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477A - 프로파일 스트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스트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477A
KR20180016477A KR1020187000164A KR20187000164A KR20180016477A KR 20180016477 A KR20180016477 A KR 20180016477A KR 1020187000164 A KR1020187000164 A KR 1020187000164A KR 20187000164 A KR20187000164 A KR 20187000164A KR 20180016477 A KR20180016477 A KR 2018001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fastening
subsection
profile strip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오트뮐러
데이비드 랜덱
Original Assignee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1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varying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12) 에지 영역(20)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 영역(22) 및 앞유리(12)에 인접해 있는 부품(18)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 영역(24)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을 따라 개방형 프로파일(50)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인접해 있는 부품(18)의 체결 요소(56)가 개방형 프로파일(50)과 경계를 이루는 고정 영역(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을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64)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체결 요소(56)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64)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파일 스트립(16)과 인접해 있는 부품(18)을 구비한 시스템 및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스트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차량의 앞유리 에지 영역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 영역 및 앞유리에 인접해 있는 부품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 영역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프로파일 스트립은 예를 들어, DE 200 08 555 U1, DE 20 2008 006 986 U1, DE 20 2008 016 217 U1, DE 10 2011 056 955 B4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DE 200 08 555 U1에 공지된 프로파일 스트립은 연결된 프로파일 스트립을 구비한 차량 유리가 차량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차량 유리와 먼저 연결된다. 이어서, 인접해 있는 부품은 커버 부재의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커버 부재에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 스트립으로 고정된 워터 박스 커버(water box cover)가 제공된다. 상기 워터 박스 커버는 워터 박스를 커버 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워터 박스는 차량 유리에서 흐르는 물을 흡수하고, 엔진실에서 제어하여 차량 하부로 배출한다. 상기 워터 박스는 차체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DE 20 2008 006 986 U1과 DE 20 2008 016 217 U1은 공지된 프로파일의 변형된 형태를 공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형태에서 커버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력이 현저하게 감소 되고, 이로 인해 프로파일 스트립 하부의 차체 사이드 지지대(support)가 포기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에 워터 박스 커버를 고정할 때 일반적으로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 즉 차량 유리의 전체 너비에 걸쳐 실시된다. 현대식 차량 유리의 에지 형태(edge contour)는 중첩되는 다수의 반경에 의한 차량 너비로 특징 되며, 유리는 대부분 수직 방향의 차량 중심 면(center plane)과 관련하여 대칭이 아니다. 프로파일 스트립이 유리 에지(glass edge)에 제공되기 전에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프리-벤딩(pre-bending)을 통해 정확하게 유리 형태에 맞게 조절된다. 이러한 프로파일 스트립에 상기 워터 박스 커버를 정확하고, 가능하면 전체 유리 너비에 맞게 틈새 없이 장착하기 위해, 장착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워터 박스 커버를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 방향으로 정확하게 배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종 프로파일 스트립과 커버에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중심점을 표시하며, 이러한 중심점은 확실한 방향성을 제공하지만, 장착이 진행되는 동안 부정합(misalignment)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장착하기 위해, 제2 체결 영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공차를 유지해야 하며, 상기 체결 영역은 커버 부재의 고정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을 구비한다. 프로파일의 프리-벤딩 및 일반적으로 프로파일 스트립에 수직 방향으로 놓여 있는 유리의 저장과 운반 이후에도 이러한 적은 공차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WO 2006/002891 A1 및 EP 2 253 556 A1은 고정 영역에 운반 보호 프로파일(종종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으로도 명명됨)을 삽입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한 운반 보호 프로파일은 분리된 구성 요소로서 제공되며, 커버 부재를 프로파일 스트립에 장착하기 전에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고정 영역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어서 폐기되어야 한다.
상기 웨더 스트립의 제거 및 폐기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DE 10 2011 056 955 B4는 서로 다른 기능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는 기능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제안하고 있다. 첫 번째 기능 위치에서 상기 기능 요소는 고정 홈을 폐쇄하고, 이러한 고정 홈을 변형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두 번째 기능 위치에서 상기 기능 요소는 고정 홈을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워터 박스 커버의 고정 요소가 상기 고정 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프로파일 스트립은 인접해 있는 부품을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종류의 프로파일 스트립과 관련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2 체결 영역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서브 섹션(sub-section)을 따라 개방형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open profile)은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가 개방형 프로파일과 경계를 이루는 고정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제2 체결 영역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서브 섹션을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closed profile)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체결 요소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체결 영역은 서로 다른 서브 섹션(part section)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서브 섹션은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 예를 들어 워터 박스 커버의 고정 요소(fixing element)가 개방형 프로파일과 경계를 이루는 고정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과 달리,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서브 섹션은 폐쇄형 프로파일을 구비하기 때문에,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를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에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에는 육중한 프로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이 중공(cavity)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이 적어도 두 번째 서브 섹션의 높이에 맞게 보강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운반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변형 및/또는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에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제공이 포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웨더 스트립은 운반 보호 기능을 갖지만, 프로파일 스트립 및 인접해 있는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제거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그러한 웨더 스트립의 기능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적어도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은 프로파일 스트립의 일체형 구성 요소(integral component)이며, 그러한 일체형 구성 요소에는 추가 구성 요소가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과 두 번째 서브 섹션 간의 전이 영역에서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경계 면은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종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토퍼(stop)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수량이 감소 되며, 인접해 있는 부품과 프로파일 스트립은 상기 자유도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해 있는 부품이 위치에 맞게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섹션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프로파일 스트립을 따라 안정적이고, 단순한 복합 재료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에 육중한 프로파일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은 골 형태(trough shaped)의 단면 및 상기 골 형태의 단면을 폐쇄하는 단면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골 형태의 단면을 폐쇄하는 단면은 이러한 골 형태의 단면을 연결하는 크로스 웨브(cross web)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단면, 즉 골 형태의 단면과 이러한 골 형태의 단면을 폐쇄하는 단면은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단면은 함께 형태 안정적인 결합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결합은 상기 단면에 사용된 재료의 변형 가능성과 관련하여 미세하게, 특히 신축성 있게 변형될 수 있지만, DE 10 2011 056 955 A1에 공지되어 있는 것처럼 단면의 상대 운동을 통해 서로 다른 기능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폐쇄형 프로파일은 두 번째 서브 섹션의 재료가 제거되지 않고는 개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의 개방형 프로파일은 골 형태의 단면을 구비하며, 횡단면에서 상기 골 형태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단면 또는 두 번째 서브 섹션의 골 형태의 단면과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 및 두 번째 서브 섹션의 횡단면이 서로 균등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횡단면의 골 형태의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횡단면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운반되는 동안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국부적 과부하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를 따라 측정된 두 번째 서브 섹션의 길이는 적어도 0.5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cm이다. 특히,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의 길이는 적어도 4cm이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안정성과 관련된 또 다른 개선책으로서 상기 제2 체결 영역은 적어도 두 개의 두 번째 서브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두 번째 서브 섹션은 서로 반대쪽에 있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 요소 또는 인접해 있는 부품의 다수의 체결 요소를 배치하기 위해 두 개의 측면 스토퍼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번째 서브 섹션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종 방향으로 프로파일 스트립의 단부 영역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반되는 동안 많이 노출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 영역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을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하고 난 후에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두 개의 단부는 상기 앞유리의 하단 두 개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서브 섹션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종 방향 중앙 프로파일 면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다. 특히, 프로파일 스트립이 고정되어 있는 차량 유리를 운반할 때 주요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이러한 프로파일 스트립의 내구성이 전술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서브 섹션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종 방향 중앙 프로파일 면과 관련하여 대칭으로 형성 및/또는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인접해 있는 부품을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에 장착하기 위한 기준면(reference plane)으로서 수직 방향의 차량 중심면(center plane)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인접해 있는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또 다른 단순화와 관련하여, 상기 제2 체결 영역은 깔때기 형태의 삽입부(insert section)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인접해 있는 부품은 서로 다른 경사(angle)를 이루며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과 관련된 또 다른 단순화를 위해 상기 깔때기 형태의 삽입부는 자체로 변형 및/또는 상대적으로 서로 변형 가능한 재료 단면(material section)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은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을 따라 연장된 고정 영역을 위한 입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에 대해 횡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입구의 너비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과 인접해 있는 부품 사이의 국부적 입구 수축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결합력, 특히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기 입구의 전술한 너비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을 따라 적어도 0.2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6mm의 너비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단순화된 장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체결 영역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사용 위치(use position)에 있는 이러한 제2 체결 영역의 하단 면에서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대는 버퍼(buffer)로도 표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연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특히 차체 부품의 배열 및 배치에 맞게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을 따라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 프로파일 스트립을 따라서도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체결 영역의 재료 단면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 방향으로 변하는 벽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부착 부품 영역, 예컨대 와이퍼 축 관통 영역에서 벽 두께를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 방향의 벽 두께를 첫 번째 서브 섹션 영역, 특히 골 형태의 단면 영역에서 변경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이 존재하며, 얇은 벽 두께는 인접해 있는 부품과 적은 결합력을 동반하고, 두꺼운 벽 두께는 강한 결합력을 동반한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이 인접해 있는 부품과 차량 유리 에지 사이에서 작용하는 실링 영역(sealing zone)을 포함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 방향으로 이러한 실링 영역의 높이가 변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실링 영역의 높이는 차량 외피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장착 높이가 상쇄(offset)될 수 있다. 변경 가능한 그러한 장착 높이는 예를 들어 케이블 관통 영역, 특히 차량 윈도우 히터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을 위해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를 따라 제1 체결 영역의 벽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케이블을 관통시키기 위해 국부적으로 제한된 설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프로파일 스트립과 인접해 있는 부품을 구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에 인접해 있는 부품을 가능하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방식의 시스템과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를 따라 측정된 체결 요소 또는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 그룹의 삽입 길이는 첫 번째 서브 섹션에 있는 고정 영역의 고정 길이, 즉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를 따라 측정된 그러한 고정 길이보다 더 짧거나, 또는 동일하게 제공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따라,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를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첫 번째 서브 섹션의 고정 영역에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 방향으로 상기 체결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요소의 측면 경계 면은 두 번째 서브 섹션의 경계면에 인접해 있다. 이러한 경계면은 상기 체결 요소가 삽입된 첫 번째 서브 섹션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기 체결 요소 또는 이러한 체결 요소 그룹의 삽입 길이가 고정 영역의 고정 길이와 동일할 경우, 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토퍼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센터링(centering)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센터링은 인접해 있는 부품을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 방향으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에 강제로 배치(forced positioning)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인접해 있는 부품은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체결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요소는 상기 제2 체결 영역에 있는 서로 다른 첫 번째 서브 섹션의 고정 영역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인접해 있는 부품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을 지나 동일한 형태로, 그리고 확실하게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은 압출 성형 되며, 이때 압출 성형 노즐이 사용되고, 이러한 압출 성형 노즐의 횡단면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2 체결 영역에 있는 서로 다른 서브 섹션이 연속해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압출 성형은 상기 제2 체결 영역의 서로 다른 서브 섹션이 지속적인 공정으로 연속해서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출 성형 노즐의 횡단면은 자재 흐름(material flow)이 중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첫 번째 서브 섹션 및 폐쇄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두 번째 서브 섹션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프로파일 스트립과 마찬가지로 압출 성형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연장부를 따라 변하는 국부적 변형, 즉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의 서로 다른 단면 치수의 변동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에 따라, 우선 프로파일 스레드(profile thread)가 제조되며,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의 제2 체결 영역은 그러한 체결 영역의 전체 길이를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이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적어도 첫 번째 길이 부분을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의 재료가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이러한 첫 번째 부분에서 개방형 프로파일이 생성되고,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를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고정 영역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적어도 두 번째 길이 부분에 폐쇄형 프로파일이 남아 있으며,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에 상기 체결 요소가 삽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전술한 방법의 장점은 상기 압출 성형 노즐의 횡단면을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전술한 방법에서, 우선 프로파일 스레드가 제조되며,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의 두 번째 체결 영역은 상기 체결 영역의 전체 길이를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그러한 프로파일 스레드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한 부분을 따라 재료가 제거되기 때문에 이러한 영역에서 폐쇄형 프로파일이 개방되며,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를 개방형 프로파일과 경계를 이루는 고정 영역에 삽입할 수 있는 영역, 즉 전술한 첫 번째 서브 섹션의 의미에 해당하는 영역이 생성된다.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단지 일부만 처리되기 때문에 전술한 두 번째 서브 섹션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적어도 두 번째 부분에 폐쇄형 프로파일이 잔존하게 되며,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체결 요소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아래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시스템을 구비한 어셈블리, 즉 프로파일 스트립과 인접해 있는 부품을 포함하는 그러한 어셈블리의 실시 형태를 상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서 II로 표시된 절단면의 높이에 맞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도 1에서 III으로 표시된 절단면의 높이에 맞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4a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에지 영역을 저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에지 영역을 상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고정할 때 인접해 있는 부품의 서로 다른 세 개의 방향 비교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프로파일 스트립 및 인접해 있는 부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상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도 6에서 VII로 표시된 절단면의 높이에 맞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6에서 VIII로 표시된 절단면의 높이에 맞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프로파일 스트립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프로파일 스트립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프로파일 스트립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및
도 12는 프로파일 스트립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어셈블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러한 어셈블리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어셈블리(10)는 차량의 앞유리(12) 및 다음에서 설명될 시스템(14)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14)은 프로파일 스트립(16) 및 차량 앞유리에 인접해 있는 부품(18)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에는 특히 워터 박스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은 차량 앞유리(12)의 사용 위치에 있는 차량 앞유리의 하단 에지 영역(20)과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은 제1 체결 영역(22)을 구비한다(도 2 참조). 인접해 있는 부품(18)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은 제2 체결 영역(24)을 구비한다(도 2 및 도 5 참조).
상기 체결 영역(22 및 24)은 중간 영역(2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중간 영역(26)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실링 립(28)을 구비하며, 한편, 상기 실링 립(sealing lip)은 밀봉을 유지하면서 차량의 앞유리(12) 하단 에지(30)에 인접하여 제공되고(도 2 및 도 3 참조), 다른 한편 상기 실링 립은 밀봉을 유지하면서 인접해 있는 부품(18)의 반대쪽 면에 제공된다(도 5 참조).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영역(22, 24 및 26)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압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실링 립(28)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22, 24 및 26)보다 연성인 재료, 예를 들어 열 가소성 탄성 중합체(TPE)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 립은 상기 영역(22, 24 및 26)과 함께 공 압출(coextrusion)을 통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22, 24 및 26)은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염화비닐)와 폴리(아크릴노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PVC/ABS)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로 제조된다.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또 다른 안정성 증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강화 요소, 특히 금속으로 구성된 강화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강화요소는 상기 영역(22, 24 및 26)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영역(22)으로부터 중간 영역(26)을 지나 제2 체결 영역(26)으로 뻗어 있는 첫 번째 강화요소(34)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지 중간 영역(26)만 강화하는 두 번째 강화요소(3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영역(22)은 웨브 형태의 단면(38)을 포함하며, 상기 웨브 형태의 단면은 차량 앞유리(12)의 하단 면(40)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다. 상기 웨브 형태의 단면(38)을 상기 앞유리(12)에 연결하기 위해 접착층(42)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서브 섹션을 구비한다. 도 1에서 첫 번째 서브 섹션은 도면부호(44a, 44b)로 표기되어 있다; 이와 달리 두 번째 서브 섹션은 도면부호(46a, 46b, 46c)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은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이 서로 다른 서브 섹션의 높이로 서로 다른 횡단면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과 구분된다. 도 2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은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높이로 횡단면을 구비하며, 이러한 프로파일 스트립은 도 3에 따라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높이로 횡단면을 구비한다.
전술한 모든 서브 섹션(44a 내지 46c)은 중앙 프로파일 면(48)과 관련하여 대칭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및 44b) 및 상기 서브 섹션(46a 및 46c)이 각각 동일한 길이이며, 상기 중앙 프로파일 면(48)에 대해 각각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높이로 개방형 프로파일(50)을 구비한다(도 2 참조).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50)은 골 형태의 단면(52)을 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 형태의 단면은 횡단면에서 U자 형태이거나, 또는 알파벳 "U" 또는 "V"자에 가까운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골 형태의 단면(52)은 고정 영역(54)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체결 요소(56)는 특히 고정 요소(58)의 형태로 상기 고정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고정 요소(58)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고정 립(60, 62)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립(60, 62)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영역(22, 24 및 26)보다 연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립(60)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일체형 구성 요소로서 공 압출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개방형 프로파일(50)과 달리,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높이로 폐쇄형 프로파일(64)을 구비한다(도 3 참조).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64)은 도면 설명과 달리 매우 육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64)은 중공(68)을 감싸고 있는 중공 프로파일로서 제공된다. 상기 중공(68)은 골 형태의 단면(66) 및 상기 골 형태의 단면(66)을 폐쇄하는 단면(70)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면(70)은 크로스 웨브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크로스 웨브는 개방된 입구(72)(도 2 참조)와 달리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56)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64)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해 있는 부품(18)은 다수의 체결 요소(56), 예를 들어 두 개의 체결 요소(56a, 56b)를 구비한다(도 1 참조). 상기 체결 요소(56a, 56b)는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 있다. 상기 체결 요소(56a, 56b)는 길이를 포함하며, 이러한 길이는 다음에서 삽입 길이(74)로 표현된다. 상기 삽입 길이(74)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고정 길이(76)에 비해 더 짧거나, 또는 동일하게 제공된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고정 길이(76)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어 상기 체결 요소(56)를 삽입하기 위해 입구(72)가 단지 고정 길이(76)의 높이에 맞게 충분히 넓을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과 인접해 있는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사이의 횡단면 이동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상기 고정 길이(76)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 쪽에 있으며, 이러한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에 연결된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경계 면(78)은 체결 요소(56)의 측면 경계 면(80)을 위한 접촉 면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인접해 있는 부품(18)을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종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접해 있는 부품(18)의 체결 요소(56)를 상기 고정 영역(54)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이 깔때기 형태의 삽입부(82)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깔때기 형태의 삽입부(82)는 중간 영역(26)의 차량 외피 반대쪽 면 및 골 형태의 단면(52)의 자유 단부 영역(84)을 통해 형성된다(도 2 참조). 서로 다른 경사, 예를 들어 급경사 각(도 5의 중앙 참조) 또는 완만한 경사각(도 5의 좌측 하단 참조)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장착과 관련하여 상기 깔때기 형태의 삽입부(82)는 상기 인접해 있는 부품(18)의 방향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장착시 상기 커버 부재를 정확하게 배열할 필요가 없다(도 5의 우측 상단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도 6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의 개방형 프로파일(50)의 입구(72) 너비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단부 영역의 높이에 해당하는 상기 입구(72)의 너비(86a)는 중간 영역의 너비보다 클 수 있으며(도 7 참조), 이때 상기 중간 영역의 입구(72)는 더욱 작은 너비(86b)를 갖는다(도 8 참조). 상기 입구(72) 너비(86a, 86b)의 변동으로 인해 상기 고정 요소(58)를 상기 제2 체결 영역(54)과 연결하는 고정력이 국부적으로 변할 수 있다. 상기 너비(86a, 86b)의 변동은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고정 길이(76)에 영향을 주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횡단면 형태를 이러한 프로파일 스트립의 길이에 따라 변형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체결 영역(24)에 있는 깔때기 형태의 단면(52)의 하단 면에 버퍼 단면(88)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버퍼 단면은 상기 제2 체결 영역을 차체 부품(90)에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의 깔때기 형태의 단면(52) 벽 두께를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깔때기 형태의 단면(52)의 측면 벽을 국부적으로 축소하는 것이며, 이것은 도 10에 바깥쪽 윤곽(91a, 91b)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축소는 인접해 있는 부품(18)에 제공된 와이퍼 축(94) 관통 개구(92)의 설치 공간을 위한 것이다(도 6 및 도 10 참조).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기 깔때기 형태의 단면(52)의 바닥 단면에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종 방향으로 서로 다른 벽 두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도 11에서 도면부호 96a 및 96b로 암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립(28)의 높이를 예를 들어 케이블(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치수 98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2 참조).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체결 영역(22)의 웨브 형태 단면(38)의 벽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의 앞유리(12) 에지 영역(20)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 영역(22) 및 앞유리(12)에 인접해 있는 부품(18)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 영역(24)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을 따라 개방형 프로파일(50)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인접해 있는 부품(18)의 체결 요소(56)가 개방형 프로파일(50)과 경계를 이루는 고정 영역(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을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64)을 구비하고,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체결 요소(56)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64)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섹션(44a, 44b, 46a, 46b, 46c)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폐쇄형 프로파일(64)은 골 형태의 단면(66) 및 이러한 골 형태의 단면을 폐쇄하는 단면(70)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66, 70)은 상대적으로 서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개방형 프로파일(50)은 골 형태의 단면(52)을 구비하며, 상기 골 형태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에서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단면 또는 두 번째 서브 섹션의 골 형태의 단면(66)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연장부를 따라 측정된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길이는 적어도 0.5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cm, 특히 적어도 4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영역(24)은 적어도 두 개의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을 포함하며, 상기 두 번째 서브 섹션은 서로 반대쪽에 있는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c)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종 방향으로 프로파일 스트립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두 번째 서브 섹션(46b)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종 방향 중앙 프로파일 면(48)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섹션(44a, 44b, 46a, 46b, 46c)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종 방향 중앙 프로파일 면(48)과 관련하여 대칭을 형성 및/또는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16).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16) 및 인접해 있는 부품(18)을 포함하는 시스템(14)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연장부를 따라 측정된 체결 요소(56) 또는 인접해 있는 부품의 체결 요소(56) 그룹의 삽입 길이(74)는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에 있는 고정 영역(54)의 고정 길이(76), 즉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연장부를 따라 측정된 그러한 고정 길이보다 더 짧거나, 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4).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 쪽에 있으며, 상기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에 연결된 두 번째 서브 섹션(46a, 46b, 46c)의 경계 면(78)은 체결 요소(56)의 측면 경계 면(80) 접촉을 위한 접촉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4).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해 있는 부품(18)은 서로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체결 요소(56a, 56b)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요소는 상기 제2 체결 영역(24)에 있는 서로 다른 첫 번째 서브 섹션(44a, 44b)의 고정 영역(54)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4).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16)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은 압출 성형 되며, 이때 압출 성형 노즐이 사용되고, 이러한 압출 성형 노즐의 횡단면은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6)의 제2 체결 영역(24)에 있는 서로 다른 서브 섹션(46a, 44a, 46b, 44b, 46c)이 연속해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16)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우선 프로파일 스레드가 제조되며,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의 제2 체결 영역(24)은 그러한 체결 영역의 전체 길이를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64)을 구비하며, 이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적어도 첫 번째 길이 부분을 따라 폐쇄형 프로파일(64)의 재료가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이러한 첫 번째 부분에서 개방형 프로파일(50)이 생성되고,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은 인접해 있는 부품(18)의 체결 요소(56)를 상기 개방형 프로파일(50)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고정 영역(5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 스레드 길이의 적어도 두 번째 길이 부분에 폐쇄형 프로파일(64)이 남아 있으며,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은 상기 폐쇄형 프로파일(64)에 상기 체결 요소(64)가 삽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00164A 2015-06-09 2016-05-09 프로파일 스트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 방법 KR20180016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1258.5 2015-06-09
EP15171258.5A EP3103665B1 (de) 2015-06-09 2015-06-09 Profilleiste,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filleiste
PCT/EP2016/060281 WO2016198217A1 (de) 2015-06-09 2016-05-09 Profilleiste,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fillei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477A true KR20180016477A (ko) 2018-02-14

Family

ID=5343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164A KR20180016477A (ko) 2015-06-09 2016-05-09 프로파일 스트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14259B2 (ko)
EP (1) EP3103665B1 (ko)
JP (1) JP6634097B2 (ko)
KR (1) KR20180016477A (ko)
CN (1) CN107735274B (ko)
MX (1) MX2017015868A (ko)
WO (1) WO2016198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5227B1 (ru) * 2013-09-24 2020-05-19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стекла
DE202016107289U1 (de) * 2016-12-22 2018-03-26 Rehau Ag + Co Abdichtungsprofil zum Verbinden eines Anbauteils mit einer Fahrzeugscheibe
DE202016107353U1 (de) * 2016-12-23 2018-03-27 Rehau Ag + Co Abdichtungsprofil zum Verbinden eines Anbauteils mit einer Fahrzeugscheibe
US10611221B2 (en) * 2017-07-25 2020-04-07 Creative Extruded Products, Inc. Profile element for connecting a vehicle window pane to an auxiliary device
DE102017128971A1 (de) 2017-12-06 2018-03-1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leistenanordnung,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filleistenanordnung
LU101158B1 (de) 2019-03-22 2020-09-23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Verbindungselement mit zwei unabhängigen Haltevorrichtungen
DE202019101827U1 (de) 2019-04-01 2019-04-09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Verbindungselement mit zwei unabhängigen Haltevorrichtungen
DE102019123996A1 (de) * 2019-09-06 2021-03-1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Verbindungsanordnung
DE102019127378A1 (de) * 2019-10-10 2021-04-1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Leist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19133589A1 (de) * 2019-12-09 2021-06-10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Verbindungsanordnung
DE102020131603A1 (de) 2020-11-30 2022-06-02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leiste mit einem wasserableitenden Element
FR3135659A1 (fr) * 2022-05-18 2023-11-24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comportant plusieurs joints profiles, joint prof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vitr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9338B (en) * 1988-06-03 1992-04-01 Tokiwa Chem Ind Ltd Front glass or windscreen mouldings
DE20008555U1 (de) * 2000-05-12 2000-08-17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PL1763446T3 (pl) 2004-07-02 2014-08-29 Kunststoff Technik Scherer & Trier Gmbh & Co Kg Krawędziowa listwa profilowa z tworzywa sztucznego i głowica montażowa
JP2006182246A (ja) * 2004-12-28 2006-07-13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DE102008003252A1 (de) * 2008-01-04 2009-07-16 Rehau Ag + Co Scheibenanordnung
DE202008006986U1 (de) 2008-05-23 2009-10-0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Wasserkasten
DE202008016217U1 (de) * 2008-12-09 2009-04-02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FR2945521B1 (fr) 2009-05-15 2011-05-13 Rehau Sa Cle de transport a extraction aisee pour profiles creux ou pieces creuses deformables
DE102009026369B4 (de) * 2009-08-13 2012-04-1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CN102049993A (zh) * 2009-10-30 2011-05-11 丰田合成株式会社 密封条及其制造方法
FR2965229B1 (fr) * 2010-09-28 2015-02-27 Saint Gobain Vitrage a joint profile encapsule et piece rapportee fixee au joint, element de fixation de la piece rapportee pour le vitr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DE102011056955B4 (de) 2011-12-23 2015-02-12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s Bauelements mit einer Fahrzeugscheibe
DE202014106011U1 (de) * 2014-12-12 2015-03-04 Rehau Ag + Co Abdicht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3665B1 (de) 2019-07-24
JP6634097B2 (ja) 2020-01-22
MX2017015868A (es) 2018-12-11
US20180105026A1 (en) 2018-04-19
CN107735274A (zh) 2018-02-23
US10414259B2 (en) 2019-09-17
WO2016198217A1 (de) 2016-12-15
CN107735274B (zh) 2020-09-18
JP2018516801A (ja) 2018-06-28
EP3103665A1 (de)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6477A (ko) 프로파일 스트립, 시스템 및 프로파일 스트립 제조 방법
US7306839B2 (en) Molded weather strip
JP5229694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
EP1642696B1 (en) Weather strip,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lding device
CN102442185A (zh) 机动车用玻璃滑槽
EP321953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KR102524884B1 (ko) 구멍을 갖는 프로파일링된 클립-체결 비드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US20150367716A1 (en)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end muckets to a previously molded vehicle panel and prior to installation of a separately extruded and elongated compression seal
US20110078959A1 (en) Opening trim weather strip
US20050229495A1 (en) Glass run for automobile
MX2012011098A (es) Sello de burlete para un vehiculo automotriz, y su metodo de fabricacion.
US20040129331A1 (en) Protective sheath having a longitudinal strip made of flexibl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heath
US6854240B2 (en) Trim insert and trim
EP3128097B1 (en) A method for insulating a roof window and a roof window with an insulating member
EP0972666B1 (en) Glass run
US9096113B2 (en) Gasket string, in particular for sealing a door jamb against a vehicle door
EP3409538B1 (en) Automobile roof rail and seal system
JP3713155B2 (ja) 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用ウェザストリップ
US20180162033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xtrusion molded product for automobiles
US20130175823A1 (en) Motor vehicle body with seal
JP5634344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CN220129918U (zh) 用于机动车辆的封装的固定窗模块、玻璃滑槽和机动车辆
JP2012153278A (ja) ガラスラン
EP0590836A2 (en) Door seals and arrangements thereof for outwardly opening doors
JP2005329728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