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625A -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625A
KR20180015625A KR1020177033334A KR20177033334A KR20180015625A KR 20180015625 A KR20180015625 A KR 20180015625A KR 1020177033334 A KR1020177033334 A KR 1020177033334A KR 20177033334 A KR20177033334 A KR 20177033334A KR 20180015625 A KR20180015625 A KR 20180015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conveyor line
support
objects
classific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 토로
Original Assignee
시스템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시스템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1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3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with a stepwise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4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65G2814/0307Adding to the top the loading platform being lowered during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컨베이어 라인에 의해 운반되는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는 물체(3)가 분류되는 컨베이어 라인(2) 및 이 컨베이어 라인(2)의 일부에서 작동하는 물체(3)의 복수의 파지 수단(4)을 포함한다. 파지 수단(4)은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컨베이어 라인(2)의 일부 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픽업하여 이것을 서로 균질의 물체의 스택(3)을 형성하도록 선택되는 임시 체류 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체(5) 상으로 운반한다. 선택되는 임시 체류 영역에서 지지체(5) 상에 위치해 있는 단일 물체 또는 물체의 스택(3)을 명령에 따라 리프팅시키기 위해, 그리고 이들을 배출 라인 상으로 운반하기 위해 리프팅 및 컨베이어 수단(6)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의 대상은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본 장치는 포장 라인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며, 여기서 물체를 기본적으로 줄지어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는 연속적인 컨베이어 라인으로부터 오는 물체가 분류, 즉 분류의 상류에서 평가되는 어떤 특성에 기초하여 서로 분리된다.
분류는 대응하는 특성에 따라 라인으로부터 물체를 분리하는 본질적 기능을 수행하므로 물체 자체가 나중에 균일성 특성에 기초하여 각각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래브 또는 타일(세라믹 유형 등)의 경우, 분류는 사전결정된 수의 균질의 물체로 이루어지는 스택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이들 균질의 물체의 스택은 후속 포장 단계를 위해 준비된다.
현재 이용가능한 특히 유리하고 효과적인 장치는 공개 WO2014/097018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물체의 분류를 구현하는 컨베이어 라인을 포함한다. 복수의 파지 수단이 배치되어 명령에 따라 컨베이어 라인 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픽업하고, 이들을 각각의 단일 물체의 특성에 따라 임시 체류 영역 내에 배치된 대응하는 지지체 상으로 운반하여 균질의 물체의 스택이 형성된다. 리프팅 및 컨베이어 수단은 지지체로부터 물체의 스택을 리프팅하여 이것을 배출 라인으로 운반한다.
전술한 장치는 처리 속도에 대해 개량된 것일 수 있다. 파지 수단은 실제로 컨베이어 라인으로부터 물체를 픽업하고, 이 물체를 컨베이어 라인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는 임시 지지체 상에 축적된다. 컨베이어 라인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체를 픽업한 후, 파지 수단은 지지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 스택의 상부에 도달할 때까지 측방 이동 및 하방 이동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하방 행정 후, 파지 수단은 물론 역방향의 상방 행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 결과 처리 시간이 상당히 연장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이용가능한 기계의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처리될 물체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도 적응이나 조절의 필요성이 없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제로 동일한 컨베이어 라인 상에서 상이한 형태가 처리될 수 있다. 스택의 형성이 속도를 지연시키지 않고 진행할 수 있는 컨베이어 라인의 연부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추가의 장점이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전체 스택 배출 디바이스가 적층되기 위해 다가오는 물체 및 스택 자체의 형성과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분류 디바이스의 하부 부분에서 작동한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의 비제한적 실시예를 통해 예시된 바람직한 그러나 비배타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장치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장치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상이한 위치에서 도 2의 장치를 상세히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 부등각 투영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장치 부분, 즉 2 개의 파지 수단의 이동을 위한 그룹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부품의 사시도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는 본질적으로 물체들이 서로 잇달아 배치고 서로 적절히 이격되어 운반되는 연속적인 컨베이어 라인(2)으로부터 오는 물체(3)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 기술된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컨베이어 라인(2) 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서로 병치되는 2 개 이상의 컨베이어 라인이 제공될 수도 있다.
물체(3)는 상이한 특징에 기초하여 서로 구별될 수 있고, 물체는 이 특징에 따라 대응하는 균질의 집단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물체(3)는 슬래브 또는 타일(세라믹 유형 등)의 형태이며, 이것은 분류되어 균질의 물체의 스택을 형성하도록 그룹을 형성한다.
특정의 경우, 균질성은 기본적으로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본 장치는 평평하지는 않으나 물체 자체를 적층시킬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물체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체(3)의 복수의 파지 수단(4)이 수송 라인(2)에서 작동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파지 수단(4)은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컨베이어 라인(2) 상에 존재하는 물체(3)를 픽업하고, 이것을 임시 체류 영역에서 균질의 물체의 스택(3)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이동가능한 지지체(5) 상으로 운반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동가능한 지지체(5)는 컨베이어 라인(2)의 일측에 제공되어 있으나, 컨베이어 라인(2)의 양측 모두를 따라 이동가능한 지지체(5)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지체(5)에 의해 형성되는 임시 체류 영역은 컨베이어 라인(2)에 비해 더 낮은 높이에 위치된다.
임시 체류 영역은 개별 물체의 스택의 형성을 위해 지지체(5) 상에서 수시로 식별된다. 실제로, 적합한 명령 및 제어 시스템은 균질의 물체(3)를 개별화하고, 컨베이어 라인(2)으로부터 물체(3)를 선택적으로 픽업하도록 명령하여 최종적으로 임시 자유 체류 영역들 중 하나에서 물체의 스택을 제공한다.
리프팅 및 컨베이어 수단(6)은 명령에 따라 관련된 임시 체류 영역에서 지지체(5) 상에 지지되어 있는 단일 물체 또는 물체의 스택(3)을 리프팅하여 배출 라인(미도시)으로 이들을 운반한다.
컨베이어 라인(2)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 파지 수단(4)은 픽업 및 운반될 물체(3)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동기 방식으로 작동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파지 수단이 작용 중인 작은 형태의 물체(3)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파지 수단은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반면에 물체(3)의 크기가 더 큰 경우, 이러한 파지 수단은 2 개 이상의 파지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집단으로 동기적으로 작동된다.
파지 수단(4)은 파지되는 물체(3)가 실질적으로 무게중심 시스템에 기초하여 구속되도록 집단적으로 동기적으로 작동된다.
특히, 파지 수단(4)은 컨베이어 라인(2)의 상측에서 작동되며, 컨베이어 라인(2) 상에 존재하는 물체(3)의 파지는 이것의 상면을 파지함으로써 발생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체(5)는 균질의 물체의 스택(3)을 위해 선택된 임시 체류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위치 및 도 3a에 도시된 하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러나, 상부 위치에서도 각각의 지지체(5)는 컨베이어 라인(2)의 하위에 위치된다.
특히, 각각의 지지체(5)는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까지 컨베이어 라인(2)의 하위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지지 평면을 특정한다. 하부 위치에서, 각각의 지지체(5)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평면은 분류될 물체 또는 물체의 스택(3)의 취급을 허용하는 최대 유용한 높이, 즉, 형성될 수 있는 물체의 스택(3)의 최대 높이로서 의도되는 수직 방향으로 명확한 높이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라인(2)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된다.
상부 위치에서, 각각의 지지체(5)는 하위에 배치되는, 그리고 점진적으로 축적될 스택의 최초의 물체가 되는 최초의 물체(3)를 수용할 수 있다. 최초의 물체(3)를 수용한 후, 지지체(5)는 하부 위치를 향해 사전결정된 피치만큼 병진 작동된다. 즉, 지지체는 지지체(5) 자체 상에 이미 존재하는 물체의 상면에 다음의 물체(3)를 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로 하강된다. 지지체(5)가 하강되었을 때 도달되는 높이는 기본적으로 차후에 축적될 물체(3)의 두께에 대응한다. 다시 말하면, 스택 상에 축적될 각각의 물체(3)에 대해 지지 평면(3)은 스택이 형성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스택의 형성은 전술한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즉 각각의 물체(3)가 축적되기 전에, 지지체(5)는 축적될 물체가 원하는 수에 도달될 때까지 1 피치씩 하강된다. 이 모든 것은 물체의 스택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5) 뿐만 아니라 협동하여 더 큰 치수의 물체(3)를 지지하기 위해 동시에 선택될 수 있는 지지체(5)에 모두 적용된다.
파지 수단(4)은 하나 이상의 흡인 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조작 유닛(40, 41) 상에 장착되며,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흡인 컵(42, 43)을 구비한다. 각각의 흡인 컵(42, 43)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하므로 단일 물체를 픽업할 수 있다. 파지 수단(4) 및 상이한 파지 수단(4)의 각각의 흡인 컵(42, 43)은 더 큰 중량 및/또는 크기를 나타내는 단일 물체를 지지 및 픽업할 수 있도록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예로써, 도 1에서 좌측의 물체(3)는 파지 수단(4)에 의해 무게중심 위치에서 지지되거나, 물체의 중앙 수직면에 대해 대칭 위치에서 2 개의 파지 수단(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더 큰 치수의 우측의 물체(3)는 물체(3) 자체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2 개의 파지 수단(4)에 의해 지지되거나 4 개의 파지 수단(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조작 유닛(40, 41)은 컨베이어 라인(2)의 일부 상에서 물체(3)의 전방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가이드(44, 45)를 따라 명령에 따라 이동가능 및 위치가능하다.
명령에 따라 상대적인 제 1 흡인 컵(42) 및 제 2 흡인 컵(43)의 수직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부재(46, 47)가 제공된다.
본 시스템은 동기 방식으로 작동되는 파지 수단(4)을 통해 개별 물체(3)를 명령에 따라 픽업할 수 있고, 이 픽업된 물체를 형성되고 있는 스택의 수직 축선을 따라 운반하여 스택 상의 중심 위치에 상기 물체를 축적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지지체(5)의 존재로 인해, 픽업된 물체(3)를 축적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파지 수단(4)의 수직 행정 뿐만 아니라 그 결과로서 생기는 역방향 행정이 상당히 감소된다. 실제로, 이동가능한 지지체(5)는 각각의 스택의 물체가 배치되는 높이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한다. 이는 처리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균질의 물체를 선택한 다음에 컨베이어 라인의 양측에 위치되는 임시 체류 영역에서 균질의 물체의 스택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물체 분류의 제 1 부분이 구현된다.
지지체(5) 상에 임시로 보관되는 균질의 물체의 스택은 지지체(5)의 하위 또는 상위에 배치된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되는 균질의 스택의 형성과 간섭하지 않고 배출된다. 이 디바이스는 선택되는 임시 체류 영역에서 지지체(5) 상에 배치된 물체의 스택(3)(경우에 따라 단일의 물체)를 리프팅하여 이것을 도시되지 않은 배출 라인으로 운반하기 위해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리프팅 및 컨베이어 수단(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리프팅 및 컨베이어 수단(6)은 물체의 스택(3)을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프레서(presser; 61)를 구비하는 리프팅 디바이스(60)를 포함한다. 프레서(61)는 프레서(61)가 지지체(5)로부터 물체의 스택(3)을 조여서 픽업할 수 있는 하부 위치와 프레서(61)가 지지체(5)로부터 물체의 스택(3)을 들어올리는 지지체(5)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리프팅 디바이스(60)는 컨베이어 라인(2)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병진될 수 있고, 컨베이어 라인(2)의 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 라인까지 이동할 수 있는 캐리지(62)에 구속되며, 그 배출 운동 방향은 캐리지(62)의 운동 방향에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인해 형성되는 물체의 스택을 위한 처리 시간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스택의 형성 중에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이동가능한 지지체(5)의 존재로 인해 파지 수단(4)에 의해 수행되는 수직 행정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형성되는 스택은 컨베이어 라인(2)의 양측 상에 배치되므로 파지 수단(4)의 작동이 컨베이어 라인의 전진과 간섭하지 않는다.
더욱이, 균질의 물체의 스택의 형성과 스택 자체의 배출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작업 속도 및 구조적 독립성으로 인해 이러한 스택은 현재 사용되는 세라믹 타일의 선택 및 포장 라인과 일치하여 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상면이 파지될 수 있는 평평한 형상의 모든 제품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컨베이어 라인에 의해 운반되는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물체(3)가 분류되는 컨베이어 라인(2);
    상기 물체(3)를 픽업하기 위한 복수의 파지 수단(4) ― 상기 파지 수단(4)은 상기 컨베이어 라인(2)에서 작동하고, 상기 컨베이어 라인(2) 상에 존재하는 상기 물체를 명령에 따라 픽업하여 서로 균질의 물체의 스택(3)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임시 체류 영역에 배치되는 이동가능한 지지체(5) 상에 상기 물체를 운반하기에 적합함 ―; 및
    선택된 상기 임시 체류 영역에서 상기 지지체(5) 상에 위치되어 있는 단일 물체 또는 물체의 스택(3)을 자동적으로 리프팅하여 배출 라인 상으로 운반하기에 적합한 리프팅 및 운반 수단(6)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체(5)는 물체의 스택으로부터 최초의 물체(3)를 수용하는 상부 위치와 상기 물체의 스택으로부터 최종의 물체(3)를 수용하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물체 분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가능한 지지체(5)는 상기 물체(3)가 상기 파지 수단(4)에 의해 상기 지지체 상에 축적된 후에 상기 상부 위치로부터 상기 하부 위치를 향해 사전결정된 피치로 작동가능한,
    물체 분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라인(2)을 따라 분포된 상기 파지 수단(4)은 픽업되어 운반될 상기 물체(3)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동기 방식으로 작동가능한,
    물체 분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4)은 상기 컨베이어 라인(2)의 상측에서 작동하고, 상기 컨베이어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물체(3)는 상기 물체(3) 자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파지 수단(4)에 의해 픽업되는,
    물체 분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체(5)는 상기 물체(3)를 위한 지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평면은 상기 컨베이어 라인(2)의 하측에 위치되는,
    물체 분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3)를 위한 지지 평면은 대응하는 물체의 스택(3)이 형성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물체 분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4)은 흡인 컵 유형이며, 제 1 흡인 컵(42)과 제 2 흡인 컵(43)의 조작 유닛(40, 41) 상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유닛(40, 41)은 가이드(44, 45)를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가능 및 위치가능하고, 상기 가이드(44, 45)는 상기 컨베이어 라인(2) 상에서 상기 물체(3)의 전방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이고, 상기 상대적 제 1 흡인 컵(42) 및 상기 제 2 흡인 컵(43)의 수직 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한 부재(46, 47)를 구비하는,
    물체 분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및 컨베이어 수단(6)은 물체의 스택(3)을 개재시켜 조이도록 구성된 한 쌍의 프레서(presser; 61)를 구비하는 리프팅 디바이스(6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서(61)는 상기 프레서(61)가 상기 지지체(5)로부터 상기 물체의 스택(3)을 조여서 픽업할 수 있는 하부 위치와 상기 프레서(61)가 상기 지지체(5)로부터 상기 물체의 스택(3)를 리프팅시킬 수 있는 상기 지지체(5)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60)는 상기 컨베이어 라인(2)의 운동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병진 이동으로 제어되며, 상기 리프팅 디바이스(60)는 배출 라인까지 상기 컨베이어 라인(2)의 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병진으로 제어될 수 있는 캐리지(62)에 견고하게 구속되는,
    물체 분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출 라인까지 상기 컨베이어 라인(2)의 양측 상에 복수의 지지체(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각각은 균질의 물체의 스택(3)을 형성하도록 선택되는 임시 체류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 분류 장치.
KR1020177033334A 2015-06-09 2016-06-07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KR201800156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5000021918 2015-06-09
ITUB20151093 2015-06-09
PCT/IB2016/053323 WO2016199010A1 (en) 2015-06-09 2016-06-07 Apparatus for sorting obj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625A true KR20180015625A (ko) 2018-02-13

Family

ID=5432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334A KR20180015625A (ko) 2015-06-09 2016-06-07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407257B2 (ko)
EP (1) EP3307657B1 (ko)
KR (1) KR20180015625A (ko)
CN (1) CN107667065A (ko)
BR (1) BR112017025737B1 (ko)
CA (1) CA2984087A1 (ko)
ES (1) ES2762901T3 (ko)
MX (1) MX2017015389A (ko)
PL (1) PL3307657T3 (ko)
PT (1) PT3307657T (ko)
RU (1) RU2729845C2 (ko)
WO (1) WO20161990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514B1 (ko) 2019-11-25 2020-10-12 추혜성 드론에 의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234398B1 (ko) 2019-11-22 2021-04-01 방지철 드론에 의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371104B1 (ko) 2020-12-04 2022-03-1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측장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드론
WO2022104489A1 (es) 2020-11-20 2022-05-27 Drovid Technologies Método para transmitir y rastrear parámetros detectados por drones mediante (paas) con (i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5956B2 (en) * 2017-02-10 2020-04-21 Symbotic, LLC Palletizer-depalletizer system for distribution fac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5928A (en) * 1950-04-14 1954-04-20 W J Warburton Associates Inc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3187877A (en) * 1956-05-14 1965-06-08 Fmc Corp Apparatus for handling cases
LU55769A1 (ko) * 1968-03-27 1969-10-22
BE760599A (fr) * 1969-12-30 1971-05-27 Strecke Heinz Dispositif pour transporter des pieces a traiter a l'horizontale, entredes stations de traitement
US3904043A (en) * 1971-06-16 1975-09-09 Robert E Jones Apparatus for handling and stacking bricks
US4073388A (en) * 1977-01-06 1978-02-14 Zetco Manufacturing Company, Incorporated Semi-automatic lifting system
US4420295A (en) * 1979-09-26 1983-12-13 Clear Theodore 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ementitious reinforced panels
FR2585341B1 (fr) * 1985-07-26 1990-12-14 Elect Meca Et Const Installation de manutention de produits ceramiques
FI861543A (fi) * 1986-04-11 1987-10-12 Raumatic Oy Ab Staplingsanordning foer skivor efter uppdelningssaog.
GB8709851D0 (en) * 1987-04-25 1987-05-28 Langston Machine Stacking boxes of corrugated board
US4978275A (en) * 1989-07-31 1990-12-18 Simplimatic Engineering Company Computer controlled article handling device
DE4440367C2 (de) * 1994-11-11 1996-08-29 Jagenberg Papiertech Gmbh Vorrichtung zum Stapeln von Bogen auf Paletten
US5697762A (en) * 1995-07-21 1997-12-16 Sara Lee Corporation Garment stacker
US5630695A (en) * 1995-09-14 1997-05-20 Flomat Pty Ltd Pallet sorting machine
US6146084A (en) * 1998-01-07 2000-11-14 W. V. Doyle Enterprises, Inc. Automated bundling and stacking of folded corrugated boxes
JP2000118714A (ja) * 1998-10-07 2000-04-25 Hitachi Zosen Corp 移載装置
DE102004009584A1 (de) * 2004-02-25 2005-09-15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Palettieren von Kartonpackungen
ATE435713T1 (de) * 2006-12-19 2009-07-15 Bystronic Las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bearbeitungsmaschine zum bearbeiten von platten
CN201419424Y (zh) * 2008-07-17 2010-03-10 张铭勇 移板机
US8074431B1 (en) * 2009-06-01 2011-12-13 Top Tier, Inc. Hybrid palletizer
CN101979293B (zh) * 2010-11-02 2012-05-09 无锡力马化工机械有限公司 一种码垛整形机
CN104136348B (zh) * 2011-12-21 2016-03-23 福德码科私人有限公司 码垛机
ITTV20120116A1 (it) * 2012-06-13 2013-12-14 Dario Toncelli Apparato per la movimentazione di lastre e magazzino con tale apparato
ITMO20120307A1 (it) 2012-12-17 2014-06-18 System Spa Apparecchiatura per smistare oggetti
CN203332950U (zh) * 2013-04-28 2013-12-11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成型产品的送料装置
CN103896078A (zh) * 2014-04-17 2014-07-02 日东电子发展(深圳)有限公司 包装箱码垛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98B1 (ko) 2019-11-22 2021-04-01 방지철 드론에 의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63514B1 (ko) 2019-11-25 2020-10-12 추혜성 드론에 의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22104489A1 (es) 2020-11-20 2022-05-27 Drovid Technologies Método para transmitir y rastrear parámetros detectados por drones mediante (paas) con (ia).
KR102371104B1 (ko) 2020-12-04 2022-03-1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측장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07657T3 (pl) 2020-04-30
US20180155139A1 (en) 2018-06-07
BR112017025737A2 (pt) 2018-08-07
EP3307657A1 (en) 2018-04-18
US10407257B2 (en) 2019-09-10
CA2984087A1 (en) 2016-12-15
ES2762901T3 (es) 2020-05-26
BR112017025737B1 (pt) 2022-03-15
RU2017139492A3 (ko) 2019-10-02
WO2016199010A1 (en) 2016-12-15
EP3307657B1 (en) 2019-11-20
RU2017139492A (ru) 2019-07-12
CN107667065A (zh) 2018-02-06
RU2729845C2 (ru) 2020-08-12
MX2017015389A (es) 2018-03-09
PT3307657T (pt)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5625A (ko)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KR102187667B1 (ko) 물체를 분류하기 위한 장치
US4180361A (en) Plant for handling cement tiles and similar articles that require a seasoning and subsequent workings
CN104986564A (zh) 一种木地板生产线自动上料机构
US6971838B2 (en) Battery plate feeder having low vacuum, high flow rate pick-up head
CN217229420U (zh) 一种芯片自动换盘设备
CN111846468A (zh) 托盘密封机和轻柔地拾起托盘的方法
CN212216868U (zh) 一种多工位自动化冲压线
JP7022084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搬送ワーク枚数検出装置及びワーク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3257794A1 (en) Glass processing table with separate loading and processing areas
JP5866748B2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US3399885A (en) Glass sheet feeder for cutting and processing machines
JP2016023045A (ja) ワーク搬送方法及びワーク搬送システム
WO2017208091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machine and mattress packaging method
WO2010035153A1 (en) An apparatus for sorting objects
CN218023941U (zh) 一种板材挑选系统
KR102669758B1 (ko) 유리판재 투입기
KR102659385B1 (ko) 패키징 제조 기계용의 시트 형태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스테이션 및 방법
CN109250457B (zh) 一种用于多层物料的送料系统及送料方法
US20230364666A1 (en) Apparatus for centering and loading flat format parts in a press
CN106032205A (zh) 用于选择性地堆放在传送线上输送的砖的设备
JP6496560B2 (ja) 段積み装置
KR20020079652A (ko)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
GB2304099A (en) Sheet material feeding and unloading apparatus
JPH0220630A (ja) ブランク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