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685A -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 Google Patents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685A
KR20180018685A KR1020187000830A KR20187000830A KR20180018685A KR 20180018685 A KR20180018685 A KR 20180018685A KR 1020187000830 A KR1020187000830 A KR 1020187000830A KR 20187000830 A KR20187000830 A KR 20187000830A KR 20180018685 A KR20180018685 A KR 2018001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dia
metering
fill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050B1 (ko
Inventor
오토 슈베르트
브루노 에글리
마르틴 뤼쉐르
알렉산더 무프
Original Assignee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particular environment or blow fluids other tha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2Moulds with means for moulding parts of the parisons in an auxiliary cavity, e.g. moulding a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22Making containers by moulding of a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3/30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particular environment or blow fluids other than air
    • B29C2049/4602Blowing fluids
    • B29C2049/4635Blowing fluids being ste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particular environment or blow fluids other than air
    • B29C2049/4602Blowing fluids
    • B29C2049/465Blowing fluids being incompressible
    • B29C2049/4664Blowing fluids being incompressible staying in the final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7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08Fill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블로우 몰딩, 충전 및 폐쇄 방법에 의해 충전 및 폐쇄 용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충전된 매체(74, 76)가 용기부(52)에서 서로 분리되고, 이어서 주형(46)의 상부 주형 반부들(56, 58)을 폐쇄함으로써 용기 상부(60)가 성형되며 또한 상기 용기부(52)가 폐쇄되어 상기 용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주형(46) 내에 보유되고 또한 진공 몰딩 및/또는 블로우 핀에 의해 블로우 몰딩된 초기 개방 용기부(52)는 상향으로 지향되는 그의 자유 용기부 개구(54)를 통해 계량 유닛들(12, 14)에 의해 다른 타입의 특히 다른 점성의 매체(74, 76)로 연속 충전된다.

Description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본 발명은, 특히 블로우 몰딩, 충전 및 폐쇄 방법에 따라, 충전 및 폐쇄 용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에서 블로우 몰딩, 무균성 충전 및 밀폐성 밀봉을 위한 그와 같은 방법들은 특히 제약 분야에서 사용되며, 또한 청량 음료 및 화학 기술 제품 분야에서도 사용된다. 코쳐 플라스틱(kocher-plastik)사가 특허권을 갖고 있고 롬메라그(rommelag)사에 의해 전세계에서 판매되는 보틀팩("bottelpack®")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진 제품의 공정에 있어서, 튜브가 전통적인 압출 블로우 몰딩과 유사한 제 1 단계에서 압출되며 개방 블로우 주형이 이어진다. 상기 블로우 주형의 주요 부분은 밀폐되고 상기 용기의 저부는 용접된다. 특별하게 성형된 블로우 주형 충전 유닛은 목부 영역에 설정되고, 상기 유닛은 아직 형성되지 않은 목부 영역을 향하는 실제 용기 영역을 밀봉한다. 이와 같은 블로우 맨드릴은 살균 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제 용기를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단일 투약 점안 약병과 같은 소형 용기들은 진공에 의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공정 동안 상기 튜브의 나머지 외부 부분을 떠나는 상기 용기들은 고온이고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다음 단계 동안, 충전 맨드릴은 상기 제품을 상기 용기 내로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블로우 주형 충전 유닛이 리프팅된 후에, 상기 주형 공구의 헤드 죠(head jaw)는 밀봉되고 밀폐 방식으로 밀봉된 상기 용기는 용접된다. 동시에, 요구되는 헤드 외형 또는 마감 외형이 진공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블로우 주형이 개방될 때, 상기 충전되고 마감된 용기는 상기 블로우 주형을 떠나고 다음의 생산 주기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체 공정은 적합하게는 무균성 조건(스테인리스 스틸, 무균 블로우 및 퍼지 공기 등) 하에 수행되며, 무균성 패키징을 위한 국제적 기준(예를 들면, cGMP, FDA)이 충족되도록 보장한다("Blasformen von Kunststoff-Hohlkoerpern"[중공형 플라스틱 몸체들의 블로우 몰딩]; Michael Thielen, Klaus Hartwig und Peter Gust; Hanser-Verlag 2006).
이와 같은 공정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중 챔버 약병에 대하여는 EP 1 799 557 B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약병형 용기는 충전 용기부로서 단일 분배 매체를 함유하는 계량 챔버를 갖는 탄성 항복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량 챔버의 한 단부는 분배 개구를 가지며 반대측 단부는 연결점을 통해 접철식 용기 헤드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헤드 부분의 압축하에 특히 공기 형태의 가스 배출 매체가 존재하며, 상기 배출 매체는 상기 계량 챔버로부터의 분배 매체를 투명한 분배 개구를 통해 환자 등에게 투여하기 위한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배한다. 상기 하나의 추가 용기로서의 계량 챔버와 상기 용기의 용기 헤드 부분 사이의 상술된 연결점은 병목부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공간적 위치와 상관없이,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계량 챔버로부터의 배출 매체가 배출 매체를 보유하는 용기 헤드 부분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세관 효과가 유발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DE 44 20 594 C2는 이미, 흡수된 배출 약제를 보유하는 용기 헤드 부분이 인접해 있는 상부에서, 저장된 분배 매체와 병목부 사이의 계량 챔버에서 분리 피스톤 형태로 단부 부재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여기서 피스톤은 상기 용기의 투명한 분배 개구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상기 용기 헤드 부분의 공기가 수동 압박에 의해 상기 계량 챔버 방향으로 상기 병목부를 통해 변위되자 마자 상기 용기 내용물들을 상기 용기로부터 단일 분배 매체 형태로 다시 용이하게 방출하도록 도우며, 따라서 상기 방출 방법 동안 상기 분리 피스톤을 따라 운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상기 BFS 기술에 대한 확장된 응용 분야가 형성되는 효과에 대해 상기 공지된,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해결책들을 개선하는 과제를 다룬다.
이와 같은 과제는 전체적으로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과 청구항 10의 특징들을 갖는 장치 및 청구항 12의 특징적 구성을 갖는 용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형 공구 내에 보유된 블로우 맨드릴 및/또는 진공형 용기부에 의해 블로우 성형된 초기 개구는 연속으로 다른 타입의, 특히 다른 점성들의 상기 매체로 계량 유닛들에 의해 투명하고 상향으로 배열된 용기부 개구를 통해 충전되어, 충전된 매체가 용기부에서 서로 분리되고, 다음에 용기 헤드부가 주형 공구의 헤드 주형 반부들을 폐쇄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가 상기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폐쇄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제제들이 하나의 충전 방법에서 오직 하나의 용기 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매체는 다른 레벨들로 충정되고, 상기 용기가 폐쇄될 경우조차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잔류하게 된다. 특히, 충전될 매체로서 크림 및 젤을 포함하는 고-점도의 저속 이동 연고형 제품들을 사용하고 또한 상기 제품들을 용기 내에 서로 적층형으로 충전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 경우 분리는 상기 용기가 폐쇄될 때조차도 유지된다.
만약 상이한 점도들을 갖는 연고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각의 경우에 충전될 매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용기 내에 에어 포켓들을 갖지 않는 연고의 콤팩트한 충전이 요망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용기 애플리케이터의 이어지는 추출 기능은 상기 에어 포켓의 결여로 인해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층 또는 제 1 매체가 상기 용기의 용기부 내로 충전된 후, 후속 상부 매체 층과의 혼합이 방지되어야 하고, 이는 너무 강한 충전 제트를 사용하여 상기 용기의 용기부로 도입되지 않은 후속 충전 매체에 의해 보조된다. 그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 상기 연고들 사이의 분리 층은 가능한 한 멀리 평평한 표면으로서 생성될 수 있고 또한 함몰없이 생성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는 상기 용기 내에서의 매체 층들의 혼합이 촉진될 수도 있다.
특히, 2개의 매체만이 형성될 용기 내로 도입된다; 그러나, 또한 폐쇄될 용기에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의 매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응용의 측면에서 고 점성 매체 및 제품들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별도의 용기 충전을 위해 저 점성 매체를 고 점성 매체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특히 점성으로 인해 그와 같이 분리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방법에 적합하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적용 분야에 따라, 모든 타입의 유체뿐만 아니라 페이스트 및 분말 또는 미립자 물질들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맥락에서, 상기 용기는 분리 층에 의해 서로 영구적으로 분리되는 고 점성 연고 및 페이스트 약제 분말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로 도입될 매체의 수에 기초하여, 모든 매체에 대해 독립적인 계량 유닛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든 분배 매체가 상기 투명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용기부에 충전되는 적어도 2개의 계량 유닛을 구비하며, 모든 계량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수단에 의해 변위 유닛 상에 고정되며, 상기 문제의 계량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진 가이드를 통해 개시 위치로부터 용기부 개구 위의 분배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개시 시작 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상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용기에 관한 것이며, 폐쇄된 용기부에서 적어도 2개의 매체가 중첩된 배열로 보유되고 또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단 전체적인 복합 매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용기부 내로 도입된 것과 동일한 순서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동일하게 압박되거나 또는 다른 경우 제거되면, 적절한 매체 분리가 또한 유지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개략적인 도면들의 경우 실척으로 도시되지 않았다.
도 1 및 도 2는 기본 개시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는 다른 제조 위치들에서의 도 1에 대응하는 대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용기 제품을 나타낸다.
도 1에 측면도로서 도시된 제조 장치는 2개의 상이한 매체를 점성이 서로 다른 연고들의 형태로 제공하도록 의도되었다. 이 경우, 하나의 계량 유닛(10)이 하나의 연고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계량 유닛(12)이 다른 연고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각각의 계량 유닛들(10, 12)은 그들의 하부측에 동일하게 설계된 충전 맨드릴(14)을 갖는다. 상기 계량 유닛(10)과 상기 계량 유닛(12)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 장치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됨에 따라, 오직 하나의 상기 계량 유닛(10)의 적절한 작동 장치만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조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블로우 몰딩, 충전 및 밀봉 기계의 머신 테이블(16)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또는 평면으로 도시된 실질적으로 U형상의 상호 배열된 벽 부분들로 형성되는 베이스 지지부(18)가 스탠드와 같이 배열된다.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18)의 평행한 벽들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가 연속적으로 도입되며,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최초에는 상부에 경사 가이드(22)를 갖는데, 이는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일형 안내 부재(24)로 전환된다. 상기 경사 가이드(22)의 가상 연장부는 상기 머신 테이블(16)의 상부와 약 65°의 경사각을 갖는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순차적으로 전기 모터(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벨트 드라이브 형태의 기어(28)를 통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 스핀들(26)이 상기 베이스 지지부(18) 내의 대략 중앙으로 안내된다. 상기 벨트 드라이브 대신에, 기어 변속기 등이 또한 상기 기어(28)를 대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로드들(32)은 U형 베이스 지지부(18) 내에 배열되며, 또한 상기 로드형 구동 스핀들(26)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드를 따라 콘솔(34)이 스핀들 드라이브(26) 및 구동 너트(36)를 구비한 구동 기어들을 포함하는 기계 지지부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만약 전기 모터(30)가 지지 방식으로 상기 구동 스핀들(26)을 통해 상기 콘솔(34)을 구동하는 경우, 도 1의 관측 방향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상위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콘솔(34)의 하부쪽에는 상기 콘솔(34) 내의 수평 가이드(4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변위 유닛(38)이 배열된다. 또한, 상기 변위 유닛(38)은 2개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웨브(42)를 가지며, 웨브들 각각은 할당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에 결합하는 베이스 지지부(18)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롤러(44)를 지지한다. 또한, 중간 변위 유닛(38) 위로 연장되는 그의 2개의 가이드 웨브들을 갖는 계량 유닛(10)은 상기 콘솔(34)의 하부에 배열된다.
만약, 기어(28) 및 구동 스핀들(26)과 함께 상기 콘솔(34)이 상기 전기 모터(30)의 작동 후에 도 1 방향에서 볼 때 하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콘솔은 그와 같은 이동에 있어서 변위 유닛(38)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변위 유닛(38)의 가이드 롤러(44)가 결합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로 인해, 경사 가이드(22)의 단부까지 동시에 수평 이동을 겪으며, 순차적으로 상기 변위 유닛(38)은 상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의 2개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들(24)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특히, 도 3의 설명에서와 같이, 다음에 그들의 분배 위치 또는 완전히 연장된 분배 위치에서 상기 변위 유닛(38)의 가이드 롤러(44)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의 각각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24)의 단부와 하부 접촉한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콘솔(34)의 수평 가이드(40) 내의 상기 변위 유닛(38)의 가이드 웨브들(42)은 그들의 완전 연장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계량 유닛(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를 위한 주형 공구(46) 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다.
상술된 이동 메커니즘은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의 계량 유닛(12)에 따라 실행된다. 도 1은 양쪽 계량 유닛(10, 12)을 위한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데 반해, 도 3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점도를 갖는 분배될 제 1 연고를 위한 하강 및 계량 작동을 나타내며, 다른 연고를 갖는 상기 계량 유닛(12)은 여전히 상기 개시 위치에 있게 된다. 도 4에 따른 설명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상기 계량 유닛(10)은 상승된 개시 또는 홈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계량 유닛(12)은 상기 용기 내의 다른 연고를 계량하기 위해 상기 하강된 분배 위치에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주형 공구(46)는 2개의 주형 반부들(48, 50)로 구성되며, 상기 반부들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용기부(52)의 블로우 몰딩을 위해 주형 캐비티를 공동으로 한정하며, 상향으로 배향된 슬롯(54)을 갖는다. 상기 계량 유닛들(10, 12)의 개별 충전 맨드릴들(14)은 매체의 전달을 위해 상기 용기부(52)의 개구(54)를 통해 상기 용기부(52)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형 공구(46)는 그의 상부측 상에 서로 대응하는 헤드 주형 반부들(56, 58) (도 3 비교)을 가지며, 각각의 충전 맨드릴들(14)의 투명 개구 단면들이 도 5의 설명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주형(46) 밖으로 이동하자 마자, 용기의 용기 헤드부(60) (도 6 비교)를 접은 상태로 형성한다. 그러나, 적합하게도 상기 헤드 주형 반부들(56, 58)을 폐쇄하기 전에 볼(64)이 진공 그립핑 장치(62)를 사용하여 층형 연고 복합체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볼은 각각 상기 충전된 매체 및 연고들을 위한 단부 부재로서 작용한다.
먼저 상기 제 1 연고(74)가 상기 계량 유닛(10)을 사용하여 상기 용기부(52) 내로 충전되는 동안, 상기 제 2 연고(76)는 나중에 상기 계량 유닛(12)을 통해 중첩되어 상기 용기부(52) 내로 도입되며, 다음에 상기 계량 유닛(12)에 의해 나중에 도입되는 상기 연고(76)에는 단부 부분으로서 상기 볼(64)이 제공된다. 상기 볼(64)을 위한 진공 파지부(62)가 다시 상기 주형 공구(46)와 그의 주형 반부들(48, 50, 56 및 58)로부터 결합 해제되자 마자, 상기 헤드 주형 반부들(56, 58)은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모세관 개구로서 좁은 갭(66) 내로 테이퍼지는 개구(54)를 갖는다. 또한, 상기 헤드 주형 반부들(56, 58)을 폐쇄시킴으로써 용기 헤드부(60)가 형성되고, 전체로서 매체 및/또는 연고를 보유하는 용기는 환경으로부터 기밀하게 밀봉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본 장치에 의해 생산된 용기가 최종 용기 제품으로 언급된 도 6의 설명을 참고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에 도시된 용기는 투명한 탄성 항복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며, 용기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기들과 함께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에 따라 도시되고 설명된 장치에 의해 종래의 카드형 용기 복합체(도시되지 않음) 방식으로 제조, 충전 및 바람직하게는 살균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용기부(52)로서 관형 원통형 계량 챔버를 가지며, 도면의 하단부에서 토글 클로저(68)에 의해 밀봉되며, 손으로 턴 오프될 수 있는 상기 토글 클로저(68)를 통해 상기 용기부(52)의 하단부에서 상기 방출 포트(72)를 세정하기 위해 수축된 소정의 파단점(70)을 갖는다. 도 6의 방향에서 볼 때, 적어도 하나의 연고(74)가 상기 용기부(52)의 저부에 배열되고, 수평 분리면(75)에 의해 최상부 추가 연고(76)로부터 분리되며, 상술된 볼(64)은 다시 상부 또는 표면 상의 단부 부분으로서 놓여진다. 도 6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의 방출 개구(72)의 세정하에, 차례로 상기 제 1 연고(74) 및 다음의 연고(76)가 방출되며, 반면 상기 볼(64)은 상기 용기의 용기부(52)에 잔류한다. 하향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방출 개구(72)로 인해, 연고는 콧구멍 등과 같은 신체의 구멍들 내로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52)의 반대측 단부는 접합부(66)를 통해 압축 가능한 용기 헤드부(60)에 연결되며, 상기 헤드부에는 본원의 경우 공기 형태의 특정 가스 배출 매체가 존재한다. 상기 용기 헤드부(60)가 손으로 압축될 때, 그 안에 저장된 배출 매체는 외부로의 도포 방법을 위해 방출 개구(72)를 통해 용기부(52)로부터 환경으로 분배될 연고를 전위시키고, 상기 볼(64)은 단독으로 운반된다. 상기 용기부(52)와 상기 용기 헤드부(60) 사이의 연결점(66)은 모세관 효과를 초래하도록 병목부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공간적 위치와는 상관없이 상기 용기부(52)로부터 상기 용기 헤드부(60)로의 개별 전달 매체의 이동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 매체는 상기 용기 헤드를 압박하는 일 없이 상기 연고들(74, 76)을 보유하는 상기 용기부(52)의 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이동될 수 없다. 상세히 설명 및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볼(64)은 플레이트형 토글 패스너(68)로부터 펀칭될 수 있고, 그 단부에서 원래 토글 클로저(68)가 대략 중앙에 배열된 성형 볼부(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여전히 상기 볼(64)을 포함하는 토글 클로저(68)를 갖는 적절한 용기가 상기 주형 공구(64)를 포함하는 주형 기계를 떠나자 마자, 개별 볼(64)은 후속 공정 작동 동안 상기 토글 클로저(6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이제 상기 용기 제품과 함께 도시된 장치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및 폐쇄 용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블로우 몰딩, 충전 및 폐쇄 방법(BFS 방법)에 관한 것이며, 초기에 개방되는, 주형 공구(46) 내에 보유된 용기부(52)는 적합하게는 상이한 점성의 매체(74, 76)로 연속 충전됨으로써, 용기(52)에서 충전된 매체(74, 76)가 서로 분리되고, 다음에 용기부(52)가 전체 용기로부터 폐쇄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용기부(52) 내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매체로는 연고 제품과 같은 고점도 특성을 갖는 매체가 적합하다.
또한, 각각의 매체에 대한 계량 분배를 위해, 특히 상기 연고 제품들(74, 76) 형태의, 용적 매체 또는 연고 계량이 사용되며, 계량 유닛(10, 12)의 형태로 각각의 애플리케이터의 관 또는 충전 맨드릴(14)로부터 시작하여, 콤팩트한 무공기 충전이 실현되야만 한다. 그와 같은 용적 매체 계량은 예를 들면 DE 10 2008 028 772 A1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보는 계량 유닛(10, 12)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계량 작동 동안 개방될 수 있는 계량 밸브가 계량된 양의 매체 또는 다른 제품을 적어도 하나의 충전 라인을 통해 각각의 용기로 전달하도록 배열되는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계량 밸브 하류의 유동 경로에서 용적 매체를 계량하기 위한 공지된 계량 장치는 상기 유동 경로에서 선택적으로 흡입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를 가지며, 제어 장치가 제공되어, 상기 계량 밸브를 폐쇄시킴으로써 완성된 계량 작업에 따라 계량 분배 작용을 위한 흡입 효과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가동시킨다.
특히, 도 3에 따른 실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 유닛(10)의 충전 맨드릴(14)은 최종 도달된 충전 레벨로부터 충분한 거리에서 상기 용기부(52)에 위치되어야만 하며, 충진 중에 제품에 따른 특정 운동을 전혀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매우 적은 운동만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계량의 압력 범위는 상기 매체 제품 또는 연고 제품에 기초하여 제품 특화 방식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술된 도 4에 설명 및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상기 매체 및/또는 연고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 유닛(12)을 통해 상기 연고(74)의 용기부(52) 내로 용적 연고 투약량만큼 충전되며, 이를 위한 계량 속도 및 용적량은 제어될 수 있다. 원치 않는 함몰이나 또는 이미 충전된 연고(74)와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충전은 상기 연고(74)의 충전보다 낮은 압력 범위에서 수행된다. 충진 중에 상기 계량 유닛(12)의 충전 맨드릴(14)의 제어된 계량 및 이동을 동기화시킴으로써, 다시, 상기 용기부(52) 형태의 튜브 내에서의 콤팩트한, 바람직하게는 기포가 없는 계량이 수행될 수 있다. 계량 속도와 각각의 충전 맨드릴(14)의 이동 사이의 상기 동기화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계량 유닛(12)의 "피스톤 행정(piston stroke)" 및 상기 충전 맨드릴(14) 자체의 이동은 적절한 제어 및 조절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전기 모터(30), 기어(28) 및 구동 스핀들(26) 형태의 이미 설명된 서보 드라이브들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된 주형 공구(46)의 하강 행정 및 충전 공정에 우선하여, 상기 계량 유닛들(10, 12)은 상기 주형 공구(46)의 용기부(52)의 개구(54)를 통해 중앙 위치로 교대로 수평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순차적으로 소정의 규정된 경로 이동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를 사용하는 수평 및 수직축의 동기화된 운동에 의해 성취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의 경사 가이드(22)로 인해 추가적인 수평 교차 행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개별 계량 유닛(10, 12)의 개별 기본 위치와 분배 위치 사이의 이동 시간 단축이 초래된다.
원칙적으로, 로봇 아암과 같은 취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용기부(52)의 개구(54)를 통해 상이한 계량 유닛들을 상이한 배출 매체로 이동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더 많은 매체가 동기화된 방식으로 상기 용기부(52) 내에 연이은 순서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량 유닛들(10, 12)을 정지 방식으로 배열하고 다음에 상기 용기부(52)와 그의 개구(54)를 갖는 주형 공구(46)를 이동시켜서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도 존재하며, 상기 개별 계량 유닛들(10, 12)하에서, 항상 연대순으로 연속하여, 소위 회전 목마식 배열의 틀 안에서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량 유닛(10)에 의해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기계 장치로 먼저 연고(74)를 도입하고, 다음에 상기 계량 유닛(12)을 사용하여 약학적 효과 이외에 다른 점성을 갖는 연고(76)를 도입한 후, 이어서 상기 계량 유닛(10)으로 상기 연고(74)가 분리 방식으로 상기 연고(76) 상에 다시 도포되는 방법 등도 고려될 수 있다
소위 보틀팩(Bottelpack) 제조 기계에서의 종전 구성과 유사하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계 장치는 상기 폐쇄 유닛 위의 기계의 기존 브리지 상에, 특히 주형 반부들(48, 50, 56, 58)을 갖는 주형 공구(46)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 방식에 있어서, 전달된 기계 유닛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개조되거나 변환될 수 있다.

Claims (12)

  1. 특히, 블로우 몰딩, 충전 및 폐쇄 공정에 따라, 충전 및 폐쇄 용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주형 공구(46) 내에 보유된 블로우 맨드릴 및/또는 진공형 용기부(52)에 의해 블로우 성형되는 초기 개구는 연속으로 다른 타입의, 특히 다른 점성들의 상기 매체(74, 76)로 계량 유닛들(12, 14)에 의해 투명하고 상향으로 배열된 용기부 개구(54)를 통해 충전되어, 충전된 매체(74, 76)가 용기부(52)에서 서로 분리되고, 다음에 용기 헤드부(60)가 주형 공구(46)의 헤드 주형 반부들(56, 58)을 폐쇄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52)가 상기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폐쇄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52) 내로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74)는 연고, 크림 또는 겔과 같은 고 점성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52) 내로 충전될 적어도 하나의 추가 매체(76)는 또한 연고, 크림 및 겔들과 같은 고 점성 제품들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52)에서, 충전될 개별 매체(74, 76)는 인접한 매체(74, 76) 사이에 어떠한 혼합도 발생하지 않도록 중첩되어 도입되며, 상기 인접한 매체(74, 76) 사이에 형성된 분리층(75)이 충전 동안 함몰구(crater)들 없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매체(74, 76)는, 적합하게는 실제로 에어 포켓들 없이, 용적 계량 유닛(10, 12)에 의해 상기 용기부(52) 내로 미리 결정된 양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52) 내로 충전될 모든 매체(74, 76)에는 자체 할당 가능한 계량 유닛(10, 1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매체(74, 76)가 충전되는 순서로, 상기 할당 가능한 계량 유닛들(10, 12)이 상기 자유 용기부 개구(54) 위로 연속 이동되어, 상기 제 1 계량 유닛(10)은 상기 용기부(52)의 자유 개구(54) 위의 개시 위치로부터 분배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투명 개구(54)를 통해 상기 제 1 매체(74)를 상기 용기부(52)의 내부로 분배한 다음, 그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연속해서 제 2 계량 유닛(12) 및 임의의 추가 계량 유닛들은 매체 분배 작동을 위해 상기 투명 용기부 개구(54)에서 그들의 초기 위치들로부터 그들의 분배 위치들로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그들의 원래 위치들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체 분배 작동을 위해 상기 투명하고 고정적으로 배열된 용기부 개구(54) 상에 공통 분배 위치만을 점유하는 상기 개별 계량 유닛들(10, 12)의 이동 경로들은 서로 분리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76)가 그의 계량 유닛(12)에 의해 상기 용기부(52) 내로 최종 분배된 후에, 적합하게는 볼 형태인 단부(60)가 상기 용기부 상에 위치되고, 이어서, 용기 헤드부(60)가 형성될 때, 상기 충전된 매체(74, 76) 및 상기 단부(64)를 갖는 상기 용기는 폐쇄되고 상기 제작 주형(46, 48, 50, 56, 58)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특히,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계량 유닛들(10, 12)이 매체(74, 76)를 그의 투명 개구(54)를 통해 용기부(52) 내로 각각 분배하기 위해 변위 유닛(38) 상에 고정되며, 상기 개별 계량 유닛들(10, 12)은 개시 위치로부터 분배 위치까지 상기 용기부 개구(54) 위에서 이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수단(26, 28, 3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의 경사 가이드(22)를 통해 다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경사 가이드(22)는 베이스 지지부(18)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20)의 일부로서 실행되고, 스핀들 드라이브(26)를 가지며, 상기 관련 계량 유닛(10, 12)과 함께 상기 변위 유닛(38)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브래킷(34)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특히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매체(74, 76)가 중첩되어 보유되고 또한 그의 폐쇄된 용기부(52)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87000830A 2015-06-11 2016-04-08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KR102549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7690.6A DE102015007690A1 (de) 2015-06-11 2015-06-11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füllten und geschlossenen Behälters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nd ein danach hergestellter Behälter
DE102015007690.6 2015-06-11
PCT/EP2016/000584 WO2016198135A1 (de) 2015-06-11 2016-04-08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füllten und geschlossenen behälters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nd ein danach hergestellter 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685A true KR20180018685A (ko) 2018-02-21
KR102549050B1 KR102549050B1 (ko) 2023-06-30

Family

ID=5569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830A KR102549050B1 (ko) 2015-06-11 2016-04-08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940633B2 (ko)
EP (1) EP3307516B1 (ko)
JP (1) JP6767397B2 (ko)
KR (1) KR102549050B1 (ko)
CN (1) CN107848187B (ko)
AU (1) AU2016276719B2 (ko)
BR (1) BR112017026493B1 (ko)
CA (1) CA2988824C (ko)
DE (1) DE102015007690A1 (ko)
MX (1) MX2017016115A (ko)
RU (1) RU2706626C2 (ko)
SG (1) SG11201710140YA (ko)
WO (1) WO2016198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409A (zh)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流体输送歧管的系统和方法
TWM610010U (zh) * 2020-12-10 2021-04-01 胡柳嘉 給藥裝置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652A (ko) * 1973-08-02 1975-04-05
JP2001501489A (ja) * 1995-12-06 2001-02-06 エヌ エム ティー グループ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アンプルシステム
KR20020003995A (ko) * 2000-06-29 2002-01-16 윤성태 플라스틱 앰플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
JP2005088909A (ja) * 2003-09-12 2005-04-07 Osawa Wax Kk 内容物封入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2073A (en) * 1938-05-26 1940-05-28 American Paper Bottle Co Liquid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US2888046A (en) * 1957-06-04 1959-05-26 Continental Can Co Receptacle filling mechanism
US3179269A (en) * 1959-05-04 1965-04-20 Boyd J Arnett Apparatus for unloading cartons and regimenting the articles unloaded therefrom
BE758731A (fr) * 1969-11-24 1971-04-16 Intercan Sa Dispositif doseur et distributeur pour produits liquides et pateux
US4628974A (en) * 1984-03-14 1986-12-16 Meyer Ronald K Apparatus for automated assembly of flowable materials
EP0634111B1 (de) * 1993-07-12 1997-03-1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lebensmittels
US5431201A (en) * 1993-12-03 1995-07-11 Technology 2000 Incororated Robotic admixture system
DE4420594C2 (de) 1994-06-14 1997-04-24 Bernd Hansen Behältnis für fließfähige, insbesondere pasteuse Stoffe
US7128935B2 (en) * 2001-07-12 2006-10-31 General Mills, Inc. Method for making a patterned food product
US6931824B2 (en) * 2002-06-07 2005-08-23 Amec E&C Services, Inc. Packaging system
DE102004046536A1 (de) * 2004-09-21 2006-03-30 Bernd Hansen Behälter
CA2588467C (en) * 2005-09-09 2011-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lid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multiple layers based on water-in-oil emulsions
DE102006053193A1 (de) * 2006-11-09 2008-05-15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behältern
US20080142115A1 (en) * 2006-12-15 2008-06-19 Niagara Dispensing Technologies, Inc. Beverage dispensing
DE102008028772A1 (de) 2008-06-17 2009-12-24 Hansen, Bernd, Dipl.-Ing.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Behältnissen
DE102008028754A1 (de) * 2008-06-17 2009-12-24 Bernd Hansen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WO2010042897A1 (en) * 2008-10-10 2010-04-15 Py Daniel C Co-extrusion blow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ealed empty devices
IT1395573B1 (it) * 2009-09-14 2012-10-16 Sacmi Apparato e procedimento per formare contenitori di plastica mediante soffiaggio di preforme.
DE102010032398A1 (de) 2010-07-27 2012-02-02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füllen von mehrkomponentigen Getränken
US8539992B2 (en) * 2011-04-27 2013-09-24 Dsi Underground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chor bolt grouting
US8701721B2 (en) * 2012-02-29 2014-04-22 Caneel Associates, Inc. Container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US9265889B2 (en) * 2012-04-25 2016-02-23 Adar Medtech, Inc. Prefilled medical injection device
AU2013259955A1 (en) * 2012-05-08 2014-12-04 General Mills, Inc. Packaged food products and related methods
DE102012104267A1 (de) 2012-05-16 2013-11-21 Krones Ag Behältnisherstellungsanlage mit Bodenkühlung der Behältnisse
JP5808733B2 (ja) * 2012-12-28 2015-1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装置
DE102014210234A1 (de) * 2013-06-24 2014-12-24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utelpackun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652A (ko) * 1973-08-02 1975-04-05
JP2001501489A (ja) * 1995-12-06 2001-02-06 エヌ エム ティー グループ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アンプルシステム
KR20020003995A (ko) * 2000-06-29 2002-01-16 윤성태 플라스틱 앰플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플라스틱앰플의 제조방법
JP2005088909A (ja) * 2003-09-12 2005-04-07 Osawa Wax Kk 内容物封入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76719A1 (en) 2018-01-18
DE102015007690A1 (de) 2016-12-15
CN107848187B (zh) 2020-03-03
MX2017016115A (es) 2018-02-21
US10940633B2 (en) 2021-03-09
CA2988824C (en) 2023-08-08
RU2706626C2 (ru) 2019-11-19
RU2018100105A (ru) 2019-07-11
CA2988824A1 (en) 2016-12-15
AU2016276719B2 (en) 2021-05-06
JP2018524239A (ja) 2018-08-30
EP3307516A1 (de) 2018-04-18
BR112017026493B1 (pt) 2022-07-12
CN107848187A (zh) 2018-03-27
KR102549050B1 (ko) 2023-06-30
RU2018100105A3 (ko) 2019-07-17
JP6767397B2 (ja) 2020-10-14
SG11201710140YA (en) 2018-01-30
BR112017026493A2 (ko) 2018-08-21
EP3307516B1 (de) 2020-12-30
WO2016198135A1 (de) 2016-12-15
US20180147772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0206A (es) Dispositivo para empacar un producto alimenticio liquido.
KR102549050B1 (ko)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CN107614240B (zh) 吹塑成型装置
WO2023165087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CN217293465U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WO2023165088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WO2023165083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WO2023165085A1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CN217414846U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CN110065658B (zh) 一种塑料安瓿瓶灌装封口一体机及灌装封口方法
CN114603823A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JP2018524239A5 (ko)
CN217293464U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ITBO20070647A1 (it) Macchina per confezionare fluidi e simili.
DE1704022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anschließenden Füllen und Verschließen von flaschenförmigen Hohlkörpern aus Kunststoff
EP3278953B1 (en) Liquid blow molding apparatus
CN217293467U (zh) 直线式注吹灌封一体的塑料瓶包装设备
CN210102156U (zh) 一种塑料安瓿瓶灌装封口一体机
EP3978222A1 (en) Blow molding device
EP348899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by liquid blow-molding
JP2016168799A (ja) ブロー成形装置
WO2013177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surizing a plastic container
JP2021154568A (ja) 液体ブロー成形装置
GB2103535A (en)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of thin crush-resistant synthetic resin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