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540A -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540A
KR20180009540A KR1020160091342A KR20160091342A KR20180009540A KR 20180009540 A KR20180009540 A KR 20180009540A KR 1020160091342 A KR1020160091342 A KR 1020160091342A KR 20160091342 A KR20160091342 A KR 20160091342A KR 20180009540 A KR20180009540 A KR 2018000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operation pattern
road
engine braking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084B1 (ko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09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084B1/ko
Priority to CN201710589491.1A priority patent/CN107628031B/zh
Publication of KR2018000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평지 도로나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빗길, 눈길, 오프로드 등에서 가속 페달량이나 엔진 제동량 등을 미리 선택하여 설정해 두고, 주변 상황과 해당 도로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하고,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부; 및 상기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UI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Vehicle driv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user setting patern}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평지 도로나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빗길, 눈길, 오프로드 등에서 가속 페달량이나 엔진 제동량 등을 미리 선택하여 설정해 두고, 주변 상황과 해당 도로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성, 경제성 및 편의성 등을 향상하기 위해 에코 모드(eco mode), 노멀 모드(normal mode) 및 스포츠 모드(sports mode) 등 다양한 운전 모드가 적용되고 있다.
에코 모드는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운전 모드이고, 스포츠 모드는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운전자가 수동 변속기처럼 운전할 수 있게 하여 가속 성능을 증대시키는 운전 모드이다. 노멀 모드는 일반적인 주행 운전 모드이다.
에코 모드는, 연비 극대화를 위한 엑스트라 에코(extra eco) 모드와 일반 에코 모드로 세분화될 수 있다. 엑스트라 에코 모드는, 연비 극대화 모드로서 차량 운전성은 좋지 않더라도 연비만을 생각하는 운전자를 위한 모드이다. 일반 에코 모드는, 연비 최적화된 모드로 중간 정도의 연비 개선 효과가 있는 모드이다.
그런데,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은 각종 센서 등에 의해서 노면의 조건과 차량의 상태를 판단하고, 운전자의 입력을 통하여 변속단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의 변속 의지는 현재 차량의 속도와, 가속 페달을 통한 가속 의지에 의해 변속 시점이 결정되지만, 차량의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운전자의 의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35395호(등록일 : 2005년12월02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평지 도로나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빗길, 눈길, 오프로드 등에서 가속 페달량이나 엔진 제동량 등을 미리 선택하여 설정해 두고, 주변 상황과 해당 도로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하고,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부; 및 상기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UI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정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설정된 엔진 제동량에 따른 기어 단수를 변속하는 기어 변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운전 패턴과 상기 제2 운전 패턴, 상기 제3 운전 패턴, 상기 제4 운전 패턴, 상기 제5 운전 패턴, 상기 제6 운전 패턴 중 하나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구동하는 엔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도로 상태에 대해 평지 도로,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해 빗길, 눈길, 오프로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가속 페달량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엔진 제동량에 대해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기어의 단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평지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1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오르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2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내리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3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빗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4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눈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5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오프로드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6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은, (a) 제어부에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b) UI부에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 단계; (c)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각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d) UI부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e) 제어부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상태에 대해 평지 도로,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해 빗길, 눈길, 오프로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량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엔진 제동량에 대해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기어의 단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평지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1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오르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2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내리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3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빗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4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눈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5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오프로드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6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f) 엔진 구동부가 상기 제1 운전 패턴과 상기 제2 운전 패턴, 상기 제3 운전 패턴, 상기 제4 운전 패턴, 상기 제5 운전 패턴, 상기 제6 운전 패턴 중 하나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설정한대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운전의 재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 의도를 반영한 차량 운행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태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이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되어 저장된 테이블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과 그에 대한 상세 내역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기어 변속부(140) 및 엔진 구동부(150) 등을 포함한다.
UI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장치의 동작 상태, 제어부(130)의 처리 결과 등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해 준다.
UI부(110)는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하고,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다.
저장부(120)는 사용자(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데이터로 저장한다.
제어부(130)는 UI부(110)에 의해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도로 상태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에 대해 제1 운전 패턴 내지 제3 운전 패턴을 설정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에 대해 제4 운전 패턴 내지 제6 운전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로 상태에 대해 평지 도로,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주변 환경에 대해 빗길, 눈길, 오프로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며, 가속 페달량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엔진 제동량에 대해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기어의 단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평지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1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오르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2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내리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3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빗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4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눈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5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오프로드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6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어 변속부(140)는 설정된 엔진 제동량에 따른 기어 단수를 모터를 통해 변속한다.
엔진 구동부(150)는 제1 운전 패턴과 제2 운전 패턴, 제3 운전 패턴, 제4 운전 패턴, 제5 운전 패턴, 제6 운전 패턴 중 하나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구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100)은, 제어부(130)에서 UI부(110)를 통해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한다(S210).
이때, 제어부(130)는, 도로 상태에 대해 평지 도로,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주변 환경에 대해 빗길, 눈길, 오프로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속 페달량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엔진 제동량에 대해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기어의 단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 UI부(110)는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다(S220).
이어, 제어부(130)는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각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한다(S230).
이때,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평지 도로에 대해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각각 2,000 RPM, D단으로 하는 제1 운전 패턴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태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이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되어 저장된 테이블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에 대한 수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르막 도로에 대해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2,300 RPM과 2단으로 하는 제2 운전 패턴을 설정하여 저장하며, 내리막 도로에 대해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1,500 RPM과 1단으로 하는 제3 운전 패턴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날씨 등 환경에 따른 도로 상태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각각 1,800 RPM과 2단으로 하는 제4 운전 패턴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눈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1,500 RPM과 1단으로 하는 제5 운전 패턴을 설정하여 저장하며, 오프로드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2,300 RPM과 3단으로 하는 제6 운전 패턴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어, UI부(110)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한다(S240).
즉, 사용자(운전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전 패턴 내지 제6 운전 패턴 중 제2 운전 패턴을 선택하는 동작에 따라, UI부(110)는 여섯 가지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에 제2 운전 패턴을 선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과 그에 대한 상세 내역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UI부(110)에 의해 제2 운전 패턴이 선택된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2 운전 패턴에 해당하는 도로 상태, 가속 페달량, 엔진 제동량 등을 사용자(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제2 운전 패턴의 상세 내역을 표시해 준다(ⓑ).
이어, 제어부(130)는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한다(S250).
즉, 제어부(130)는 제2 운전 패턴에 해당하는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이 출력되도록 기어 변속부(140)와 엔진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 구동부(150)는 제1 운전 패턴과 제2 운전 패턴, 제3 운전 패턴, 제4 운전 패턴, 제5 운전 패턴, 제6 운전 패턴 중 하나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구동한다(S260).
즉, 엔진 구동부(150)는 제2 운전 패턴에 해당하는 가속 페달량 2,300 RPM이 되도록 엔진의 회전을 구동하는 것이다. 이때, 기어 변속부(140)는 제2 운전 패턴에 해당하는 엔진 제동량이 되도록 기어 변속을 2단으로 변속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운전자)는 차량 제조 회사에서 설정한 운전 패턴이 아니라 오르막 도로나 내리막 도로, 빗길, 눈길, 오프로드 등에서 자신이 설정해 놓은 운전 패턴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평지 도로나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빗길, 눈길, 오프로드 등에서 가속 페달량이나 엔진 제동량 등을 미리 선택하여 설정해 두고, 주변 상황과 해당 도로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
110 : UI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40 : 기어 변속부
150 : 엔진 구동부

Claims (10)

  1. (a) 제어부에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b) 입력부에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 단계;
    (c)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각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입력부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e) 제어부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상태에 대해 평지 도로,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해 빗길, 눈길, 오프로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 페달량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엔진 제동량에 대해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기어의 단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평지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1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오르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2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내리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3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빗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4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눈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5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오프로드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6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f) 엔진 구동부가 상기 제1 운전 패턴과 상기 제2 운전 패턴, 상기 제3 운전 패턴, 상기 제4 운전 패턴, 상기 제5 운전 패턴, 상기 제6 운전 패턴 중 하나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6.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화면 상에 제공하고,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부; 및
    상기 입력받은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UI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도로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른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설정된 엔진 제동량에 따른 기어 단수를 변속하는 기어 변속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 상태에 대해 평지 도로, 오르막 도로, 내리막 도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해 빗길, 눈길, 오프로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가속 페달량에 대해 엔진 회전수(RPM)의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엔진 제동량에 대해 엔진 브레이크를 위한 기어의 단수를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지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1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오르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2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내리막 도로에 대해 설정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3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빗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4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눈길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5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오프로드에 대한 가속 페달량과 엔진 제동량을 제6 운전 패턴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전 패턴과 상기 제2 운전 패턴, 상기 제3 운전 패턴, 상기 제4 운전 패턴, 상기 제5 운전 패턴, 상기 제6 운전 패턴 중 하나의 선택된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구동하는 엔진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시스템.
KR1020160091342A 2016-07-19 2016-07-19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8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42A KR101882084B1 (ko) 2016-07-19 2016-07-19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CN201710589491.1A CN107628031B (zh) 2016-07-19 2017-07-19 基于用户设定驾驶模式的车辆行驶方法及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42A KR101882084B1 (ko) 2016-07-19 2016-07-19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40A true KR20180009540A (ko) 2018-01-29
KR101882084B1 KR101882084B1 (ko) 2018-07-25

Family

ID=6102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42A KR101882084B1 (ko) 2016-07-19 2016-07-19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2084B1 (ko)
CN (1) CN1076280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911A (zh) * 2020-12-18 2021-04-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行车控制方法及车载中控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6619B (zh) * 2018-03-26 2020-03-27 北京小马慧行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系统运行模式自动设置的方法及装置
CN110356415A (zh) * 2018-03-26 2019-10-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及装置
CN109747653B (zh) * 2018-12-27 2021-04-06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及装置
KR102185834B1 (ko) * 2019-05-28 2020-12-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서 운전모드 사용자 변경설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761A (ja) * 2000-11-27 2002-06-07 Honda Motor Co Ltd 車両の運転操作装置
KR100535395B1 (ko) 2003-10-1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패턴 분석장치 및 방법
JP2012046148A (ja) * 2010-08-30 2012-03-08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9531B2 (ja) * 2003-11-20 2010-0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US9341493B2 (en) * 2011-04-18 2016-05-17 Volkswagen A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particularly in a vehicle
US9315187B2 (en) * 2012-06-04 2016-04-19 Inventev, Llc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system
US9007199B2 (en) * 2013-01-29 2015-04-14 Honda Motor Co., Ltd. Drive mode selector
US8843288B1 (en) * 2013-03-14 2014-09-23 Chrysler Group Llc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386976B (zh) * 2013-08-13 2016-01-13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起重机、车辆行驶速度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9360865B2 (en) * 2013-09-20 201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itioning from autonomous vehicle control to driver control
JP2015089801A (ja)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デンソー 運転制御装置
CN105501261B (zh) * 2015-11-24 2018-02-06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恶劣天气下全自动驾驶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761A (ja) * 2000-11-27 2002-06-07 Honda Motor Co Ltd 車両の運転操作装置
KR100535395B1 (ko) 2003-10-1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패턴 분석장치 및 방법
JP2012046148A (ja) * 2010-08-30 2012-03-08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911A (zh) * 2020-12-18 2021-04-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行车控制方法及车载中控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8031A (zh) 2018-01-26
KR101882084B1 (ko) 2018-07-25
CN107628031B (zh)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9540A (ko) 사용자 설정 운전 패턴에 따른 차량 운행 방법 및 그 시스템
JP6294048B2 (ja) 車両におけるギア変更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車両におけるギア変更を制御する方法
RU2681506C1 (ru) Установленное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в установленном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устройстве отображения
US20060015234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transmission control for motor vehicles
KR20160000428A (ko) 차량에서 차량의 작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905115B (zh) 用于减少由机动车辆的发动机使用的燃料量的方法
JP5297647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7326799B2 (ja) 電動車両
JP2009143354A (ja) 車両用制御装置
US11859710B2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a manual shift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6645450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0027989A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2014194254A (ja) 変速指示装置
JP2018130987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10731752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in a motor vehicle for shift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JP6086040B2 (ja) 車両用エンジン回転数表示装置及び車両用エンジン回転数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3074246B (zh) 用于手动变速器的换挡辅助系统
JP5888257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6142944A (ja) 表示装置
JP6070389B2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023173978A (ja) 疑似手動変速式ev車両のシフト装置
JP2006160012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6206649B2 (ja) 車両用エンジン回転数表示装置及び車両用エンジン回転数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961895B1 (ko) 연료의 사용범위 조절 방법
JP588825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