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39Y1 - 접이식 부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39Y1
KR200450739Y1 KR2020100004864U KR20100004864U KR200450739Y1 KR 200450739 Y1 KR200450739 Y1 KR 200450739Y1 KR 2020100004864 U KR2020100004864 U KR 2020100004864U KR 20100004864 U KR20100004864 U KR 20100004864U KR 200450739 Y1 KR200450739 Y1 KR 200450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unit
panel
support frame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부원
Original Assignee
(주)일신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신정밀 filed Critical (주)일신정밀
Priority to KR2020100004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22Sales kios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벽체로 사방이 둘러싸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 중 어느 하나에 가판대가 설치된 수용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하여 덮는 한 쌍의 지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유닛은, 상기 가판대에 인접하여 대향하는 벽체를 가로질러 양단이 상기 대향하는 벽체 각각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유닛은,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대향하는 벽체에 고정된 충격완화장치에 의해 상기 수용유닛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이식 부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부스{folded-type booth}
본 고안은 접이식 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판대를 구비한 접이식 부스에 관련한다.
부스(booth)의 구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4개의 벽체로 둘러싸이되 그 중 전면 벽체는 다소 낮게 형성하여 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가판대를 설치하며, 벽체의 상부에는 기둥을 고정하고 기둥 끝에 지붕을 설치한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부스는 고정식이기 때문에 한 장소에 설치되어 이동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부스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시키기도 한다.
문제는 사람이 내부에 들어가 생활하거나 요리를 하는 등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스 자체가 차지하는 수평 및 수직 면적이 커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동안은 부스의 사이즈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 면적을 줄이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대체로 수직 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여러 가지 방법에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지붕을 들어올리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 방식에 의하면, 내부에 두 개의 실린더 기둥을 대향하여 설치하고 이 실린더에 피스톤을 끼워 승강하도록 유압으로 제어함으로써, 부스를 사용한 때에는 지붕을 올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붕을 내려 차지하는 수직 면적을 선택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 의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긴다.
먼저, 실린더 기둥을 내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좁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붕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이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큰 직경 크기의 실린더 기둥이 필요하므로, 상기의 문제점은 더욱 심각하다.
또한, 유압식으로 피스톤을 작동시키므로, 이와 관련된 장치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제조원가가 증가하며, 작동방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유압식의 고유 특성상 지붕이 점차 하강할 수 있고,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간단한 작동으로 사용시와 보관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는 접이식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벽체로 사방이 둘러싸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 중 어느 하나에 가판대가 설치된 수용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하여 덮는 한 쌍의 지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유닛은, 양단이 가판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향하는 벽체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벽체를 가로지르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한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유닛은,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대향하는 벽체에 고정된 충격완화장치에 의해 상기 수용유닛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동작하는 접이식 부스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o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다가 수평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지지 프레임 각각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 하부의 록킹장치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향하는 벽체와 상기 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창호가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널의 측단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덮기 위한 보조 패널이 피봇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간단한 작동으로 사용시와 보관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쇽 업소버를 적용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이식 부스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접이식 부스의 보관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접이식 부스의 보관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이식 부스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스는 크게 수용유닛(100)과 지붕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수용유닛(100)은 말 그대로 부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생활하거나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가령 판매할 음식을 조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붕유닛(200)은 수용유닛(100)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물품을 외부 환경, 가령 비나 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붕유닛(200)은 수용유닛(100)에 대해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시에는 지붕의 형태를 유지하고, 보관시에는 수용유닛(100)을 덮는 역할을 한다.
수용유닛(100)
수용유닛(100)은, 육방체 형상의 프레임 워크(frame work; 110)와 프레임 워크(110) 사이를 채우는 패널(120)로 이루어진 4개의 벽체(130)로 둘러싸인 구성요소이다.
벽체(130) 중 전면에 위치한 벽체는 다소 낮게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된 가판대(150)와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룬다. 가판대(150)에는 부스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물품이 전시될 수 있는바, 가령 조리된 음식물이나 신문이나 잡지 등이 전시될 수 있다. 가판대(150)의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보조 가판대(140)가 가판대(150)에 접철식으로 결합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수용유닛(1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 사람이나 물품을 지지하는 바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닥 이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네 모서리에 바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동성을 갖는 경우에는, 어느 한 벽체(130)에 이동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6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벽체(130)에는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나 창호를 형성할 수 있다.
지붕유닛(200)
지붕유닛(200)은 말 그대로 수용유닛(100)을 덮어 비나 눈 또는 햇살로부터 사람이나 물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붕유닛(200)은 지지 프레임(212, 222)과 이에 결합하는 패널(214, 224)로 이루어진다. 지지 프레임(212, 222)은 양단이 가판대(150)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향하는 벽체(13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고, 벽체(13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다가 수평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자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유닛(100)의 내부는 지지 프레임(212, 222)에 의해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내부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
또한, 패널(214, 224)은 지지 프레임(212, 222)의 수평부분에 수직으로 결합한다.
상기의 구조가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212)과 패널(214)은 제 1 지붕유닛(210)을 구성하고, 지지 프레임(222)과 패널(224)은 제 2 지붕유닛(220)을 구성하며, 도 1과 같이, 지지 프레임(212, 222)이 수직으로 직립하여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패널(214, 224) 하부에 설치된 록킹장치(미도시)에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이 상호 단단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214, 224)은 각각 지지 프레임(212, 222)에 직접 결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패널(214, 224)의 가장자리를 따라 프레임을 고정하고 이 프레임을 지지 프레임(212, 222)에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하거나, 이러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지지 프레임(212, 222)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은 수직의 단면이 "ㄱ" 자 형상을 유지하면서 대향하는 벽체(130)에 피봇 고정된 지지 프레임(212, 222)의 양단에 의해 피봇 운동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지지 프레임(212, 222)에 일단이 고정되고, 대향하는 벽체(130)에 타단이 고정된 충격완화장치(250)에 의해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은 수용유닛(100)에 대해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충격완화장치(250)로는 가령 쇽 업소버(shock absorb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을 전면과 후면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킬 때, 쇽 업소버(25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중량이 큰 지붕유닛(200)이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덮인 상태에서 지붕유닛(200)을 세울 때에도, 쇽 업소버(2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중량이 큰 지붕유닛(200)을 간단하게 세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붕유닛(200)이 세워진 경우, 수용유닛(100)의 대향하는 벽체(130)와 지붕유닛(200)의 패널(214, 224) 사이의 공간에는 창호(170, 172, 174)가 전후면으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패널(214, 224)의 측단에는 지지 프레임(212, 222)을 덮기 위한 보조 패널(216, 226)이 경첩(216a, 226a)을 개재하여 피봇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이 세워진 후에는 패널(214, 224)의 양단에 차양 프레임(240, 242)을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이 차양 프레임(240, 242)에 차양이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판대(150)가 설치된 전면 쪽으로 패널(214)로부터 슬라이드 돌출되는 차양 패널(2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차양 패널(230)이 일부 돌출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가령 가판대(150)에 놓인 음식물을 먹는 손님이 비를 피할 수 있는 범위까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부스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지붕유닛(200)이 세워진 상태로부터 도 2 및 3과 같이 지붕유닛(200)이 덮인 상태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덮인 상태에서 세워진 상태로 조립하는 과정은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먼저, 차양 프레임(240, 242)을 제거하고 차양 패널(230)을 밀어 넣는다. 그리고, 대향하는 벽체(130)와 패널(214, 224) 사이의 공간에 끼워진 창호(170, 172, 174)를 빼낸다.
다음, 패널(214, 224)의 하부에서 지지 프레임(212, 222)을 결합시킨 록킹장치(미도시)를 해제한 후,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을 잡아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을 회전시킬 때, 쇽 업소버(25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중량이 큰 제 1 및 제 2 지붕유닛(210, 220)이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패널(214, 224)이 결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212, 222)의 일단은 벽체(130)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지붕유닛(210, 220)은 각각 90도 회전한다.
이때, 보조 패널(216, 226)은 패널(214, 224)과 중첩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212, 222)만 수평으로 놓이게 되어 수용유닛(100)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이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보조 패널(216, 226)을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보조 패널(216, 226)이 지지 프레임(212, 222) 위에 놓여 수용유닛(100)의 내부를 가리게 된다.
한편, 지붕유닛(200)을 세울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을 반대로 수행함으로써, 간단하여 신속하게 지붕유닛(2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용유닛
130: 벽체
200: 지붕유닛
210: 제 1 지붕유닛
220: 제 2 지붕유닛
212, 222: 지지 프레임
214, 216, 224, 226: 패널
250: 쇽 업소버

Claims (5)

  1. 벽체로 사방이 둘러싸여 내부에 사용자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 중 어느 하나에 가판대가 설치된 수용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하여 덮는 한 쌍의 지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유닛은,
    양단이 가판대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향하는 벽체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 활동공간이 확보되도록 "∩" 형상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유닛에 대해 지붕을 구성하는 패널; 및
    상기 패널과 지지 프레임의 경계에서 상기 패널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덮는 보조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유닛은,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대향하는 벽체에 고정된 충격완화장치에 의해 상기 수용유닛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쇽 업소버(shock absorb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각각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 하부의 록킹장치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벽체와 상기 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창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스.
  5. 삭제
KR2020100004864U 2010-05-10 2010-05-10 접이식 부스 KR200450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64U KR200450739Y1 (ko) 2010-05-10 2010-05-10 접이식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64U KR200450739Y1 (ko) 2010-05-10 2010-05-10 접이식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739Y1 true KR200450739Y1 (ko) 2010-10-26

Family

ID=4447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864U KR200450739Y1 (ko) 2010-05-10 2010-05-10 접이식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908A (ko) 2016-08-04 2018-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하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098A (ko) * 2008-02-26 2009-08-31 (주)현대후렘 가판대
KR20090109288A (ko) * 2008-04-15 2009-10-20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윙바디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098A (ko) * 2008-02-26 2009-08-31 (주)현대후렘 가판대
KR20090109288A (ko) * 2008-04-15 2009-10-20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윙바디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908A (ko) 2016-08-04 2018-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7812B2 (en) Storage apparatus for a truck having a collapsed configuration and an expanded configuration
JP5985614B2 (ja) 上部が開口する空洞を少なくとも部分的に閉鎖する閉鎖装置
US5471685A (en) Supports for hot tub spa covers
US20200095788A1 (en) Home decoration
RU2754688C2 (ru) Передвижной экран
AU2020100215B4 (en) Side supporting type vehicle roof tent
KR102403573B1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200450739Y1 (ko) 접이식 부스
EP2481877B1 (en) Fly screen for a tiltable window
US11365048B2 (en) Trash coll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use
EP2904176B1 (fr) Abri pour bassin d'agrément
CN113142836A (zh) 一种建筑工程造价用智能咨询系统
KR20090092098A (ko) 가판대
CN114809308A (zh) 一种装配式建筑的位置可调节装配组件
US20090289017A1 (en) Transportable folding display rack
KR101346016B1 (ko)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RU16422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самоката
CN107060149A (zh) 一种多功能移动柜墙
CN114431605A (zh) 一种可延展台面智慧讲台
EP3694382B1 (en) A collapsible shower cubicle
KR20120025296A (ko)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CN220226389U (zh) 一种指挥方舱
CN220267180U (zh) 一种幕墙施工平台
CN220226388U (zh) 具有折叠桌的指挥方舱
CN220954873U (zh) 一种隐藏式泳池折叠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