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541A -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541A
KR20180013541A KR1020160097399A KR20160097399A KR20180013541A KR 20180013541 A KR20180013541 A KR 20180013541A KR 1020160097399 A KR1020160097399 A KR 1020160097399A KR 20160097399 A KR20160097399 A KR 20160097399A KR 20180013541 A KR20180013541 A KR 2018001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old
natural extract
natura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
박근태
Original Assignee
김윤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2016009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541A/ko
Publication of KR2018001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하고 있는 탄성리포좀으로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금은화, 황금, 어성초, 치자 및 조구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liposomes encapsulating natural plant extract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각질세포들로 쌓여 있고 그 사이는 지질성분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피부 장벽으로서의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각질층은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에 있어서도 가장 큰 방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효성분이 피부로 흡수되는 경피 흡수경로는 피부 각질세로를 직접 투과(transcellular pathway)하기보다는 피부 각질세포 사이의 지질층을 통한 투과(intercellular pathway)가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포체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피부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피부 흡수 전달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피부 흡수 전달시스템 중에서 리포좀은 생체 친화성이 높고, 다양한 유효성분을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리포좀은 낮은 포집효율, 제형 내에서의 낮은 유화 안정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피부에 깊게 침투하지 못하고 각질층의 위쪽 부분에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 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막이 유연하게 변형되어 각질 세포 사이의 좁은 틈을 더 잘 통과하도록 유연하고 탄성이 있는 새로운 베시클(vesicl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예가 transfersomes, deformable lipid vesicles, ethosomes 또는 탄성 리포좀(elastic liposome) 등이다. <Polymer(Korea), Vol. 36, No. 6, pp.705-711>
또한, 이러한 리포좀에 피부 내에 침투시키기 위한 유효성분을 담지할 수 있다. 즉,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유효성분을 리포좀에 담지할 수 있는 것이다.
자외선은 광노화 및 이들과 관련된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을 유발하며, 파장이 짧은 순서부터 영역에 따라 UVC(200~280nm), UVB(280~320nm) 및 UVA(320~400nm)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자외선 UVA 및 UVB는 조사량이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하여도 인체에는 상당히 유해하므로 반드시 차단해야 한다.
자외선 A(UVA)는 파장이 길어서 상대적으로 에너지는 약하지만 유리를 통과하며, 피부의 진피 망상층까지 깊숙히 침투하여 표피에 있는 엷은 색의 멜라닌 색소를 진한 색의 멜라닌 색소로 변환시켜 피부를 흑화시킨다.
또한, 피부 조직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변형시켜 탄력을 감소시키고 피부 노화를 유발하며 광과민성 피부병을 발병시키기도 한다. 안개나 창문을 통과하고 구름이 낀 흐린 날에도 지표에 그대로 도달하는 UVA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일상생활 중에 반드시 방어해야 하는 대상이다.
또한, 자외선 B(UVB)는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선 중 파장이 가장 짧은 고에너지 광선으로 단시간에 사람의 표피와 진피 상부에 침투하여 피부 홍반, 선번(sunburn), 화끈거림, 물집, 발진을 일으키며, 이로부터 며칠 후 멜라닌 색소를 증가시켜 피부에 색소 침착(suntan)을 일으킨다.<한국 등록특허 10-1359458>
또한 자외선은 광노화 및 이들과 관련된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피부노화의 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 효율을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을 연구개발함은 물론이고, 상기 천연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경피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리포좀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리포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을 담지하고 있는 탄성리포좀으로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금은화, 황금, 어성초, 치자 및 조구등으로 이루어진 군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탄올에 인지질을 용해시킨 후, 첨가제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완료 후, 천연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정제수를 첨가하여 베시클(vesicle)을 유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완료 후, 정제수를 더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베시클을 제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베시클을 분산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리포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리포좀 제조에 있어서 인지질을 에탄올에 용해한 후 첨가제로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첨가함에 따라, 상기 인지질 용액에 첨가되는 천연 추출물이 상기 탄성리포좀 내에 용이하게 용해되어 80%이상의 포집효율로 담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입자크기가 300~400nm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은, 자외선 흡수 효율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물질을 탄성리포좀에 담지함에 따라 경피에 용이하게 상기 유효성분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물질이 천연 추출물임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천연 추출물 각각에 대한 UV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입자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 금은화, (b) 어성초, (c) 조구등, (d) 치자 및 (e) 황금을 담지한 천연 추출물 각각에 대한 탄성리포좀의 평균 입자크기 및 Zeta Potential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을 담지하고 있는 탄성리포좀으로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금은화, 황금, 어성초, 치자 및 조구등으로 이루어진 군 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이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은, 천연 추출물, 인지질, 첨가제인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지질은 에탄올에 용해되어 지질막의 계면장벽이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 및 오일은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100중량%에 대해 0.2 ~ 0.3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 추출물이 상기 탄성리포좀에 대해 높은 용해성을 나타내게 되어, 상기 탄성리포좀에 상기 천연 추출물은 80% 이상의 포집효율로 담지됨은 물론이고,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입자크기가 300~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Sodium cholate, Sorbitane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monolaurate,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monoole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rate, sorbitan tristearate 및 dipotassium glycyrrhiz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탄올, 오일 및 물을 용매로 한 추출물 모두와 잘 섞이고 점성이 생기지 않는,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monolau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오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천연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열수추출된 것으로, 금은화, 황금, 어성초, 치자 및 조구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자외선 흡수 효율을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상기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genus lonicera)에 속하는 인동덩굴(L. japonica Thunb.)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이고,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상기 금은화 및 황금 추출물은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염증 유발에 관련되는 브라디키닌과 substance R의작용을 길항하는 효능을 갖는다. 피부세포 및 신경교세포주에서 브라디키닌과 substance R에 의해 분비되는 염증 매개 사이토킨인 IL-6와 IL-8의 분비를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증가되는 염증매개 인자인 PGE-2의 생합성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치자(Gardenia jasminoides)는 꼭두서니과 식물인 치자나무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으로, 사포닌과 색소성분 크로틴을 함유 홍색끼가 있는 노랑색 피부에 진정작용과 진균억제, 소염, 지열작용을 한다. 상세하게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가데닌(gardenin), 펙틴(pectin), 탄닌(tannin), 크로신(crocin), 크로세틴(crocetin), d-만니톨(d-mannitol), 노나코산(nonacosane),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이외에 여러 종류의 이리도이드(iridoide) 골결의 배당체 즉 가데노사이드(gardenoside), 제니 포사이드(geniposide(genipin-1-glucoside)), 제니핀-1-β-d-제니티오바이오사이드 (genipin-1-β-dgentiobioside) 및 소량의 산즈히사이드(shanzhiside)를 함유하고 또 가데노사이드(gardoside), 스캔도사이드 메틸 에스터(scandoside methyl ester), 콜린(choline) 및 우르소린산(ursolic acid)이 들어 있다. 또한 진정, 혈압강하 작용이 있고 담낭을 수축시켜 담즙분비를 증가시키며 이담작용이 있다.
또한,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e)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강력한 항균, 항염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어성초에 존재하는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성분은 말라세지아라는 효모균과 포도상구균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구등(Unceria rhynchophylla)는 낚싯바늘이 달린 덩굴이라는 뜻으로 가시는 길이가 3~4㎝에 이르고, 모양이 낚싯바늘처럼 생겼다고 하여 ‘조구’ 또는 ‘조등’이라 하며, 가을부터 다음해 봄까지 가시가 많이 달린 가지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조구등을 달여 만든 차는 중추신경을 억제하며 혈압을 떨어뜨리고,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혈압 강하제로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게다가 부작용이 거의 없어 어린아이에게도 약으로 쓸 수 있다. 어린아이들의 경련과 경간(자다가 깜짝깜짝 놀라거나 입에 거품을 물고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을 가라앉히는 처방에 많이 이용한다.
상기 천연 추출물인 금은화, 황금, 치자, 어성초 및 조구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 효율을 나타냄은 물론이고, 항균 및 피부진정과 같은 다양한 유효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
상기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를 보호함은 물론이고, 항균 및 피부진정을 비롯하여 다양한 유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으로,
에탄올에 인지질을 용해시킨 후, 첨가제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완료 후, 천연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정제수를 첨가하여 베시클(vesicle)을 유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완료 후, 정제수를 더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베시클을 제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베시클을 분산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에탄올에 인지질을 용해시킨 후, 첨가제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단계는 에탄올과 인지질을 1~2:1의 비율로 하여, 상기 에탄올에 인지질을 용해시켜 상기 인지질이 용액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인지질 용액에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상기 인지질 용액 100중량%에 대해 각각 1 ~ 7 중량%로 첨가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Sodium cholate, Sorbitane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monolaurate,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monoole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rate, sorbitan tristearate 및 dipotassium glycyrrhiz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탄올, 오일 및 물을 용매로 한 추출물 모두와 잘 섞이고 점성이 생기지 않는, polyethylene glycol sorbitan monolau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오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천연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단계는 천연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하고 베시클(vesicle)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단계가 완료된 후, 천연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정제수를 일시적으로 다량 첨가함으로써, 베시클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첨가되는 정제수의 양은 상기 인지질 용액 100중량%에 대해, 200~6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제수를 일시적으로 다량 첨가하는 것은. 수화액정을 리포좀의 입자로 분산시켜 베시클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 용액은 금은화, 어성초, 조구등, 치자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으로, 열수추출에 의해 천연 추출물을 수득한 후, 상기 천연 추출물을 물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 100중량%에 대해, 2 ~ 3중량%로 첨가하여 천연 추출물 용액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 모두는 자외선 흡수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 완료 후, 정제수를 더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베시클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생성된 수화액정에 정제수를 1~3 ml/min의 속도로 15분 ~ 25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상기 수화액정이 수화 및 팽창되어 베시클을 제조하게 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제 4 단계는 상기 제조된 베시클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리포좀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에탄올에 인지질을 용해시킴에 따라 지질막의 계면장벽을 감소시키고, 이후 상기 인지질 용액에 첨가제로서 상기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이후 첨가될 천연 추출물이 상기 탄성리포좀에 대해 높은 용해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상기 탄성리포좀에 상기 천연 추출물이 80% 이상의 포집효율로 담지됨은 물론이고,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입자크기가 300~400nm이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천연 추출물의 제조
천연 추출물의 소재로서, 금은화, 황금, 치자, 어성초 및 조구등을 준비(상기 소재는 (주)광명생약(부산소재)에서 구입)하였다.
먼저 금은화 100g을 3차 증류수 2L에 넣고, 150분간 열수 추출하였다.
이 후, 상기 열수 추출된 추출물을 0.45㎛ 필터로 여과한 다음 동결건조하였다. 이로써, 금은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의 소재 황금, 치자, 어성초 및 조구등에 대해서도 상기 금은화 추출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황금 추출물, 치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조구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단, 상기 열수 추출 과정에서 입자가 곱고 점성이 높은 열수 추출물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를 0.45㎛ 필터로 여과하는 대신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사용하여 멸균(sterile)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상기 제조된 천연 추출물의 수득률 및 Stock 농도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1에서 Stock 농도는 동결건조된 추출물을 사용 전 3차 증류수로 녹였을 때의 농도이고, F는 filter(0.2㎛)를 의미하고, A는 autoclave를 의미한다.)
천연물 수득률(%) Stock 농도(mg/ml) F/A
1 금은화 18 100 F
2 황금 39.26 100 F
3 치자 18.2 100 F
4 어성초 3.26 100 F
5 조구등 4.02 100 F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제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제조에 있어서, 첨가제(계면활성제 및 오일)의 첨가 여부 및 천연 추출물을 용해하는 용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조건들을 달리하여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또한, 레시틴의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함량 및 에탄올 함량도 달리하여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 함량이 10%인 레시틴 분말 1g을 에탄올 1ml에 첨가하여 60℃로 가열한 다음 레시틴이 액상이 되도록 1000rpm으로 약 2~3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유도하였다.
상기 단계가 완료된 다음, 금은화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제수 10ml을 첨가하여 베시클을 유도하고, 이 후, 정제수를 1ml/min의 속도로 20분간 20ml를 드로핑(dropping)하였다. 이때, 상기 금은화 추출물 용액은 물 2g에 상기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 0.0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이 완료 된 후, 15분간 초음파로 베시클의 분산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 함량이 95%인 레시틴 분말 1g을 에탄올 2ml에 첨가하여 60℃로 가열한 다음 레시틴이 액상이 되도록 1000rpm으로 약 2~3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유도하였다.
상기 단계가 완료된 다음, 금은화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제수 10ml을 첨가하여 베시클을 유도하고, 이 후, 정제수를 1ml/min의 속도로 20분간 20ml를 드로핑(dropping)하였다. 이때, 상기 금은화 추출물 용액은 물과 에탄올이 1:1로 혼합된 용매 2g에 상기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 0.05g을 드로핑(dropping)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이 완료 된 후, 15분간 초음파로 베시클의 분산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 함량이 10%인 레시틴 분말 1g을 에탄올 2ml에 첨가하여 60℃로 가열한 다음 레시틴이 액상이 되도록 1000rpm으로 약 2~3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유도하였다.
상기 단계가 완료된 다음, 금은화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제수 10ml을 첨가하여 베시클을 유도하고, 이 후, 정제수를 1ml/min의 속도로 20분간 20ml를 드로핑(dropping)하였다. 이때, 상기 금은화 추출물 용액은 물과 에탄올이 1:1로 혼합된 용매 2g에 상기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 0.05g을 일시적으로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이 완료 된 후, 15분간 초음파로 베시클의 분산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 함량이 10%인 레시틴 분말 1g을 에탄올 1ml에 첨가하여 60℃로 가열한 다음 레시틴이 액상이 되도록 1000rpm으로 약 2~3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유도하였다.
상기 단계가 완료된 다음, 첨가제로 Tween 20(계면활성제) 및 올리브 오일을 각각 0.1g씩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단계가 완료된 다음, 금은화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제수 10ml을 첨가하여 베시클을 유도하고, 이 후, 정제수를 1ml/min의 속도로 20분간 20ml를 드로핑(dropping)하였다. 이때, 상기 금은화 추출물 용액은 물 2g에 상기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 0.0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이 완료 된 후, 15분간 초음파로 베시클의 분산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 함량이 95%인 레시틴 분말 1g을 에탄올 2ml에 첨가하여 60℃로 가열한 다음 레시틴이 액상이 되도록 1000rpm으로 약 2~3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유도하였다.
상기 단계가 완료된 다음, 금은화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제수 10ml을 첨가하여 베시클을 유도하고, 이 후, 정제수를 1ml/min의 속도로 20분간 20ml를 드로핑(dropping)하였다. 이때, 상기 금은화 추출물 용액은 물과 에탄올이 1:1로 혼합된 용매 2g에 상기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 0.05g을 일시적으로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이 완료 된 후, 15분간 초음파로 베시클의 분산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PC) 함량이 95%인 레시틴 분말 1g을 에탄올 2ml에 첨가하여 60℃로 가열한 다음 레시틴이 액상이 되도록 1000rpm으로 약 2~3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유도하였다.
상기 단계가 완료된 다음, 첨가제로 Tween 20(계면활성제) 및 올리브 오일을 각각 0.1g씩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단계가 완료된 다음, 금은화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이 맑게 변하는 시점까지 약 3~5분간 교반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제수 10ml을 첨가하여 베시클을 유도하고, 이 후, 정제수를 1ml/min의 속도로 20분간 20ml를 드로핑(dropping)하였다. 이때, 상기 금은화 추출물 용액은 물 2g에 상기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 0.0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이 완료 된 후, 15분간 초음파로 베시클의 분산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은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 조건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레시틴
(1g)
PC 10% PC 95% PC 10% PC 10% PC 95% PC 95%
에탄올(ml) 1 2 2 1 2 2
첨가제 - - - Tween 20,
올리브오일
- Tween 20,
올리브오일
천연 추출물
용매
물:에탄올
1:1
물:에탄올
1:1
물:에탄올
1:1
1ml/min, 20분
<시험예>
자외선분광기(UV-spectrophotometer)를 통한 흡광도 측정
상기 천연 추출물 각각에 대한, 빛의 파장에 따른 흡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외선분광기(Ultrospec 6300 Pro. Thermo sientific, 미국)를 사용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 각각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천연 추출물 각각은 1mg/ml로 준비하고, 자외선분광기의 파장은 250~600nm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천연 추출물 최대파장(nm) 흡광도
금은화 332 2.971
황금 348 3.055
치자 325 2.187
어성초 309 2.891
조구등 312 2.824
상기 표 2 및 도 1을 참고하면, 금은화, 황금, 치자, 어성초 및 조구등 추출물 모두는 최대 파장 범위가 300~350nm로 나타남에 따라, 자외선에 대한 흡광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크기 측정
상기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인,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 각각에 대한 크기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조예 6의 탄성리포좀의 평균 크기가 126.9nm로 가장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레시틴 용액에 올리브 오일 및 계면활성제가 더 첨가됨에 따라 상기 레시틴 용액에 첨가되는 금은화 추출물 용액의 용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제조예 2, 제조예 3 및 제조예 5의 탄성리포좀이 큰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오일 및 계면활성제의 첨가 없이,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한 금은화 추출물을 레시틴 용액에 첨가함에 따라, 상기 레시틴 용액에 대한 상기 금은화 추출물이 용해가 아닌 분산의 형태를 띠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6의 조건으로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크기 측정
상기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금은화, 어성초, 조구등,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담지한 각각의 탄성리포좀을 제조하고, 이들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Zeta Potential)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를 참고하면, 상기 제조예 6의 방법으로 제조된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어성초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조구등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치자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황금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은 평균 입자크기가 300~400nm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은 제타전위 값이 0에서 멀어진 값으로 나타남에 따라,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은 인력에 의해 서로 엉기는 현상 없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각각의 탄성리포좀으로 존재함에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 부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은 입자크기가 작고 용이하게 분산되어 존재함에 따라, 피부로의 침투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포집효율 측정
상기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금은화, 어성초, 조구등,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담지한 각각의 탄성리포좀에 대한 상기 천연 추출물의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금은화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2ml를 1 또는 2 ㎛ 필터를 이용하여 포집되지 않는 천연추출물을 제거한 후, 에탄올을 추가 첨가하여 Ethosome의 막을 파괴시켰다.
이 후, 에탄올을 증발 시킨 다음 차가운 1ml의 에탄올, 0.5ml의 DMSO(Dimethyl Sulfoxide)를 첨가하여 60분간 초음파(sonication)에서 진탕하여, 천연 추출물 및 올리브 오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출해 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한 용액에 대해, 상기 천연 추출물 각각의 최대 흡광도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포집효율을 분석하였다.
단, 상기 표집효율 분석을 위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을 제조할 시 첨가된 천연 추출물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의 초기 첨가량에 대한 흡광도를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의 양을 보정하기 위하여 보정액(1ml 에탄올 및 0.5ml DMSO)에 대하여 동일 조건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값을 보정값으로 하였다.
또한, 포집율 계산은 (추출한 천연 추출물의 λ-max Abs/초기 천연 추출물의 λ-max Abs)×100으로 하였다.
하기 표 4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에 대한 포집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추출물 금은화 어성초 조구등 치자 황금
최대파장(nm) 310 315 340 310 330
포집효율(%) 84.2% 80.5% 81.7% 80.2% 81.0%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탄성리포좀에 담지된 천연 추출물 모두는 80% 이상의 높은 포집효율을 나타냄에 따라, 상기 탄성리포좀은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담지하여 경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천연 추출물을 담지하고 있는 탄성리포좀으로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금은화, 황금, 어성초, 치자 및 조구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리포좀은 천연 추출물, 인지질, 첨가제인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오일은 상기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100중량%에 대해 0.2 ~ 0.3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3. 에탄올에 인지질을 용해시킨 후, 첨가제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완료 후, 천연 추출물 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액정을 형성한 다음, 정제수를 첨가하여 베시클(vesicle)을 유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완료 후, 정제수를 더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베시클을 제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베시클을 분산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및 오일은 상기 인지질 용액 100중량%에 대해, 각각 1 ~ 7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금은화, 어성초, 조구등, 치자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어서 첨가되는 정제수는, 상기 인지질 용액 100중량%에 대해, 200~6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탄성리포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7399A 2016-07-29 2016-07-29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3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399A KR20180013541A (ko) 2016-07-29 2016-07-29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399A KR20180013541A (ko) 2016-07-29 2016-07-29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41A true KR20180013541A (ko) 2018-02-07

Family

ID=6120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399A KR20180013541A (ko) 2016-07-29 2016-07-29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5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60B1 (ko) * 2018-04-27 2019-07-10 김윤 세제용 리포좀의 제조방법
KR20190102753A (ko) * 2018-02-27 2019-09-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1180B1 (ko) 2019-08-14 2020-02-25 한국콜마주식회사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730601A (zh) * 2021-09-08 2021-12-03 浙江科技学院 栀子黄脂质体的制备方法
KR20220124843A (ko) 2021-03-03 2022-09-14 김기현 비타민complex을 포함하는 탄성 나노 리포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194A (ko) * 2000-12-05 2002-06-15 이세복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30086777A (ko) * 2002-05-07 2003-11-12 주식회사한국신약 세포에 대한 노화 억제 작용을 하는 조구등 추출물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KR20050100473A (ko) *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태평양 금은화, 상백피 및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완화능을갖는 항 자외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748A (ko) * 2008-10-21 2010-04-29 (주)네오팜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101570A (ko) * 2013-02-12 2014-08-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20150115096A (ko) * 2014-04-02 2015-10-14 (재)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치자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194A (ko) * 2000-12-05 2002-06-15 이세복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030086777A (ko) * 2002-05-07 2003-11-12 주식회사한국신약 세포에 대한 노화 억제 작용을 하는 조구등 추출물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KR20050100473A (ko) * 2004-04-14 2005-10-19 주식회사 태평양 금은화, 상백피 및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완화능을갖는 항 자외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748A (ko) * 2008-10-21 2010-04-29 (주)네오팜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101570A (ko) * 2013-02-12 2014-08-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20150115096A (ko) * 2014-04-02 2015-10-14 (재)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치자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753A (ko) * 2018-02-27 2019-09-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060B1 (ko) * 2018-04-27 2019-07-10 김윤 세제용 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2081180B1 (ko) 2019-08-14 2020-02-25 한국콜마주식회사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4843A (ko) 2021-03-03 2022-09-14 김기현 비타민complex을 포함하는 탄성 나노 리포좀
CN113730601A (zh) * 2021-09-08 2021-12-03 浙江科技学院 栀子黄脂质体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3541A (ko)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1148B1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CN103607998A (zh) 壳多糖和活性成分复合物的制备方法及由此获得的复合物
JP3461769B2 (ja) 皮膚外用剤
AU2011252628A1 (en) Snow lotus extract, prepar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405128B1 (ko)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안정화방법 및 안정화된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97285B1 (ko)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090989A (zh) 黄柏多糖抗紫外照射的用途及其抗紫外防晒剂的制备方法
WO2015176147A1 (pt) Ativo clareador contendo extratos vegetais, seus usos e composições contendo o mesmo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KR101082819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2012000B1 (ko) 문신 부위 감염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5859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0042B1 (ko) 프로폴리스 나노 베시클을 함유하는 보습화장품 조성물
KR101906839B1 (ko) 잎새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85160B (zh) 黄连多糖抗紫外照射的用途及其抗紫外防晒剂的制备方法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40127525A (ko)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JPH1087469A (ja) 紫外線防御剤
KR20180013543A (ko)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2325943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의 광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150008825A (ko) 아이소쿼사이트린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아이소쿼사이트린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