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224B1 -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224B1
KR102420224B1 KR1020200141035A KR20200141035A KR102420224B1 KR 102420224 B1 KR102420224 B1 KR 102420224B1 KR 1020200141035 A KR1020200141035 A KR 1020200141035A KR 20200141035 A KR20200141035 A KR 20200141035A KR 102420224 B1 KR102420224 B1 KR 10242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pon system
machine gun
ammunition
weapon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444A (ko
Inventor
김철중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2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18Mechanical systems for gun turrets
    • F41A27/20Drives for turret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 F41A9/20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sliding, e.g. reciprocating
    • F41A9/21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sliding, e.g. reciproc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기체계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지 않고 외부에 위치하는 기관총에 탄약을 원활하게 보충(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전투력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있어서, 무기체계의 외부에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장착되는 기관총과; 상기 기관총을 지지하여 기관총의 연장선과 조준선이 이루는 각인 고각(angle of elevation)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전 동작하는 고각구동부와, 상기 고각구동부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 동작하는 선회구동부(swivelling)로 구성되는 고저 및 선회구동장치와; 상기 선회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무기체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 일단은 상기 기관총의 급탄 가이드 삽입부와 연결되는 급탄 가이드로 구성되는 탄통; 을 포함하고, 상기 탄통은 선회구동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통에 탄약의 보충시 무기체계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Remote Armed System for Weapons System}
본 발명은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기체계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지 않고 외부에 위치하는 기관총에 탄약을 원활하게 보충(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전투력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기를 중심으로 구성된 주요 장비 및 관련된 기재, 시설, 기술, 인원 등의 유기적 조직체를 의미하는 무기 체계(Weapon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무기체계에는 외부의 표적에 대하여 원격으로 무기를 작동하는 소구경과 중구경의 기관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원격으로 통제되는 원격무장시스템(원격 무기 체계 : Remote Weapon System)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원격무장시스템(Remote Controlled Weapon System(RCWS) 또는 Remote Weapon System(RWS)은 무기체계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거치대를 구비하는 기관총과, 상기 기관총의 거치대를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선회구동장치와, 상기 기관총을 조정하여 식별된 목표에 사격토록 무기체계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의 기관총은 전투차량이나, 함정 등과 같은 무기체계의 외부에 설치되고 통제장치는 내부에 설치되어 운용자가 내부에서 통제장치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기관총을 통해 사격하는 것으로서 운용자가 엄폐한 상태로 공격이 가능하므로 운용자의 생존성을 높여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은 기관총에 탄약을 공급하는 탄통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탄약 보충을 위해서는 전투차량이나 함정 등의 승무원이 무기체계 외부로 나가야 하므로 적의 위험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983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3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073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체계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격무장시스템의 기관총에 탄약 보충이 무기체계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승무원(승조원)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안전성 향상과 전투력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있어서, 무기체계의 외부에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장착되는 기관총과; 상기 기관총을 지지하여 기관총의 연장선과 조준선이 이루는 각인 고각(angle of elevation)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전 동작하는 고각구동부와, 상기 고각구동부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 동작하는 선회구동부(swivelling)로 구성되는 고저 및 선회구동장치와; 상기 선회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무기체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 일단은 상기 기관총의 급탄 가이드 삽입부와 연결되는 급탄 가이드로 구성되는 탄통; 을 포함하고, 상기 탄통은 선회구동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통에 탄약의 보충시 무기체계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무기체계를 운용하는 운용자의 외부 노출없이 원격무장시스템의 탄통으로 탄약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상태에서 지속 사격이 가능하여 생존율이 월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탄통 및 탄약이 선회장치 회전축과 가까워져 관성모멘트가 줄어들어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 효율 향상은 선회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타격 목표 조준 소요 시간 단축하여 전투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무장시스템을 무기체계에 장착(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100)은 기관총(110)과 선회구동장치(120) 및 탄통(13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기관총(heavy machine gun)(110)은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외부에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기관총(110)은 일측 측면에 탄창 또는 급탄 가이드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개구부 형태의 급탄 가이드 삽입부(111)가 형성된다.
또, 상기 기관총(110)은 연사가 가능한 소구경, 중구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저 및 선회구동장치(120)는 상기 기관총(110)을 지지하여 기관총(110)의 연장선과 조준선이 이루는 각인 고각(angle of elevation)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전 동작하는 고각구동부(121)와, 상기 고각구동부(121)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 동작하는 선회구동부(swivelling)(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각구동부(121)는 프레임(121a)과 상기 프레임(121a)의 일측에 결합되어 프레임(121a)을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동력원(121b) 및 상기 프레임(121a)과 동력원(121b)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축(121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고각구동부(121)는 예컨대,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제장치(210)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기관총(110)을 상,하로 회전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선회구동부(122)는 상기 고각구동부(121)의 프레임(121a)과 결합되는 지지대(122a)와, 상기 지지대(122a)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대(122a)를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 동작 시키는 동력원(122b) 및 상기 지지대(122a)와 동력원(122b)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축(122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원(122b)은 서보모터 또는 액추에이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선회구동부(122)는 무기체계(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제장치(210)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기관총(110)을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탄통(130)은 상기 선회구동부(1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상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 일단은 상기 기관총(110)의 급탄 가이드 삽부(111)와 연결되는 급탄 가이드(132)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탄통(130)이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탄약 보충이 무기체계(20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승무원(운영자)이 무기체계(200)의 내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통(130)의 본체(131)는 원통형, 다각통형, 사각통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급탄 가이드(132)를 통해 공급되는 탄약(133)은 탄통(130)의 본체(131)를 통해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통(130)은 선회구동부(122)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회구동부(122)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통(130)은 선회구동부(122)의 구동축(122c)과 가까워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관성모멘트가 줄어들게 되므로 구동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구동 효율향상은 선회속도를 향상시켜 타격 목표 조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으로 전투력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급탄 가이드(132)는 탄약벨트(미도시)에 의해 엮겨진 총알과 화약이 결합된 탄약(彈藥)(133)이 삽입, 이동이 안내되어 상기 기관총(110)에 공급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관총(110)에 현재 제공되고 있는 탄약(133)이 엮겨진 탄약 벨트(도면부호 미도시)의 후단과 급탄 가이드 삽입부(111)에 삽입된 탄약 벨트의 전단이 링크되어, 급탄 가이드(132)에 탑재된 탄약 벨트가 기관총(110)에 현재 제공되고 있는 탄약 벨트에 연속되어 기관총(110)의 급탄 가이드 삽입부(111)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100)은 상기 고각 및 선회구동장치(120)의 일측에 탄약을 장전하기 위한 장전장치(140)와 적을 식별하기 위한 감시장치(150)가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격무장시스템(100)은 상기 기관총(110)의 일측에 급탄 가이드(132)를 통해 공급되고 장전장치(140)에 의해 장전된 탄약(彈藥)(133)을 발사시키는 격발장치(1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전장치(140)와 격발장치(160)는 원격무장시스템(100)에 통상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감시장치(150)는,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전방과 주변을 감시하여 적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감시용카메라(151)와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기동을 위해 필요한 운전용카메라(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감시장치(150)는 야간에도 적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대상물의 촬상 및 원거리 확대가 가능하다.
또, 상기 감시용 카메라(151)와, 운전용 카메라(152)로부터 촬상된 촬상 신호의 정보를 통제장치(210)의 디스플레이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통하여 나타냄으로써 무기체계(200)의 승무원(운용병)(300)이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를 정확하게 기동시키거나, 감시대상물을 감시하여 사격을 하거나 원활한 기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51),(152)는 줌 타입 카메라, 돔 타입 카메라, PTZ 카메라, IR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기체계(200)는 전투차량에 국한되지 않고 외부에 설치된 원격무장시스템(100)의 탄약 보충을 승무원(운용자)이 내부에서 보충 가능한 예컨대, 건물이나 벙커와 같이 고정 밀폐된 구조물 또는 함정 등과 같은 타무기체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격무장시스템(100)을 구비하는 무기체계(200)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격무장시스템(100)이 구비된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를 이용하여 기관총(110) 사격을 하고자 할 경우, 승무원(운용병)(300)은 감시장치(150)를 통해 적의 식별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감시장치(150)를 통해 적이 식별된 후에 승무원(운용병)(300)은 통제장치(210)를 조작하여 고각 및 선회구동장치(120)를 상,하와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시켜 기관총(110)이 목표를 지향하도록 한다.
이후 계속해서, 상기 통제장치(210)를 조작하여 상기 기관총(110)에 총알과 화약이 결합된 탄약(彈藥)(133)이 장전되도록 장전장치(140)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장전장치(140)의 구동에 의해 탄통(130)의 본체(131)에 보관된 탄약(133)이 급탄 가이드(132)를 통해 기관총(110)에 장전된다.
다음, 사격명령에 따라 통제장치(210)를 조작하여 격발장치(160)를 작동시킴으로써 탄약(133)이 목표물에 발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속적인 사격동작으로 상기 탄통(130)의 본체(131)에 저장된 탄약(133)을 사용 후 승무원(운용병)(300)은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200)의 내부에 보관 중인 탄약(133)을 상기 탄통(130)의 본체(131)에 보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은 승무원(운용병)이 전투차량과 같은 무기체계의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탄약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승무원이 적으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110 : 기관총
111 : 급탄 가이드 삽입부 120 : 고각 및 선회구동장치
121 : 고각 구동부 121a : 프레임
121b : 동력원 121c : 구동축
122 : 선회구동부 122a : 지지대
122b : 동력원 122c : 구동축
130 : 탄통 131 : 본체
132 : 급탄 가이드 133 : 탄약
140 : 장전장치 150 : 감시장치
151 : 감시용 카메라 152 : 운전용 카메라
160 : 격발장치 200 : 무기체계
210 : 통제장치 300 : 승무원(운용병)

Claims (8)

  1.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에 있어서,
    무기체계의 외부에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장착되는 기관총과;
    상기 기관총을 지지하여 기관총의 연장선과 조준선이 이루는 각인 고각(angle of elevation)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전 동작하는 고각구동부와, 상기 고각구동부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둘레 방향 좌,우로 회전 동작하는 선회구동부(swivelling)로 구성되는 고저 및 선회구동장치와;
    상기 선회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무기체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 일단은 상기 기관총의 급탄 가이드 삽입부와 연결되는 급탄 가이드로 구성되는 탄통; 을 포함하고,
    상기 탄통은 선회구동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통에 탄약의 보충시 무기체계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41035A 2020-10-28 2020-10-28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KR10242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35A KR102420224B1 (ko) 2020-10-28 2020-10-28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35A KR102420224B1 (ko) 2020-10-28 2020-10-28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44A KR20220056444A (ko) 2022-05-06
KR102420224B1 true KR102420224B1 (ko) 2022-07-12

Family

ID=8158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035A KR102420224B1 (ko) 2020-10-28 2020-10-28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2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5441A1 (en) * 2014-07-22 2016-01-28 Moog Inc. Configurable weapon station having under armor relo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214B1 (ko) * 2009-02-24 2011-11-07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KR101408340B1 (ko) 2009-03-11 2014-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 사격 시스템
KR20180020730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원격 사격 통제장치
KR102359330B1 (ko) 2018-02-14 2022-02-04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원격 무장 시스템
KR102445358B1 (ko) * 2018-04-05 2022-09-20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탄약 보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5441A1 (en) * 2014-07-22 2016-01-28 Moog Inc. Configurable weapon station having under armor rel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44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513B2 (en) Multiple weapon system for armored vehicle
US7437985B2 (en) Weapon launched reconnaissance system
US20070205320A1 (en) Optically Guided Munition
EP1296111A1 (en) Firearm assembly
US9285177B1 (en) System and a method for protected reloading of a remote controlled weapon station
US10222175B2 (en) Robot/drone multi-projectile launcher
KR20100096411A (ko) 다목적 원격사격장치
KR20180020730A (ko) 원격 사격 통제장치
US10066892B1 (en) Modular automated mortar weapon for mobile applications
US10890407B1 (en) Dual remote control and crew-served weapon station
KR20120064429A (ko) 무장 시스템 및 무장 유니트의 제어방법
KR102420224B1 (ko)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KR100717947B1 (ko) 원격 무기 장치대
SA520420328B1 (ar) أداة تأمين
RU2569068C1 (ru) Одноместный боевой модуль
RU2336484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ружие кущенко в.а. и патрон для стрельбы из оружия
EP1671075B1 (en) Multiple weapon system for an armored vehicle
RU2669248C1 (ru) Высокозащищенный танк с комплексом управления боевыми наземными роботами и бла
US11525649B1 (en) Weapon platform operable in remote control and crew-served operating modes
KR102499498B1 (ko) 함포의 수동사격 제어방법
DE1800330A1 (de) Panzerfahrzeug mit Fliegerabwehrbewaffnung
WO2014123604A1 (en) Mechanism for defeating armor using ballistic weapons
RU2686896C1 (ru) Боевой модуль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RU211989U1 (ru) Боевой модуль
KR100478444B1 (ko) 무인차량 사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2106000085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