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848B1 -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848B1
KR102087848B1 KR1020180149425A KR20180149425A KR102087848B1 KR 102087848 B1 KR102087848 B1 KR 102087848B1 KR 1020180149425 A KR1020180149425 A KR 1020180149425A KR 20180149425 A KR20180149425 A KR 20180149425A KR 102087848 B1 KR102087848 B1 KR 10208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irearm
trigger
actuator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102018014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848B1/ko
Priority to PCT/KR2018/014993 priority patent/WO20201113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된 통제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총기의 장전 및 격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과 결합 가능한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고 총기를 장전 및 격발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총기를 지지 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총기의 장전손잡이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장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장전손잡이를 이동시키는 장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총기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총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고정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총기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아쇠를 이동시키는 격발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총기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어 상기 총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총기의 결합이 단순하고 용이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REMOTE-CONTROL SHOOT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통제장치에 의해 차량 외부에 구비된 총기의 격발 및 장전을 수행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차나 전차 등 육상 이동수단에는 총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총기는 이동수단 내부의 신호에 따라 원격으로 격발 또는 장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는 총기,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총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 및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제장치로 구성되며, 차량 외부에 구비된 거치대를 상하, 좌우로 회전하고, 이를 차량 내부에서 조작함에 따라 전투 시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0730호에서는 총포가 거치되는 본체, 본체를 상하 및 좌우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해제하는 해제유닛을 포함한 원격 사격 통제장치가 개시되는데,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고장 또는 피탄에 의해 작동 불능 상태일 때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해제하여 수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340호에서는 총포가 장착되는 무장 마운트, 무장 마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 목표물을 촬영 가능한 촬영부, 사격통제 장치로부터 사격 제어 신호에 따라 사격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총포 제어부, 총포를 격발시키는 사격 솔레노이드 등을 포함한 원격 사격 시스템이 개시되는데, 총포의 격발 시 주퇴력을 완화시켜 사격의 정확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의 경우 총기의 장전 또는 격발 시 요구되는 추력과 스트로크를 고려하지 않아 총기나 솔레노이드 등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고, 총기를 차량에 장착 또는 교체하는데 있어서 장착구조가 복잡하며 소요시간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20730(공개일:18.02.28.) (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8340(등록일:14.06.10.)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총기의 장착 또는 교체가 용이하고, 총기의 장전 또는 격발에 요구되는 추력에 따라 총기에 하중을 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된 통제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총기의 장전 및 격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과 결합 가능한 메인바디 및 메인바디에 연결되고 총기를 장전 및 격발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총기를 지지 가능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총기의 장전손잡이와 연결 가능하며, 통제장치로부터 장전신호를 수신하여 장전손잡이를 이동시키는 장전부,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총기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총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고정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총기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하며, 통제장치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하여 방아쇠를 이동시키는 격발부 및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고 총기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제1고정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어 총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장전부는, 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된 장전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장전액추에이터, 장전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장전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장전로드, 장전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며 장전로드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 댐퍼에 연결되며 장전로드와 함께 왕복 운동하고, 총기의 장전손잡이가 삽입 가능하도록 장전삽입홈이 형성된 제1연결링크 및 댐퍼에 연결되며 장전로드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리니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발부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된 격발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격발액추에이터, 격발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격발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격발로드, 격발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며 격발로드와 함께 왕복 운동하는 제2연결링크, 제2연결링크의 일측에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연결되고 총기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한 방아쇠브래킷 및 제2연결링크에 연결되며 격발로드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리니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제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전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전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격발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격발제어부 및 총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를 포함하고, 장전제어부는, 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총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총기의 장전에 요구되는 장전액추에이터의 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추력이 발생되도록 장전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격발제어부는, 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총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총기의 격발에 요구되는 격발액추에이터의 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추력이 발생되도록 격발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는 총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가 구비되고, 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총기에 대한 정보는 하중센서로부터 측정된 총기의 무게일 수 있다.
또한, 격발부는, 제2연결링크에 연결되어 격발로드의 왕복 운동 시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제2연결링크의 이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약이 수용 가능한 탄약거치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탄약거치부에 연결되며, 총기의 격발에 따른 충격이 상기 탄약거치부에 가해지는 것을 완화시키는 격발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약거치부는, 탄약이 내부에 수용되는 탄약박스 및 탄약박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탄약박스의 내부에 수용된 탄약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고, 통제장치는, 로드셀에서 측정된 탄약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는, 총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총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핀이 삽입 가능하도록 제1고정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M60 등의 총기를 안정적으로 거치 및 고정시키면서 통제장치에 의하여 원격에서 격발 및 장전할 수 있다.
또한, 탄약박스에 구비된 로드셀을 통하여 탄약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통제장치를 통해 총기의 무게 등에 대한 정보로부터 격발액추에이터와 장전액추에이터를 통해 설정된 추력이 발생되도록 작동시키므로 안정적이고 하중에 따른 장치의 부담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의 메인바디와 구동장치 및 총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바디와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전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총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의 메인바디(100)와 구동장치(200) 및 총기(1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바디(100)와 구동장치(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된 통제장치(500)에 의해 상기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총기(10)의 장전 및 격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과 결합 가능한 메인바디(100) 및 상기 메인바디(100)에 연결되고 총기(10)를 장전 및 격발시키는 구동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은 장갑차 등의 이동수단 내부에 통제장치(500)를 구비하고, 상기 통제장치(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구동장치(200)를 통해 차량의 지붕 등에 거치된 총기(10)를 자동으로 장전 및 격발시키는 구조로, 상기 총기(10)는 종류에 제한이 없으나 M60 등의 기관총 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인바디(100)는 상기 이동수단의 외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장치(200)와 총기(10)를 거치시킨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하좌우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하좌우 회전은 유압이나 모터 등의 작동을 통하여 상기 통제장치(5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기 이동수단의 지붕에 장착되고, 하부에 좌우회전구동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회전구동부(110)의 상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상하회전구동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상하회전구동부(120) 사이에 구동장치(200)가 결합된다. 상기 좌우회전구동부(110)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메인바디(100)를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한 쌍의 상하회전구동부(120)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구동장치(2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200)의 전방에는 촬영장치(6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장치(600)는 상기 구동장치(20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메인바디(100)와 구동장치(200)는 상기 촬영장치(600)가 구동장치(200)와 함께 상하좌우로 회전되므로 상기 구동장치(200)에 결합되는 총기(10)의 조준점과 촬영장치(600)의 촬영대상을 일치시킬 수 있어 목표물에 대한 조준점과 촬영된 촬영영상 사이의 오차를 감소시키고, 구동장치(200)와 메인프레임의 부피가 축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전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발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와 총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동장치(200)는 상기 총기(10)를 지지 가능한 베이스프레임(21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고정되고 상기 총기(10)의 장전손잡이(12)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통제장치(500)로부터 장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장전손잡이(12)를 이동시키는 장전부(22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총기(10)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총기(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고정부(240),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고정되고 상기 총기(10)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통제장치(500)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아쇠를 이동시키는 격발부(23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총기(10)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부(240)에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어 상기 총기(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은 장전부(220), 제1고정부(240), 격발부(230), 제2고정부(25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바디(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은 상기 한 쌍의 상하회전구동부(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하회전구동부(120)에 의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전부(2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통제장치(500)로부터 전송된 장전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장전액추에이터(221),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장전로드(222), 상기 장전로드(222)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전로드(222)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223), 상기 댐퍼(223)에 연결되며 상기 장전로드(222)와 함께 왕복 운동하고, 상기 총기(10)의 장전손잡이(12)가 삽입 가능하도록 장전삽입홈(224a)이 형성된 제1연결링크(224) 및 상기 댐퍼(223)에 연결되며 상기 장전로드(222)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리니어가이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전액추에이터(221)는 상기 통제장치(500)로부터 장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장전로드(222)를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구조로, 예를 들어 상기 장전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장전모터와, 상기 장전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볼너트, 상기 볼너트와 연결된 볼스크류, 상기 볼너트와 볼스크류의 외측을 감싸는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스크류의 단부에 상기 장전로드(222)가 결합되고, 상기 장전모터의 작동 시 상기 볼스크류와 장전로드(222)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는 상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장전로드(2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댐퍼(223)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223)는 상기 로드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로, 유체 압력, 탄성, 자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댐퍼(223)의 일측에는 제1연결링크(224)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링크(224)에 총기(10)의 장전손잡이(12)가 결합되어 상기 장전로드(222)의 이동에 따라 장전손잡이(12)가 왕복운동하면서 총기(10)의 장전이 수행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224)는 설정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링크(224)에 구비된 장전삽입홈(224a)은 하부가 개구된 U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연결링크(224)의 설정된 길이와 높이는 상기 장전로드(222)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M60 기관총의 장전손잡이(12)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장전삽입홈(224a)에 M60 기관총의 장전손잡이(12)가 삽입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링크(224)와 상기 댐퍼(223)는 일정 범위의 각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장전삽입홈(224a)에 상기 장전손잡이(12)가 착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리니어가이드(225)는 상기 장전로드(222)의 왕복 이동에 따른 직진성을 담보하기 위함으로, 일측이 상기 댐퍼(223)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연결된다. 상기 제1리니어가이드(225)는 LM가이드, 리니어부싱 등 상기 장전로드(222)의 이동방향을 정렬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격발부(2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연결되어 상기 통제장치(500)의 격발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 고정되고 상기 통제장치(500)로부터 전송된 격발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격발액추에이터(231),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격발로드(232), 상기 격발로드(232)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격발로드(232)와 함께 왕복 운동하는 제2연결링크(233), 상기 제2연결링크(233)의 일측에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총기(10)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한 방아쇠브래킷(234) 및 상기 제2연결링크(233)에 연결되며 상기 격발로드(232)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리니어가이드(235)를 포함할 수 있다.
격발액추에이터(231)는 상기 통제장치(500)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격발로드(232)를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구조로, 예를 들어 상기 격발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와 자석은 전류의 변화량에 따라 자기장이 변화되는 전자기유도를 통해 상기 격발로드(232)를 왕복운동시킨다.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는 상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격발로드(232)는 일측이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연결링크(233)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연결링크(233)는 상기 격발로드(232)와 함께 이동하고, 일측에 방아쇠브래킷(234)이 연결된다. 상기 방아쇠브래킷(234)은 상기 격발로드(232)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상기 총기(10)의 방아쇠 전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격발로드(23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방아쇠브래킷(234)은 상기 총기(10)의 방아쇠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총기(10)를 격발시킨다.
상기 제2리니어가이드(235)는 예를 들어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2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연결링크(233)에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233)의 일측 면과 상기 제2리니어가이드(235)가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링크(233)가 이동될 때 상기 제2리니어가이드(235)와의 접촉에 의해 직진성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제2리니어가이드(235)는 상기 제1리니어가이드(225)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발부(230)는, 상기 제2연결링크(233)에 연결되어 상기 격발로드(232)의 왕복 운동 시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제2연결링크(233)의 이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부재(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복원부재(236)는 상기 제2연결링크(233)와 상기 제2리니어가이드(2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연결링크(233)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가정하면 상기 격발로드(232)의 이동 시 상기 탄성복원부재(236)는 제2연결링크(233)와 제2리니어가이드(235) 사이에서 인장되어 격발이 완료된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연결링크(233)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를 가정하면 상기 격발로드(232)의 이동 시 상기 탄성복원부재(236)는 제2연결링크(233)와 제2리니어가이드(235) 사이에서 압축되어 격발이 완료된 경우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부재(236)는 상기 제2연결링크(233)와 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링크(233)나 제2연결링크(233)에 구비된 격발브래킷의 이동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고정부(240)와 제2고정부(250)는 총기(10)를 베이스프레임(2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고정부(240)와 제2고정부(250)는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총기(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된 손잡이홀(211)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홀(211)에는 상기 총기(10)의 손잡이(13)가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홀(211)의 전방에는 상기 제1고정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240)와 총기(10)의 방아쇠 앞쪽 저면이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홀(211)의 후방에는 상기 제2고정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250)와 총기(10)의 손잡이(13) 뒤쪽 저면이 결합된다. 제1고정부(240)는 상기 손잡이홀(211)을 중심으로 좌우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240) 사이에 총기(10)의 방아쇠 앞쪽 저면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50)는 상기 손잡이홀(211)을 중심으로 좌우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고정부(250) 사이에 총기(10)의 손잡이(13) 뒤쪽 저면이 위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240)는 고리핀삽입홈(241)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핀삽입홈(241)은 전방으로 개구된 U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리핀삽입홈(241)에는 총기(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총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핀(11)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핀(11)은 상기 총기(10)의 방아쇠 앞쪽 저면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총기(10)의 분해 시 총기(10)의 내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핀(11)은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1고정부(240)는 총기(10)와 결합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결합이 용이한 동시에 상기 총기(10)의 고리핀(11)에 총기(10)의 하중과 충격 일부를 전달하므로 안정적인 총기(10)의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1고정부(2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으로부터 상기 고리핀삽입홈(241)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치 조절이 가능한 고리핀삽입홈(241)의 위치는 총기(1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2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하부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총기(10)의 손잡이(13) 뒤쪽 저면이 결합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된 한 쌍의 제1고정브래킷(251)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브래킷(251)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이격 거리가 감소되도록 가압하는 제2고정브래킷(2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브래킷(252)과 제1고정브래킷(251)은 핀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40) 및 제2고정부(250)에는 상기 총기(10)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260)(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하중센서(260)는 상기 제1고정부(240) 및 제2고정부(25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중센서(260)에서 측정된 총기(10)의 무게에 대한 정보는 통제장치(5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약이 수용 가능한 탄약거치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약거치부(300)는 상기 총기(10)에서 발사 가능한 탄약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M60 기관총을 가정하면 상기 탄약거치부(300)에 수용되는 탄약이 상기 총기(10)의 좌측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측에 위치된다.
상기 탄약거치부(3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는 총기(10)의 격발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격발완충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발완충부(400)는 총기(10)의 격발에 따른 충격이 베이스프레임(210)에서 탄약거치부(300)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켜 상기 탄약거치부(300)에 수용된 탄약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발완충부(4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일측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탄약거치부(300)와 연결된 완충브래킷(410) 및 상기 완충브래킷(4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0)의 양 단을 각각 연결하는 탄성 소재의 완충스프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420)의 압축 또는 인장에 따라 상기 완충브래킷(4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므로 상기 완충브래킷(410)에 연결된 탄약거치부(30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약거치부(300)에 수용되는 탄약이 오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약거치부(300)는, 탄약이 내부에 수용되는 탄약박스(310) 및 상기 탄약박스(3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약박스(310)의 내부에 수용된 탄약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320)에 의해 측정된 탄약의 무게 변화량은 통제장치(5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제장치(500)는 상기 차량 등 이동수단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 및 구동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제장치(5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회전구동부(110)와 상하회전구동부(120)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부(52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전제어부(530)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격발제어부(5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제장치(500)는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510) 및 상기 촬영장치(60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장치(600)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부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어 차량의 내부 사용자는 차량 외부의 상황을 인지하고, 상기 조작부(510)에 회전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회전구동부(110)나 상하회전구동부(120)를 작동시켜 설정된 목표물을 조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510)는 조이스틱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표물을 조준한 후 사용자는 상기 구동장치(200)에 결합된 총기(10)의 장전이 요구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조작부(510)를 조작하여 장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장전제어부(530)는 상기 장전신호에 따라 장전액추에이터(221)를 작동시켜 총기(10)를 장전한다. 또한, 사용자가 총기(10)의 격발이 요구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510)를 조작하여 격발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격발제어부(540)는 상기 격발신호에 따라 격발액추에이터(231)를 작동시켜 총기(10)를 격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제장치(500)는, 총기(1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550)는 총기(10)의 종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총기(1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전제어부(530)와 격발제어부(54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입력부(550)는 총기(10)의 종류에 따른 제원, 탄약, 격발하중, 장전하중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상기 총기(10)의 종류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총기(10)의 종류를 선택함에 따라 총기(10)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정보입력부(550)는 사용자가 조작부(510)를 통해 총기(10)의 제원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총기(1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입력부(550)는 상기 제1고정부(240) 및 제2고정부(250)에 구비된 하중센서(260)로부터 상기 총기(10)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입력부(550)는 상기 총기(10)의 종류에 대한 제원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하중센서(260)로부터 측정되는 총기(10)의 무게와 상기 저장된 총기(10)의 종류에 대한 제원 등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총기(10)의 종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입력부(550)는 M60 기관총에 대한 제원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구동장치(200)에 결합되는 총기(10)의 무게가 하중센서(260)로부터 측정되는 경우 상기 하중센서(260)로부터 측정된 총기(10)의 무게와 저장된 M60 기관총의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200)에 결합되는 총기(10)의 종류를 M60 기관총으로 판단하여 상기 장전제어부(530)와 격발제어부(540)로 전달한다.
상기 장전제어부(530)는 상기 정보입력부(550)에서 입력받은 총기(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총기(10)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기(10)의 장전에 요구되는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의 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추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를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격발제어부(540)는 상기 정보입력부(550)에서 입력받은 총기(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총기(10)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기(10)의 격발에 요구되는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의 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추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격발액추에이터(2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전액추에이터(221)나 격발액추에이터(231)의 추력은 미리 설정된 토크를 갖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하고 상기 모터나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입력부(550)에서 판단된 총기(10)의 종류가 M60 기관총인 경우 상기 장전제어부(530)는 200mm이상의 스트로크와 10Kgf의 힘이 가해지도록 격발액추에이터(231) 추력을 제어하고, 상기 격발제어부(540)는 5mm이상의 스트로크와 8Kgf의 힘이 가해지도록 장전액추에이터(221)의 추력을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은, 상기 구동장치(200)에 결합되는 총기(10)의 종류에 따라 장전이나 격발에 요구되는 추력을 산출하여 장전액추에이터(221)와 격발액추에이터(231)를 작동시키므로 총기(10)나 구동장치(200)에 과도한 부담이 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총기(10)의 장전 또는 격발을 원활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제장치(500)는, 상기 제1고정부(240) 및 제2고정부(250)에 구비된 상기 로드셀(320)에서 측정된 탄약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셀(320)은 상기 탄약의 무게와, 상기 탄약의 무게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제장치(500)로 전송한다. 상기 통제장치(500)는 전송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탄약의 소모 여부와 소모량, 소모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탄약 정보의 표시는 상술한 표시부(56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약의 소모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지함에 따라 사용자는 안전한 환경에서 탄약의 충전, 교체 등의 필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은 촬영장치(600)를 통한 촬영영상과 총기(10)의 조준점 간에 오차를 방지할 수 있고, 탄약거치부(300)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충하여 탄약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총기(10)의 종류에 따라 장전액추에이터(221)와 격발액추에이터(231)의 추력을 조절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약의 소모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총기 11 : 고리핀
12 : 장전손잡이 13 : 손잡이
14 : 방아쇠
100 : 메인바디
110 : 좌우회전구동부 120 : 상하회전구동부
200 : 구동장치
210 : 베이스프레임 211 : 손잡이홀
220 : 장전부 221 : 장전액추에이터
222 : 장전로드 223 : 댐퍼
224 : 제1연결링크 224a : 장전삽입홈
225 : 제1리니어가이드
230 : 격발부 231 : 격발액추에이터
232 : 격발로드 233 : 제2연결링크
234 : 방아쇠브래킷 235 : 제2리니어가이드
236 : 탄성복원부재
240 : 제1고정부 241 : 고리핀삽입홈
250 : 제2고정부 251 : 제1고정브래킷
252 : 제2고정브래킷
260 : 하중센서
300 : 탄약거치부
310 : 탄약박스 320 : 로드셀
400 : 격발완충부
410 : 완충브래킷 420 : 완충스프링
500 : 통제장치
510 : 조작부 520 : 회전제어부
530 : 장전제어부 540 : 격발제어부
550 : 정보입력부 560 : 표시부
600 : 촬영장치

Claims (9)

  1. 차량 내부에 구비된 통제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 외부에 구비되는 총기의 장전 및 격발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과 결합 가능한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고 총기를 장전 및 격발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총기를 지지 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총기의 장전손잡이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장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장전손잡이를 이동시키는 장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총기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총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고정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총기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격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아쇠를 이동시키는 격발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총기의 하부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 구비되어 상기 총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전부는,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된 장전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장전액추에이터;
    상기 장전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전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장전로드;
    상기 장전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전로드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
    기 설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댐퍼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장전로드와 함께 왕복 운동하고, 상기 총기의 장전손잡이가 삽입 가능하도록 장전삽입홈이 형성된 제1연결링크; 및
    일측이 상기 댐퍼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장전로드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1리니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U형상의 고리핀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핀삽입홈은 상기 총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총기의 방아쇠 앞쪽 저면에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핀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된 격발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격발액추에이터;
    상기 격발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격발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격발로드;
    상기 격발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격발로드와 함께 왕복 운동하는 제2연결링크;
    상기 제2연결링크의 일측에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총기의 방아쇠와 접촉 가능한 방아쇠브래킷; 및
    상기 제2연결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격발로드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리니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장전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전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격발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격발제어부; 및
    총기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전제어부는,
    상기 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기의 장전에 요구되는 상기 장전액추에이터의 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추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장전액추에이터를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격발제어부는,
    상기 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총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총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총기의 격발에 요구되는 상기 격발액추에이터의 추력을 산출하여 상기 추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격발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에는 상기 총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정보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총기에 대한 정보는 상기 하중센서로부터 측정된 총기의 무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는,
    상기 제2연결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격발로드의 왕복 운동 시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제2연결링크의 이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탄약이 수용 가능한 탄약거치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탄약거치부에 연결되며, 총기의 격발에 따른 충격이 상기 탄약거치부에 가해지는 것을 완화시키는 격발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약거치부는,
    탄약이 내부에 수용되는 탄약박스; 및
    상기 탄약박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탄약박스의 내부에 수용된 탄약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통제장치는,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탄약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9. 삭제
KR1020180149425A 2018-11-28 2018-11-28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KR10208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25A KR102087848B1 (ko) 2018-11-28 2018-11-28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PCT/KR2018/014993 WO2020111328A1 (ko) 2018-11-28 2018-11-29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425A KR102087848B1 (ko) 2018-11-28 2018-11-28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848B1 true KR102087848B1 (ko) 2020-03-11

Family

ID=6980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425A KR102087848B1 (ko) 2018-11-28 2018-11-28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7848B1 (ko)
WO (1) WO20201113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812A (ko) * 2021-08-04 2023-0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탄약 안전 공급장치
WO2023151218A1 (zh) * 2022-02-14 2023-08-17 武汉高德智感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射击的方法、装置、枪支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410A (ko) * 2009-02-24 2010-09-02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총기거치대
KR101408340B1 (ko) 2009-03-11 2014-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 사격 시스템
KR101510022B1 (ko) * 2013-12-23 2015-04-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식 액추에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0731A (ko) *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다기종 총포 교체 운용이 가능한 원격 사격 통제장치
KR20180020730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원격 사격 통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589B1 (ko) * 2017-08-30 2018-01-30 (주)케이디이 자동 장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410A (ko) * 2009-02-24 2010-09-02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총기거치대
KR101408340B1 (ko) 2009-03-11 2014-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 사격 시스템
KR101510022B1 (ko) * 2013-12-23 2015-04-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기식 액추에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0731A (ko) *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다기종 총포 교체 운용이 가능한 원격 사격 통제장치
KR20180020730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원격 사격 통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812A (ko) * 2021-08-04 2023-0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탄약 안전 공급장치
KR102581055B1 (ko) * 2021-08-04 2023-09-20 현대로템 주식회사 원격사격통제체계용 탄약 안전 공급장치
WO2023151218A1 (zh) * 2022-02-14 2023-08-17 武汉高德智感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射击的方法、装置、枪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328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848B1 (ko) 원격 사격 통제 시스템
KR101408340B1 (ko) 원격 사격 시스템
US8082836B2 (en) Mitigating recoil in a ballistic robot
KR101661718B1 (ko) 소총, 권총 및 총기를 위한 조준 방향 안정화 방법 및 장치
US5349939A (en) Semi-automatic gun
KR100999014B1 (ko) 개량된 화기 원격 제어용 장치
US10228208B2 (en) Dynamic variable force trigger mechanism for firearms
US8151507B2 (en) Firearm support apparatus
US20120137870A1 (en) Firearm comprising counter recoil device
US8539706B1 (en) Recoil reducing firearm system
KR20090112664A (ko) 반동 댐퍼를 구비한 무기
CN103097851B (zh) 弹簧加载的步枪
KR101159362B1 (ko) 연발 사격의 정확도를 개선한 소형 화기 및 이를 위한 장치
US8099892B1 (en) Recoil dampening mechanism
KR101865535B1 (ko) 총기 고정 장치대
EP2177862B1 (en) Toy rifle backlash vibration structure
KR20190079318A (ko) 무장장착대
KR102015768B1 (ko) 격발 제어 장치
US10190844B2 (en) Sight adjustment device in simulation gun
KR102577211B1 (ko) 드론 짐볼용 탄창교체장치
US2339226A (en) Gun mount
KR20150096356A (ko) 원격 사격 시스템
KR20230024182A (ko) 전자밸브를 이용한 공기총
KR20130070322A (ko) 화포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KR20030084193A (ko) 소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