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951A -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951A
KR20180012951A KR1020160095855A KR20160095855A KR20180012951A KR 20180012951 A KR20180012951 A KR 20180012951A KR 1020160095855 A KR1020160095855 A KR 1020160095855A KR 20160095855 A KR20160095855 A KR 20160095855A KR 20180012951 A KR20180012951 A KR 2018001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oil composition
seconds
seasoning
agricultur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691B1 (ko
Inventor
박정용
임여숙
정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Priority to KR102016009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6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a) 세절 단계; (b) 예비건조 단계; (c) 산처리 단계; (d) 살균 단계; (e) 건조 단계를 통해 제조된 건조 세절 농산물을 식용 유지에 혼합한 후, (f) 상기 건조 세절 농산물과 식용유의 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기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은 일반 기름 조성물과 유사한 산가를 가지므로, 일반 기름 조성물과 동일한 보존성과 저장성을 가지고, 농산물 고유의 맛과 향이 유지된 기호성 조미 기름 조성물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Seasoning oil composition including dry-chopped agricultural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미유는 향신채, 축육, 어패류 등을 잘라 식용유지에 넣고 여러 조건으로 처리하여 향신채, 축육, 어패류 등의 향과 정미 성분을 함유하는 식용유지를 의미한다. 조미유는 음식 특히 육류를 찍어 먹는 소스오일로 이용하거나, 무침음식 또는 찌깨 등에 첨가하여 이용함으로써 음식에 풍부한 풍미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가정 또는 외식업체에서의 조미유 제조는 고가의 식용 유지에 각종 향미 야채류를 일일이 손으로 수세, 탈피,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준비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수확기에는 야채의 품귀로 인하여 원하는 양념 향미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미유의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음식찌꺼기 등 불순물이 식용 유지에 함유되어, 식용 유지의 산패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조미유 관련 기술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27155호에 당과 아미노산의 가열반응에 의한 향미유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117408호에 해바라기씨 또는 땅콩을 착유함에 있어서 천연 토코페롤이 함유된 향미유를 섞어 착유하므로써 볶은 해바라기씨나 땅콩의 고소한 풍미와 향미유에 들어있는 각종 양념의 독특한 향미가 어우러지고, 보편성도 우수한 양념유에 대하여 개시한 바 있으나, 본 발명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에 대한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농산물을 이용하여 조미 기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산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산처리를 통해 농산물에 오염되어 있는 균을 제거하고, 건조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미 기름 조성물의 산패를 억제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조미 기름 조성물의 산가가 일반 기름 조성물의 산가와 유사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기름 조성물이 일반 기름 조성물과 같이, 저장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농산물을 세척하여, 1~5㎜의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절된 농산물을 20~40℃에서 20~25%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예비건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예비건조된 농산물을 산 용액에 10~24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산 용액에 침지한 농산물을 50~90℃에서 2~4시간 동안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 이후에, 살균된 농산물을 동결건조하여 1~10%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 이후에, 건조된 세절 농산물을 식용유에 혼합하여 40~100℃에서 중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기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a) 세절 단계; (b) 예비건조 단계; (c) 산처리 단계; (d) 살균 단계; (e) 건조 단계를 통해 제조된 건조 세절 농산물을 식용 유지에 혼합한 후, (f) 상기 건조 세절 농산물과 식용유의 혼합물을 중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기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은 일반 기름 조성물과 유사한 산가를 가지므로, 일반 기름 조성물과 동일한 보존성과 저장성을 가지고, 농산물 고유의 맛과 향이 유지된 기호성 조미 기름 조성물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a) 농산물을 물에서 세척한 후에, 1~5㎜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절된 농산물을 20~40℃에서 수분함량이 20~25%이 되도록 예비건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예비건조된 농산물을 산 용액에 10~24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산 용액에 침지한 농산물을 50~90℃에서 2~4시간 동안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 이후에, 살균된 농산물을 동결건조하여 1~10%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 이후에, 건조된 세절 농산물을 식용유에 혼합하여 40~100℃에서 중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산물은 파뿌리, 샐러리, 양파, 생강 및 마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파뿌리이지만, 특별히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향미 채소는 어느 것이든 무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예비건조된 농산물을 산 용액에 10~240분 동안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5~60분 동안 침지하는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0~40분 동안 침지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 단계의 산 용액에 침지한 농산물을 50~90℃에서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5~80℃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5~75℃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 단계의 산 용액에 침지한 농산물을 2~4시간 동안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 단계의 동결건조된 농산물의 수분함량은 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8 중량%의 수분함량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4 중량%의 수분함량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f) 단계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식용유에 혼합하여 40~100℃에서 중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5~95℃에서 중탕하는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0~80℃에서 중탕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용유는
(i) 식물성 원료를 원적외선 배전기에 넣고, 상기 원적외선 배전기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면서, 80~100℃에서, 원적외선을 1~30분 동안 조사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
(ii) 상기 단계 (i)의 건조된 식물성 원료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는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130~150℃의 조건으로 원적외선을 5~60분 동안 조사하여 볶는 제1차 볶음단계;
(iii) 상기 단계 (ii)의 제1차 볶은 식물성 원료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는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130~160℃의 조건으로 원적외선을 1~30분 동안 조사하여 볶는 제2차 볶음단계;
(iv) 상기 단계 (iii)의 제2차 볶은 식물성 원료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는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v) 상기 단계 (iv)의 실온으로 냉각된 식물성 원료를 착유기를 이용하여 착유하는 단계; 및
(vi) 상기 단계 (v)의 착유된 식용유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에서 배전기의 온도는 80~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85~95℃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90℃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에서 원적외선을 1~3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2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15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에서 원적외선을 1분 미만으로 조사할 경우, 식물성 원료가 건조되지 않아, 볶음과정에서 식물성 원료가 고르게 볶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30분을 초과하여 조사할 경우, 건조과정 이후의 볶음과정에서 유해한 벤조피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ii)에서 배전기의 온도는 130~150℃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35~145℃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40℃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i)에서 원적외선을 5~6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0~3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2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i)에서 원적외선을 5분 미만으로 조사하는 경우, 식물성 원료가 내부까지 고르게 익지 않아 착유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60분을 초과하여 조사하는 경우에는 볶음과정에서 식물성 원료 표면에 미세한 탄화물이 생겨 유해한 벤조피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iii)에서 배전기의 온도는 130~160℃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35~150℃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45℃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ii)에서 원적외선을 1~3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20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15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iii)에서 원적외선을 1분 미만으로 조사하는 경우, 식물성 원료가 내부까지 고르게 익지 않아 착유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30분을 초과하여 조사하는 경우에는 볶음과정에서 식물성 원료 표면에 미세한 탄화물이 생겨 유해한 벤조피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식물성 원료는 참깨, 들깨, 검은깨, 대두, 잣, 호박씨, 연꽃씨, 해바라기씨, 오디씨, 현미, 땅콩, 달맞이꽃씨, 유채꽃씨 및 호두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산 용액은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락트산, 아세트산, 푸마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산 용액은 100중량부의 물에 대하여 0.001~0.05중량부의 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 용액이 100중량부의 물에 대하여 0.001중량부 미만의 산을 포함하는 경우, 산 용액에 의한 살균효과가 없으며, 0.05중량부 초과의 산을 포함하는 경우, 농산물의 표면을 파괴하여 기름 조성물을 탁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식용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0중량부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0~15.0중량부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혼합하는 것이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10.0중량부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혼합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용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미만의 건조 세절 농산물을 혼합하는 경우, 농산물의 향미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50.0중량부를 초과하는 건조 세절 농산물을 첨가하는 경우, 향미 효과는 크게 증진되지 않는 반면, 비용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기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 제조
(1) 참기름 제조(비교예 1)
참깨에 섞여 있는 흙, 모래, 잡초, 나뭇가지, 및 미성숙된 참깨알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참깨 원료를 물에 투입하고 5~15분 동안 교반하여, 먼지, 쭉정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참깨를 원적외선 배전기에 투입하고, 90℃의 온도에서 원적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면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5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5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1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참깨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배전기 내에 수분이 제거된 참깨를 150℃의 온도에서 원적외선을 20분 동안 조사하면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4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7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3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1차로 참깨를 볶았다.
상기 제1차 볶은 참깨를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155℃에서 원적외선을 10분 동안 조사하면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6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7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1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2차로 참깨를 볶았다.
상기 제2차 볶은 참깨를 원적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6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7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1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냉각된 참깨를 압축열이 작용하지 않는 스크류 방식의 엑스펠러를 사용하는 착유기에 투입하고, 순간 압축하여 참깨 유지 성분(참기름)을 얻어내었다.
상기 얻어낸 참깨 유지 성분을 1시간 동안 자연 냉각시킨 다음, 1회 최대 처리 용량 300~60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2기압 이하의 공압 조건에서 여과를 실시하여, 참기름을 수득하였다.
(2)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 제조
수확한 파뿌리를 상온의 물에 세척한 후에 3㎜의 크기로 세절하였다.
상기 세절한 파뿌리를 40℃에서 20%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예비건조한 후에, 상기 예비 건조된 파뿌리를 물 1L에 대하여 30㎎의 시트르산을 포함하는 산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산 용액에 침지하였던 세절 파뿌리를 건져낸 후에, 잔여 산 용액을 세절 파뿌리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산처리한 파뿌리를 75℃의 팬에 펴서 3시간 동안살균하였다. 이후에, 상기 살균한 파뿌리의 수분함량이 3%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였다.
앞서 제조된 참기름 100㎖에 상기 동결건조된 파뿌리 6g을 혼합한 후에, 상기 동결건조된 파뿌리가 혼합된 참기름을 80℃에서 중탕하여,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참기름을 비교예 1로 사용하였으며,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참기름(비교예 1)과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실시예 1)을 상온에서 한 달동안 보관한 후에, 각각의 산가 및 벤조피렌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참기름의 산가 및 벤조피렌 함량
시험·검사항목 시험·검사 기준 시험·검사 결과 판정
산가 4.0이하 0.7 적합
벤조피렌(㎍/㎏) 2.0이하 0.0 적합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의 산가 및 벤조피렌의 함량
시험·검사항목 시험·검사 기준 시험·검사 결과 판정
산가 3.0이하 1.3 적합
벤조피렌(㎍/㎏) 2.0이하 0.1 적합
상기 결과에서 비교예 1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참기름 산가는 0.7이고, 실시예 1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 산가는 1.3이므로, 비교예 1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참기름 산가와 실시예 1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 산가가 유사한 수치임를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이 일반 참기름과 동일한 저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들기름 제조
(1) 들기름 제조(비교예 2)
입고된 들깨에 섞여 있는 흙, 모래, 잡초, 나뭇가지, 및 미성숙된 들깨알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들깨 원료를 물에 투입하고 5~15분 동안 교반하여, 먼지, 쭉정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들깨를 원적외선 배전기에 투입하고, 90℃의 온도에서 원적외선을 10분 동안 조사하면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5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5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1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들깨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수분이 제거된 들깨를 배전기 내에서 140℃에서 원적외선을 15분 동안 조사하면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2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7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3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1차로 들깨를 볶았다.
상기 제1차 볶은 들깨를 145℃에서 원적외선을 10분 동안 조사하면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6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7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1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2차로 들깨를 볶았다.
상기 제2차 볶은 들깨를 원적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적외선 배전기를 약 50Hz로 약 6초 동안 고속회전시키는 과정과, 약 20Hz로 약 17초 동안 저속회전시키는 과정을 10회 이상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냉각된 들깨를 압축열이 작용하지 않는 스크류 방식의 엑스펠러를 사용하는 착유기에 투입하고, 순간 압축하여 들깨 유지 성분(들기름)을 얻어내었다.
상기 얻어낸 들깨 유지 성분을 1시간 동안 자연 냉각시킨 다음, 1회 최대 처리 용량 500~800 ㎖인 여과지를 이용하여 2기압 이하의 공압 조건에서 여과를 실시하였다.
(2)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들기름 제조
수확한 파뿌리를 상온의 물에 세척한 후에 3㎜의 크기로 세절하였다.
상기 세절한 파뿌리를 40℃에서 20%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예비건조한 후에, 상기 예비 건조된 파뿌리를 물 1L에 대하여 30㎎의 시트르 을 포함하는 산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산 용액에 침지하였던 세절 파뿌리를 건져낸 후에, 잔여 산 용액을 세절 파뿌리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산처리한 파뿌리를 75℃의 팬에 펴서 3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이후에, 상기 살균한 파뿌리의 수분함량이 2%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였다.
앞서 제조된 들기름 100㎖에 상기 동결건조된 파뿌리 6g을 혼합한 후에, 상기 동결건조된 파뿌리가 혼합된 들기름을 80℃에서 중탕하여,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들기름을 비교예 2로 사용하였으며,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들기름(비교예 2)과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들기름(실시예 2)을 상온에서 한 달동안 보관한 후에, 각각의 산가 및 벤조피렌함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다.
들기름의 산가 및 벤조피렌 함량
시험·검사 항목 시험·검사 기준 시험·검사 결과 판정
산가 5.0이하 1.1 적합
벤조피렌(㎍/㎏) 2.0이하 0.1 적합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들기름의 산가 및 벤조피렌의 함량
시험·검사 항목 시험·검사 기준 시험·검사 결과 판정
산가 3.0이하 1.3 적합
벤조피렌(㎍/㎏) 2.0이하 0.1 적합
비교예 2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지 않은 들기름 산가는 1.1이고, 실시예 2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들기름 산가는 1.3으로 각각의 수치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2의 건조 세절 파뿌리를 포함하는 들기름이 일반 들기름과 동일한 저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a) 농산물을 세척하여, 1~5㎜의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절된 농산물을 20~40℃에서 20~25%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예비건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예비건조된 농산물을 산 용액에 10~24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산 용액에 침지한 농산물을 50~90℃에서 2~4시간 동안 살균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 이후에, 살균된 농산물을 동결건조하여 1~10%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 이후에, 건조된 세절 농산물을 식용유에 혼합하여 40~100℃에서 중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은 파뿌리, 샐러리, 양파, 생강 및 마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는
    (i) 식물성 원료를 원적외선 배전기에 넣고, 상기 원적외선 배전기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면서, 80~100℃에서, 원적외선을 1~30분 동안 조사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
    (ii) 상기 단계 (i)의 건조된 식물성 원료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는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130~150℃의 조건으로 원적외선을 5~60분 동안 조사하여 볶는 제1차 볶음단계;
    (iii) 상기 단계 (ii)의 제1차 볶은 식물성 원료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는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130~160℃의 조건으로 원적외선을 1~30분 동안 조사하여 볶는 제2차 볶음단계;
    (iv) 상기 단계 (iii)의 제2차 볶은 식물성 원료를 2~7초 동안 40~60㎐의 고속회전과 15~20초 동안 15~25㎐의 저속회전을 반복하는 원적외선 배전기에서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v) 상기 단계 (iv)의 실온으로 냉각된 식물성 원료를 착유기를 이용하여 착유하는 단계; 및
    (vi) 상기 단계 (v)의 착유된 식용유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원료는 참깨, 들깨, 검은깨, 대두, 잣, 호박씨, 연꽃씨, 해바라기씨, 오디씨, 현미, 땅콩, 달맞이꽃씨, 유채꽃씨 및 호두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용액은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락트산, 아세트산, 푸마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용액은 100중량부의 물에 대하여 0.001~0.05중량부의 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0중량부의 건조된 세절 농산물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기름 조성물.
KR1020160095855A 2016-07-28 2016-07-28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55A KR101869691B1 (ko) 2016-07-28 2016-07-28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55A KR101869691B1 (ko) 2016-07-28 2016-07-28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951A true KR20180012951A (ko) 2018-02-07
KR101869691B1 KR101869691B1 (ko) 2018-06-21

Family

ID=6120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55A KR101869691B1 (ko) 2016-07-28 2016-07-28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6A1 (ko) * 2019-11-14 2021-05-20 이한음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탈지호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317B1 (ko) * 1990-01-09 1991-09-25 동방유량 주식회사 풍미 식용유의 제조방법
JP2002238489A (ja) * 2001-02-15 2002-08-27 Okuno Chem Ind Co Ltd 野菜の調理方法
KR101618504B1 (ko) * 2015-02-10 2016-05-04 신승아 원적외선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317B1 (ko) * 1990-01-09 1991-09-25 동방유량 주식회사 풍미 식용유의 제조방법
JP2002238489A (ja) * 2001-02-15 2002-08-27 Okuno Chem Ind Co Ltd 野菜の調理方法
KR101618504B1 (ko) * 2015-02-10 2016-05-04 신승아 원적외선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6A1 (ko) * 2019-11-14 2021-05-20 이한음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탈지호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691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547B1 (ko) 훈제 오리의 제조방법
CN1351843A (zh) 利用连续灭菌和干燥工艺卫生地制备干辣椒的方法和装置
KR102311303B1 (ko)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KR20030044159A (ko) 각종 독성분을 제거한 약초 고추장 제조방법
KR101956687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869691B1 (ko) 건조 세절 농산물을 포함하는 조미 기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1538B1 (ko) 마늘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US20190239529A1 (en) Compositions of whole green coffee bean products and whole hemp products
KR102613946B1 (ko) 들깨를 포함하는 컵 스프
KR102284792B1 (ko) 산야초 백숙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산야초 백숙
KR101441323B1 (ko) 토란가공물 및 이를 이용한 토란건강식품
KR101956686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240664B1 (ko) 깻잎 향신료와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2798B1 (ko) 밤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밤 가공 식품
KR101875768B1 (ko) 감 분말을 이용하여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콩나물 제조 방법
KR101778977B1 (ko) 생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2613945B1 (ko) 들깨를 포함하는 파스타 소스
KR102641665B1 (ko)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KR102430515B1 (ko) 쑥과 마늘을 이용한 떡 제조방법
KR102146259B1 (ko) 더덕이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102436413B1 (ko) 비타민c 함량이 개선된 파프리카 분말제조방법
KR20190063528A (ko) 오미자씨유를 함유하는 조미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9667B1 (ko) 피잣 껍질 성분을 이용한 식품잡내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0442A (ko)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RU2408230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