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908A - 조립식 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908A
KR20180015908A KR1020160099496A KR20160099496A KR20180015908A KR 20180015908 A KR20180015908 A KR 20180015908A KR 1020160099496 A KR1020160099496 A KR 1020160099496A KR 20160099496 A KR20160099496 A KR 20160099496A KR 20180015908 A KR20180015908 A KR 2018001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prefabricated house
body plat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191B1 (ko
Inventor
김경환
전경희
김희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76Panel conne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출입부가 형성된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복수개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결합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스{Prefabricated House}
아래의 실시예들은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쉽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단기간의 이용 또는 잦은 이동을 위한 쉘터(shelter)로는 조립식 건축물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건축물은 신속하게 조립되고 해체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를 조립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조립식 구조물로서 견고함이 떨어지고, 보온과 방수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이상 기후, 재난 및 전쟁과 같은 천재지변으로 인하여 조립식 건축물이 긴급하게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인들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조립식 건축물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739호(2010.10.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온성이 우수하고, 이음부를 통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출입부가 형성된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복수개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결합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각각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지붕부와 벽면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벽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면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붕부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단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서로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제1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2 몸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의 상단이 상기 제2 몸체 플레이트의 하단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된 플레이트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의 상단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벽면부와 지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몸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면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붕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결합시켜 조립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고, 벽면부와 지붕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들은 연결되는 각각의 플레이트가 일정부분 겹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붕부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단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의 조립과 해체를 누구든지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이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레이트 사이의 이음부에 틈이 없도록 구성되어 조립식 하우스의 보온성 및 방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하우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하우스의 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영역 A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하우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립식 하우스의 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하우스(1)는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 그리고 몸체부(30)를 포함한다.
제1 측면부(10)는 조립식 하우스(1)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부(10)는 몸체부(3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는 일측에 출입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측면부(1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11, 12, 13)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11, 12, 13)가 결합되어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레이트(11, 12, 13)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는 제1 측면 플레이트(11)와 제2 측면 플레이트(12) 그리고 제3 측면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1)는 반원 형상의 제1 측면부(10)에서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1)는 몸체부(30)와 결합하는 측면은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1)는 제1 측면부(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면이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11)는 제1 측면부(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측면부(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11)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2)는 제1 측면 플레이트(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2)는 제1 측면부(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면이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12)는 제1 측면부(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측면 플레이트(11)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1 측면부(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측면 플레이트(13)는 제2 측면 플레이트(12)들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측면 플레이트(13)는 제1 측면부(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면이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측면 플레이트(13)는 출입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측면부(10)는 3가지 종류의 측면 플레이트(11, 12, 13)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각 측면 플레이트의 너비를 달리하여 3가지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측면부(10)는 몸체부(30)와 마주하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1 결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는 몸체부(30)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는 몸체부(30)의 일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5)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몸체부(3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개수와 너비에 대응되는 개수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면부(20)는 제1 측면부(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0)는 제1 측면부(10)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0)는 조립식 하우스(1)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부(20)는 몸체부(30)의 개방된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1, 22, 23)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1, 22, 23)가 결합되어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0)는 제4 측면 플레이트(21)와 제5 측면 플레이트(22) 그리고 제6 측면 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 플레이트(21)는 제1 측면부(10)의 제1 측면 플레이트(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5 측면 플레이트(22)는 제1 측면부(10)의 제2 측면 플레이트(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6 측면 플레이트(23)는 제1 측면부(10)의 제3 측면 플레이트(13)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6 측면 플레이트(23)는 출입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측면부(20)는 3가지 종류의 측면 플레이트(21, 22, 23)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각 측면 플레이트의 너비를 달리하여 3가지 이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측면부(20)는 몸체부(30)와 마주하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1 결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5)는 몸체부(30)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5)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5)는 몸체부(30)의 일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5)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몸체부(3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개수와 너비에 대응되는 개수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30)는 일측이 제1 측면부(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측면부(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33, 34)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레이트(33, 34)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지붕부(30a)와 벽면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붕부(30a)는 조립식 하우스(1)의 지붕을 형성하는 라운드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벽면부(30b)는 조립식 하우스(1)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상승되어 지붕부(30a)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벽면부(30b)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지붕부(30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벽면부(30b)는 지붕부(30a)의 양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벽면부(30b)는 지붕부(30a)로 인하여 빗물 등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는 동일한 길이와 너비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33)는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에 결합되는 면에 제2 결합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5)는 제1 결합부(15, 2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5)는 몸체 플레이트(33)가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에 마주하는 면에서 제1 결합부(15, 25)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5)는 몸체 플레이트(33)마다 양측에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몸체부(30)의 상단에는 2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34)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30)의 상단은 하나의 몸체 플레이트(33)를 각각 결합시킬 경우에 이음부에서 누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2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34)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벽면부(30b)는 적어도 하나의 환풍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환풍부(38)는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공간(50)과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풍부(38)는 조립식 하우스(1)의 벽면부(30b)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벽면부(30b)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39)는 조립식 하우스(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39)는 각각의 환풍부(38)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걸이부(39)는 환풍부(38)의 위치와 별도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영역 A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3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는 마주하는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의 면에 대응하여 라운드된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가 각각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는 제1 몸체 플레이트(33a), 제2 몸체 플레이트(33b) 및 제3 몸체 플레이트(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 플레이트(33a), 제2 몸체 플레이트(33b) 및 제3 몸체 플레이트(33c)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 중 일부로서 나란히 연결된 3개의 몸체 플레이트(33)들이다.
제1 몸체 플레이트(33a)는 제2 몸체 플레이트(33b) 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몸체 플레이트(33a)는 상단 일부가 제2 몸체 플레이트(33b)와 겹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몸체 플레이트(33a)는 상단 일부가 제2 몸체 플레이트(33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3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 몸체 플레이트(33, 34)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1 몸체 플레이트(33a)의 상단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 몸체 플레이트(33b)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 플레이트(33b)는 제3 몸체 플레이트(33c) 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몸체 플레이트(33b)는 상단 일부가 제3 몸체 플레이트(33c)와 겹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몸체 플레이트(33b)는 상단 일부가 제3 몸체 플레이트(33c)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3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 몸체 플레이트(33, 34)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2 몸체 플레이트(33b)의 상단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3 몸체 플레이트(33c)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몸체 플레이트(33a)의 제1 결합부(35a)와 제2 몸체 플레이트(33b)의 제2 결합부(35b)는 동일한 제1 결합부(15a)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 플레이트(33b)의 제2 결합부(35b)와 제3 몸체 플레이트(33c)의 제3 결합부(35c)는 동일한 제2 결합부(15b)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몸체 플레이트(33)에 각각 형성된 제2 결합부(35)는 하나의 제1 결합부(15)에 끼움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 제2, 제3 결합부(35a, 35b, 35c)의 양쪽 끝단은 돌출된 양 화살촉 모양으로 음 화살촉 모양의 제1, 제2 결합부(15a, 15b)에 견고하게 끼움결합 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들은 이음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들과 일부 겹쳐지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하여 지붕부(30a)를 따라 이동되는 빗물이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33, 34)들로 구성된 이음부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 인하여 조립식 하우스(1)의 내부 공간(50)의 보온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립식 하우스(1)는 베이스 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조립식 하우스(1)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의 하부 일측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제1 측면부(10)와 제2 측면부(20) 하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15)에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조립식 하우스
10 : 제1 측면부
20 : 제2 측면부
30 : 몸체부
40 : 베이스 플레이트
50 : 내부 공간

Claims (15)

  1. 출입부가 형성된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복수개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결합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되는 조립식 하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각각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립식 하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지붕부와 벽면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벽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풍부가 형성된 조립식 하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붕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조립식 하우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단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하우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서로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제1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2 몸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의 상단이 상기 제2 몸체 플레이트의 하단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조립식 하우스.
  9.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된 몸체 플레이트들 사이의 이음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1 몸체 플레이트의 상단이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 몸체 플레이트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조립식 하우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벽면부와 지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몸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하우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되는 조립식 하우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붕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
  13. 다수의 플레이트를 결합시켜 조립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 플레이트들은 연결되는 각각의 플레이트가 일정부분 겹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붕부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조립식 하우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공되는 조립식 하우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단 일측과 결합되고, 상기 조립식 하우스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하우스.
KR1020160099496A 2016-08-04 2016-08-04 조립식 하우스 KR10193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96A KR101937191B1 (ko) 2016-08-04 2016-08-04 조립식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96A KR101937191B1 (ko) 2016-08-04 2016-08-04 조립식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908A true KR20180015908A (ko) 2018-02-14
KR101937191B1 KR101937191B1 (ko) 2019-04-09

Family

ID=6122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96A KR101937191B1 (ko) 2016-08-04 2016-08-04 조립식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33B1 (ko) 2018-10-08 2019-03-25 박성우 조립식 하우스
AT521259A4 (de) * 2018-07-18 2019-12-15 Andreas Schett Fa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78A (ko) * 2000-03-11 2000-06-05 윤선영 건물용 합성수지 조립부재 및 조립식 건물
KR200450739Y1 (ko) 2010-05-10 2010-10-26 (주)일신정밀 접이식 부스
KR101244224B1 (ko) * 2012-08-21 2013-03-18 김영구 조립식 캠핑 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678A (ko) * 2000-03-11 2000-06-05 윤선영 건물용 합성수지 조립부재 및 조립식 건물
KR200450739Y1 (ko) 2010-05-10 2010-10-26 (주)일신정밀 접이식 부스
KR101244224B1 (ko) * 2012-08-21 2013-03-18 김영구 조립식 캠핑 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1259A4 (de) * 2018-07-18 2019-12-15 Andreas Schett Fass
AT521259B1 (de) * 2018-07-18 2019-12-15 Andreas Schett Fass
KR101961733B1 (ko) 2018-10-08 2019-03-25 박성우 조립식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191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25B1 (ko)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KR101937191B1 (ko) 조립식 하우스
WO2015194972A1 (es) Sistema constructivo de arquitectura modular con piezas universales interconectables entre sí
JP5921729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157069B1 (ko) 복합 커튼월 시스템
JP6745611B2 (ja) 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の止水構造
KR101536923B1 (ko) 벽체의 코너부 결합구조물
KR102108734B1 (ko) 단열바를 사용한 유리창 벽면의 조립구조
KR20180067881A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JP6091933B2 (ja) 貯水槽用壁ユニット
JP6802015B2 (ja) 連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構造
KR101708466B1 (ko)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JP5965324B2 (ja) 建物の断熱構造
JP4808576B2 (ja) サッシ
JP5098884B2 (ja) 集合建築物
KR102185664B1 (ko) 리트로핏 기술을 활용한 커튼월 성능강화구조
JP2018119739A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6951238B2 (ja) 方立
WO2021065966A1 (en) Ventilation member and wall material construction structure
JP64829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物
ES2303774B1 (es) Panel aislante para muros de fachada.
KR20160129362A (ko)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JPS6132046Y2 (ko)
JPH0729124Y2 (ja) 無目と方立のジヨイント部水密構造
JP4313735B2 (ja) 外壁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