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58B1 - 탄약 보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약 보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58B1
KR102445358B1 KR1020180039482A KR20180039482A KR102445358B1 KR 102445358 B1 KR102445358 B1 KR 102445358B1 KR 1020180039482 A KR1020180039482 A KR 1020180039482A KR 20180039482 A KR20180039482 A KR 20180039482A KR 102445358 B1 KR102445358 B1 KR 10244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unit
magazine
ammunition
fire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621A (ko
Inventor
석봉경
이강일
황주완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58B1/ko
Priority to US16/161,368 priority patent/US10415908B1/en
Publication of KR2019011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29Feeding of belted ammunition
    • F41A9/34Feeding of belted ammunition fro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29Feeding of belted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 F41A23/4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on rail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18Mechanical systems for gun turr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6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20Turr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22Manhole covers, e.g. on tanks; Doors on armoured vehicles or structures
    • F41H5/223Manhole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armoured or fight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Paper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승강하는 해치를 이용하여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화기에 탄약을 보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은,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 화기; 상기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화기에 보급되는 탄창을 탑재하는 탄창 탑재부; 상기 화기의 인근에 위치하고 전투원이 상기 전투 차량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는 해치부; 및 상기 전투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기 해치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해치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부는 상기 전투원이 출입하는 출입문을 형성하는 해치 도어부; 상기 해치 도어부와 상기 전투 차량의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해치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치 통로부에는 상기 탑재되는 탄창이 상기 전투 차량의 내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탄창 탑재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탄약 보급 시스템{Ammunition supply system}
본 발명은 화기에 탄약을 보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승강하는 해치를 이용하여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화기에 탄약을 보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투원의 안전을 위해,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화기는 전투 차량 내부의 전투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투원은 화기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투 차량에는 화기에 탄약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탄약 보급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탄약 보급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탄약 보급 시스템은 화기(1) 및 전투 차량(3) 내부에 장착된 탄약 공급 장치(2)를 포함한다. 종래의 탄약 보급 시스템은 전투 차량(3) 내부에 장착된 탄약 공급 장치(2)에 의해 전투 차량 외부(3)의 화기(1)로 탄약을 공급했다.
그런데, 종래 방식은 전투 차량(3)의 내부에 탄약 공급 장치(2)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된다. 탄약 공급 장치(2)를 장착하기 위해 소모되는 공간으로 인해 전투 차량(3)에 탑승할 수 있는 전투원의 수가 제한되는 등과 같은 공간상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원격으로 화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과 같은 경우로 인해, 전투원이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화기를 직접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에서 전투원이 해치를 통해 차량 외부로 나와서 화기를 조작해야 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투 차량의 내부 공간 및 전투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탄약을 공급하고 화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공보 제2011-008286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투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약 보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화기가 수동으로 직접 조작되는 경우에도 전투원을 보호할 수 있는 탄약 보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은,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 화기; 상기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화기에 보급되는 탄창을 탑재하는 탄창 탑재부; 상기 화기의 인근에 위치하고 전투원이 상기 전투 차량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는 해치부; 및 상기 전투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기 해치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해치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부는 상기 전투원이 출입하는 출입문을 형성하는 해치 도어부; 상기 해치 도어부와 상기 전투 차량의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해치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치 통로부에는 상기 탑재되는 탄창이 상기 전투 차량의 내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탄창 탑재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해치 통로부는 상기 통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벽은 상기 해치부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벽은 복수의 외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벽들 중에서 하나의 외벽의 직경이 다른 외벽의 직경과 상이하여, 상기 해치부가 하강하면 상기 적어도 2개의 커버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탄창 탑재부에는 상기 탄창이 반출입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치 승강부는 상기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상기 해치부에 상기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선형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치 승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해치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치부에는 상기 전투 차량 내부의 전투원이 상기 화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화기를 향하여 개방된 제3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창 탑재부에 탑재된 잔여 탄약의 개수를 측정하는 탄약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잔여 탄약의 개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탄창의 교환 시기를 알리는 탄창 교환 알람을 출력하는 탄창 교환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기에 공급되는 탄창을 탑재하는 탄창 탑재부를 차량 외부에 장착하므로 전투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창 탑재부에 탄창을 공급하기 위해, 전투원이 차량 외부로 나갈 필요 없이 해치를 승강시키면 되므로, 전투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안전하게 탄창 탑재부에 탄창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투원이 화기를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기 위해, 전투원이 차량 외부로 나갈 필요 없이 해치를 승강시키면 되므로, 전투원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화기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탄약 보급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의 탄창 탑재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에서 승강하는 해치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에서 해치 통로부를 구성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의 해치 통로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개구부에 장착되는 커버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의 해치 도어 고정부에 형성된 제3 개구부를 나타낸다.
도 10은 해치 승강부가 해치부에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해치 승강부가 해치부에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탄약을 보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100)은 화기(110), 탄창 탑재부(120), 탄약 측정부(미도시), 탄창 교환 알림부(미도시), 해치부(130), 및 해치 승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화기(110)는 전투 차량(10)의 상측에 구비된 화기장착 마운트(11)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화기(110)는 연사가 가능한 기관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기장착 마운트(11)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부(11a) 및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부(11b)가 구비될 수 있다. 화기(110)는 제1 회전부(11a) 및 제2 회전부(11b)에 의해 회전하며,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조준할 수 있다.
화기장착 마운트(11)의 일측에는 화기(110)의 표적에 대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는 촬상 장치(12) 및 표적에 대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센서(13)가 장착될 수 있다. 촬상 장치(12)는 줌 타입 카메라, 돔 타입 카메라, PTZ 카메라, IR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나열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리 측정 센서(13)는 laser rangefinder(LRF)로 구성될 수 있다. LRF를 이용하면 거리 측정과 함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표적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창 탑재부(120)에는 화기(110)에 공급되는 탄창이 탑재될 수 있다. 탄창 탑재부(120)에 탑재된 탄창으로부터 화기(110)로 탄약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기(110)에 현재 제공되고 있는 탄약 벨트(20)의 후단과 탄창에 탑재된 탄약 벨트의 전단이 링크되어, 탄창에 탑재된 탄약 벨트가 화기(110)에 현재 제공되고 있는 탄약 벨트(20)에 연속되어 화기(1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탄창 탑재부(12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탄창 탑재부(120)에는 탄창(21)이 반출입 될 수 있도록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1)는 해치부(130)로부터 탄창(21)이 제공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해치부(130)를 향하여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1)에는 커버(122)가 장착되어, 탄창 탑재부(120)에 탑재된 탄창(21)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탄약 측정부는 탄창 탑재부(120)에 남아 있는 탄약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약 측정부는 탄창 탑재부(120)에 탑재된 탄창의 개수 및 탄창에 포함된 탄약의 개수로부터 탄창 탑재부(120)에 반입된 탄약의 개수를 산출하고, 화기에서 격발된 탄약의 개수로부터 탄창 탑재부(120)에서 반출된 탄약의 개수를 산출한 뒤, 반입된 탄약의 개수에서 반출된 탄약의 개수를 감하여 탄창 탑재부(120)에 남아 있는 탄약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탄창 교환 알림부는 탄창 탑재부에 탑재된 탄창의 교환 시기를 알리는 탄창 교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탄창 교환 알림부는 탄약 측정부에서 측정한 잔여 탄약의 개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탄창 교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탄창 교환 알림부는 탄창 교환 알람을 전투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전투 차량 운용전시기에 출력하여, 전투 차량에 탑승한 전투원에게 탄창 교환 시기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창 교환 알람은 알람 램프의 점등, 경고음의 재생,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경고 메시지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탄약 측정부 및 탄창 교환 알림부는 기본적인 논리 연산이 가능해야 하므로, central processing unit(CPU), micro controller unit(MCU), 마이크로프로세서,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등 논리 연산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해치부(130)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그림은 해치부(130)가 하강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그림은 해치부(130)가 상승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해치부(130)는 전투 차량(10)에 전투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해치부(130)는 출입문을 형성하는 해치 도어부(131), 해치 도어 고정부(132), 및 해치 도어부(131)로부터 전투 차량(10)에 진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해치 통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해치 통로부(133)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외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외벽은 해치부(130)가 승강함에 따라 전투 차량(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또는 해치 통로부(133)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외벽으로 구성되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그림은 해치부(130)가 하강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그림은 해치부(130)가 상승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복수의 외벽은 직경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해치부(130)가 하강한 상태가 되면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치 통로부(133)가 도 5와 같이 구성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일 뿐,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해치 통로부(133)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해치 통로부(133)에는 탄창(21)이 반출입 될 수 있도록 개구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해치 통로부(133)에 형성된 개구부(134)를 제1 개구부(134)라 칭하고, 도 4에 도시된 개구부(121)를 제2 개구부(121)라 칭한다.
제1 개구부(134)는, 탄창 탑재부(120)로 탄창(21)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제2 개구부(121)를 향하여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34)에는,전투 차량(10) 내부의 전투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135)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34) 및 제2 개구부(121)에 장착된 각각의 커버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개방된 상태에서도 외부의 공격을 차단하는 실드(shield)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135)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조로 제1 개구부(134)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개구부(134)에 장착되는 커버(135)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커버(135)는 하단에 힌지(151)가 장착되어 전투 차량(1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5)와 해치 통로부(133)는 링크부재(152)로 연결되어, 커버(135)의 회전각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링크부재(152)는 커버(135)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135)는,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크부재(152)에 의해 특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135)의 상단이 제2 개구부(121)의 하단 인근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커버(135)가 제1 개구부(134)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 다리처럼 놓이게 되므로, 전투 차량(10) 내부의 전투원은 커버(135) 상에 탄창(21)을 올려놓고 이를 밀어서 탄창 탑재부(120)로 옮길 수 있다. 이때, 커버(135)의 내측면(1351)에는 가이드 레일(153)이 형성되어, 탄창(21)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또는 커버(135)는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커버(135)에는 상단이 전투 차량(10)의 외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3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135)가 개방되면 절곡부(1352)가 전투 차량(10)과 맞닿게 되고, 커버(135)는 특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구성하면 커버(135)가 제1 개구부(134)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 다리처럼 놓이게 되므로, 커버(135) 상에 놓인 탄창(21)이 가이드 레일(154)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탄창 탑재부(120)로 옮겨질 수 있다.
또는 커버(135)는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커버(135)는 측면 힌지에 의해 외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커버(135)의 내측면(1351)에는 보조커버(155)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커버(155)는 커버(135) 하단의 힌지(156)에 의해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다.
보조커버(155)의 회전각은 힌지(156)에 형성된 돌기(157)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157)는 커버(135)에 걸려 그 회전각이 제한되고, 돌기(157)는 보조커버(155)와 함께 회전하므로, 돌기(157)의 회전각이 제한됨에 따라 보조커버(155)의 회전각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돌기(157)는 보조커버(155)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커버(155)는 돌기(157)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제2 개구부(121)의 하단 인근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구성하면 보조커버(155)가 제1 개구부(134)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 다리처럼 놓이게 되므로, 보조커버(155) 상에 탄창(21)을 올려놓고 이를 밀어서 탄창 탑재부(120)로 옮길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보조커버(155)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58)이 형성되어, 탄창(21)이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상 도 8A 내지 8C를 참조한 설명과 같이, 커버(135) 또는 보조커버(155)는 제1 개구부(134)와 제2 개구부(121) 사이에 다리처럼 놓여, 전투원은 탄창(21)을 들어서 탄창 탑재부(120)로 옮길 필요 없이, 커버(135) 또는 보조커버(155) 상에 올려놓고 이를 밀어서 탄창 탑재부(120)로 옮길 수 있다. 따라서 전시 상황과 같은 급박한 상황에서도, 전투원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탄창(21)을 탄창 탑재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해치 도어 고정부(132)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해치 도어 고정부(132)에는 화기(110)를 향하여 개방된 제3 개구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부(136)는 해치부(130)가 상승한 상태에서 화기(11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전투 차량(10) 내부의 전투원이 제3 개구부(136)를 통해 화기(11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해치 승강부가 해치부(130)에 승강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0은 해치 승강부가 해치부(130)에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해치 승강부는 해치부(13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직접 제공하는 액츄에이터(14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치 승강부는 선형 액츄에이터(140, linear actuator)로 구성되어, 선형 액츄에이터(140)의 일단이 전투 차량(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해치 통로부(13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선형 액츄에이터(140)는 유압 액츄에이터 또는 전동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져(141)가 실린더(142)에서 빠지면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해치부(30)가 하강하고, 반대로 플런져(141)가 실린더(142)에 삽입되면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해치부(30)가 승강할 수 있다.
도 11은 해치 승강부가 해치부(130)에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해치 승강부는 해치부(13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 및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해치부(1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43)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원형 액츄에이터(circular actuator)로 구성되고, 동력 전달부(143)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143a) 및 제1 기어(143a)로부터 전달 받은 회전 동력을 선형 동력으로 변환하여 해치부(130)에 전달하는 제2 기어(143b)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액츄에이터는 모터로, 제1 기어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로, 제2 기어는 래크 기어(rack gear)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1 기어(143a)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143b)가 전투 차량(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기어(143b)는 해치 통로부(133)에 장착되어, 제2 기어(143b)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해치부(130)가 승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탄약을 보급하는 방법 및 전투원이 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탄약을 보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해치부(130)는 초기에 하강한 상태일 수 있다(S1). 탄약 측정부는 탄창 탑재부(120)에 탑재된 잔여 탄약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탄창 교환 알림부는 측정된 잔여 탄약의 개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전투 차량 내부에 탄창 교환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탄창 교환 알람은 경고 램프의 점등, 경고음의 발생, 경고 표시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탄창 교환 알람이 출력됨에 따라, 하강한 상태에 있는 해치부(130)가 상승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S2). 해치부(130)가 상승하면, 제1 개구부(134)가 개방되어 탄통(21)이 반출될 수 있다(S3). 또한 제2 개구부(121)가 개방되어 제1 개구부(134)를 통해 반출된 탄통(21)이 탄통 탑재부(120)에 탑재될 수 있다(S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약 보급 시스템을 응용하여 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해치부(130)는 초기에 하강한 상태일 수 있다(S1). 화기(11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의 고장 등으로 인해, 전투 차량에 탑승한 전투원이 직접 화기(110)를 조작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하강한 상태에 있는 해치부(130)를 상승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2). 전투원은 화기(110)를 향해 개방된 제3 개구부(136)를 통해 화기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S3).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화기 2: 탄약 공급 장치
3, 10: 전투 차량 11: 화기장착 마운트
12: 촬상 장치 20: 탄약 밸트
21: 탄창 100: 탄약 보급 시스템
110: 화기 120: 탄창 탑재부
121: 제2 개구부 122: 제2 개구부의 커버
130: 해치부 131: 해치 도어부
132: 해치 도어 고정부 133: 해치 통로부
134: 제1 개구부 135: 제1 개구부의 커버
136: 제3 개구부 140: 해치 승강부
141: 플런져 142: 실린더
143: 동력 전달부 155: 보조커버

Claims (20)

  1.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 화기;
    상기 전투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화기에 보급되는 탄창을 탑재하는 탄창 탑재부;
    상기 화기의 인근에 위치하고 전투원이 상기 전투 차량에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형성하는 해치부; 및
    상기 전투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기 해치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해치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치부는 상기 전투원이 출입하는 출입문을 형성하는 해치 도어부;
    상기 해치 도어부와 상기 전투 차량의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해치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치 통로부에는 상기 탑재되는 탄창이 상기 전투 차량의 내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탄창 탑재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탄약 보급 시스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통로부는 상기 통로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벽은 상기 해치부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변경되는, 탄약 보급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해치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탄약 보급 시스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 승강부는 상기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탄약 보급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부에는 상기 전투 차량 내부의 전투원이 상기 화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화기를 향하여 개방된 제3 개구부가 형성되는, 탄약 보급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창 탑재부에 탑재된 잔여 탄약의 개수를 측정하는 탄약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잔여 탄약의 개수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탄창의 교환 시기를 알리는 탄창 교환 알람을 출력하는 탄창 교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탄약 보급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039482A 2018-04-05 2018-04-05 탄약 보급 시스템 KR10244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82A KR102445358B1 (ko) 2018-04-05 2018-04-05 탄약 보급 시스템
US16/161,368 US10415908B1 (en) 2018-04-05 2018-10-16 Ammunition suppl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82A KR102445358B1 (ko) 2018-04-05 2018-04-05 탄약 보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621A KR20190116621A (ko) 2019-10-15
KR102445358B1 true KR102445358B1 (ko) 2022-09-20

Family

ID=6790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82A KR102445358B1 (ko) 2018-04-05 2018-04-05 탄약 보급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15908B1 (ko)
KR (1) KR102445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6050B2 (en) 2020-10-21 2023-05-23 Tac-Clamp, LLC Firearm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KR102420224B1 (ko) * 2020-10-28 2022-07-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기체계용 원격무장시스템
KR102581055B1 (ko) * 2021-08-04 2023-09-20 현대로템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탄약 안전 공급장치
TR2021020706A2 (tr) * 2021-12-22 2022-01-21 Fnss Savunma Sistemleri Anonim Sirketi Kolay deği̇şti̇ri̇lebi̇len ve doldurulabi̇len mühi̇mmat kutusu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0473A1 (en) 2010-02-21 2013-01-03 Adolf Schvartz Ammunition Magazine and Loading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4924C1 (de) * 1985-07-12 1989-03-30 Diehl Gmbh & Co Panzerfahrzeug mit scheitellafettierter Rohrwaffe
JP2596981Y2 (ja) * 1992-12-25 1999-06-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戦闘車両の前方視認装置
NO954658D0 (no) 1995-11-17 1995-11-17 Hydralift As Flyttbart boredekk/moonpool dör
US6871609B2 (en) 2002-08-30 2005-03-29 Itrec B.V. Multipurpose tower for monohull
JP3095468U (ja) 2003-01-24 2003-07-31 株式会社目黒防災 高さ調節機構部付き避難ハッチ
KR101163784B1 (ko) * 2005-12-22 2012-07-09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상하 열림각도 조정이 가능한 특수차량의 해치 개폐장치
KR20110082860A (ko) 2010-01-12 2011-07-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적재 시스템
IL209195A (en) 2010-11-08 2014-09-30 Rafael Advanced Defense Sys Turret assembly
RU2482429C1 (ru) 2011-09-30 2013-05-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ральский завод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Люк загрузки боеприпасов военной бронированной машины
US8833223B1 (en) 2012-06-19 2014-09-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ulti-petal projectile adapter for a dearmer
US9486899B2 (en) 2013-11-25 2016-11-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ositioning of equipment
SA115360300B1 (ar) * 2014-02-14 2017-08-29 ميريل افياشين، انك. نظام منصة سلاح نموذجية
US9568267B2 (en) * 2014-07-22 2017-02-14 Moog Inc. Configurable weapon station having under armor relo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0473A1 (en) 2010-02-21 2013-01-03 Adolf Schvartz Ammunition Magazine and Loading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621A (ko) 2019-10-15
US10415908B1 (en) 2019-09-17
US20190310038A1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358B1 (ko) 탄약 보급 시스템
EP2533000A1 (en) Ammunition supply indicator device
CN109725711A (zh) 电子装置
AU2015238236B2 (en) Optoelectronic viewfinder with modular shielding
RU2613767C2 (ru) Командирский прицельно-наблюд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US20170111554A1 (en) Imaging apparatus
CN104583861B (zh) 闪光灯装置以及具备闪光灯装置的摄像装置
JP2017124900A (ja) エレベータ
IL209195A (en) Turret assembly
KR20140098612A (ko) 감시 로봇의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746503B2 (en) Launcher device and launcher battery
KR20190098362A (ko) 원격 무장 시스템
TW202103056A (zh) 異物檢測系統及方法
KR101842025B1 (ko) 무장 로봇의 영상 장치
KR102185400B1 (ko) 포탑 시스템
KR20150098270A (ko)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EP3979124A1 (en) An activ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ctive protection systems
KR101726681B1 (ko) 화기 거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경계 로봇
KR20110082860A (ko) 탄 적재 시스템
KR102400115B1 (ko) 원격사격장치 센서시스템
JP2021066769A (ja) 窯芯検知装置
KR102276095B1 (ko) 무장 체계용 디바이스
RU2138004C1 (ru) Высокозащищенный танк с экипажем два человека
CN106610554B (zh) 一种防弹防破坏的监控镜头和监控装置
RU2794523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гнем пусковой установки реактивной системы залпового ог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