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730A - 원격 사격 통제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사격 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730A
KR20180020730A KR1020160105527A KR20160105527A KR20180020730A KR 20180020730 A KR20180020730 A KR 20180020730A KR 1020160105527 A KR1020160105527 A KR 1020160105527A KR 20160105527 A KR20160105527 A KR 20160105527A KR 20180020730 A KR20180020730 A KR 2018002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pivoting
main body
unit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태병
김동호
신재하
이태호
고선동
김용현
허윤석
박성민
정유철
길성규
이인표
이종민
김종성
박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6010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730A/ko
Publication of KR2018002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28Electrically-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18Mechanical systems for gun turrets
    • F41A27/20Drives for turret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총포가 거치되는 본체, 총포의 사격방향에 대해 본체의 상하 회전 운동을 피벗팅 및 좌우 회전운동을 틸팅이라고 할 때 전기적인 신호의 인가에 따라 본체를 각각 피벗팅과 틸팅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본체와 구동유닛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자동 모드에서 고장 또는 피탄에 의해 작동 불능 상태일 때 피벗팅과 틸팅 구동을 위해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해제하여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사격 통제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EMOTE FIRING}
본 발명은 원격 사격 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투 시 장갑차 또는 전차 등의 방호실 내부에서 원격으로 총포의 격발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차 및 전차 등과 같은 육상 전투차량과 고속정과 같은 수상정에는 총포가 배치된다. 이러한 총포는 거치대에 의해 거치되며 목표물에 대한 지향 사격을 위해 상하 회전운동 및/또는 좌우 회전 운동된다.
최근 들어, 총포와 거치대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로 구성된다.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전투 시 장갑차 등의 내부 방호실에서 병사에 의해 원격으로 작동됨과 함께 총포의 격발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방호실 내부에서 병사에 의해 원격으로 작동되도록 방호실 외부 상황을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영상 카메라, 영상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총포를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총포의 격발 및 장전을 수행하는 격발 및 장전부, 그리고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전투 시 병사의 생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작동이 병사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의 인가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상 카메라의 피탄 또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케이블의 피탄 시 원격 제어가 불가능함에 따라 총포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 10-1408340호; 원격 사격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총포의 지향 사격 방향의 변경과 격발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격 사격 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총포가 거치되는 본체와, 상기 총포의 사격방향에 대해 상기 본체의 상하 회전 운동을 피벗팅 및 좌우 회전운동을 틸팅이라고 할 때 전기적인 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본체를 각각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본체와 상기 구동유닛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와 별도로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피벗팅과 틸팅 중 어느 하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평기어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호 맞물리며, 상기 해제유닛은 상호 맞물린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해제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이 해제될 때, 상기 본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를 상기 피벗팅 시키도록 회전 운동되는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를 틸팅 시키도록 회전 운동되는 제 1틸팅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피벗팅으로 구동시키는 제 2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 2틸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틸팅으로 구동시키는 제 2틸팅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총포가 거치되고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피벗팅으로 작동되는 제 1본체와,
상기 제 1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 2틸팅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틸팅으로 작동되는 제 2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가 상호 맞물리는 피벗팅 결합위치와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피벗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가 상호 맞물리는 틸팅 결합위치와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틸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2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결합위치와 상기 틸팅 결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본체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상기 총포에 연결되어 상기 총포의 총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발유닛은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상기 총포에 연결되어 상기 총포의 총탄을 장전시키는 장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전유닛은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총포가 거치되고 상기 총포의 사격방향에 대해 상하 회전 운동을 피벗팅 및 좌우 회전운동을 틸팅이라고 할 때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구동부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 1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가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되는 구동력을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제 2구동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구동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가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자동 모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의해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평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해제유닛에 의해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제 2피벗팅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본체의 자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를 상호 맞물리는 피벗팅 결합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수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피벗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제 1틸팅 구동부와 제 2틸팅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본체의 자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를 상호 맞물리는 틸팅 결합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수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피벗팅 결합위치와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1해제부와, 상기 틸팅 결합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2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효과는 자동 모드에서 고장 또는 피탄에 의해 작동 불능 상태일 때 피벗팅과 틸팅 구동을 위해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해제하여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제 1구동부와 제 2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격발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장전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제 2피벗팅 구동부가 자동 모드일 때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수동 모드일 때의 피벗팅 구동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제 2피벗팅 구동부가 수동 모드일 때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자동 모드일 때의 제 1틸팅 구동부와 제 2틸팅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자동 모드일 때의 틸팅 구동에 대한 배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수동 모드일 때의 틸팅 구동에 대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1틸팅 구동부와 제 2틸팅 구동부의 배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제 1구동부와 제 2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10)는 본체(100), 구동유닛(700) 및 해제유닛(9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10)는 영상유닛(200), 격발유닛(300), 장전유닛(400; 도 17 참조) 및 지지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본체(100)는 총포(1)를 지지한다. 본체(100)는 장갑차, 전차, 무장차량 또는 고속정과 같은 다양한 육상 전투차량 또는 수상함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0)에 거치되는 총포(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12.7mm의 구경을 갖는 총기가 사용되나 7.62mm의 구경을 갖는 총기 등 다양한 총포(1)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0)는 총포(1)의 사격 방향에 대해 상하 방향 회전 운동을 피벗팅 및 좌우 방향 회전 운동을 틸팅이라고 할 때, 자동 모드에서는 구동유닛(700)의 구동력에 의해 피벗팅과 틸팅으로 구동된다. 반면, 본체(100)는 수동 모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피벗팅과 틸팅으로 구동된다. 본체(100)의 피벗팅과 틸팅은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로 구분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0)는 제 1본체(120)와 제 2본체(140)를 포함한다. 제 1본체(120)는 총포(1)가 거치되고 피벗팅으로 작동된다. 제 1본체(120)에는 후술할 제 2구동부(740)의 제 2피벗팅 구동부(742)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2본체(140)는 제 1본체(120)와 연결되고 틸팅으로 작동된다. 제 2본체(140)에는 후술할 제 2구동부(740)의 제 2틸팅 구동부(744)가 배치된다.
영상유닛(200)은 본체(100)에 배치되어 방호실 내부의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영상유닛(200)부터 제공된 영상을 미도시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인식한다. 영상유닛(200)은 야간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격발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장전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격발유닛(3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포(1)에 연결되어 총포(1)의 총탄을 격발시킨다. 격발유닛(300)은 자동 모드에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된다. 격발유닛(300)은 본체(100)에 거치되는 총포(1)의 종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장전유닛(400)은 총포(1)에 연결되어 총포(1)의 총탄을 장전시킨다. 장전유닛(400)은 격발유닛(300)과 같이 자동 모드에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의 의해 수동으로 작동된다. 장전유닛(400)은 본체(100)에 거치되는 총포(1)의 종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지지유닛(500)은 총포(1)로 인입되는 탄약의 지지한다. 지지유닛(500)은 탄약을 수용하는 탄약통이 본체(100)의 피벗팅과 틸팅 구동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탄약통을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제 2피벗팅 구동부가 자동 모드일 때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수동 모드일 때의 피벗팅 구동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제 2피벗팅 구동부가 수동 모드일 때의 측면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구동유닛(700)은 전기적인 신호의 인가에 따라 본체(100)를 피벗팅과 틸팅으로 구동시킨다. 즉, 구동유닛(700)은 본체(100)를 피벗팅 시키는 위치와 본체(100)를 틸팅 시키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구동유닛(700)은 본체(100)와 별도로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제 1구동부(720)와 본체(100)에 배치되고 제 1구동부(72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본체(100)에 피벗팅과 틸팅 중 어느 하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부(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구동부(720)와 제 2구동부(740)는 각각 평기어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호 맞물린다.
제 1구동부(720)는 제 1피벗팅 구동부(722)와 제 1틸팅 구동부(724)를 포함한다. 제 1피벗팅 구동부(722)는 본체(100)에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본체(100)를 피벗팅 시키도록 회전 운동된다. 제 1틸팅 구동부(724)는 본체(100)에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본체(100)를 틸팅 시키도록 회전 운동된다. 상세하게 제 1피벗팅 구동부(722)는 제 1본체(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본체(120)를 피벗팅 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 1틸팅 구동부(724)는 제 2본체(14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2본체(140)를 틸팅 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 1피벗팅 구동부(722)는 피벗팅 하우징(722a) 및 피벗팅 기어(722b)를 포함하고, 제 1틸팅 구동부(724)는 틸팅 하우징(724a) 및 틸팅 기어(724b)를 포함한다.
제 2구동부(740)는 제 2피벗팅 구동부(742)와 제 2틸팅 구동부(744)를 포함한다. 제 2피벗팅 구동부(742)는 본체(100)에 배치되며 제 1피벗팅 구동부(722)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제 1피벗팅 구동부(722)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본체(100)를 피벗팅으로 구동시킨다. 제 2피벗팅 구동부(742)는 제 1본체(120)에 배치된다. 제 2틸팅 구동부(744)는 본체(100)에 배치되며 제 2틸팅 구동부(744)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제 1틸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본체(100)를 틸팅으로 구동시킨다. 제 2틸팅 구동부(744)는 제 2본체(140)에 배치된다.
해제유닛(900)은 본체(100)와 구동유닛(7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본체(100)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킨다. 상세하게 해제유닛(900)은 제 1해제부(920)와 제 2해제부(940)를 포함한다.
제 1해제부(920)는 제 1피벗팅 구동부(722)와 제 2피벗팅 구동부(742)가 상호 맞물리는 피벗팅 결합위치와 제 1피벗팅 구동부(722)와 제 2피벗팅 구동부(742)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피벗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즉, 제 1해제부(920)는 제 1피벗팅 구동부(722)와 제 2피벗팅 구동부(742)가 배치된 제 1본체(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피벗팅 결합위치와 제 1피벗팅 구동부(722)와 제 1본체(120)를 상호 분리시키는 피벗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제 2해제부(940)는 제 1틸팅 구동부(724)와 제 2틸팅 구동부(744)가 상호 맞물리는 틸팅 결합위치와 제 1틸팅 구동부(724)와 제 2틸팅 구동부(744)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틸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즉, 제 2해제부(940)는 제 1틸팅 구동부(724)와 제 2틸팅 구동부(744)가 배치된 제 2본체(140)를 상호 결합시키는 틸팅 결합위치와 제 1틸팅 구동부(724)와 제 2본체(140)를 상호 분리시키는 틸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장치(10)의 피벗팅 구동에 대한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피벗팅 구동에 대한 자동 모드는 제 1해제부(920)가 피벗팅 결합위치에 위치될 때 수행된다. 제 1해제부(920)가 피벗팅 결합위치에 위치될 때, 피벗팅 하우징(722a)과 제 1본체(120)는 상호 인접하게 되고 피벗팅 기어(722b)와 제 2피벗팅 구동부(742)는 평기어로 마련되어 상호 치합된다. 방호실 내부의 사용자가 피벗팅 구동 신호를 인가하면, 피벗팅 기어(722b)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고 제 2피벗팅 구동부(742)는 피벗팅 기어(722b)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된다. 그러면, 제 1본체(120)는 피벗팅 기어(722b)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회전 운동되는 제 2피벗팅 구동부(742)의 회전 운동에 따라 피벗팅으로 구동된다.
한편, 본체(100)의 피벗팅 구동에 대한 수동 모드는 영상유닛(200)의 파손 또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케이블의 파손 시와 같은 작동 불능 상태에서 진행된다. 본체(100)의 피벗팅 구동에 대한 수동 모드는 제 1해제부(920)가 피벗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피벗팅 하우징(722a)과 제 1본체(120)가 상호 분리됨에 따라 피벗팅 기어(722b)와 제 2피벗팅 구동부(742)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러면, 제 2피벗팅 구동부(742)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제 1본체(120)는 피벗팅 작동된다.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자동 모드일 때의 제 1틸팅 구동부와 제 2틸팅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자동 모드일 때의 틸팅 구동에 대한 배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총포와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수동 모드일 때의 틸팅 구동에 대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1틸팅 구동부와 제 2틸팅 구동부의 배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틸팅 구동에 대한 자동 모드는 제 2해제부(940)가 틸팅 결합위치에 위치될 때 수행된다. 제 2해제부(940)가 틸팅 결합위치에 위치될 때, 틸팅 하우징(724a)과 제 2본체(140)는 상호 인접하게 되고 틸팅 기어(724b)와 제 2틸팅 구동부(744)는 평기어로 마련되어 상호 치합된다. 방호실 내부의 사용자가 틸팅 구동 신호를 인가하면, 틸팅 기어(724b)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고 제 2틸팅 구동부(744)는 틸팅 기어(724b)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된다. 그러면, 제 2본체(140)는 틸팅 기어(724b)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회전 운동되는 제 2틸팅 구동부(744)의 회전 운동에 따라 틸팅으로 구동된다.
반면, 본체(100)의 틸팅 구동에 대한 수동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유닛(200)의 파손 또는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케이블의 파손 시와 같은 작동 불능 상태에서 진행된다. 본체(100)의 틸팅 구동에 대한 수동 모드는 제 2해제부(940)가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틸팅 하우징(724a)과 제 2본체(140)가 상호 분리됨에 따라 틸팅 기어(724b)와 제 2틸팅 구동부(744)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러면, 제 2틸팅 구동부(744)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제 2본체(140)는 틸팅 작동된다.
이에, 자동 모드에서 고장 또는 피탄에 의해 작동 불능 상태일 때 피벗팅과 틸팅 구동을 위해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해제하여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격 사격 통제장치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원격 사격 통제장치 100: 본체
120: 제 1본체 140: 제 2본체
300: 격발유닛 400: 장전유닛
700: 구동유닛 720: 제 1구동부
722: 제 1피벗팅 구동부 724: 제 1틸팅 구동부
740: 제 2구동부 742: 제 2피벗팅 구동부
744: 제 2틸팅 구동부 900: 해제유닛
920: 제 1해제부 940: 제 2해제부

Claims (17)

  1. 총포가 거치되는 본체와;
    상기 총포의 사격방향에 대해 상기 본체의 상하 회전 운동을 피벗팅 및 좌우 회전운동을 틸팅이라고 할 때, 전기적인 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본체를 각각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본체와 상기 구동유닛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와 별도로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피벗팅과 틸팅 중 어느 하나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평기어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호 맞물리며,
    상기 해제유닛은 상호 맞물린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에 의해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력이 해제될 때, 상기 본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를 상기 피벗팅 시키도록 회전 운동되는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를 틸팅 시키도록 회전 운동되는 제 1틸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피벗팅으로 구동시키는 제 2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상기 제 2틸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틸팅으로 구동시키는 제 2틸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총포가 거치되고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피벗팅으로 작동되는 제 1본체와;
    상기 제 1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 2틸팅 구동부가 배치되며, 상기 틸팅으로 작동되는 제 2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가 상호 맞물리는 피벗팅 결합위치와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피벗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가 상호 맞물리는 틸팅 결합위치와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틸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2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결합위치와 상기 틸팅 결합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본체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상기 총포에 연결되어 상기 총포의 총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발유닛은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격 통제장치는 상기 총포에 연결되어 상기 총포의 총탄을 장전시키는 장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전유닛은 상기 제 1해제부와 상기 제 2해제부가 각각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3. 총포가 거치되고 상기 총포의 사격방향에 대해 상하 회전 운동을 피벗팅 및 좌우 회전운동을 틸팅이라고 할 때, 상기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별도로 배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구동부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제 1구동부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가 피벗팅과 상기 틸팅으로 구동되는 구동력을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제 2구동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구동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가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자동 모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의해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평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해제유닛에 의해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제 2피벗팅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본체의 자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를 상호 맞물리는 피벗팅 결합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수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피벗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피벗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피벗팅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와 상기 제 2구동부는 각각 제 1틸팅 구동부와 제 2틸팅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본체의 자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를 상호 맞물리는 틸팅 결합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수동 모드일 때 상기 제 1틸팅 구동부와 상기 제 2틸팅 구동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틸팅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피벗팅 결합위치와 상기 피벗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1해제부와;
    상기 틸팅 결합위치와 상기 틸팅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 2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장치.
KR1020160105527A 2016-08-19 2016-08-19 원격 사격 통제장치 KR20180020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527A KR20180020730A (ko) 2016-08-19 2016-08-19 원격 사격 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527A KR20180020730A (ko) 2016-08-19 2016-08-19 원격 사격 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30A true KR20180020730A (ko) 2018-02-28

Family

ID=6140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527A KR20180020730A (ko) 2016-08-19 2016-08-19 원격 사격 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07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848B1 (ko) 2018-11-28 2020-03-11 김명자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RU2752111C1 (ru) * 2020-11-20 2021-07-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им. академика А.Г. Шипунов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пусковыми механизмами пушек комплекса вооружения
KR20220056444A (ko) 2020-10-28 2022-05-06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KR102456750B1 (ko) * 2022-02-25 2022-10-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교전 통제 장치 및 교전 통제 방법
KR20230020812A (ko) 2021-08-04 2023-0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탄약 안전 공급장치
KR20230027941A (ko) 2021-08-20 2023-02-28 현대위아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선회 및 고각 자동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474A (ko) * 2010-05-19 2011-11-25 정인 자동 탄도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정방법
KR20120106306A (ko) * 2011-03-18 2012-09-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화기 거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계 로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474A (ko) * 2010-05-19 2011-11-25 정인 자동 탄도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정방법
KR20120106306A (ko) * 2011-03-18 2012-09-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화기 거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계 로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848B1 (ko) 2018-11-28 2020-03-11 김명자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KR20220056444A (ko) 2020-10-28 2022-05-06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RU2752111C1 (ru) * 2020-11-20 2021-07-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им. академика А.Г. Шипунов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пусковыми механизмами пушек комплекса вооружения
KR20230020812A (ko) 2021-08-04 2023-0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탄약 안전 공급장치
KR20230027941A (ko) 2021-08-20 2023-02-28 현대위아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선회 및 고각 자동 잠금장치
KR102456750B1 (ko) * 2022-02-25 2022-10-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교전 통제 장치 및 교전 통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0730A (ko) 원격 사격 통제장치
US7669513B2 (en) Multiple weapon system for armored vehicle
US6543173B1 (en) Firearm assembly
US70305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 mechanism for motorizing a manual turret
CA2774115C (en) Multi-weapons system
US7086318B1 (en) Anti-tank guided missile weapon
KR101081214B1 (ko)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US10222175B2 (en) Robot/drone multi-projectile launcher
IL209195A (en) Turret assembly
EP2742309B1 (en) Weapon postur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RU2629688C1 (ru) Боевой модуль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KR100717947B1 (ko) 원격 무기 장치대
KR20100096518A (ko) 원격 사격 시스템
US11525649B1 (en) Weapon platform operable in remote control and crew-served operating modes
IL161487A (en) Multiple weapon system for an armored vehicle
KR20100084840A (ko) 원격 사격 시스템
KR102420224B1 (ko)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KR20180020731A (ko) 다기종 총포 교체 운용이 가능한 원격 사격 통제장치
KR20190022091A (ko) 이동 로봇 기반의 소총 제어 시스템
KR102007461B1 (ko) 단발과 다양한 발사 모드를 구현하는 멀티 발사기
JP3522183B2 (ja) Rc戦車等における弾丸発射装置
KR20150096356A (ko) 원격 사격 시스템
RU2345314C1 (ru) Боевой ударный комплекс
JP2011191019A (ja) 回転式砲塔を装備した車両
TR201906011A1 (tr) Otomati̇k atiş stabi̇li̇zasyon si̇s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