸터서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대략 90도로 개방하였을 때에 몸통부의 단면이 대략 4각형상이 되기 쉽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평행한 2장의 판재(2F, 2B)와 이들사이에 끼워진 파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심(2M)을 구비한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랩의 상측 단면에 상기 중심의 파형상의 단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는, 상기 제1 측판의 상연에 설치된 제1 상부 플랩(2UC)의 단면에 꽂히는 핀(27)을 가지며,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35, 45)는, 상기 제2 측판의 상연에 설치된 제2 상부 플랩(2UB, 2UA)의 단면에 꽂히는 핀을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중심의 중공 부분에 핀을 끼워넣음으로써, 제1 걸어맞춤 장치와 제2 걸어맞춤 장치는 각각 제1 상부 플랩과 제2 상부 플랩에 각각 걸어맞춤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로부터 상기 개방 형태로 변형될 때에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상기 구동 후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측판이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중간 측판이 제1 측판 및 제2 측판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배치되고, 3개의 측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되도록 몸통부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로부터 상기 개방 형태로 변형될 때에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를 4각통형으로 성형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4각통형 및 8각통형 어느 것으로도 개함 가능한 제함기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를 소정의 폭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8각통형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61)를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몸통부의 단면이 8각형이 되는 함체를 4각통형으로 개함한 후 8각통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하부 플랩을 걸어멈춤하고 상기 하부 플랩을 절곡하면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소정의 폭방향으로 펼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하부 플랩을 절곡하면서 몸통부가 8각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측판의 외면에 흡착되고 상기 측판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소정의 폭방향으로 펼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몸통부의 측판을 펼침으로써 몸통부가 8각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성형 장치를 몸통부의 내측에 삽입하지 않고 몸통부를 8각형으로 개함하는 것이 가능한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측면도
도 2의 (A)는 8각형 함의 봉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8각형 함의 블랭크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C)는 8각형 함의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의 (D)는 8각형 함의 4각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E)는 4각통 상태의 단면도
도 4의 (F)는 8각형 함의 개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G)는 개함 상태의 단면도, (H)는 8각형 함의 바닥이 짜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의 (A)는 흐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접이선을 갖는 골판지 시트의 흐름 방향의 단면도, (B)는 흐름 방향의 접이선을 갖는 골판지 시트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도
도 6의 (A)는 4각형 함의 봉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4각형 함의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C)는 4각형 함의 개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D)는 4각형 함의 바닥이 짜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지지 장치가 폐쇄 형태일 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지지 장치가 개방 형태이고 함체를 8각통형으로 개함할 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지지 장치가 폐쇄 형태일 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지지 장치가 개방 형태이고 함체를 8각통형으로 개함할 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지지 장치가 개방 형태이고 함체를 8각통형으로 개함할 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절곡 장치의 하부 플랩을 절곡하기 (A) 전 및 (B) 후의 정면도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성형 장치의 성형을 행하기 (A) 전 및 (B) 후의 평면도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성형 장치의 성형을 행하기 (A) 전 및 (B) 후의 배면도
도 1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반송 장치 및 교정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교정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7은, 지지 장치가 개방 형태이고 함체를 4각통형으로 개함할 때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지지 장치가 폐쇄 형태일 때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평면도
도 19는, 지지 장치가 개방 형태이고 함체를 8각통형으로 개함할 때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의 개함 장치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함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함체)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1)에 의해 제함되는 함체는 다각형 함이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8각형 함(2)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4각형 함(3)을 포함한다. 각 함체는, 상하로 연장되는 다각통형의 몸통부(P)와, 몸통부(P)의 상연과 하연에 각각 설치된 상부 플랩(U)과 하부 플랩(L)을 가진다.
(8각형 함)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형 함(2)은, 축선이 상하로 연장되는 8각통형의 몸통부(2P)와, 그 상연에 설치된 4개의 상부 플랩(2U)과, 그 하연에 설치된 4개의 하부 플랩(2L)을 가진다. 몸통부(2P)는, 8각형 함(2)의 각 측면을 이루는 전방 패널(2PA), 좌측 전방 패널(2PB), 좌측 패널(2PC), 좌측 후방 패널(2PD), 후방 패널(2PE), 우측 후방 패널(2PF), 우측 패널(2PG), 우측 전방 패널(2PH)의 순으로 가지며, 각각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플랩(2U) 및 하부 플랩(2L)은, 몸통부의 패널에 대해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어넣어져 8각형 함체가 된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형 함(2)은 2장의 판형 부재인 겉 라이너(2F) 및 속 라이너(2B)와, 그 사이에 끼워진 파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심(2M)을 구비한 판형 재료(예를 들어, 골판지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함체는, 중심(2M)의 파형의 흐름 방향이 8각형을 이루는 몸통부(2P)의 둘레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P)를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접이선(2CR)(예를 들어, 전방 패널(2PA)과 좌측 전방 패널(2PB) 사이의 접이선 등)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몸통부(2P)를 구성하는 패널(2PA~2PE)과 상부 플랩(2U) 및 하부 플랩(2L) 사이의 접이선(2S)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선은 중심(2M)의 산과 골을 찌부러뜨리도록 속 라이너(2B)로부터 눌러줌으로써 형성된다. 대체로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접이선(2S)은, 흐름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접이선(2CR)에 비해 접히기 어렵고 절곡하는 힘에 저항하는 힘이 강하다. 몸통부(2P)를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접이선이 흐름 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부(2P)의 패널 사이의 접이선은 몸통부(2P)와 상하부 플랩(2U, 2L) 사이의 접이선에 비해 절곡되기 쉽다. 또한, 흐름 방향에 평행한 접이선(2CR)은 겉 라이너(2F)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굽히기는 쉽고 속 라이너(2B)가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굽히기는 어려운 성질이 있고, 몸통부(2P)를 개함함으로써 편평하게 접혀진 함체를 팔각형상 통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중심(2M)의 파형의 산과 골이 크게 찌부러질수록 접이선은 접히기 쉬워지는 것을 이용하여 몸통부(2P)와 각 상하부 플랩(2U, 2L)사이의 접이선의 절곡 용이도가 다르게 되어 있다.
도 2의 (B), (C), 도 3의 (D), (E), 도 4의 (F)~(H)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형 함(2)은 몸통부(2P)와 플랩의 배치에 의해 다른 상태로 변형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P)가 전개되고, 상하부 플랩(2U, 2L)이 몸통부(2P)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상태는 8각형 함(2)의 블랭크 상태이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으로 형성된 몸통부(2P)가 편평하게 접히고, 상하부 플랩(2U, 2L)이 몸통부(2P)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는 8각형 함(2)이 접혀진 상태이다. 도 3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가 접혀진 상태로부터 몸통부(2P)가 4각통형이 되도록 개방되고, 상하부 플랩(2U, 2L)이 몸통부(2P)의 축선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는 4각통 상태이다. 도 4의 (F) 및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P)가 8각통형이 되도록 개방되고, 상하부 플랩(2U, 2L)이 몸통부(2P)의 축선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는 개함 상태이다. 도 2의 (A)와 같이, 몸통부(2P)가 소정의 상태로 형성되고, 상하부 플랩(2U, 2L)이 몸통부(2P)의 상하부 개구를 폐색하도록 직교하도록 절곡된 상태는 봉함 상태이다. 도 4의 (H)와 같이, 몸통부(2P)가 소정의 상태로 형성되고, 하부 플랩(2L)이 몸통부(2P)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도록 직교하도록 절곡된 상태는 바닥이 짜여진 상태이다.
도 2의 (B)는, 8각형 함(2)의 블랭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몸통부(2P)는 우측 후방 패널(2PF), 우측 패널(2PG), 우측 전방 패널(2PH), 전방 패널(2PA), 좌측 전방 패널(2PB), 좌측 패널(2PC), 좌측 후방 패널(2PD), 후방 패널(2PE)의 순으로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1장의 평판을 이루고 있다. 몸통부(2P)의 패널 상하에는, 상부 플랩(2U) 및 하부 플랩(2L)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플랩(2U)은, 전방 패널(2PA)의 상연에 설치된 전방 상부 플랩(2UA)과, 좌측 패널(2PC)의 상연에 설치된 좌측 상부 플랩(2UB)과, 후방 패널(2PE)의 상연에 설치된 후방 상부 플랩(2UC)과, 우측 패널(2PG)의 상연에 설치된 우측 상부 플랩(2UD)을 가진다. 하부 플랩(2L)은, 전방 패널(2PA)의 하연에 설치된 전방 하부 플랩(2LA)과, 좌측 패널(2PC)의 하연에 설치된 좌측 하부 플랩(2LB)과, 후방 패널(2PE)의 하연에 설치된 후방 하부 플랩(2LC)과, 우측 패널(2PG)의 하연에 설치된 우측 하부 플랩(2LD)을 가진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후방 패널(2PF)의 후측연에는, 접이선을 개재하여 결합편(2J)이 설치되어 있다. 블랭크 상태의 8각형 함(2)에 있어서, 결합편(2J)이 후방 패널(2PE)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몸통부(2P)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는, 몸통부(2P)가 전방 패널(2PA)과 우측 전방 패널(2PH) 사이의 접이선 및 후방 패널(2PE)과 좌측 후방 패널(2PD) 사이의 접이선에서 360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8각형 함(2)이 편평한 판형이 된 상태이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좌측 전방 패널(2PB), 좌측 패널(2PC), 좌측 후방 패널(2PD), 전방 패널(2PA), 좌측 상부 플랩(2UB), 좌측 하부 플랩(2LB), 전방 상부 플랩(2UA) 및 전방 하부 플랩(2LA)이 하나의 평판을 이루고 있다. 우측 후방 패널(2PF), 우측 패널(2PG), 우측 전방 패널(2PH), 후방 패널(2PE), 우측 상부 플랩(2UD), 우측 하부 플랩(2LD), 후방 상부 플랩(2UC) 및 후방 하부 플랩(2LC)도 또 다른 하나의 평판을 이루고 있다. 상부 플랩(2U)의 상단 및 하부 플랩(2L)의 하단은 각각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같고, 상부 플랩(2U)의 상단측 면에서 중심(2M)이 파형상의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도 3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통 상태에서는, 몸통부(2P)는 축선이 상하로 연장된 4각통형을 이루고 있다. 좌측 전방 패널(2PB), 좌측 패널(2PC) 및 좌측 후방 패널(2PD)은 평판을 이루고, 우측 전방 패널(2PH), 우측 패널(2PG) 및 우측 후방 패널(2PF)도 평판을 이루며, 이들 2장의 평판이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전방 패널(2PA)과 후방 패널(2PE)이 평행하게 또한 2장의 평판들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몸통부(2P)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랩(2U) 및 하부 플랩(2L)은, 각각의 플랩이 직접 접속하고 있는 패널에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플랩(2U)의 상단 및 하부 플랩(2L)의 하단은 각각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같도록 설치되고, 상부 플랩(2U)의 상단측 면에서 중심(2M)이 파형상의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도 4의 (F) 및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통 상태에서는, 몸통부(2P)는 축선이 상하로 연장된 8각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2P)는 전방 패널(2PA), 좌측 전방 패널(2PB), 좌측 패널(2PC), 좌측 후방 패널(2PD), 후방 패널(2PE), 우측 후방 패널(2PF), 우측 패널(2PG), 우측 전방 패널(2PH)이 각각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그 접이선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부 플랩(2U) 및 하부 플랩(2L)은, 각각의 플랩이 직접 접속하는 몸통부(2P)의 패널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방 패널(2PA) 및 후방 패널(2PE)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며,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은, 각각 면이 좌우를 향하며,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전방 패널(2PB), 좌측 후방 패널(2PD), 우측 후방 패널(2PF) 및 우측 전방 패널(2PH)은, 전방 패널(2PA), 좌측 패널(2PC), 후방 패널(2PE) 및 우측 패널(2PG)이 이루는 4각통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함 상태에서는, 몸통부(2P)는 8각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측 상부 플랩(2UB) 및 우측 상부 플랩(2U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하부 플랩(2LB) 및 우측 하부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접착 테이프(T)의 전단은 전방 패널(2PA)에 접착되고, 후단은 후방 패널(2PE)에 접착되어 있다.
도 4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짜여진 상태에서는, 몸통부(2P)는 8각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부 플랩(2L)이 몸통부(2P)의 각 패널에 직각으로 절곡되며, 좌측 하부 플랩(2LB) 및 우측 하부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고, 상부 플랩(2U)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4각형 함)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함(3)은, 축선이 상하로 연장되는 4각통형의 몸통부(3P)와, 몸통부(3P)의 상연에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된 4개의 상부 플랩(3U)과, 몸통부(3P)의 하연에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된 4개의 하부 플랩(3L)을 가진다. 몸통부(3P)는, 4각통의 각 측면을 이루는 전방 패널(3PA), 좌측 패널(3PC), 후방 패널(3PE), 우측 패널(3PG)을 기재된 순서로 가지고 있다. 봉함 상태에서, 전방 패널(3PA) 및 후방 패널(3PE)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며,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패널(3PC) 및 우측 패널(3PG)은, 각각 면이 좌우를 향하며,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부 플랩(3L)은, 전방 패널(3PA), 좌측 패널(3PC), 후방 패널(3PE) 및 우측 패널(3PG)의 하연에 각각 대응하는 전방 하부 플랩(3LA), 좌측 하부 플랩(3LB), 후방 하부 플랩(3LC) 및 우측 하부 플랩(3LD)을 가진다. 상부 플랩(3U)은, 하부 플랩(3L)과 상하 대칭형이 되는 전방 상부 플랩(3UA), 좌측 상부 플랩(3UB), 후방 상부 플랩(3UC) 및 우측 상부 플랩(3UD)을 가진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함(3)이 접혀진 상태는, 몸통부(3P)가 전방 패널(3PA)과 우측 패널(3PG) 사이의 접이선 및 후방 패널(3PE)과 좌측 패널(3PC) 사이의 접이선에서 360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4각형 함(3)이 편평한 판형이 된 상태이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함(3)의 개함 상태는, 몸통부(3P)는 축선이 상하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4각통형을 이루고 있다. 전방 패널(3PA) 및 후방 패널(3PE)은 평행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방 패널(3PA)의 우측 끝가장자리 및 후방 패널(3PE)의 우측 끝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우측 패널(3PG)이 설치되고, 전방 패널(3PA)의 좌측 끝가장자리 및 후방 패널(3PE)의 좌측 끝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좌측 패널(3PC)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플랩(3U) 및 하부 플랩(3L)은, 각각의 플랩이 직접 접속하고 있는 패널에 접이선을 개재하여 접속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플랩(3U)의 상단 및 하부 플랩(3L)의 하단은 각각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같도록 설치되고, 상부 플랩(3U)의 상단측 면에서 중심(2M)이 파형상의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함 상태는, 각 상하부 플랩(3U, 3L)이 몸통부(3P)의 각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고, 좌측 상부 플랩(3UB) 및 우측 상부 플랩(3UD)의 선단 가장자리와, 좌측 하부 플랩(3LB) 및 우측 하부 플랩(3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된 상태이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짜여진 상태는, 몸통부(3P)는 개함 상태와 마찬가지로 4각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부 플랩(3L)이 몸통부(3P)의 각 패널에 직각으로 절곡되며, 좌측 하부 플랩(3LB) 및 우측 하부 플랩(3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고, 상부 플랩만이 개방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1)는, 전후로 연장되는 센터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제함기(1)에 적재된 접혀진 상태의 8각형 함(2)의 함체(이하, 함체(2)라고 기재함)를 1개씩 분리하고, 분리된 함체(2)의 몸통부(2P)를 8각통형으로 개함하고, 하부 플랩(2L)을 절곡하여 몸통부(2P)를 8각통형으로 성형하고, 하부 플랩(2L)을 테이핑하여 함체(2)를 바닥이 짜여진 상태로 변형하여 전방으로 송출한다.
(공급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함기(1)는, 그 후단에, 접혀진 상태의 복수의 함체(2)를 1개씩 분리하여 송출하는 공급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 장치(5)는 전단이 내려간 경사면을 갖는 안착대(6)를 구비하고, 안착대(6)에 접혀진 상태의 복수의 함체가 지지된다. 안착대(6)에는, 접혀진 상태의 복수의 함체(2)가 그 경사면에 기립하여 주면(主面)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향하여 전후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놓여 있다. 안착대(6)에는 압압체(7)가 설치되고, 압압체(7)는 실린더 등을 구동력으로 하여, 놓여진 함체(2)의 후단으로부터 함체(2)를 전방으로 압압한다.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6)의 전단에는, 함체(2)를 1개씩 분리하는 인젝터판(8)이 설치되어 있다. 인젝터판(8)의 상연에는, 전후로 1개의 함체(2)의 두께 정도의 폭을 구비하고, 상방으로 향하는 면인 공급 지지면(9)과, 그 공급 지지면(9)으로부터 앞쪽으로 이어져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설치되어 있다. 인젝터판(8)은, 그 공급 지지면(9)이 안착대(6)의 전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는 초기 위치와, 초기 위치로부터 상방에 설치된 공급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공급 장치(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안착대(6)에 놓여 전방으로 바이어스된 함체(2) 중에서 가장 앞에 위치하는 1개의 함체(2)가 공급 지지면(9)으로 밀려나와 돌출편에 부딪쳐 닿는다. 공급 지지면(9)의 폭은 1개의 함체의 두께 정도이기 때문에, 공급 지지면(9)에는 1개의 함체(2)가 이동한다. 공급 지지면(9)에 1개의 함체(2)가 이동한 후, 인젝터판(8)이 초기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1개의 함체(2)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송출된다. 1개의 함체(2)의 송출이 완료되면, 인젝터판(8)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인젝터판(8)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안착대(6)에 놓인 함체(2) 중에서 가장 앞에 위치하는 1개의 함체(2)가 안착대(6)로부터 공급 지지면(9)으로 밀려나온다.
(개함 장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함기(1)는, 공급 장치(5)로부터 송출된 함체(2)를 수취하여 그 몸통부(2P)를 8각통형이 되도록 개함하는 개함 장치(10)를 공급 장치(5)의 앞쪽에 구비하고 있다. 개함 장치(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6)의 앞쪽에 설치된 개함 장치 베이스(11)와, 개함 장치 베이스(11)의 상측에 상하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몸통부(2P)의 2개의 측면을 지지하고 이들 측면을 변위시키는 기구를 갖는 지지 장치(12)와, 지지 장치(12)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액추에이터(13)를 구비한다.
지지 장치(12)는, 안착대(6)의 좌단의 앞쪽에 설치된 지지대(14)와, 지지대(14)에 접속된 평행 링크 기구(15)를 구비하고 있다. 평행 링크 기구(15)는, 지지대(14)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1세트의 동일 길이의 요동 링크(16)와, 요동 링크(16) 각각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중간 링크(17)를 구비한다. 요동 링크(16)의 기단(基端)은, 지지대(14)에 전후에 설치된 2개의 점(도 9, 도 10의 P점 및 Q점)에서, 그 점을 지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축선으로 하는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링크(16)의 선단은 각각 중간 링크(17)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링크(16)는 상하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모두 하나의 중간 링크(17)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링크(17)의 측면에는, 중간 링크(17)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지지 부재(18)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8)에는, 제1 지지 부재(18)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링크(16)의 2개의 링크 중에서 앞쪽 링크의 전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지지 부재(19)가 결합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19)에는,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장치(12)는, 요동 링크(16)의 회동에 의해 폐쇄 형태와 개방 형태의 사이를 변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 및 제2 지지 부재(19)는 서로 평행하게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8)는, 공급 장치(5)의 앞쪽이고 제2 지지 부재(19)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에 있을 때, 제2 지지 부재(19)는 지지대(14)와 요동 링크(16)의 결합점인 점(Q)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보아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가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룰 때까지 개방한다.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지지 장치(12)의 개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지지 부재(18) 및 제2 지지 부재(19)의 서로 근접한 측의 단부를 근위단으로 하고, 서로 떨어진 측의 단부를 원위단으로 하여 기재한다.
제1 지지 부재(18)의 측면에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어맞춤 장치(25)는, 전후로 향하는 면을 갖는 판형의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와,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에 결합된 슬라이더(도시생략)와, 핀(27)을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제1 지지 부재(18)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걸어맞춤 장치(25)는 제1 지지 부재(18)에 대해 제1 지지 부재(18)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핀(27)은 그 기단이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에 결합되고, 그 기단으로부터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에 간극을 두고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하방으로 돌출된 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27)의 선단은, 상부 플랩(2U)의 단면으로부터 함체(2)를 구성하는 겉 라이너(2F), 속 라이너(2B) 및 중심(2M)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꽂을 수 있고, 또한 핀(27)이 함체에 꽂혔을 때, 핀(27)과 함체(2)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는 정도의 굵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8)에는 제2 액추에이터(28)가 더 설치되어 있다. 제2 액추에이터(28)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를 제1 지지 부재(18)에 대해 그 연장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액추에이터(28)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된 신축 가능한 에어 실린더로서, 제1 지지 부재(18)의 연장 방향으로 신축한다. 제2 액추에이터(28)의 일단은 제1 지지 부재(18)에 결합되고, 제2 액추에이터(28)의 타단은 제1 걸어맞춤 장치(25)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액추에이터(28)가 수축되면, 제1 걸어맞춤 장치(25)는 제1 지지 부재(18)의 원위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지지 부재(19)에는, 제1 지지 부재(18)와 마찬가지로 그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제2 걸어맞춤 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 및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된 제2 걸어맞춤 장치 본체(36)와, 제2 지지 부재(19)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핀(27)을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또한 제2 지지 부재(19)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제3 액추에이터(37)에 의해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으로 변위한다. 제2 걸어맞춤 장치(35)에 설치되는 핀(27)은,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설치되는 핀(27)과 마찬가지이고, 침형상으로 형성되어 함체(2)에 걸어맞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일이 제1 지지 부재(18)에 설치되고, 슬라이더가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지지 부재(18)가 제1 걸어맞춤 장치(25)를 그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태양이면 되고, 슬라이더가 제1 지지 부재(18)에 설치되고, 레일이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19)가 제2 걸어맞춤 장치(35)를 그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어떠한 태양이어도 되고, 슬라이더가 제2 지지 부재(19)에 설치되고, 레일이 제2 걸어맞춤 장치(35)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지지 부재(19)와 제2 걸어맞춤 장치(35)의 사이에는 개함 바이어스 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개함 바이어스 장치(38)의 일단은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걸어맞춤 장치(35)에 고정되며, 개함 바이어스 장치(38)는 제2 걸어맞춤 장치(35)를 제2 지지 부재(19)에 대해 항상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단 측으로 바이어스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함 바이어스 장치(38)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단 측으로 제2 걸어맞춤 장치(3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개함 스토퍼 부재(39)가 제2 지지 부재(19)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개함 스토퍼 부재(39)는, 제2 걸어맞춤 장치(35)의 슬라이더보다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단 측에 설치되고, 제2 걸어맞춤 장치(35)가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단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함 스토퍼 부재(39)의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의 위치를 가변으로 하기 위해, 개함 스토퍼 부재(39)를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제3 액추에이터(3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액추에이터(37)는 에어 실린더로서, 제3 액추에이터(37)의 본체는 제2 지지 부재(19)에 결합되고, 제3 액추에이터(37)의 돌출 단부가 개함 스토퍼 부재(39)에 결합되며, 제2 지지 부재(19)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영역 상에 설치되어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으로 신축한다.
다음에 개함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터판(8)이 공급 위치로 이동하면, 함체(2)가 상방으로 밀려나와 개함 장치(10)에 접혀진 상태의 함체(2)가 공급된다. 함체(2)가 개함 장치(10)에 공급될 때, 지지 장치(12)는 폐쇄 형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지지 부재(18) 및 제2 지지 부재(19)의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와 제2 걸어맞춤 장치 본체(36)는 함체 1개분 정도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설치된 핀(27)이 함체(2)의 후방 상부 플랩(2UC)의 상단면에 꽂혀 후방 상부 플랩(2UC)과 결합된다. 또한, 제2 걸어맞춤 장치(35)에 설치된 핀(27)은 좌측 상부 플랩(2UB)의 상단면에 꽂혀 좌측 상부 플랩(2UB)과 결합된다. 핀(27)이 상부 플랩(2U)에 꽂힌 후, 인젝터판(8)은 공급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하강하고, 함체(2)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 및 제2 걸어맞춤 장치(35)에 남겨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어맞춤 장치(25) 및 제2 걸어맞춤 장치(35)와 함체(2)가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로부터 개방 형태로 변위한다. 제1 걸어맞춤 장치(25)와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평면에서 보아 접혀진 상태의 함체(2)의 후방 패널(2PE)과 좌측 패널(2PC) 사이의 접이선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걸어맞춤 장치(25)는 전후로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좌우로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의 좌측 전방에 배치된다. 제1 걸어맞춤 장치(25) 및 제2 걸어맞춤 장치(35)의 변위에 따라, 이들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후방 상부 플랩(2UC)과 좌측 상부 플랩(2UB)은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이들과 상하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는 후방 패널(2PE)과 좌측 후방 패널(2PD)은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2 액추에이터(28)에 의해,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초기 위치로부터 우측 방향(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대한 원위단 방향)에 위치하는 제1 구동 후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1 걸어맞춤 장치(25)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후방 상부 플랩(2UC)은 좌측 상부 플랩(2UB)보다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후방 패널(2PE)은 좌측 패널(2PC)보다 우측으로 이동한다. 후방 패널(2PE)이 좌측 패널(2PC)보다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후방 패널(2PE)에 접속되어 있는 좌측 후방 패널(2PD)의 후단이 우측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좌측 후방 패널(2PD)이 후방 패널(2PE)에 의해 끌어 당겨짐으로써, 좌측 패널(2PC)도 좌측 후방 패널(2PD)로 향하여 끌어 당겨진다. 좌측 패널(2PC)은 제2 걸어맞춤 장치(35)와 결합되고, 좌측 패널(2PC)은 제2 지지 부재(19)의 연장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패널(2PC)은 좌측 후방 패널(2PD)이 위치하는 후방으로 끌어 당겨져 좌측 패널(2PC)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패널(2PC)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제3 액추에이터(37)가 개함 스토퍼 부재(39)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2 걸어맞춤 장치(35)도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한다. 좌측 패널(2PC)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제2 걸어맞춤 장치(35)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측 후방 패널(2PD)의 전단은 좌측 패널(2PC)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만 이동하고, 좌측 후방 패널(2PD)의 후단은 우측으로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좌측 후방 패널(2PD)이 좌측 패널(2PC) 및 후방 패널(2PE)에 대해 경사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좌측 후방 패널(2PD)이 좌측 패널(2PC) 및 후방 패널(2PE)에 대해 경사짐으로써, 함체(2)는 비틀림 변형되고, 전방 좌측 패널과 좌측 패널(2PC) 사이의 접이선, 우측 패널(2PG)과 우측 전방 패널(2PH) 사이의 접이선 및 우측 패널(2PG)과 우측 후방 패널(2PF) 사이의 접이선이 절곡된다. 이들 접이선이 절곡됨으로써, 몸통부(2P)는 8각통형으로 변형된다. 상부 플랩(2U) 및 하부 플랩(2L)은, 모두 각각 직접 접속한 패널의 배치에 따라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함체(2)는 개함 상태가 된다.
지지 장치(12)의 폐쇄 형태와 개방 형태 사이의 변위와 제2 액추에이터(28)의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져도 되고, 지지 장치(12)의 변위 후 제2 액추에이터(28)의 구동이 이루어져도 된다. 제1 구동 위치를 보다 우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 좌측 후방 패널(2PD)은 보다 후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구동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개함하였을 때의 몸통부(2P)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함체(2)가 절곡 장치(50)에 송출되면, 제1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지지 장치(12)가 함체(2)가 개함 장치(10)에 송출될 때의 초기 위치로 되돌려지고, 제2 액추에이터(28)에 의해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함체(2)가 개함 장치(10)에 송출될 때의 초기 위치로 되돌려지고, 제3 액추에이터(37)에 의해 개함 스토퍼 부재(39)가 함체(2)가 개함 장치(10)에 송출될 때의 초기 위치로 되돌려진다. 함체(2)가 절곡 장치(50)에 송출되면,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개함 바이어스 장치(38)에 의해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제2 지지 부재(19)가 개함 스토퍼 부재(39)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절곡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함기(1)는, 개함 장치(10)의 하방에, 통형 상태로 변형된 함체(2)의 전방 하부 플랩(2LA)과 후방 하부 플랩(2LC)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플랩(2LI)을 내방으로 절곡한 후, 좌측 하부 플랩(2LB)과 우측 하부 플랩(2LD)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플랩(2LO)을 내방으로 절곡하는 절곡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부(2P)와 외부 플랩(2LO) 사이의 접이선은, 몸통부(2P)와 내부 플랩(2LI) 사이의 접이선보다 중심(2M)의 파형의 산과 골이 크게 찌부려져 절곡하기 쉽게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장치(50)는, 개함 장치(10)의 하방에 전후에 쌍을 이루어 설치된 내부 플랩 절곡 장치(51)를 구비한다. 내부 플랩 절곡 장치(51)는, 전후 1쌍의 내부 플랩 절곡판(52)과, 내부 플랩 절곡판(52)을 변위시키는 제4 액추에이터(53)를 구비한다. 내부 플랩 절곡판(52)의 면은, 대략 상방으로 향하는 상태와, 전후 내방으로 기울어져 전후 내방으로 향하는 상태의 사이에서 경사 운동 가능하고, 함체(2)가 개함 장치(10)로부터 하강하여 송출될 때, 내부 플랩 절곡판(52)은 전후 내방으로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함체(2)의 내부 플랩(2LI)의 하단이 내부 플랩 절곡판(52)의 상면에 접촉하고, 내부 플랩(2LI)과 몸통부(2P) 사이의 접이선이 좌우 내방으로 절곡되어 내부 플랩(2LI)은 내부 플랩 절곡판(52)의 경사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함체(2)가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면, 제4 액추에이터(53)에 의해 내부 플랩 절곡판(52)은 대략 상방으로 향하는 상태가 되고, 내부 플랩(2LI)은 몸통부(2P)에 대해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된다. 내부 플랩(2LI) 및 외부 플랩(2LO)이 절곡되고 함체(2)가 절곡 장치(50)로부터 송출되면, 제4 액추에이터(53)는 내부 플랩 절곡판(52)의 면이 전후 내방으로 향하도록 내부 플랩 절곡판(52)을 경사 운동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플랩 절곡 장치(54)는, 내부 플랩 절곡판(52)의 하방에 위치하여 전후로 연장된 좌우 1쌍의 외부 플랩 절곡판(55A)을 구비한다. 외부 플랩 절곡판(55A)은, 각각 개함 장치(10)로부터 함체(2)가 하강되어 왔을 때에 함체(2)의 외부 플랩(2LO)에 좌우 내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외부 플랩 절곡 장치(54)는, 외부 플랩 절곡판(55A)의 하방이고 좌우 외방에 전후로 연장된 좌우 1쌍의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를 더 구비한다.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는 각각 좌우 내방으로 향하는 면을 가지며, 개함 장치(10)로부터 함체가 하강되어 왔을 때에 함체(2)의 외부 플랩(2LO)에 좌우 외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부 플랩 절곡판(55A)은, 그 후단에서 외부 플랩 절곡판 베이스부(55C)에 결합되어 있다.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는, 외부 플랩 절곡판 베이스부(55C)에 지지된 제5 액추에이터(56)의 돌출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5 액추에이터(56)는,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를 외부 플랩 절곡판(55A)으로 향하여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 액추에이터(56)가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를 외부 플랩 절곡판(55A)으로 향하여 밀어냄으로써,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가 외부 플랩(2LO)의 외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외부 플랩 절곡판(55A)을 외부 플랩(2LO)의 내측으로부터 접촉시켜, 외부 플랩 절곡판(55A)과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의 사이에 외부 플랩(2LO)을 끼움지지시킬 수 있다. 외부 플랩 절곡 장치(54)는, 외부 플랩 절곡판 베이스부(55C)를 전후 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6 액추에이터(5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2)가 하강하여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가 외부 플랩 절곡판(55A)으로 향하여 밀려나오면, 외부 플랩 절곡판(55A)과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의 사이에 외부 플랩(2LO)이 끼움지지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플랩 절곡판(55A)과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의 사이에 외부 플랩이 끼움지지되면서 제6 액추에이터(57)가 작동하여 외부 플랩 절곡판 베이스부(55C)가 좌우 내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외부 플랩(2LO)과 몸통부(2P) 사이의 접이선은 접이선이 붙을 정도로(예를 들어, 몸통부(2P)와 외부 플랩(2LO)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10도~80도가 되도록) 외부 플랩(2LO)은 좌우 내방으로 절곡된다. 외부 플랩(2LO)이 좌우 내방으로 절곡되고, 또한 외부 플랩(2LO)은 외부 플랩 절곡판(55A)과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함체(2)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외부 플랩(2LO)이 좌우 내방으로 절곡되어 있을 때에 제1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지지 장치(12)가 상승하면, 상부 플랩(2U)과 제1 걸어맞춤 장치(25) 및 제2 걸어맞춤 장치(35) 사이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후,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액추에이터(56)가 외부 플랩 절곡 부재(55B)를 좌우 외방으로 이동시키면, 함체(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장치(50)는, 하부 플랩(2L)이 절곡된 함체(2)를 송출하는 압출 장치(58)를 구비한다. 압출 장치(58)는, 전후로 이동 가능한 압출판(59)을 구비하고, 그 압출판(59)이 내부 플랩(2LI) 및 외부 플랩(2LO)이 절곡된 함체(2)의 후방 패널(2PE)을 밀어냄으로써, 함체(2)는 성형 장치(61)에 송출된다.
송출시 함체(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절곡 장치(50)는 좌우에 쌍을 이루어 설치된 가이드 롤러(60)를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60)는, 전후에 열을 이루어 설치된 복수의 롤러를 가진다. 각 롤러는 상하 방향을 축선으로 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60)는 좌우 내방으로 출몰 가능하고, 좌우 내방으로 돌출될 때, 각 롤러는 함체(2)의 좌우 패널(2PC, 2PG)에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플랩 절곡 장치(54)가 외부 플랩(2LO)을 절곡할 때에 함체(2)가 돌출되지 않도록, 가이드 롤러(60)는 좌우 내방으로 돌출되고 좌우 패널(2PC, 2PG)에 접촉하며 함체(2)의 몸통부(2P)를 지지하고 있다. 압출 장치(58)에 의해 함체(2)를 밀어낼 때, 가이드 롤러(60)는 돌출된 채로 유지되기 때문에, 함체(2)가 좌우로 어긋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함체(2)의 송출이 완료되면, 내부 플랩(2LI) 및 외부 플랩(2LO)이 절곡되고, 함체(2)가 절곡 장치(50)로부터 송출되면, 제4 액추에이터(53)는 내부 플랩 절곡판(52)의 면이 전후 내방으로 향하도록 내부 플랩 절곡판(52)을 경사 운동 시킨다. 함체(2)가 송출된 후, 외부 플랩 절곡판 베이스부(55C)가 회전하여 개함 장치(10)로부터 함체(2)가 하강되어 왔을 때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압출판(59)은 후퇴하여 함체(2)가 하강되어 왔을 때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제함 후 함체(2)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플랩 절곡 장치(54)의 앞쪽에 외부 플랩(2LO)의 좌우 내방으로 향하는 면 또는 내부 플랩(2LI)의 외부 플랩(2LO)이 접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때, 내부 플랩(2LI)과 외부 플랩(2LO)을 충분히 접착시키기 위해, 절곡한 내부 플랩(2LI)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내부 플랩(2LI)을 외부 플랩(2LO)에 접촉시키면 좋다.
(성형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함기(1)는, 함체(2)의 몸통부(2P)를 더욱 정밀도 높게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장치(61)를 구비한다. 압출 장치(58)에 의해 밀려나온 함체(2)는, 성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성형 위치로 운반되고, 좌우 패널(2PC, 2PG)을 좌우 외방으로 확장하여 좌우 패널(2PC, 2PG)이 형(型)에 눌려 붙여짐으로써 함체(2)는 성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장치(61)는 절곡 장치(50)의 앞쪽에 배치되고, 압출 장치(58)에 의해 밀려나온 함체(2)를 전방으로 운반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60)를 구비한다. 가이드 롤러(60)가 좌우 내방으로 돌출될 때, 각 롤러는 함체(2)의 좌측 패널(2PC) 또는 우측 패널(2PG)에 접촉하여 함체(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전방으로 운반된 함체(2)는, 전방에 설치된 앞 부분 스토퍼 부재(62)에 의해 걸어멈춤되어 성형 위치가 된다. 앞 부분 스토퍼 부재(62)는, 함체(2)의 위치를 성형 위치로 하기 위해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고, 함체(2)가 성형 장치(61)로 운반될 때에는 함체(2)의 전방 패널(2PA)에 부딪쳐 닿아 함체(2)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함체(2)의 성형이 끝나면, 앞 부분 스토퍼 부재(62)는 침몰하고 함체(2)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장치(61)는 형(型) 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형 부재(63)는, 센터 라인에 대해 대칭으로 좌우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형 부재(63)는 좌우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고, 좌우 내방으로 향하여 전후로 떨어져 설치된 2개의 베이스면(64)을 구비한다. 2개의 베이스면(64)은, 4각형 함 상태에서 함체(2)의 길이(예를 들어 8각형 함(2)에 있어서, 우측 전방 패널(2PH), 우측 패널(2PG), 우측 후방 패널(2PF)이 평면을 이루어 이어져 있을 때의 폭)와 동일한 정도로 떨어져 있고, 성형을 행할 때에는 좌우전후 총 4개의 베이스면(64)에 의해 함체(2)가 끼움지지된다. 형 부재(63)는, 베이스면(64)에 대해 좌우 외방으로 오목 설치된 오목부(65)를 더 가지고 있다. 오목부(65)는, 좌우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고, 좌우 내방을 향하는 바닥면(66)과, 바닥면(66)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좌우 내방이며 후방으로 향하는 측벽면(67)과, 그 측벽면(67)에 쌍을 이루어 바닥면(66)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좌우 내방이며 전방으로 향하는 측벽면(67)을 가진다. 2개의 측벽면(67)은, 바닥면(66)으로부터 베이스면(64) 측으로 향함에 따라 오목부(65)의 전후 폭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오목부(65)의 전후 방향 폭은, 우측 패널(2PG)의 전후 방향 폭과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형 부재(63)의 상하 방향 폭은, 함체(2)의 높이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형 부재(63)는 각각 좌우 내방으로 신축하는 형 부재 액추에이터(63A)에 접속되어 있고, 그 때문에 형 부재(63)는 좌우 내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성형 장치(61)는, 좌우 패널(2PC, 2PG)의 외면에 흡착되어 확장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몸통부 확장 장치(68)를 더 구비한다. 좌우의 몸통부 확장 장치(68)는, 각각 감압 흡착 장치(69)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부 확장 장치(68)는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몸통부 확장 장치(68)가 내방에 위치할 때, 감압 흡착 장치(69)가 함체(2)의 몸통부(2P)에 흡착된다. 감압 흡착 장치(69)는 각각 좌우 내방으로 신축하는 흡착 장치 액추에이터(68A)에 접속되어 있고, 그 때문에 감압 흡착 장치(69)는 좌우 내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압 흡착 장치(69)는 동일한 높이로 전후에 2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형 부재(63) 및 몸통부 확장 장치(68)는 성형 위치에 있는 함체(2)의 좌우에 배치하고, 위부터 몸통부 확장 장치(68), 가이드 롤러(60), 형 부재(63)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성형 장치(61)는, 성형 위치에 있는 함체(2)의 하방에 설치된 밀어올림 장치(70)를 구비한다. 밀어올림 장치(70)는 그 상부에 위를 향하는 면과, 그 면의 후단에 이어지며 좌우로 연장된 돌출편을 가지며, 상하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밀어올림 판부(71)와, 상하로 신축되고 밀어올림 판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밀어올림 판부 액추에이터(71A)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장치(61)는 상부 스토퍼 부재(7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부 스토퍼 부재(72)는, 상하로 향하는 면을 갖는 판형 부재로서, 성형 위치의 함체(2)의 상부 플랩(2U)에 접촉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장치(50)로부터 송출된 개함 상태의 함체(2)는, 압출 장치(58)에 의해 절곡 장치(50)로부터 센터 라인을 따라 전방으로 송출된다. 함체(2)는 가이드 롤러(60)를 따라 전방으로 나아가고, 앞 부분 스토퍼 부재(62)에 의해 성형 위치에 걸어멈춤된다. 함체(2)가 성형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롤러(60)가 좌우 외방으로 퇴피하고, 적시에 형 부재 액추에이터(63A)가 작동함으로써, 좌우의 형 부재(63)가 좌우 내방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좌측의 형 부재(63)는 그 전방의 베이스면(64)에서 좌측 전방 패널(2PB)의 앞 부분 하단에 접촉하고, 그 후방의 베이스면(64)에서 좌측 후방 패널(2PD)의 뒤 부분 하단에 접촉한다. 우측의 형 부재(63)는 그 전방의 베이스면(64)에서 우측 전방 패널(2PH)에 접촉하고, 그 후방의 베이스면(64)에서 우측 후방 패널(2PF)에 접촉한다. 다음에, 흡착 장치 액추에이터(68A)가 작동함으로써, 좌우 2개씩인 감압 흡착 장치(69)는 좌우 내방으로 돌출되고, 각각 대응하는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에 흡착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감압 흡착 장치(69)가 각각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에 흡착된 후, 감압 흡착 장치(69)가 패널에 흡착된 채로 좌우 외방으로 이동한다. 좌측의 형 부재(63)의 베이스면(64)이 좌측 전방 패널(2PB)과 좌측 후방 패널(2PD)에 접촉하면서, 감압 흡착 장치(69)가 좌측 외방으로 이동하고, 좌측 패널(2PC)이 좌측 외방으로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좌측 전방 패널(2PB)과 좌측 패널(2PC) 사이의 접이선이 좌측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좌측 패널(2PC)과 좌측 후방 패널(2PD) 사이의 접이선이 좌측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우측의 형 부재(63)의 베이스면(64)이 우측 전방 패널(2PH)과 우측 후방 패널(2PF)에 접촉하면서 몸통부 확장 장치(68)가 우측 외방으로 이동하고, 우측 패널(2PG)이 우측 외방으로 끌어 당겨지기 때문에, 우측 전방 패널(2PH)과 우측 패널(2PG) 사이의 접이선이 우측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우측 패널(2PG)과 우측 후방 패널(2PF) 사이의 접이선이 우측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감압 흡착 장치(69)는, 좌측 패널(2PC)이 좌측의 형 부재(63)의 바닥부에 면접촉하고, 우측 패널(2PG)이 우측의 형 부재(63)의 바닥부에 면접촉할 때까지 좌우 외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좌측 전방 패널(2PB) 및 좌측 후방 패널(2PD)은 측벽면(67)에 면접촉하고, 좌측 패널(2PC)의 전후에 설치된 접이선은 형 부재(63)의 바닥부와 측벽면(67) 사이의 굴곡부를 따르도록 절곡된다. 또한, 우측 전방 패널(2PH) 및 우측 후방 패널(2PF)은 측벽면(67)에 면접촉하고, 우측 패널(2PG)의 전후에 설치된 접이선은 형 부재(63)의 바닥부와 측벽면(67) 사이의 굴곡부를 따르도록 절곡된다.
감압 흡착 장치(69)가 좌우 외방으로 이동하여 함체(2)의 몸통부(2P)가 형 부재(63)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 외부 플랩(2LO)이 몸통부(2P)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될 때까지 밀어올림 판부 액추에이터(71A)가 밀어올림 판부(71)를 함체(2)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외부 플랩(2LO)이 내방으로 절곡될 때에 좌우의 외부 플랩(2LO)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경우에는, 몸통부(2P)의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이 좌우 외방으로 밀려나와 몸통부(2P)의 폭이 넓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스토퍼 부재(7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밀어올림 판부(71)에 의해 함체(2)가 밀려 올라가 있을 때에 함체(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는 일이 없다.
몸통부(2P)가 성형되고 외부 플랩(2LO)이 절곡되면, 가이드 롤러(60)가 좌우 내방으로 이동하여 몸통부 확장 장치(68)의 몸통부(2P)의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에의 흡착이 해제되고, 흡착 장치 액추에이터(68A)에 의해 몸통부 확장 장치(68)가 좌우 외방으로 퇴피한다. 또한 형 부재(63)도 형 부재 액추에이터(63A)에 의해 좌우 외방으로 퇴피하고, 앞 부분 스토퍼 부재(62)가 하방으로 퇴피한다. 다음으로 밀어올림 판부(7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함체(2)의 후방 패널(2PE)이 밀어올림 판부(71)의 후단에 설치된 돌출편에 밀려나오고, 함체(2)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송출된다. 몸통부 확장 장치(68)의 흡착이 해제되었을 때에 좌우의 외부 플랩(2LO)의 하단부가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함체(2)의 몸통부(2P)가 좌우 방향으로 수축되지 않고 8각통형으로 유지된다.
(테이핑 장치 및 교정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함기(1)는, 성형 장치(61)로부터 송출된 함체(2)를 전방으로 반송하고, 함체(2)의 하부 플랩(2L)에 테이프를 붙여 함체(2)를 바닥이 짜여진 상태로 변형하는 테이핑 장치(81)를 구비한다.
테이핑 장치(81)는, 절곡 장치(50)의 앞쪽에 배치되며, 절곡 장치(50)에 의해 하부 플랩(2L)이 절곡되고, 또한 성형 장치(61)에 의해 몸통부(2P)가 성형된 함체(2)를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82)를 구비한다. 반송 장치(82)는, 프레임(83)과, 센터 라인의 양측에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컨베이어(85)를 가진다. 사이드 컨베이어(85)는 공지의 벨트 컨베이어로서, 모터에 의해 상하를 축선으로 하여 회전하는 롤러에 감겨진 벨트를 구비하고, 벨트가 함체(2)의 몸통부(2P)에 접촉하여 함체(2)를 전방으로 반송한다. 사이드 컨베이어(85)의 상측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면인 안착면(86)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핑 장치(81)는, 그 상방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통과하는 함체(2)의 전방 패널(2PA)의 하부, 하부 플랩(2L) 및 후방 패널(2PE)의 하부에 센터 라인을 따라 접착 테이프(T)를 붙이는 테이핑 유닛(87)을 더 구비하고 있다. 테이핑 유닛(87)은, 좌우의 사이드 컨베이어(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핑 유닛(87)은, 함체(2)가 소정 위치를 통과하면 커터에 의해 접착 테이프(T)를 절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함기(1)는, 테이핑 장치(81)가 함체(2)의 하부 플랩(2L)에 테이프를 붙일 때에 반송 장치(82)에 의해 반송되는 함체(2)의 몸통부(2P)의 측단면에 접촉하여 함체(2)의 몸통부(2P)를 교정하는 교정 장치(91)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교정 장치(91)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컨베이어(85)의 안착면(86)에 배치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장치(91)는, 안착면(86) 상에 설치된 교정 지지대(92)와, 교정 지지대(92)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93)와, 슬라이드 부재(93)의 상면에 설치된 교정 장치 지주(94)와, 좌우 내방으로 연장된 아암 부재(95)와, 아암 부재(95)와 슬라이드 부재(93)에 접속된 교정 바이어스 장치(97)를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93)는, 교정 지지대(92)에 대해 좌우 내방으로 향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교정 장치 지주(94)는, 슬라이드 부재(9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95)의 기단은 교정 장치 지주(9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돌출단은 좌우 내방으로까지 연장되며, 그 돌출단에는 상하를 축선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96)가 설치되어 있다. 교정 바이어스 장치(97)의 일단은 아암 부재(95)의 교정 장치 지주(94)보다 좌우 외방의 위치에 결합되고, 타단 측은 슬라이드 부재(93)에 결합되어 있다.
아암 부재(95)는, 함체(2)의 경로 방향을 따라 압압되고 있지 않을 때는 함체(2)의 이동 경로로 향하여 좌우 내방으로 가장 돌출된 돌출 위치에 있다. 아암 부재(95)는, 함체(2)의 경로 방향을 따라 압압되면, 교정 바이어스 장치(97)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교정 장치 지주(94)를 축선으로 하여 회동하고, 롤러(96)가 좌우 내방으로부터 좌우 외방으로 이동한 퇴피 위치가 된다. 아암 부재(95)에 가해지는 압압이 해제되면, 교정 바이어스 장치(97)에 의해 아암 부재(95)는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되돌려진다.
교정 장치(91)는, 좌우의 롤러(96)가 테이핑 유닛(87)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돌출 위치에서는 좌우의 롤러(96)가 각각 함체(2)의 좌측 전방 패널(2PB) 및 우측 전방 패널(2PH)에 접촉하고, 퇴피 위치에서는 함체(2)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슬라이드 부재(93)의 좌우 내방으로의 돌출량이 조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교정 장치(91)는 함체(2)의 경로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고, 좌우의 교정 장치(91)의 좌우 내방으로의 돌출량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함체(2)가 사이드 컨베이어(85)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송되면, 함체(2)의 좌측 전방 패널(2PB) 및 우측 전방 패널(2PH)에 각각 교정 장치(91)가 접촉한다. 함체(2)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교정 장치(91)는 좌측 전방 패널(2PB) 및 우측 전방 패널(2PH)을 후방으로 압압한다. 좌측 전방 패널(2PB), 전방 패널(2PA) 및 우측 전방 패널(2PH)로 이루어지는 함체(2)의 앞 부분이 좌우 한쪽으로 크게 돌출되도록 변형되어 있을 때는, 그 돌출 방향에 위치하는 교정 장치(91)가 다른 쪽의 교정 장치(91)보다 함체(2)의 앞 부분을 강하게 압압한다. 그 때문에 돌출 방향의 변형이 억제되고, 함체(2)의 앞 부분이 좌우 대칭이 되도록 교정된다.
교정 장치(91)가 함체(2)의 앞 부분을 교정한 후 함체(2)가 전방으로 반송되면, 교정 장치(91)는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에 접촉한다. 또한 함체(2)가 전방으로 반송되면, 좌우의 교정 장치(91)는 각각 좌측 후방 패널(2PD) 및 우측 후방 패널(2PF)에 접촉한다. 좌우의 교정 장치(91)는 각각 좌측 후방 패널(2PD) 및 우측 후방 패널(2PF)에 접촉하고, 좌측 후방 패널(2PD), 후방 패널(2PE) 및 우측 후방 패널(2PF)로 이루어지는 함체(2)의 뒤 부분이 좌우 한쪽으로 크게 돌출되도록 변형되어 있을 때도, 함체(2)의 앞 부분과 마찬가지로 교정 장치(91)에 의해 함체(2)의 뒤 부분의 형상이 좌우 대칭이 되기 위해 교정된다. 교정 장치(91)가 각각 좌측 후방 패널(2PD) 및 우측 후방 패널(2PF)에 접촉하면, 함체(2)의 뒤 부분이 좌우로부터 압압되기 때문에 함체(2)의 뒤 부분이 좌우 대칭이 되도록 교정된다.
함체(2)의 앞 부분이 교정 장치(91)에 의해 교정된 후, 테이핑 유닛(87)에 의해 접착 테이프(T)가, 전방 패널(2PA)의 하부와, 좌측 하부 플랩(2LB) 및 우측 하부 플랩(2LD)의 맞댐부와, 후방 패널(2PE)의 하부에 전후로 연속적으로 붙여진다. 교정 장치(91)에 의한 함체(2)의 뒤 부분 교정은, 접착 테이프(T)가 좌측 하부 플랩(2LB) 및 우측 하부 플랩(2LD)의 맞댐부에 붙여지고 있는 동안에 이루어진다. 절단된 접착 테이프(T)가 후방 패널(2PE)의 하부에 붙여지면 함체(2)는 바닥이 짜여진 상태가 되고, 사이드 컨베이어(85)에 의해 전방으로 송출된다.
교정 장치(91)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 교정 장치(91)는 테이핑이 시작되기 직전에 함체(2)에 접촉하고, 테이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함체(2)에 계속해서 접촉하며, 테이핑이 완료된 후에 교정 장치(91)가 함체(2)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액추에이터(53), 제5 액추에이터(56), 제6 액추에이터(57), 형 부재 액추에이터(63A), 흡착 장치 액추에이터(68A)는 모두 에어 실린더에 의한 액추에이터로서 신축에 의해 동작을 하고 있지만, 에어 실린더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함기(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액추에이터(28)의 신축에 의해 제1 걸어맞춤 장치(25)의 위치가 이동한다. 제1 걸어맞춤 장치(25)의 위치 변경에 의해, 좌측 패널(2PC) 및 후방 패널(2PE)에 대한 좌측 후방 패널(2PD)의 경사 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함기(1)는 다른 8각통형의 몸통부(2P)의 형상을 갖는 함체(2)를 제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두께를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함체(2)를 제함할 때는,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 사이의 간극 폭과,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의 근위단의 거리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함체(2)를 구성하는 재료가 두꺼운 경우에는,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 사이의 간극 폭을 넓히고,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의 근위단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링크(17)에는 그 우측면에 전후로 연장되는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더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8)가 그 슬라이더를 개재하여 중간 링크(17)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지 부재(18)는 중간 링크(17)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함체(2)를 형성하는 재료가 두꺼운 경우에는, 제1 지지 부재(18)를 중간 링크(17)인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제1 지지 부재(18)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 사이의 간극 폭과,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에 있을 때 제1 지지 부재(18)와 제2 지지 부재(19)의 근위단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패널(2PC)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가 될 때에 제3 액추에이터(37)가 개함 스토퍼 부재(39)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함체(2)를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가 변경될 때에는, 제3 액추에이터(37)에 의한 개함 스토퍼 부재(39)의 후방으로의 이동량이 변경된다.
또한, 제함기(1)는 함체(2)의 외측으로부터 성형을 행하기 때문에, 함체(2)의 내부가 상방으로 향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다. 또한, 몸통부(2P)의 내측에 성형 장치(61)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 장치(61)를 빼고 끼우는 구동 기구가 필요 없어 제함기(1)의 간소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함기(1)의 개함 장치(10)는 함체(2)를 4각통 상태로 개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8각형 함(2)을 4각통형으로 개함할 때에는, 제2 액추에이터(28)가 제1 걸어맞춤 장치(25)를 초기 위치에 유지한 채로 지지 장치(12)를 폐쇄 형태로부터 개방 형태로 변위시키면 된다. 이 때, 제2 걸어맞춤 장치(35)가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대해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로 변위한다. 제2 걸어맞춤 장치(35)와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후방 패널(2PE)과 좌측 패널(2PC)이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몸통부(2P)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갖는 4각통 상태로 변형된다.
함체(2)가 4각통 상태로 변형될 때는, 성형 장치(61)에서 함체(2)는 4각통 상태로부터 몸통부(2P)가 성형된다. 함체(2)를 8각통형의 몸통부(2P)를 가질 때와 마찬가지로, 좌우의 형 부재(63)의 사이에 몸통부(2P)의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이 각각 베이스면(64)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좌우의 몸통부 확장 장치(68)가 좌우 외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몸통부(2P)의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이 바닥면(66) 및 전후의 측벽면(67)에 접촉하여 몸통부(2P)가 8각통형의 형상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함 장치(10)에서 지지 장치(12)가,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에 있는 함체(2)의 후방 패널(2PE)에 걸어맞춤되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와,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에 있는 함체(2)의 좌측 패널(2PC)에 걸어맞춤되는 제2 걸어맞춤 장치(35)를 각각 개함 상태에 있는 함체(2)의 후방 패널(2PE) 및 좌측 패널(2PC)의 상대적인 배치에 동일해지도록 이동시켰지만, 제1 걸어맞춤 장치(25) 및 제2 걸어맞춤 장치(35)가 걸어맞춤되는 패널은 후방 패널(2PE) 및 좌측 패널(2PC)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제함기(200)는 제1 실시형태와는 개함 장치(201)의 구성만이 다르다. 개함 장치(20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지지 장치(12), 제1 액추에이터(13), 지지대(14), 평행 링크 기구(15), 제1 지지 부재(18), 제2 지지 부재(19), 제1 걸어맞춤 장치(25)를 구비한다. 제1 걸어맞춤 장치(25)는, 제1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함 장치(201)에는, 중간 링크(17)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제1 프레임(41)이 결합되고, 제1 지지 부재(18)의 우단에 전후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42)이 결합되어 있다. 제1 프레임(41) 및 제2 프레임(42)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프레임(41) 및 제2 프레임(42)에는 그 연장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이 구비되어 있다. 제1 프레임(41) 및 제2 프레임(42)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43)이 결합되어 있다. 제3 프레임(43)의 좌우 양단에는, 제1 프레임(41) 및 제2 프레임(42)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가 설치되고, 제3 프레임(43)은 제1 프레임(41) 및 제2 프레임(42)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프레임(41), 제2 프레임(42) 및 제3 프레임(43)은, 제1 지지 부재(18) 및 제2 지지 부재(19)에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제1 지지 부재(18) 및 제2 지지 부재(19)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3 프레임(43)의 상측에는, 제3 프레임(43)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41) 및 제2 프레임(42)을 지지하기 위해, 이들의 사이에 좌우로 연장되는 프레임(41F)이 설치되어 있다.
제3 프레임(43)의 레일에는, 그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더가 결합되고, 그 슬라이더에는 후방으로 향하는 면을 갖는 제3 지지 부재(44)가 결합되어 있다. 제3 프레임(43)의 레일 및 그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된 슬라이더에 의해, 제3 지지 부재(44)는 제3 프레임(4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제3 걸어맞춤 장치(45)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와 마찬가지로, 제3 지지 부재(44)의 연장 방향 및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향하는 면을 갖는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와, 그 면 상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함체(2)의 단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핀(27)을 복수 구비하고 있다.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는, 접속구(47)를 통해 제2 지지 부재(19)의 원위단 측에 결합하여 제2 지지 부재(19)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구(47)는 L자 금구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제2 지지 부재(19)와 접속구(47)는 상하 방향을 경첩축으로 하는 경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는 그 경첩축을 축선으로 하여 제2 지지 부재(19)에 대해 회전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19)에는, 제2 지지 부재(19)에 대한 접속구(47)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접속구 스토퍼 부재(47S)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지지 부재(44)의 후방으로 향하는 면에는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 제3 걸어맞춤 장치(45)는, 제3 지지 부재(44)에 고정되며 제3 지지 부재(44)의 좌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제3 프레임(43)의 레일 상에 개함 스토퍼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프레임(41)의 레일 상에는, 제2 개함 스토퍼 부재(99)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는 제2 지지 부재(19)의 우측에 위치하고,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와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는 전후 방향으로 함체(2)의 1개분 정도의 거리를 두고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제함기(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대한 제3 걸어맞춤 장치(45)의 상대적인 위치가, 편평하게 접혀진 함체(2)의 후방 패널(2PE)에 대한 편평하게 접혀진 함체(2)의 전방 패널(2PA)의 상대적인 위치와 동일해지도록 제1 지지 부재(18) 및 제2 지지 부재(19)가 배치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로부터 개방 형태로 변위될 때, 제2 지지 부재(19)와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가 접속구(47)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는 제2 지지 부재(19)보다 전방으로 밀려나온다. 제3 걸어맞춤 장치 본체(46)가 전방으로 밀려나옴으로써, 제3 프레임(43)은 제2 개함 스토퍼 부재(99)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제3 걸어맞춤 장치(45)는 제3 프레임(43)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개함 스토퍼 부재(48)에 접촉할 때까지 좌방으로 이동한다. 개함 스토퍼 부재(48)의 제3 프레임(43)의 레일 상의 고정 위치 및 제2 개함 스토퍼 부재(99)의 제1 프레임(41)의 레일 상의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에 있을 때,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대한 제3 걸어맞춤 장치(45)의 상대적인 위치가 8각통형으로 개함된 함체(2)에서의 후방 패널(2PE)에 대한 전방 패널(2PA)의 상대적인 위치와 동일해지도록 제1 지지 부재(18) 및 제3 지지 부재(44)가 배치된다. 지지 장치(12)가 개방 형태에 있을 때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지지하는 후방 패널(2PE)과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지지하는 전방 패널(2PA)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지지하는 후방 패널(2PE)과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지지하는 전방 패널(2PA) 사이의 거리는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지지하는 후방 패널(2PE)과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지지하는 전방 패널(2PA)의 사이에 설치된 3개의 패널인 좌측 후방 패널(2PD), 좌측 패널(2PC) 및 좌측 전방 패널(2PB)의 폭의 합보다 작고, 좌측 패널(2PC)의 폭보다 커지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구 스토퍼 부재(47S)에 의해 제2 지지 부재(19)에 대한 접속구(47)의 회전 각도가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3 걸어맞춤 장치(45)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지지하는 후방 패널(2PE)과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지지하는 전방 패널(2PA) 사이의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좌측 후방 패널(2PD)은 후방 패널(2PE)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좌측 전방 패널(2PB)은 전방 패널(2P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함체(2)의 몸통부(2P)가 8각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 걸어맞춤 장치(25) 및 제3 걸어맞춤 장치(45)는 함체(2)의 몸통부(2P)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측판을 개재하여 접속된 2개의 패널에 각각 걸어맞춤되면 되고,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 및 개방 형태에서 제1 걸어맞춤 장치(25)와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각각 편평하게 접혀진 함체(2) 및 개함 상태의 함체(2)에 대응하는 패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제1 지지 부재(18) 및 제3 지지 부재(44)를 배치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제1 걸어맞춤 장치(25)가 후방 패널(2PE)에 걸어맞춤되고, 제3 걸어맞춤 장치(45)가 우측 전방 패널(2PH)에 걸어맞춤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1)는 함체(2)에 물품을 수용하는 구성을 가지지 않았지만, 하부 플랩(2L)이 봉함된 후 함체(2)에 물품을 수용하고 상부 플랩(2U)을 봉함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각 구성은 모두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며 적절히 취사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걸어맞춤 장치(35)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19)에 그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제1 걸어맞춤 장치(25)에 구비된 핀(27)을 뺌으로써 개함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에 있을 때는, 제3 걸어맞춤 장치(45)는 제2 걸어맞춤 장치(35)의 우측에 위치하여 서로 좌우로 열을 이루어 배치된다. 제2 걸어맞춤 장치(35)는 좌측 패널(2PC)에 걸어맞춤되고, 제3 걸어맞춤 장치(45)는 전방 패널(2PA)에 걸어맞춤된다.
지지 장치(12)가 폐쇄 형태로부터 개방 형태로 변위되면,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19)가 제1 지지 부재(18)에 대해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개방된다. 동시에, 제3 지지 부재(44)가 개함 스토퍼 부재(48)에 접촉할 때까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3 프레임(43)이 제2 개함 스토퍼 부재(99)에 접촉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2 걸어맞춤 장치(35)에 대한 제3 걸어맞춤 장치(45)의 상대적인 위치가 8각통형으로 개함된 함체(2)에서의 좌측 패널(2PC)에 대한 전방 패널(2PA)의 상대적인 위치와 동일해지도록, 제2 지지 부재(19) 및 제3 지지 부재(44)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좌측 패널(2PC) 및 전방 패널(2PA)이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고, 좌측 전방 패널(2PB)이 좌측 패널(2PC) 및 전방 패널(2PA)에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함체(2)의 몸통부(2P)가 8각통형을 이루도록 개함된다.
좌측 패널(2PC) 및 전방 패널(2PA)을 지지하여 몸통부(2P)가 8각통형을 이루도록 개함할 때에는, 개함 장치에 좌측 후방 패널(2PD)을 압압하여 성형하기 위한 성형 부재를 설치하여 몸통부(2P)의 뒤 부분을 성형해도 된다. 또한,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가 후방 패널(2PE), 후방 상부 플랩(2UC) 및 후방 하부 플랩(2LC)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1 걸어맞춤 장치 본체(26)가 이들의 플랩 및 측판에 접촉함으로써, 개함할 때의 함체(2)의 변형이 억제된다.
1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
2 8각형 함
10 개함 장치
12 지지 장치
14 지지대
15 평행 링크 기구
16 요동 링크
17 중간 링크
18 제1 지지 부재
19 제2 지지 부재
25 제1 걸어맞춤 장치
27 핀
28 제2 액추에이터(구동 장치)
35 제2 걸어맞춤 장치
39 개함 스토퍼 부재
61 성형 장치
2PE 후방 패널(제1 측판)
2PC 좌측 패널(제2 측판)
2PD 좌측 후방 패널(중간 측판)
2UC 후방 상부 플랩(제1 상부 플랩)
2UB 좌측 상부 플랩(제2 상부 플랩)
200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제함기
201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개함 장치
45 제3 걸어맞춤 장치(제2 걸어맞춤 장치)
2PA 전방 패널(제2 측판)
2UA 전방 상부 플랩(제2 상부 플랩)

Claims (16)

  1. 상하로 연장되고 접이선을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 복수의 측판을 구비한 8각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연(上緣)에 설치된 복수의 상부 플랩과, 상기 몸통부의 하연(下緣)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 플랩을 갖는 함체를, 상기 몸통부가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몸통부가 통형을 이루는 개함 상태로 하는 개함 장치를 구비한 제함기로서,
    상기 개함 장치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측판, 상기 측판의 상연에 설치된 상부 플랩 및 상기 측판의 하연에 설치된 하부 플랩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장치가 설치된 2개의 지지 부재를 갖는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장치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장치가 상기 측판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측판을 지지하고,
    상기 2개의 지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상기 측판을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 2개의 상기 측판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장치의 상대적인 배치가 편평하게 접혀진 상기 함체의 상기 걸어맞춤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폐쇄 형태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 장치의 상대적인 배치가 상기 개함 상태의 상기 함체의 상기 걸어맞춤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측판의 상대적인 배치와 동일해지도록 배치하는 개방 형태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하부 플랩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개함 상태의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가 상기 하부 플랩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함체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도록 변형된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제1 측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측판에 하나의 중간 측판을 개재하여 접속하는 제2 측판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에 있을 때,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개방 형태에 있을 때,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각도를 가지도록 개방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걸어맞춤 장치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걸어맞춤 장치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시키는 구동 장치를 가지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로부터 상기 개방 형태로 변형될 때에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구동 후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의 개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서로 근접한 측의 단부를 근위단(近位端)으로 하고, 서로 떨어진 측의 단부를 원위단(遠位端)으로 한 경우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구동 후 위치는 상기 초기 위치보다 원위단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원위단 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원위단 측의 이동 한계를 정하는 스토퍼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의 원위단 측의 이동 한계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1세트의 동일 길이의 요동 링크 및 상기 요동 링크 각각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중간 링크를 구비한 평행 링크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중간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요동 링크의 한쪽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개방 형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이 대략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측판의 상기 제1 측판쪽의 접이선 또는 상기 제2 측판쪽의 접이선이, 상기 접혀진 상태에서의 상기 몸통부의 측연(側緣)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평행한 2장의 판재와 이들 사이에 끼워진 파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심(中芯)을 구비한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랩의 상측 단면에 상기 중심의 파형상의 단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는, 상기 제1 측판의 상연에 설치된 제1 상부 플랩의 단면에 꽂히는 핀을 가지며,
    상기 제2 걸어맞춤 장치는, 상기 제2 측판의 상연에 설치된 제2 상부 플랩의 단면에 꽂히는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랩을 끼움지지하여 절곡하는 절곡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절곡 장치는, 간극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부재와, 상기 2개의 부재 사이의 거리를 바꾸는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장치가 상기 2개의 부재 사이의 거리를 바꿈으로써 상기 하부 플랩은 상기 2개의 부재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걸어맞춤 장치와 상기 상부 플랩의 걸어맞춤이 해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로부터 상기 개방 형태로 변형될 때에,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상기 구동 후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측판이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폐쇄 형태로부터 상기 개방 형태로 변형될 때에, 상기 제1 걸어맞춤 장치를 상기 초기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를 4각통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기 몸통부를 소정의 폭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8각통형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하부 플랩을 걸어멈춤하고 상기 하부 플랩을 절곡하면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소정의 폭방향으로 펼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는, 상기 몸통부의 상기 측판의 외면에 흡착되고 상기 측판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몸통부를 소정의 폭방향으로 펼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KR1020170105701A 2016-08-22 2017-08-21 제함기 KR20180021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1997A JP6786305B2 (ja) 2016-08-22 2016-08-22 製函機
JPJP-P-2016-161997 2016-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54A true KR20180021654A (ko) 2018-03-05

Family

ID=6130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01A KR20180021654A (ko) 2016-08-22 2017-08-21 제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86305B2 (ko)
KR (1) KR201800216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196B1 (ko) * 2020-10-12 2022-07-29 듀팩장원기계(주) 박스두께에 따라 가변가능한 제함기
CN114536852B (zh) * 2022-02-24 2023-01-10 淮安市昊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卧式高速开箱机用开封箱装置及其开封箱方法
KR102551135B1 (ko) * 2023-01-25 2023-07-03 박양순 박스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86305B2 (ja) 2020-11-18
JP2018030249A (ja)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1656A (ko) 제함기
KR20180021654A (ko) 제함기
KR102373713B1 (ko) 절첩 시트의 제함 방법 및 그 장치
JP6151322B2 (ja) 製函装置
MX2014010627A (es) Metodos y maquina para formar un recipiente a partir de una plantilla utilizando una seccion de mandril pre-doblada.
JP6262173B2 (ja) 製箱装置
JPH09358U (ja) 水平プレート状の加工品の一時的支持用に設計され、かつ機械内に配置されるフレーム
KR20180021655A (ko) 제함기
JP2014162216A (ja) 箱詰機における製函装置
JP6801881B2 (ja) 箱詰め装置
WO2015045103A1 (ja) スライダー取り付け装置
JP4756866B2 (ja) 開箱装置
JP5808642B2 (ja) 製函装置
JP7172826B2 (ja) 製函装置および製函方法
JP6158772B2 (ja) 中仕切りの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5822221B2 (ja) 連結型テーパ箱成形装置
KR102585262B1 (ko) 제함기
JP6588520B2 (ja) 集積梱包機前搬送装置
JP6886335B2 (ja) 梱包装置、梱包方法
JP2021049764A (ja) フラップ折り込み装置
KR102611915B1 (ko) 제함기 및 제함 방법
JP5432216B2 (ja) 箱詰機における添付書類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142911B2 (ja) 箱のフラップ拡開装置
JP2003231190A (ja) カートン成形装置
JPH09327869A (ja) ダンボール箱の製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