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016B1 -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 Google Patents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016B1
KR101346016B1 KR1020110100582A KR20110100582A KR101346016B1 KR 101346016 B1 KR101346016 B1 KR 101346016B1 KR 1020110100582 A KR1020110100582 A KR 1020110100582A KR 20110100582 A KR20110100582 A KR 20110100582A KR 101346016 B1 KR101346016 B1 KR 10134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house
bar
elevating
guide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482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규 filed Critical 김정규
Priority to KR102011010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0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8Tents or tent-like constructions composed partially of rigi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러하우스(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타프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타프장치(20)는 모듈러하우스(10)의 전후방으로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타프장치(20)의 골격을 프레임(22)이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22)을 구성하는 제1연결바(26)에는 승강바(30)의 일단부에 구비된 힌지부(32)가 연결된다. 상기 힌지부(32)는 상기 제1연결바(2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22)에 대해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승강바(30)의 선단은 각각 승강연결바(3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승강바(30)와 승강연결바아(33)를 덮도록 차단부재(34)가 승강바(30) 및 승강연결바아(33)에 고정된다. 상기 차단부재(34)는 방수 및 차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듈러하우스(10)의 편의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Tarp apparatus moduler hous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프장치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러하우스를 따라 이동되고 펼쳐질 수 있도록 된 타프장치 및 모듈러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하우스는 이동이 가능한 주택으로서, 미리 만들어진 자재를 조립하여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듈러하우스는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장 등의 현장 사무실, 간이숙소, 창고, 군용 주택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모듈러하우스는 견고하면서도 내부에 각종 편의시설이 되어 있어 임시적인 숙소나 사무실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듈러하우스는 야외에서도 주로 주변이 태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외부로 나오게 되면 태양빛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모듈러하우스를 만드는 벽체가 단열성이 있기는 하지만 완벽한 단열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모듈러하우스에서는 주어지는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모듈러하우스의 외부에서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는 타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러하우스의 외부를 둘러싸서 태양에너지가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타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타프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선단이 승강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와 승강연결바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을 덮도록 된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를 연결하도록 적어도 2개가 나란히 상기 제1지지바를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하단을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고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제1지지바는 직선형상의 중앙연결부와 상기 중앙연결부의 양단에서 아치형상으로 각각 연장되는 양단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제1연결바에는 상기 승강바의 일단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의 타단은 승강연결바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에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윈도우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모듈러하우스와,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타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외면과 전방에 상기 타프장치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는 고정안내레일과 상기 고정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이동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레일의 선단은 횡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타프장치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윈도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창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의 힌지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본 발명에 의한 타프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러하우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모듈러하우스의 입구에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는 타프장치를 제공하므로 모듈러하우스의 사용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타프장치가 평상시에는 모듈러하우스의 외부를 둘러싸서 태양빛을 차단하므로 타프장치의 내면과 모듈러하우스의 외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모듈러하우스 내부를 외부의 온도와 차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모듈러하우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프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모듈러하우스의 전방으로 타프장치가 일부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모듈러하우스의 전방으로 타프장치가 완전히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모듈러하우스의 전방으로 타프장치가 완전히 이동되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타프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러하우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듈러하우스(10)는 횡단면이 대략 A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모듈러하우스(10)가 반드시 이와 같은 형상이 필요는 없으나, 일단 전후 방향으로 횡단면이 되도록 일정하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선단에는 입구(12)가 형성되어 내외부로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다. 상기 입구(12)에는 별도의 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러하우스(10)에는 또한 창(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창(14)을 통해서는 모듈러하우스(10)의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다.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벽체 구조 등 자세한 구조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외부 바닥을 따라서는 안내레일(16)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레일(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타프장치(20)의 이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안내레일(16)은 크게 고정안내레일(17)과 이동안내레일(18)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안내레일(17)과 이동안내레일(18)은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양단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안내레일(17)은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안내레일(17)은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안내레일(17)에서 연장되어 이동가능하게 이동안내레일(18)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레일(18)은 상기 고정안내레일(17)과 포개져 있거나 고정안내레일(17)에서 연장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레일(18)의 선단 사이는 횡간(19)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횡간(19)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안내레일(18)도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안내레일(18)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편의상 안내레일(16)이 지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면 내부에 들어가 있도록 될 수도 있다. 즉, 고정안내레일(17)과 이동안내레일(18)의 상단이 지면과 같거나 약간 높게 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레일(18)의 선단 사이는 횡간(19)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횡간(19)은 상기 이동안내레일(1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전체 안내레일(16)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타프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타프장치(20)는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외관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모듈러하우스(10)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타프장치(20)는 상기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타프장치(20)의 골격을 프레임(2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2)은 본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제1지지바(24), 제1연결바(26) 및 제2연결바(28)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바(24)는 상기 프레임(2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으로, 대략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지지바(24)는 중앙연결부(24')의 양단에 각각 양단지지부(24")가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연결부(24')는 직선형상의 바이고, 상기 양단지지부(24')는 대략 아치형상의 바이다. 참고로, 상기 프레임(22)에서 상기 제1지지바(24)가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지지바(24)중 선단에서 두번째와 세번째 것은 프레임(22)의 강도유지에 문제가 없다면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제1지지바(24)중에서 양단지지부(24")가 없도록 되는 것이 사람들이 이동에 편리하다.
상기 제1지지바(24) 사이의 상단 제1연결바(26)가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바(26)는 2개가 나란히 연장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제1지지바(24)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바(26)는 양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24)의 중앙연결부(24')와 양단지지부(24")가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제1지지바(24)의 양측 하단을 프레임(2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2연결바(28)가 사용된다. 상기 제2연결바(28)는 상기 제1지지바(24)의 양단지지부(24") 하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2연결바(28)는 상기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바(28)에는 안내레일(16)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가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26)에는 다수개의 승강바(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바(30)는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바(26)에 힌지부(3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승강바(30)의 타단부는 지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승강바(30)는 대략 상기 제1지지바(24)의 양단지지부(24")와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바(30)가 총 8개가 사용되나, 그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된다. 상기 승강바(30)는 예를 들면 상기 힌지부(32) 내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32)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바(30)의 타단이 상기 제2연결바(28)에 걸어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도시되지 않음)를 두는 것이 좋다.
상기 승강바(30)의 타단부는 승강연결바(3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승강연결바(33)가 상기 승강바(30)의 타단부를 연결함에 의해 일측 제1연결바(26)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승강바(30)가 동시에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30)와 승강연결바(33)에는 차단부재(34)가 부착된다. 상기 차단부재(34)는 일종의 섬유로서 태양빛을 차단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비를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차단부재(34)는 방수가 가능하고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좋다. 상기 차단부재(34)는 상기 승강바(30)와 승강연결바(33)를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차단부재(34)에 의해 상기 승강바(30), 승강연결바(33) 그리고 프레임(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34)는 전체적으로 불투명재질로 되는데, 일부에는 투명재질로 윈도우부(36)를 형성한다. 상기 윈도우부(36)를 통해서 상기 타트장치(20)의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36)는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창(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타프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러하우스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상태에서는 타프장치(20)가 모듈러하우스(10)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다. 이와 같이 되면,상기 모듈러하우스(10)가 태양빛과 비 등이 모듈러하우스(1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프장치(20)가 모듈러하우스(10)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으면, 상기 차단부재(34)와 모듈러하우스(10)의 외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면서 외부의 환경이 직접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공기층이 외부 환경이 직접 모듈러하우스(1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모듈러하우스(10) 내부가 외부환경에 상관없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전방에 비를 피하고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타프장치(20)를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16)의 이동안내레일(18)은 상기 고정안내레일(17)에서 빠져나온 상태이다. 물론, 상기 이동안내레일(18)이 미리 모듈러하우스(10)의 전방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타프장치(20)를 모듈러하우스(10)의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상태이다. 즉, 상기 안내레일(16)의 이동안내레일(18)이 가장 전방까지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타프장치(20) 역시 모듈러하우스(10)에 대해 가장 전방까지 이동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22)의 제2연결바(28)가 상기 이동안내레일(18)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도 5의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바아(30)와 승강연결바아(33)가 상기 프레임(22)에 걸어져 있는 상태여서 상기 프레임(22)을 상기 차단부재(34)가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타프장치(20)의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개방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전방에 보다 넓은 영역에 차양 및 차수 효과를 주기 위해 상기 차단부재(34)를 펼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프레임(22)에 걸어져 있던, 상기 승강바아(30)나 승강연결바아(33)를 상기 프레임(22)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승강바아(30)의 힌지부(32)를 중심으로 상기 승강바아(30), 승강연결바아(33) 및 이들에 부착된 차단부재(34)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32)에는 토션스프링이 있어서 이들이 회전되어 차단부재(34)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인력에 의해 이들을 펼치고 펼쳐진 상태는 별도의 구조,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나 걸고리 등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바아(30)와 승강연결바아(33)에 의해 이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차단부재(34)가 들어올려져 모듈러하우스(10) 전방의 보다 넓은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서와 같이 차단부재(34)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타프장치(20)가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듈러하우스(10)의 양측 영역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모듈러하우스 12: 입구
14: 창 16: 안내레일
17: 고정안내레일 18: 이동안내레일
19: 횡간 20: 타프장치
22: 프레임 24: 제1지지바
24': 중앙연결부 24": 양단지지부
26: 제1연결바 28: 제2연결바
30: 승강바아 32: 힌지부
33: 승강연결바아 34: 차단부재
36: 윈도우부

Claims (10)

  1. 삭제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선단이 승강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와 승강연결바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을 덮도록 된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를 연결하도록 적어도 2개가 나란히 상기 제1지지바를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하단을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연결하고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타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바는 직선형상의 중앙연결부와 상기 중앙연결부의 양단에서 아치형상으로 각각 연장되는 양단지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연결바에는 상기 승강바의 일단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의 타단은 승강연결바아에 의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에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윈도우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
  6.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모듈러하우스와,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청구항 제2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의 타프장치를 포함하는 타프장치를 가지는 모듈러하우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외면과 전방에 상기 타프장치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를 가지는 모듈러하우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는 고정안내레일과 상기 고정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이동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레일의 선단은 횡간에 의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를 가지는 모듈러하우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프장치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윈도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듈러하우스의 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를 가지는 모듈러하우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힌지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장치를 가지는 모듈러하우스.
KR1020110100582A 2011-10-04 2011-10-04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KR10134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582A KR101346016B1 (ko) 2011-10-04 2011-10-04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582A KR101346016B1 (ko) 2011-10-04 2011-10-04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482A KR20130036482A (ko) 2013-04-12
KR101346016B1 true KR101346016B1 (ko) 2013-12-31

Family

ID=4843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582A KR101346016B1 (ko) 2011-10-04 2011-10-04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581A1 (ko) * 2016-11-10 2018-05-17 송종운 이동식 주택
KR20190141951A (ko) * 2018-06-15 2019-12-26 이돈 차량 탈부착형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257B1 (ko) * 2021-11-16 2023-05-10 주식회사 아스카프리컷 공간 확장형 퍼걸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901U (ja) * 2010-08-31 2010-12-24 株式会社テクノミズホ 脱着式仮設事務所
JP2012062680A (ja) * 2010-09-15 2012-03-29 Shinsei:Kk テ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901U (ja) * 2010-08-31 2010-12-24 株式会社テクノミズホ 脱着式仮設事務所
JP2012062680A (ja) * 2010-09-15 2012-03-29 Shinsei:Kk テン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581A1 (ko) * 2016-11-10 2018-05-17 송종운 이동식 주택
DE112016007426T5 (de) 2016-11-10 2019-08-01 Jong Woon Song Bewegliches haus
KR20190141951A (ko) * 2018-06-15 2019-12-26 이돈 차량 탈부착형 텐트
KR102305742B1 (ko) * 2018-06-15 2021-09-28 이돈 차량 탈부착형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482A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8173A1 (en) Movable building structure
EP3234273B1 (en) Pergola cover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ES2608896T3 (es) Disposición de fachada plegable o de toldo plegable
PT1270299E (pt) Cobertura telescopica
KR101384696B1 (ko) 차량 장착용 텐트
KR101346016B1 (ko) 타프장치 및 이를 가진 모듈러하우스
ES2308701T3 (es) Puerta o ventana corredera con chasis aislado.
US20040040248A1 (en) Framework for plane construction elements
ES2356104T3 (es) Lámina, en particular para tablero de sistema de cierre de edificio.
KR102403573B1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101809214B1 (ko) 레일 이동식 전동 블라인드를 구비하는 파고라
CN203583988U (zh) 一种带有顶盖的车顶帐篷
KR101295913B1 (ko) 원터치로 자동 구동되는 차광막과 비닐막의 이중 막을 갖는 정자
EP2322741B1 (en) Modular pedestrian tunnel
KR200461639Y1 (ko) 다기능 방충문
JP6469997B2 (ja) テントフレーム
KR200430587Y1 (ko) 차양막 골조
EP0295222A1 (en) A shelter, for vehicles in general
JP3205741U (ja) モバイルホーム
JP2013111015A (ja) 蛇腹式建造物
ES2700660A2 (es) Estructura y dispositivo de estabilización para carpa
KR101717502B1 (ko) 햇빛 가림막이 구비된 정자
JP3237421U (ja) 軽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小屋設備
KR101178739B1 (ko) 논레일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