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755A -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755A
KR20180017755A KR1020160102065A KR20160102065A KR20180017755A KR 20180017755 A KR20180017755 A KR 20180017755A KR 1020160102065 A KR1020160102065 A KR 1020160102065A KR 20160102065 A KR20160102065 A KR 20160102065A KR 20180017755 A KR20180017755 A KR 2018001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hrombos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seed
salicornia s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160B1 (ko
Inventor
손호용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1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함초로부터 수확한 함초 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강력한 혈액 응고 저해 활성을 통한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함초 씨 추출물은 혈액 응고 반응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트롬빈 및 혈관 내에서 상처 없이 생성되는 내인성 혈전 생성과 관련된 혈액 응고 인자들을 강력하게 저해하며, 함초의 줄기, 잎과 같은 지상부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활성을 나타냄에 비해, 상기 유효성분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 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 및 혈전 생성 관련 효소 저해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혈행 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상기 유효성분은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며, 또한, 현재 별도의 용도가 없어 폐기되고 있는 함초 씨를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은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ION OF SALICORNIA SPP. SEED AS AN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함초로부터 수확한 함초 씨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강력한 혈액 응고 저해 활성을 통한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 구성성분으로 혈액은 산소, 영양분, 노폐물의 운반 기능과 완충 작용, 체온 유지, 삼투압 조절 및 이온 평형 유지, 수분 일정 유지, 액성 조절 작용, 혈압의 유지 및 조절, 생체 방어 등 다양한 중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혈액 순환은 체내에서의 혈액 응고 반응계와 혈전 용해 반응계가 상호 보완적으로 조절되면서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이들 중 혈액 응고 반응계의 기작은 혈관벽에 혈소판이 점착, 응집하여 혈소판 혈전을 형성한 후, 혈액 응고계가 활성화되어 혈소판 응집괴를 중심으로 피브린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피브린 혈전의 생성은 수많은 혈액 응고 인자들의 여러 단계 반응을 거쳐 피브린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이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린 단량체를 생성하게 하며, 피브린 단량체들은 칼슘에 의해 중합되어, 혈소판과 내피 세포에 결합하게 되며 XIII 인자에 의해 교차 결합된 피브린 폴리머를 형성하면서 영구적인 혈전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트롬빈은 혈소판, V 인자, VII 인자들을 활성화시켜 혈액 응고 반응을 촉진시키는 등 혈전 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트롬빈의 활성 저해 물질은 과다한 혈액 응고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매우 유용한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내인성 혈전 생성 경로에는 XII 인자, XI 인자, IX 인자, X 인자의 순차적 활성화에 이은 프로트롬빈의 활성화가 최종적으로 트롬빈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혈액 응고 인자의 특이적 저해 역시 중요한 혈전성 질환 치료제의 개발 타겟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헤파린, 쿠마린, 아스피린, 유로키네이즈 등의 다양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가격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 장해 및 과민 반응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함초(Salicornia spp.)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명아주과 한해살이풀로 마디가 퉁퉁 불어있다 하여 퉁퉁마디라고 부르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 신초, 복초, 염초라고 불리며, 소금을 함유한 풀이라 하여 함초(鹹草)라고 부른다. 외국에서는 Crabgrass, Slander glasswort, Glassworts, Samphire 등으로 부른다. 함초는 바닷물과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 지어 자라며, 육지에 자라면서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성분이 농축되어 들어있으며, 수분 함량 90.9%이고, 회분 함량은 4.6 내지 6.2%이며, 회분 중에는 염분을 약 70% 정도 함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라이신, 티로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미네랄로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구리, 망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기타 성분으로는 환원당과 우론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중요한 식용 식물로 인식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주로 서해안 및 울릉도에서 자라며,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가지는 2~3번 갈라져서 마주나며, 자랄수록 다육질로 비대하고 진한 녹색이며 잎과 가지의 구분이 거의 없다. 열매는 9월 말에서 10월 중순경에 둥글고 납작하게 익으며 성장이 완료되는 가을에는 줄기와 가지가 녹색에서 붉은 색으로 변한다. 세계적으로 약 60여 종이 알려져 있고, 특유의 짠맛을 이용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되거나 의약품, 섬유, 맥주 제조, 화학 산업에 널리 이용되어 중요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 식물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샐러드 및 식재료, 추출 기름 혹은 가축의 먹이로 사용하고 있다.
함초는 식품으로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는 약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암, 축농증, 관절염, 고혈압, 요통, 비만증, 치질, 당뇨병, 갑상선염, 천식, 변비 기관지염 및 간 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 YC et al., 2002. Studies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 J. Medicinal Crop Sci. 10: 93-99). 실제 함초에는 50%가 넘는 식이섬유와 다양한 해조 다당류, 필수 아미노산, 필수 지방산 및 조 사포닌을 포함하여 숙변을 제거하고 변비를 없애는 효력이 탁월하며, 또한 중성지방질을 분해함으로써 비만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면역력 강화, 암세포 성장 억제, 고지혈증, 고혈당증, 고혈압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효과, 위장 기능 강화 효과, 기관지 천식 및 기관지염 그리고 당뇨병의 혈당치 감소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건강 식품 및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함초에 관한 학술적 연구로는 함초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신공식 외, 2002,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함초의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NO 생성 억제 및 iNOS와 IL-1beta cytokine 발현 억제에 대한 연구결과가 알려져 있으며(이만휘, 연구재단 보고서, 2007, 고혈압 질환을 나타내는 RGS-2 knockout 생쥐를 이용한 동맥경화질환 관련 모델 확립 및 치료제 탐색연구), 함초의 면역력 증강(Im SA et al., 2006, Int Immunopharmacol. 6, 1451-1458), 고지혈증 예방 및 고혈압 억제(Hwang JY et al., 2007, Nutr Res Pract. 1, 371-375; Park SH et al., 2006, Arch Pharm Res. 29, 256-264), 골다공증 억제(Karadeniz et al., 2014, Mar Drugs, 12, 5132-5147)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함초의 항비만 및 간지질 축적 억제 효과(Pichiah & Cha, 2014, J Sci Food Agric. Salicornia herbacea prevents weight gain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obese ICR mice fed a high-fat diet), 간 손상 보호 효과(Hwang YP et al., 2009. Chem Biol Interact. 181, 366-762), 함초 물 추출물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Sung JH et al, 2009.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552-556), 항산화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활성(Wang X et al., 2013, Food Chem 141, 2066-2074; Kim YA, 2012, Bioorg Med Chem Lett. 22, 4318-4322; Hwang YP et al., 2010. Toxicol Lett. 198, 200-209, Ryu DS et al., 2009, Korran J Microbiol Biotechnol. 19, 1482-1489) 등이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 항피로 활성이 우수한 함초를 이용한 식초 제조도 보고되어 있으며(Cho, HD et al, 2015, J Sci Food Agric. Production of novel vinegar having antioxidant and anti-fatigue activities from Salicornia herbacea L.), 함초를 첨가한 요쿠르트 제조(Cha JY 등, J. Life Sci. 15, 19-625; J. Life Sci. 14, 788-793), 함초 첨가 식빵(Lee YS 등,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06-712.) 등이 보고되고 있다. 한편, 함초 씨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거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 소거능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가 보고(임금숙 외, 2013.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8(6): 372-379)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함초의 항혈전 활성과 관련하여서는, 함초를 열수로 3시간 이상 가열하여 탈염시킨 함초를 건조하고, 이를 다시 50℃에서 viscozyme 및 celluclast 효소를 처리한 함초 추출물에서 미약한 혈액 응고 인자 저해가 보고(Jang HS et al., 2007.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51: 119-125)된 바 있으나, 이 경우 활성 정도를 추측할 수 있는 실험의 대조구가 없어 정확한 활성을 알 수는 없는 상태이다.
함초와 관련된 특허로는 식물성 소금 제조법과 관련된 특허가 대부분이며,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특허등록 제10-0448673호, 특허등록 제10-0448674호], 액상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액상 식물성 소금[특허등록 제10-0448672호], 퉁퉁마디 유래의 소금 대체물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784229호], 함초 천일염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87713호] 등이 알려져 있다. 함초를 이용한 가공 제품 관련 특허로는, 퉁퉁마디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402695호], 퉁퉁마디 추출액을 함유한 음료[특허등록 제10-0441111호], 퉁퉁마디 추출액을 사용한 두부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06794호], 생약성분을 함유한 침출차 및 그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56085호], 참숯백탄과 함초를 이용한 기능성 김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95749호], 함초와 동충하초를 함유한 기능성 김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824018호], 함초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736834호], 퉁퉁마디 추출액이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470191호] 함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용 액상 조성물[특허등록 제10-0724705호], 함초 함유 화장료[특허등록 제10-0362498호], 함초를 함유한 김치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422213호], 함초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659015호], 함초 삼계탕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759315호],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38536호], 함초 오곡 죽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39104호], 식용식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식물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특허등록 제10-0891608호], 함초즙을 주재료로 하는 다이어트용 발효음료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62328호], 함초를 함유한 굴비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857015호], 함초와 동충하초를 함유한 천연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814443호], 함초 추출물 및 알긴산을 이용한 코팅 쌀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793826호], 함초를 포함하는 모시잎 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770763호], 함초 위생굴비 및 그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775927호], 함초 돌김장아찌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함초 돌김장아찌[특허등록 제10-0733585호] 등이 있다. 최근의 발효 함초 관련 특허로는 유산균을 이용한 함초 발효 진액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10-1118678], 퉁퉁마디 발효물의 제조 방법[특허등록 10-1157648호], 퉁퉁마디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물 및 발효 식품의 제조 방법[공개특허 10-2011-0127765]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함초의 유용 생리활성과 관련된 특허로는 퉁퉁마디에서 분리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501833호], 함초로부터 분리된 3-카페오일-4-다이하이드로카페오일퀴닉산을 함유하는 통풍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특허등록 제10-0569244호], 3-카페오일-4-다이하이드로카페오일 퀴닌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특허등록 제10-0759466호], 함초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엘로이드계 백혈병 치료 및 면역증강용 조성물[특허등록 제10-0510174호], 함초를 이용한 정장제용 조성물[특허등록 제10-0495767호], 포도씨 및 함초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및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특허등록 제10-0610565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혈액 응고 저해 활성을 통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면서 독성이 없는 함초 씨의 활성 추출물에 대한 특허는 알려진 바 없다.
KR 10-2011-0081007 A
Hyun-Seo Jang et al., Antioxudant and Antithrombus Activities of Enzyme-Trea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Ann Nutr 120 Metab., 2007, Vol. 51, 119-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함초 씨 추출물은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초 씨 추출물은 함초 씨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함초 씨 추출물은 혈액 응고 반응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트롬빈 및 혈관 내에서 상처 없이 생성되는 내인성 혈전 생성과 관련된 혈액 응고 인자들을 강력하게 저해하며, 함초의 줄기, 잎과 같은 지상부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활성을 나타냄에 비해, 상기 유효성분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 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 및 혈전 생성 관련 효소 저해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혈행 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상기 유효성분은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며, 또한, 현재 별도의 용도가 없어 폐기되고 있는 함초 씨를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은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함초 부위별 추출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의 성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1: 함초 줄기 및 잎의 열수 추출물, 2: 미분쇄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 3: 미분쇄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 4: 분쇄(100메쉬 이상)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 TP: 총 폴리페놀, TF: 총 플라보노이드, TS: 총당, RS: 환원당).
도 2는 함초 부위별 추출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의 항응고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1: 함초 줄기 및 잎의 열수 추출물, 2: 미분쇄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 3: 미분쇄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 4: 분쇄(100메쉬 이상)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 TT: 트롬빈타임, PT: 프로트롬빈 타임, aPTT: 에이피티 타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함초를 대상으로 항혈전 효능을 검정한 결과, 일정 방법으로 수득한 함초 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함초 씨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함초 씨 열수 또는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항혈전 활성 성분으로 회수하였으며, 상기 분획물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 활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민간에서 혈액순환 개선효과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함초를 이용하여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함초의 줄기, 잎 및 씨를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들의 항혈전 활성을 트롬빈 직접 저해(Thrombin Time), 프로트롬빈 저해(Prothrombin Time) 및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함초 잎과 줄기 부분보다 함초의 씨 추출물이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후, 조제된 함초 부위별 시료 추출물을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고, 이들의 항응고 활성 및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측정한 결과,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전혀 예상치 못하게 각각 강력한 트롬빈 저해 및 내인성 혈전 생성 관련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함초 지상부(잎, 줄기)와 달리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도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함초 씨 추출물은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초 씨 추출물은 함초 씨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함초 씨 추출물 및 각 활성 분획 물질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함초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함초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조제 단계; 상기 추출물 및 분획물(또는 물 잔류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 단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안정성 및 급성독성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함초(Salicornia spp.) 씨는 분류학상 퉁퉁마디 속에 속하는 식물의 종자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은 살리코니아 헤르바세아(Salicornia herbacea) 또는 살리코니아 유로파에아(Salicornia europae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초 씨 추출물"은 9월 말~10월 초의 함초의 성숙된 전초를 채취하여 물리적으로 씨를 제거하는 단계(통상의 털기작업 등으로 씨를 손쉽게 수확함), 씨를 다양한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0.06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을 헥센으로 기름성분을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 95% 에탄올 추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함초 추출물 및 이의 활성 분획 물질들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혈장 내의 다양한 분해효소에 분해되지 않으며, 100℃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혈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들은, 예를 들어, 동맥 혈전증으로서, 급성 심근 경색증,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폐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하지 부종, 통증 및 급성 말초 동맥 폐쇄증 등을 들 수 있고, 정맥 혈전증으로서, 심부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급성 신장정맥 폐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및 중심 망막정맥 폐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항혈전의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액 응고 저해 활성을 기반으로 하는 혈액 응고 저해제 또는 항응고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함초의 잎, 줄기, 씨의 추출물 제조 및 이들의 항혈전 활성 평가
2015년 9월 말 ~10월 초에 전남 신안에서 수확한 함초(Salicornia herbacea)와 함초 씨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시료에 대해 10배의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2회 반복 추출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시료에 대해 각각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100℃에서 1시간 가열 추출한 후 방냉하고, 다시 상기 과정을 1회 반복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부위의 추출효율 및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함초 부위별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의 일환으로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방법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으며(Sohn et al., 2004. Kor. J. Pharmacogn 35. 52-61; Kwon et al., 2004. J. Life Science, 14. 509-513; 류 등 2010. J. Life Science, 20. 922-928),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하였다. 혈장은 시판 control plasma(MD Pacific Technology Co., Ltd, Huayuan Industrial Area, China)를 사용하였으며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 측정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
37℃에서 0.5U 트롬빈(Sigma Co., USA) 50μl와 20 mM CaCl2 50μl,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100μl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32.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트롬빈 저해 효과는 3회 이상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트롬빈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타임(Prothrombin Time)
표준혈장(MD Pacific Co., China) 70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 후, 130μl의 PT reagent를 첨가하고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18.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혈장 100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한 후, 50μl의 aPTT reagent(Sigma, ALEXINTM)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μl CaCl2(35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55.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aPTT의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aPTT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aPTT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1] 함초의 잎, 줄기 및 씨의 추출용매별 추출효율과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혈전 생성과 관련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아스피린에 비해 약한 정도였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잎 < 줄기 < 씨앗 추출물 순으로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은 트롬빈 저해와 혈액응고저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실시예 2: 함초 부위별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물의 조제 및 이들의 성분 분석
함초 잎과 줄기는 거의 유사한 성분과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며, 구분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잎과 줄기를 일일이 분리해야 하므로, 잎과 줄기를 구성하는 지상부를 합하여 대량으로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을 실시하였다. 한편, 씨의 경우에는 2,200개가 1g에 해당할 만큼 작고 미세하며 표면이 단단하고 조밀하여,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고온 추출하거나 또는 100 메쉬 이상으로 씨를 분쇄한 후 추출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함초 씨의 경우, 1) 미분쇄 씨의 열수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 2) 미분쇄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 3) 분쇄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을 각각 조제하였다. 유기용매 분획은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물 잔류물을 회수하였다. 각 추출물 및 분획물의 유기용매 분획 효율 및 성분 분석 결과는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성분 분석으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 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2] 함초 부위별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분획물의 수율과 성분 분석 비교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초 지상부(잎, 줄기) 100g으로부터 6.5g 열수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들의 39.9%는 부탄올 분획물로, 54.8%는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미분쇄 씨를 열수 추출하는 경우, 100g으로부터 29.6g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들의 9.6%는 부탄올 분획물로, 87.3%는 물 잔류물로 이행되어 대부분이 수용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미분쇄 씨를 에탄올 추출하는 경우, 100g으로부터 8.1g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들의 9.9%는 헥센 분획물, 11.0%는 부탄올 분획물, 80.5%는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한편, 100 메쉬 이상으로 분쇄한 씨를 에탄올 추출하는 경우, 100g으로부터 21.7g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들의 32.9%는 헥센 분획물로, 53.2%는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따라서, 씨는 잎과 줄기보다 지용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분쇄한 씨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지상부 열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미분쇄 씨 열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분쇄 씨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미분쇄 씨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물의 함량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의 경우 미분쇄 씨의 열수 추출물과 이의 부탄올 분획물은 특징적인 높은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분쇄 씨의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부탄올 분획물도 다른 분획물보다는 월등히 높은 총당 함량을 보였다.
실시예 3: 함초 부위별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액 응고 저해 활성 평가
실시예 2에서 조제된 함초 시료들의 항혈전 활성을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3] 함초 추출물 및 이들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피린은 1.5mg/ml 농도에서 각각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1.76배, 1.48배, 및 1.59배 연장시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알 수 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혈액응고 시간을 연장시켜 5mg/ml 농도에서는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모두 15배 이상 연장시켜 혈전 생성을 억제하였다.
함초 부위별 추출물의 분획물 중,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들은 다른 분획물들보다 우수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씨 추출물의 분획물 모두에서 공통된 현상이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초 잎과 줄기 추출물과는 전혀 다르게, 씨의 열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강력한 트롬빈 저해(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만 15배 이상 연장)가 나타났으며, 함초의 분쇄 및 미분쇄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강력한 혈액 응고 인자 저해(5mg/ml 농도에서 에이피티 타임을 15배 이상 연장)가 나타났다. 이는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로, 함초 씨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는 강력한 트롬빈 저해물질과 혈액응고인자 저해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는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강력한 활성으로 함초 씨 추출물은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많은 기존 항혈전제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상기의 함초 씨의 에틸아세테이트 성분을 회수하는 좋은 방법은 분쇄 씨의 에탄올 추출 > 미분쇄 씨의 열수 추출 > 미분쇄 씨의 에탄올 추출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내인성 혈전 생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함초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분쇄 씨로부터 조제하는 것이, 미분쇄 씨로부터 회수하는 것의 3.5배의 수율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함초 부위별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함초의 지상부는 국내에서 식품원료로 등록되어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유럽, 일본, 중국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는 함초 씨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2에서 조제된 함초의 각 부위별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용혈 활성은 기존의 보고(Kim MS 외, 2016. J. Microbiol. Biotechnol. 26: 61-65)에 준해 평가하였으며, 간단하게는 PBS로 3회 수세한 인간 적혈구 100μl를 96-well microplate에 가하고 다양한 농도의 시료용액 100μl를 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으며, 이후, 반응액을 10분간 원심분리(1,500rpm)하여 상등액 100μl를 새로운 microtiter plate로 옮긴 후 용혈에 따른 헤모글로빈 유출 정도를 414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용매 대조구로는 DMSO(2%)를 사용하였으며, 적혈구 용혈을 위한 실험 대조구로는 Triton X-100(1mg/ml)를 사용하였다. 용혈 활성은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4] 함초 부위별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Figure pat00005
먼저, 대조구로 사용된 DMSO는 용혈 활성이 없었으며, triton X-100은 1mg/ml 농도에서 적혈구를 100% 용혈시킴을 확인하였다. 항암제, 항진균제로 사용되고 있는 엠포테라신 비(amphotericin B)는 0.05mg/ml 농도에서 48.9%의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잎과 줄기 추출물의 경우 가장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0.5mg/ml 농도에서 87.3%의 높은 용혈활성을 나타내어 약학적 조성물로의 실제적 사용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함초 씨 추출물의 경우 가장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들은 적혈구 용혈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함초 씨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실제적 사용시 급성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함초 씨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강력한 항응고 활성과 낮은 독성으로 인해, 기존의 위장장애, 소화불량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경구용 항혈전제, 또는 정맥주사로만 투여가능한 항혈전제 등을 대치할 수 있는 신규의 항혈전제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씨 추출물은 함초 씨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초 씨 추출물은 함초 씨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함초(Salicornia spp.)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160102065A 2016-08-10 2016-08-10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4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65A KR101845160B1 (ko) 2016-08-10 2016-08-10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65A KR101845160B1 (ko) 2016-08-10 2016-08-10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55A true KR20180017755A (ko) 2018-02-21
KR101845160B1 KR101845160B1 (ko) 2018-04-04

Family

ID=6152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065A KR101845160B1 (ko) 2016-08-10 2016-08-10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1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3734A (zh) * 2018-05-18 2018-08-17 天津医科大学 海蓬子提取物及有效部位在制备抗抑郁药物中的应用
KR20200061446A (ko) 2018-11-23 2020-06-03 김지혜 함초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8899A1 (ko) * 2018-12-26 2020-07-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3734A (zh) * 2018-05-18 2018-08-17 天津医科大学 海蓬子提取物及有效部位在制备抗抑郁药物中的应用
KR20200061446A (ko) 2018-11-23 2020-06-03 김지혜 함초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8899A1 (ko) * 2018-12-26 2020-07-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160B1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55B1 (ko) 퉁퉁마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69351B1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54658B1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02190B1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45160B1 (ko) 함초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044692A (ko)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84503B1 (ko) 생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70952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20889A (ko)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76202B1 (ko) 패션후르츠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40574B1 (ko)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22972B1 (ko)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는 비오일성 들깨 종피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70127710A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16340B1 (ko) 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45878B1 (ko) 도라지 또는 홍도라지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85730A (ko) 미후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37530B1 (ko) 옥미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53875B1 (ko) 장미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66491A (ko) 패션후르츠 과육과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13297B1 (ko) 리치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13309B1 (ko) 리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76203B1 (ko) 망고스틴의 과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89434B1 (ko) 흑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90637B1 (ko) 생강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10263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