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242A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242A
KR20180020242A KR1020187001881A KR20187001881A KR20180020242A KR 20180020242 A KR20180020242 A KR 20180020242A KR 1020187001881 A KR1020187001881 A KR 1020187001881A KR 20187001881 A KR20187001881 A KR 20187001881A KR 20180020242 A KR20180020242 A KR 2018002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chanism
governor
weight
pulley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590B1 (ko
Inventor
데쯔야 나까야마
가오루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2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기구 및 캐치웨이트가 자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속기에 있어서, 링크 기구와 래칫 기구부의 연결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플라이웨이트(202)와 걸림 결합하는 복수의 촉발 동작 포인트(204a)를 갖는 래칫 기구(204)와, 래칫 기구(204)와 일체화되어 제1 링크 기구(206)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209)를 갖는 (원판(205))을 구비하고, 원판(205)은 제1 링크 기구(206)가 걸림 결합부(209)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 이외에는, 제1 링크 기구(206)를 제1 링크 기구(206)와 캐치웨이트(207)의 연결이 가능한 자세로 되는 것을 저지하는 연결 저지 형상부(301)를 갖는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사용되고, 탑승카(elevator car)의 과속을 검출하여 승강차의 안전 장치(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탑승카의 승강 속도를 상시 감시하여, 탑승카가 소정의 과속 상태에 빠진 때에 탑승카를 비상 정지시키는 조속기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속기는 탑승카의 승강 속도가 정격 속도를 초과하여 제1 과속도(통상적으로는 정격 속도의 1.3배 정도)에 달하면, 탑승카를 구동하는 권상기 전원 및 이 권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을 각각 차단한다. 또한, 조속기는, 어떤 원인에 의해 탑승카의 하강 속도가 제1 과속도를 초과하여 제2 과속도(통상적으로는 정격 속도의 1.4배 정도)에 달하면, 탑승카에 설치된 비상 멈춤 장치를 동작시켜서, 탑승카를 기계적으로 비상 정지시킨다.
종래의 조속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소53-14735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거버너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용 거버너는, 대향한 진자(플라이웨이트)가 거버너 로프를 걸친 거버너 풀리와 동기하여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가 제1 과속도에 달하면, 진자가 걸림 결합자를 밀어서 레버를 이동시킨다. 이 레버의 이동에 의해 스위치의 접촉자와 걸림 결합하고 있는 걸림 결합 레버가 접촉자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가 차단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동력원이 차단되어, 탑승카의 과속이 방지된다. 더욱 증속되어, 제2 과속도에 달하면, 거버너 로프를 파지하는 쐐기(웨이트)를 보유 지지하는 훅(링크 기구)에 진자가 접촉하여, 훅과 쐐기에 설치된 핀과의 걸림 결합을 풀고, 쐐기를 그 자중에 의해 낙하시킨다. 낙하한 쐐기는, 프레임에 설치된 접촉판과의 사이에 거버너 로프를 물고 들어가서, 거버너 로프를 파지한다. 거버너 로프가 파지되어서, 낙하하는 탑승카와 거버너 사이의 거버너 로프에 장력이 발생하면, 안전 레버가 작동하여, 탑승카의 안전 장치(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킨다.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용 거버너에서는, 훅을 쐐기에 설치된 핀에 결합시킴으로써, 훅 및 쐐기가 자립한 상태로 유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소53-147350호 공보(제1 페이지 내지 제2 페이지)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용 거버너에서는, 걸림 결합자를 밀어서 레버를 이동시키는 진자가 거버너 풀리에 2개 설치되어 있고, 거버너의 동작점은 거버너 풀리의 주위에 2군데 존재하게 된다. 또한, 훅 및 쐐기는, 자립한 상태로 유지되어, 거버너 풀리와는 걸림 결합되어 있지 않다.
거버너(이하, 조속기라고 한다)에 있어서는, 래칫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조속기의 동작점(촉발 동작 포인트)을 증가시킬 수 있다. 래칫 구조를 도입한 조속기에서는, 쐐기(이하, 캐치웨이트라고 한다)와 걸림 결합된 훅(이하, 링크 기구라고 한다)을 래칫 기구와 연결함으로써, 래칫 기구의 동작점수에 따라, 링크 기구와 캐치웨이트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과속도가 발생한 때에 캐치웨이트에 의해 거버너 로프(이하, 조속기 로프라고 한다)를 파지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는, 캐치웨이트와 링크 기구를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링크 기구 및 캐치웨이트는 자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 기구와 래칫 기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캐치웨이트가 세트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기구 및 캐치웨이트가 자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속기에 있어서, 링크 기구와 래칫 기구의 연결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탑승카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상기 조속기 로프가 감겨 있는 드르래(활차)와, 상기 도르래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도르래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도르래에 대한 자세가 변화하는 플라이웨이트와, 자립 보유 지지 위치로부터 낙하함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를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캐치웨이트와, 상기 캐치웨이트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플라이웨이트의 자세 변화를 받아서 상기 캐치웨이트와의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제1 링크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웨이트와 걸림 결합하는 복수의 촉발 동작 포인트를 갖는 래칫 기구와, 상기 래칫 기구와 일체화되어 상기 제1 링크 기구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를 갖는 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링크 기구가 상기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 이외에는, 상기 제1 링크 기구가 상기 캐치웨이트와의 연결이 가능한 자세로 되는 것을 저지하는 연결 저지 형상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 기구와 일체화된 원판이, 제1 링크 기구의 걸림 결합 위치 이외에는, 제1 링크 기구를 제1 링크 기구와 캐치웨이트의 연결이 불가능한 자세로 유지하는 연결 저지 형상부를 가짐으로써, 링크 기구(제1 링크 기구)와 래칫 기구의 연결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캐치웨이트를 확실하게 세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축물(100)에 설치된 승강로(102) 내에 승강체(탑승카 또는 승강기 차)(103)와 균형추(104)를 주로프(105)에 의해 연결하고, 탑승카(103)가 가이드 레일(107)을 따라서 승강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승강로(102)의 상부에 형성한 기계실(101) 내에는, 주로프(105)를 감은 권상기(106), 이 권상기(106) 등을 제어하는 제어반(114), 조속기(110) 등을 배치하고 있다.
조속기(110)는 승강로(102) 내의 승강 행정 전역에 걸쳐 신장된 무단상의 조속기 로프(111)와, 기계실(101)에 설치되고, 조속기 로프(111)를 감은 도르래(조속기 풀리)(201)(도 2 참조) 등을 포함한다. 조속기(110)는 탑승카(103)의 과속도를 검출함과 함께, 후술하는 비상 멈춤 장치(108)를 동작시킨다.
조속기 로프(111)는 승강로(102)의 하방에 있고 도르래(201)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인장 풀리(114)와 도르래(201) 사이에 감기고, 탑승카(103)와 연동하여 이동한다. 즉, 인장 풀리(114)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도르래(20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조속기 로프(111)는 도르래(201)와 인장 풀리(114)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인장 풀리(114)를 조속기(110)의 일부로 간주해도 된다.
또한, 조속기(110)는 후술하는, 플라이웨이트(202), 스위치(203), 래칫 기구(204), 원판(원반상 부재)(205), 제1 링크 기구(제1 레버 기구)(206), 제2 링크 기구(제2 레버 기구)(210), 캐치웨이트(207) 및 이들에 부수되는 기타의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조속기(110)에는, 인장 풀리(114)에 부하를 거는, 도시하지 않은 텐션 웨이트가 설치된다.
탑승카(103)에는, 비상시에 쐐기에 의해 가이드 레일(107)을 파지하는 비상 멈춤 장치(108)와, 이 비상 멈춤 장치(108)를 구동하고, 탑승카(103)측에 축지지된 작동 레버(109)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 레버(109)에는 조속용 로프(11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탑승카(103) 및 균형추(104)가 어떤 원인으로 승강로 저부에 충돌한 경우에도, 탑승카 내의 사람이 안전하도록 충격을 작게 하여 정지시키는 완충기(112, 113)가 설치되어 있다. 112는 균형추측의 완충기이며, 113은 탑승카측의 완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승강로(102)의 상부에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승강로(102)의 정상부에 있어서 고정부(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07)의 정상부)에 조속기(110)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조속기(110)의 개략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조속기(110)는 무단상의 조속기 로프(111)가 감긴 도르래(201)가 조속기 프레임(도시 생략)에 지지되어 있고, 도르래(201)와 동심원상으로 회전하는 플라이웨이트(202)에 의해 탑승카의 속도를 조속하고 있다. 플라이웨이트(202)는 도르래(201)와 동기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탑승카의 속도에 따라서 원심력에 의해 도르래(201)의 직경 방향 외측에 힘을 받아, 외주 방향으로 개방된다.
플라이웨이트(202)는 회동축(20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웨이트(202)는, 도르래(201)와 함께 회전하고, 도르래(201)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르래(201)에 대한 자세가 변화한다. 플라이웨이트(202)가 외주 방향으로 개방될 때는, 회동축(208)을 중심으로 하여, 단부(202b)측이 외측으로 개방되고, 갈고리(202a)측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들어간다. 또한, 플라이웨이트(202)는 2개 설치되어 있고, 2개의 플라이웨이트(202)는 연결 부재(2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2개의 플라이웨이트(202)의 회동축(208)의 설치부에는, 가압 부재(213)를 설치하는 설치 받침대(215)가 고정되어 있다. 가압 부재(213)는 한쪽의 플라이웨이트(202)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가압 부재(213)는 플라이웨이트(202)가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아서 도르래(20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하려고 하는 동작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한다.
연결 부재(214)는 한쪽의 플라이웨이트(202)가 가압 부재(213)로부터 받는 가압력을, 다른 쪽의 플라이웨이트(202)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2개의 플라이웨이트(202)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아서 도르래(20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하려고 하는 동작에 대하여 가압 부재(213)로부터 저항력이 부여된다.
또한, 도르래(201)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213)는 플라이웨이트(202)를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플라이웨이트(202)의 갈고리(202a)를 도르래(20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에 의해, 플라이웨이트(202)의 갈고리(202a)는 래칫 기구(204)의 촉발점(촉발 동작 포인트)(204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촉발점(204a)은 플라이웨이트(202)의 갈고리(202a)와 걸림 결합하는 부위(래칫의 갈고리)이며, 래칫 기구(204)는 플라이웨이트(202)의 갈고리(202a)가 촉발점(204a)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도르래(201)와 함께 회전한다.
탑승카(103)의 승강 속도가 정격 속도를 초과하여 제1 과속도(통상적으로는 정격 속도의 1.3배)에 달하면, 스위치(203)를 동작시켜서(이 경우, 접점을 개방), 탑승카(103)를 구동하는 권상기(106)의 전원 및 이 권상기(10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을 각각 차단한다.
또한, 조속기(110)는 어떤 원인에 의해 탑승카(103)의 하강 속도가 제1 과속도를 초과하여 제2 과속도(통상적으로는 정격 속도의 1.4배)에 달하면, 플라이웨이트(202)의 단부(202b)측이 더욱 외측으로 개방되어, 갈고리(202a)측이 더욱 직경 방향 내측으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플라이웨이트(202)의 갈고리(202a)가 원판(205)에 연결된 래칫 기구(204)의 촉발점(204a)에 걸림 결합한다.
래칫 기구(204)는 도르래(201)와 동심상으로 결합된 촉발점(래칫)(204a)과, 촉발점(204a)과 동심상으로 결합된 원판(205)과, 원판(205)의 외주부에 설치된 핀(209)을 포함한다. 원판(205)은 래칫 기구(204)와 일체화되고, 래칫 기구(204)와 함께 회전한다. 핀(209)은 후술하는 제1 링크 기구(제1 레버 기구)(206)를 래칫 기구(204)에 연결하기 위한 걸림 결합부(걸림 결합 핀)이다.
핀(209)과 원판(205)은 일체 성형된 구성이어도 되고,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한 핀(209)을 원판(205)에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원판(205) 및 핀(209)에 관한 구성은, 촉발점(204a)과 제1 링크 기구(206)를 연결하고, 촉발점(204a)의 회전을 제1 링크 기구(206)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제1 링크 기구(206)는 회동축(206b)으로부터 2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링크(206d, 206e)를 갖고, 회동축(206b)부에서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한쪽 링크(206d)의 일단부(선단부)에 홈부(핀(209)과의 걸림 결합부)(206a)가 설치되고, 다른 쪽 링크(206e)의 일단부(선단부)에 갈고리부(캐치웨이트(207)와의 걸림 결합부)(206c)가 설치되어 있다.
캐치웨이트(207)는 제2 링크 기구(제2 레버 기구)(210)에 설치된 연결부(210a)에 의해 제2 링크 기구(210)와 연결되어 있다. 캐치웨이트(207)는 제2 링크 기구(210)를 통하여 제1 링크 기구(206)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 기구(210)는 일단부에 회동축(210b)이 설치되고, 회동축(210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링크 기구(210)의 타단부에는, 핀(210c)이 설치되어 있다. 핀(210c)은 제1 링크 기구(206)의 갈고리부(206c)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걸림 결합 핀)이다.
홈부(206a)와 핀(209)은, 제1 링크 기구(206)와 래칫 기구(204)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걸림 결합부이다. 갈고리부(206c)와 핀(210c)은, 제1 링크 기구(206)와 제2 링크 기구(210)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걸림 결합부이다.
갈고리(202a)가 촉발점(204)에 걸림 결합하면, 도르래(201) 및 플라이웨이트(202)의 회전력을 받아서 래칫 기구(204)가 회전한다. 래칫 기구(204)가 회전하면, 핀(209)에 홈부(206a)가 걸림 결합한 링크 기구(206)의 일단부는, 회동축(206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링크 기구(206)의 타단부는 화살표 B 방향(상측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링크 기구(206)의 타단부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 링크 기구(206)의 갈고리부(206c)와 제2 링크 기구(210)의 핀(210c)과의 걸림 결합이 풀어진다. 핀(210c)과의 걸림 결합이 풀어진 제2 링크 기구(210)는 캐치웨이트(207)의 중량을 받아, 회동 중심(210b)을 중심으로 하여 핀(210c)측의 단부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캐치웨이트(207)는 자립 보유 지지 위치로부터 화살표 D 방향으로 하강하고, 연결부 프레임(211)에 설치된 접촉판(212)과의 사이에 조속기 로프(111)를 물고 들어가서, 조속기 로프(111)를 파지한다. 이에 의해, 탑승카(103)에 설치된 비상 멈춤 장치(108)가 동작하여, 탑승카(103)를 기계적으로 비상 정지시킨다.
캐치웨이트(207)의 보유 지지 기구에 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캐치웨이트(207)는 통상 시, 캐치웨이트(207)와 연결된 제1 링크 기구(206)에 의해 조속기 로프(111)를 물고 들어가지 않는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캐치웨이트(207)와 제1 링크 기구(206)는, 제1 링크 기구(206)와 제2 링크 기구(210)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는, 통상 세트되어 있는 자세를 자립하여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조속기 구조에서는, 이 제1 링크 기구(206)에 플라이웨이트(202)를 직접 접촉시켜, 캐치웨이트(207)를 동작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속기(110)의 동작 속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캐치웨이트(207)를 동작시키는 촉발점을 다점(3점 이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래칫 기구(204)를 사용한 조속기(110)에 있어서는, 제1 링크 기구(206)와 래칫 기구(204)를 더 연결할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 캐치웨이트(207)와 제1 링크 기구(206)는 자세를 자립하여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링크 구조(206)와 래칫 기구(204)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한 채, 엘리베이터를 주행시켜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가 과속 상태로 된 때에, 플라이웨이트(202)가 래칫 기구(204)에 걸림 결합하여 래칫 기구(204)가 회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래칫 기구(204)의 회전이 제1 링크 기구(206)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캐치웨이트(207)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캐치웨이트(207)로 조속기 로프(111)를 파지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가 래칫 기구(204)에 걸림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에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할 수 없는 구조로 하고 있다. 즉, 래칫 기구(204)에 제1 링크 기구(206)가 걸림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링크 기구(206)와 제2 링크 기구(210)를 걸림 결합할 수 없는 구조로 하고 있다.
래칫 기구(204)에 제1 링크 기구(206)가 걸림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1 링크 기구(206)와 제2 링크 기구(210)의 걸림 결합을 방지하는 구조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기구(204)에 원판(원반상 부재)(205)을 설치하고, 원판(205)의 제1 링크 기구(206)와 연결하는 부위(핀(209)의 외주측)에만 절결(직선 형상부)(301)을 형성한다. 절결(301)의 양단부는 원호상의 외주면(205b)(도 2 참조)에 의해 접속되고, 원호상의 외주면(205b)은 제1 링크 기구와 캐치웨이트(207)의 연결을 저지하는 연결 저지 형상부를 구성한다. 제1 링크 기구(206)의 링크(206d)에는 브래킷(302)을 설치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302)은 제1 링크 기구(206)의 원판(205)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설치된다. 브래킷(302)에 있어서의 홈부(206a)측의 단부는, 원판(205)의 원호부(205b)와 간섭(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브래킷(302)은 원판(205)의 원호부(205b)와 간섭하도록, 제1 링크 기구(206)의 링크(206d)로부터 돌출된 볼록 형상부를 구성한다.
도 4에서는, 원판(205)의 원호부를 파선(205a)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원판(205)의 절결(301)에서는, 브래킷(302)은 원판(205)과 간섭(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원판(205)의 절결(301)의 범위에서는, 브래킷(302)은 원판(205)과 간섭하는 경우가 없고, 제1 링크 기구(206)의 홈부(206a)를 핀(209)에 걸림 결합할 수 있다. 원판(205)의 원호부(205a)에서는, 브래킷(302)은 원판(205)과 간섭하고, 제1 링크 기구(206)는 도 3에 도시하는 자세를 취할 수 없다. 달리 말하자면, 원판(205)의 원호부(205a)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는 도 3에 도시하는 자세에 대하여 회동축(206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 상태로 되고, 그 갈고리부(206c)와 제2 링크 기구(210)의 핀(210c)이 걸림 결합 가능한 자세를 취할 수 없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205)은 제1 링크 기구(206)가 핀(걸림 결합부)(209)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 이외에는, 제1 링크 기구(206)를 캐치웨이트(207)와의 연결이 가능한 자세로 되는 것을 저지하는 연결 저지 형상부(원호부)(205a)를 갖는다. 즉, 연결 저지 형상부(205a)는 제1 링크 기구(206)를 캐치웨이트(207)와의 연결이 불가능한 자세로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 기구(206)에 제2 링크 기구(210)를 통하여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링크 기구(206) 및 캐치웨이트(207)는 자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이 의미에 있어서, 연결 저지 형상부(205a)는 제1 링크 기구(206) 및 캐치웨이트(207)의 자립을 저지하는 자립 저지 형상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를 래칫 기구(204)와 걸림 결합한 상태 이외에는, 원판(205)에 접촉하여 자립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래킷(302)을 제1 링크 기구(206)에 구비한다. 또한, 브래킷(302)과 원판(205)의 접촉을 방지하고, 제1 링크 기구(206)를 래칫 기구(204)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하는 절결(301)을 원판(205)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캐치웨이트(207)과 제1 링크 기구(206)를 자립한 상태로 세트하는 경우, 원판(205)에 설치된 핀(209) 이외의 부분(원호부(205a))에서는, 원판(205)의 외주(205a)가 브래킷(302)에 접촉하기 때문에 세트할 수 없다. 그리고, 반드시 핀(209)에 제1 링크 기구(206)를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만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운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상시에는 반드시 캐치웨이트(207)가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와 브래킷(302)은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고, 제1 링크 기구(206)의 링크(206d)에 브래킷(302)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1 링크 기구(206)와 브래킷(302)은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조속기의 제2 실시예를,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에 도시하는 것과 동등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와 래칫 기구(204)를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의 구조를, 실시예 1과 다르게 하고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205)의 핀(209) 및 절결(301) 대신에, 원판(205)에 간극(홈 형상부 또는 절결부)(401)을 형성하고 있다. 간극(401)은 실시예 1의 핀(209) 및 절결(30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1 링크 기구(206)에 홈부(206a)를 형성하지 않고, 제1 링크 기구(206)의 링크(206d)의 일단부(402)를 원판(205)의 간극(401)에 걸림 결합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즉, 제1 링크 기구(206)측의 걸림 결합부를 링크의 일단부(402)로 구성하고, 원판(205)측의 걸림 결합부를 간극(401)으로 구성하고 있다. 원판(205) 및 제1 링크 기구(206)의 상술한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20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극(401)의 양단부가 원판(205)의 원호부(외주)(205f)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원호부(205f)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결 저지 형상부(자립 저지 형상부)(205a)를 구성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연결 저지 형상부(205a)에서는, 제1 링크 기구(206)에 제2 링크 기구(210)를 통하여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링크 기구(206) 및 캐치웨이트(207)는 자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캐치웨이트(207)와 제1 링크 기구(206)를 자립한 상태에 세트하는 경우, 원판(205)에 설치한 간극(401) 이외의 부분에서는, 원판(205)의 외주가 제1 링크 기구(206)에 설치한 브래킷(302)에 접촉하는 점에서, 제1 링크 기구(206)에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할 수 없다. 그리고, 반드시 간극(401)에 제1 링크 기구(206)를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만 캐치웨이트(207)를 세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상시에는 반드시 캐치웨이트(207)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건축물
101: 기계실
102: 승강로
103: 탑승카(승강기 차)
104: 균형추
105: 주로프
106: 권상기
107: 가이드 레일
108: 비상 멈춤 장치
109: 인상 레버
110: 조속기
111: 조속기 로프
112: 균형추측 완충기
113: 탑승카측 완충기
201: 조속기 도르래
202: 플라이웨이트
203: 스위치
204: 래칫 기구
205: 원판(원반상 부재)
206: 제1 링크 기구(제1 레버 기구)
207: 캐치웨이트
210: 제2 링크 기구(제2 레버 기구)
301: 절결(직선 형상부)
302: 브래킷
401: 간극(홈 형상부, 절결부)

Claims (5)

  1. 탑승카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상기 조속기 로프가 감겨 있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도르래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상기 도르래에 대한 자세가 변화하는 플라이웨이트와, 자립 보유 지지 위치로부터 낙하함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를 다른 부재와의 사이에서 파지하는 캐치웨이트와, 상기 캐치웨이트와 연결됨과 함께 상기 플라이웨이트의 자세 변화를 받아서 상기 캐치웨이트와의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제1 링크 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웨이트와 걸림 결합하는 복수의 촉발 동작 포인트를 갖는 래칫 기구와, 상기 래칫 기구와 일체화되어 상기 제1 링크 기구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를 갖는 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링크 기구가 상기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는 위치 이외에는, 상기 제1 링크 기구를 상기 캐치웨이트와의 연결이 가능한 자세로 되는 것을 저지하는 연결 저지 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상기 걸림 결합부를 구성하는 핀과, 상기 핀의 외주측에 형성된 직선 형상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직선 형상부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원호상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연결 저지 형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링크 기구는, 상기 연결 저지 형상부를 구성하는 상기 원호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볼록 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상기 제1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의 일단부가 걸림 결합하는 홈 형상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홈 형상부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원호상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연결 저지 형상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기구와 상기 캐치웨이트를 연결하는 제2 링크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5. 주로프에 의해 수하되어(suspended) 승강로를 승강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에 설치된 비상 멈춤 장치와, 상기 탑승카의 과속도를 검출함과 함께 상기 비상 멈춤 장치를 동작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속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87001881A 2015-08-25 2015-08-25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67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3784 WO2017033270A1 (ja) 2015-08-25 2015-08-25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242A true KR20180020242A (ko) 2018-02-27
KR101967590B1 KR101967590B1 (ko) 2019-04-09

Family

ID=5810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881A KR101967590B1 (ko) 2015-08-25 2015-08-25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10950B2 (ko)
KR (1) KR101967590B1 (ko)
CN (1) CN107848749B (ko)
WO (1) WO20170332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3635A (ja) * 2021-05-10 2022-11-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装置及びエレベー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6586A (ja) * 2019-10-25 2021-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調速機
KR102442115B1 (ko) * 2022-07-02 2022-09-13 (주)디 앤드 디 엘리베이터 과속조절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7811A (en) * 1966-10-28 1967-06-27 Otis Elevator Co Governor
JPS52118680U (ko) * 1976-03-08 1977-09-08
JPS53147350A (en) 1977-05-27 1978-12-22 Hitachi Ltd Governor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6562U (ja) * 1982-04-26 1983-11-07 越原 淳雄 昇降機の安全装置
JP2790615B2 (ja) * 1994-10-20 1998-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N100575233C (zh) * 2004-07-22 2009-12-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限速器
WO2012017549A1 (ja) * 2010-08-06 2012-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7811A (en) * 1966-10-28 1967-06-27 Otis Elevator Co Governor
JPS52118680U (ko) * 1976-03-08 1977-09-08
JPS53147350A (en) 1977-05-27 1978-12-22 Hitachi Ltd Governor for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3635A (ja) * 2021-05-10 2022-11-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装置及び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590B1 (ko) 2019-04-09
JP6410950B2 (ja) 2018-10-24
CN107848749B (zh) 2019-06-11
JPWO2017033270A1 (ja) 2018-02-15
CN107848749A (zh) 2018-03-27
WO2017033270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104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US9505587B2 (en) Elevator with acceleration detection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JP5325904B2 (ja)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JP64659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154984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12086026A1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KR101967590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1317933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3132587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039011B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0055085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KR20120014631A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JP611673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5173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94405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1088428A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
JP515764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US11858780B1 (en) Governor assembly,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JP2019196241A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CN112424103B (zh) 电梯的限速器
JP2020111461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並びにエレベータ装置
JP2019089637A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