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770A -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770A
KR20180004770A KR1020177035154A KR20177035154A KR20180004770A KR 20180004770 A KR20180004770 A KR 20180004770A KR 1020177035154 A KR1020177035154 A KR 1020177035154A KR 20177035154 A KR20177035154 A KR 20177035154A KR 20180004770 A KR20180004770 A KR 20180004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ass
hour
polymerization
monom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나리 구로카와
유이치 시모코바
마사노리 마츠모토
고헤이 니시노
데츠오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투명성, 내열성, 표면 경도, 내충격성, 색상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45 내지 85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5 내지 45질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 10 내지 30질량%를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 내지 30만이며 또한 2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9% 이상인 스티렌계 공중합체 15 내지 100질량%와, 메타크릴 수지 0 내지 8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과 그의 성형품, 특히 자동차의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에 관한 것이다.
메타크릴 수지는 우수한 투명성, 내후성, 균형이 잡힌 기계적 성질을 갖는 점에서, 폭넓게 투명 사출 성형품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자동차의 투명 부재 등의 높은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메타크릴 수지를 사용한 경우, 내열성이 불충분할 경우가 있다. 내열성의 개량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7-1530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6563호 공보 WO2014/021264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투명성이나 내열성, 표면 경도, 성형성, 내충격성, 외관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그러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 특히 자동차의 미터 패널 투명 커버, 자동차의 반구형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45 내지 85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5 내지 45질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 10 내지 30질량%를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 내지 30만이며 또한 2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9% 이상인 스티렌계 공중합체 (A) 15 내지 100질량%와, 메타크릴 수지 (B) 0 내지 8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kJ/㎡ 이상인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3) 비캣 연화점(하중 50N, 승온 속도 50℃/시간)이 115℃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A) 55 내지 70질량%와, 상기 메타크릴 수지 (B) 30 내지 45질량%를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6) (5)에 기재된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미터 패널 투명 커버.
(7) (5)에 기재된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반구형 렌즈.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은 투명성이나 내열성, 표면 경도, 성형성, 내충격성, 외관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임의의 용도로 적용 가능하고, 특히 자동차 투명 부재용으로 유용하다. 투명성이나 내열성, 표면 경도, 내충격성, 외관 및 미터 패널의 시인성이 우수한 점에서, 내열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미터 패널 투명 커버에 유용하다. 또한 성형성도 우수한 점에서, 내열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반구형 렌즈에도 유용하다.
<용어의 설명>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어 「A 내지 B」라는 기재는, A 이상이고 B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단위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이다.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란,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등이다.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단독이어도 되지만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중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각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메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등의 각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이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단독이어도 되지만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중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는,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아코니트산 무수물 등이다. 이들 중에서도 말레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는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구성 단위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45 내지 85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단위 5 내지 45질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 10 내지 3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50 내지 73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15 내지 35질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 12 내지 25질량%이다.
스티렌계 중합체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가 45질량%보다 적거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가 45질량%를 초과하거나 하면, 황색기가 강해진다. 스티렌계 중합체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가 85질량%를 초과하거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가 5질량%보다 적거나 하면, 표면 경도가 낮아지거나, 흐림도가 높아지거나 한다. 스티렌계 중합체 중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가 10질량%보다 적으면 내열성이 낮아진다. 스티렌계 중합체 중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가 30질량%보다 높아지면, 황색기가 강해지거나, 흐림도가 높아지거나 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만 내지 3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4만 내지 25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만보다 작으면 강도가 낮아지고, 30만을 초과하면 성형성이 나빠진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중합 공정에서의 중합 온도, 중합 개시제의 종류 및 첨가량, 연쇄 이동제의 종류 및 첨가량, 중합 시에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 및 양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고, 하기 기재된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측정값이다.
장치명: SYSTEM-21 Shodex(쇼와 덴꼬사제)
칼럼: PL gel MIXED-B를 3개 직렬
온도: 40℃
검출: 시차 굴절률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농도: 2질량%
검량선: 표준 폴리스티렌(PS)(PL사제)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는 5k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kJ/㎡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는 JIS K7111에 기초하여, 23℃에서 시험편은 80mm×10mm, 두께 4mm의 것을 사용한 측정값이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2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8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ASTM D1003에 기초하여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값을 측정하였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합 양식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용액 중합, 괴상 중합 등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용액 중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에서 사용하는 용제는, 부생성물이 생기기 어렵고, 악영향이 적다는 관점에서 비중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지만, 단량체나 공중합체의 용해도, 용제 회수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첨가량은, 얻어지는 공중합체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질량부이다. 10질량부 이상이면, 반응 속도 및 중합액 점도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적합하고, 100질량부 이하이면, 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얻는 데에 적합하다.
중합 프로세스는 회분식 중합법, 반회분식 중합법, 연속 중합법의 어느 방식이어도 지장 없지만, 원하는 분자량 범위와 투명성을 얻는 데에 회분식 중합법이 적합하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간결 프로세스에 의해 생산성 높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라디칼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1,1-비스(t-부틸퍼옥시)-2-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디쿠밀퍼옥시드, 에틸-3,3-디-(t-부틸퍼옥시)부티레이트 등의 공지된 유기 과산화물이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아조비스메틸프로피오니트릴, 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등의 공지된 아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70 내지 110℃인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중합 시, 공중합 조성 분포가 작아지도록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가 강한 교대 공중합성을 갖는 점에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중합 속도에 대응하도록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를 연속적으로 분첨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중합 속도의 컨트롤에 대해서는, 중합 온도, 중합 시간 및 중합 개시제 첨가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를 연속 분첨하면, 보다 중합 속도를 컨트롤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조성 분포를 작게 함으로써, 내열성과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조성 분포는,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투명성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공중합 조성 분포의 기준으로서,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한 2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범위인 10만 내지 30만인 공중합체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중합 온도, 중합 시간 및 중합 개시제 첨가량의 조정에 더하여, 용제 첨가량 및 연쇄 이동제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이나 2,4-디페닐-4-메틸-1-펜텐 등의 공지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액으로부터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탈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액을 2축 탈휘 압출기에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중합 용제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용제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포함하는 탈휘 성분은, 콘덴서 등을 사용하여 응축시켜서 회수하고, 응축액을 증류탑에서 정제함으로써, 중합 용제는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메타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용융 혼련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융 혼련 장치로서는, 단축 압출기, 맞물림형 동일 방향 회전 또는 맞물림형 다른 방향 회전 2축 압출기, 비 또는 불완전 맞물림형 2축 압출기 등의 스크루 압출기, 밴버리 믹서, 코니더 및 혼합 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메타크릴 수지 (B)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갖는 중합체이고,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추가로 스티렌계 단량체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 단위는 20질량% 이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 공중합체 (A) 15 내지 100질량%와, 메타크릴 수지 (B) 0 내지 85질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A) 25 내지 100질량%와, 메타크릴 수지 (B) 0 내지 75질량%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A) 55 내지 70질량과, 메타크릴 수지 (B) 30 내지 45질량%를 포함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의 비율이 70질량% 이하인 경우에 성형품의 투명성, 흐림도, 내열성, 색상, 내충격성이 특히 양호해진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의 비율이 65질량% 이하인 경우에 성형품의 투명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더욱 양호해지고, 표면 경도가 특히 높아진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의 비율이 55질량% 이상인 경우에,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이 특히 높아진다.
수지 조성물 중의 메타크릴 수지 (B)가 85질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낮아진다.
수지 조성물 중의 메타크릴 수지 (B)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괴상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 장치의 조작법으로서는 연속식, 배치식(회분식), 반회분식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품질면이나 생산성의 면에서,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고, 연속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및 크실렌 등의 알킬벤젠류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이나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헥산이나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트산부틸, 메탄올, 에탄올 등이 있다. 용매는 에틸벤젠,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 중의 메타크릴 수지 (B)의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에서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고, 중합 온도는 100 내지 1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1,1-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2,2-디(t-부틸퍼옥시)부탄, 2,2-디(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1,1-디(t-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등의 퍼옥시 케탈류, 쿠멘히드로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등의 히드로퍼옥시드류,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알킬퍼옥시드류, t-부틸쿠밀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디쿠밀퍼옥시드, 디-t-헥실퍼옥시드 등의 디알킬퍼옥시드류,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에스테르류,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폴리에테르테트라키스(t-부틸퍼옥시 카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카르보네이트류, N,N'-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N,N'-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N,N'-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N,N'-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등이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연쇄 이동제는, 예를 들어 n-옥틸머캅탄,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α-메틸스티렌 이량체, 티오글리콜산에틸, 리모넨, 테르피놀렌 등이 있다.
수지 조성물 중의 메타크릴 수지 (B)의 중합 종료 후의 용액으로부터, 미반응된 단량체나 용액 중합에 사용한 용매 등의 휘발 성분을 제거하는 탈휘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열기가 딸린 진공 탈휘조나 벤트가 딸린 탈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탈휘된 용융 상태의 메타크릴 수지 (B)는 조립(造粒) 공정으로 이송되어, 다공 다이로부터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되고, 콜드 컷 방식이나 공중 핫 커트 방식, 수중 핫 커트 방식으로 펠릿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이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안료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나 내열성, 성형성, 표면 경도, 내충격성, 외관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의 성형품은 자동차용 투명 부재에 적합하고, 특히 자동차의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에 적합하다. 또한, 각종 렌즈(자동차 등 차량용 램프 렌즈, LED 조명용 렌즈,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 렌즈 등), 조명 커버, 기타 자동차용 투명 부재 등에도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1)의 제조예>
말레산 무수물이 20질량% 농도가 되도록 메틸이소부틸케톤에 용해시킨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과,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가 2질량%가 되도록 메틸이소부틸케톤에 희석한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사전에 제조하고, 중합에 사용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 3.0kg, 스티렌 24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kg, t-도데실머캅탄 2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98℃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98℃를 유지하면서, 20%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 개시 4시간째까지가 3.38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2.7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1.35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45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27.02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24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39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4.02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98℃를 유지하고, 그 후 3℃/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16℃까지 승온하고, 또한 116℃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1)을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1)을 C-13NMR법에 의해 조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사제 IS-50EPN)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세로 90mm, 가로 55mm, 두께 2mm의 경면 플레이트를 사출 성형하고, ASTM D1003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닛본 덴쇼꾸 고교사제 NDH-1001DP형)를 사용하여 2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80mm×10mm, 두께 4mm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JIS K7111에 기초하여, 23℃에서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조성 분석 결과 및 각종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2)의 제조예>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a-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 3.8kg, 스티렌 21.6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8kg, t-도데실머캅탄 2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96℃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96℃를 유지하면서, 20%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 개시 4시간째까지가 4.28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3.42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1.71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57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34.22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24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39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4.02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96℃를 유지하고, 그 후 4℃/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20℃까지 승온하고, 또한 120℃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 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2)를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2)에 대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과 동일하게 조성 분석, 분자량,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3)의 제조예>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a-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 3.0kg, 스티렌 24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kg, t-도데실머캅탄 8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98℃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98℃를 유지하면서, 20%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 개시 4시간째까지가 3.38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2.7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1.35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45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27.02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24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39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4.02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98℃를 유지하고, 그 후 3℃/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16℃까지 승온하고, 또한 116℃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3)을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3)에 대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과 동일하게 조성 분석, 분자량,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4)의 제조예>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a-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 3.0kg, 스티렌 8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6kg, t-도데실머캅탄 2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90℃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90℃를 유지하면서, 20%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 개시 4시간째까지가 3.04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2.7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1.35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9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27.01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09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15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1.53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90℃를 유지하고, 그 후 5℃/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20℃까지 승온하고, 또한 120℃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4)를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4)에 대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과 동일하게 조성 분석, 분자량,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5)의 제조예>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a-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 2.8kg, 스티렌 32.8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6kg, t-도데실머캅탄 2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98℃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98℃를 유지하면서, 20%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20%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 개시 4시간째까지가 2.84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2.52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1.26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84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25.22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3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48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4.98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98℃를 유지하고, 그 후 3℃/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16℃까지 승온하고, 또한 116℃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5)를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5)에 대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과 동일하게 조성 분석, 분자량,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6)의 제조예>
말레산 무수물이 8질량% 농도가 되도록 메틸이소부틸케톤에 용해시킨 8% 말레산 무수물 용액을 조정하고,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a-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8% 말레산 무수물 용액 2.5kg, 스티렌 26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kg, t-도데실머캅탄 2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102℃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102℃를 유지하면서, 8%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8%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부 개시 4시간째까지가 2.53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1.88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1.5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75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22.51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36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58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6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102℃를 유지하고, 그 후 3℃/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20℃까지 승온하고, 또한 120℃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6)을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6)에 대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과 동일하게 조성 분석, 분자량,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a-7)의 제조예>
말레산 무수물이 25질량% 농도가 되도록 메틸이소부틸케톤에 용해시킨 25% 말레산 무수물 용액을 조정하고,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a-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교반기를 구비한 120리터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25% 말레산 무수물 용액 6.08kg, 스티렌 20k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8kg, t-도데실머캅탄 20g을 투입하고, 기상부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40분에 걸쳐 90℃까지 승온하였다. 승온 후 90℃를 유지하면서, 25% 말레산 무수 용액과,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을 각각 연속적으로 분첨 개시하였다. 25% 말레산 무수물 용액은, 분첨 개시 4시간째까지가 6.16kg/시, 4시간째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5.48kg/시, 7시간째로부터 10시간째까지가 2.74kg/시, 10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1.82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54.76kg 첨가하였다. 2%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용액은,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가 0.06kg/시, 7시간째로부터 13시간째까지가 0.1kg/시의 분첨 속도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분첨 속도를 바꾸고, 합계로 1.02kg 첨가하였다. 중합 온도는, 분첨 개시로부터 7시간째까지는 90℃를 유지하고, 그 후 5℃/시의 승온 속도로 6시간에 걸쳐 120℃까지 승온하고, 또한 120℃를 1시간 유지하여 중합을 종료시켰다. 중합액은, 기어 펌프를 사용하여 2축 탈휘 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피드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미량의 미반응 단량체 등을 탈휘 처리하고,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여 절단함으로써 펠릿 형상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a-7)을 얻었다. 얻어진 스티렌계 공중합체 (a-7)에 대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과 동일하게 조성 분석, 분자량, 2mm 두께 경면 플레이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메타크릴 수지 (B)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아크리페트 VH001(미쯔비시 레이온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비교예>
상기 제조예에서 기재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a-1) 내지 (a-7)과 메타크릴 수지 (B)를 표 2에 나타낸 비율(질량%)로 헨쉘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도시바 기까이사제 TEM-35B)에서, 실린더 온도 240℃에서 용융 혼련하고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8,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6, 비교예 7 및 비교예 9는, (A) 또는 (B)의 단일 성분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pct00002
(Haze(흐림도), 색상)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사제 IS-50EPN)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성형된 세로 90mm, 가로 55mm, 두께 2mm의 경면 플레이트를, ASTM D1003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닛본 덴쇼꾸 고교사제 NDH-1001DP형)를 사용하여 Haze를 측정하였다. 또한, 색상은, JIS K7105에 준거하여 자외선 가시 분광 광도계(니혼분코 가부시끼가이샤제 V-670)를 사용하여 YI값을 측정하였다.
(내열성)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제 IS-50EPN)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성형된 10mm×10mm, 두께 4mm의 시험편을, JIS K7206:1999에 기초하여, 도요 세끼 세이사꾸쇼제 HDT&VSPT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비캣 연화점(하중 50N, 승온 속도 50℃/시간)을 측정하였다.
(내충격성)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제 IS-50EPN)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성형된 80mm×10mm, 두께 4mm의 시험편을, JIS K7111에 기초하여,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치수 안정성)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제 EC550SX)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세로 200mm, 가로 60mm, 두께 2mm의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이 성형품을 사용하여, 온도 85℃, 습도 85%, 시간 1000h의 조건 하에서의 내구 시험을 실시하고, 시험 전과 시험 후의 치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치수 변화율={(시험 전의 세로 치수-시험 후의 세로 치수)의 절댓값/시험 전의 세로 치수}×100
평가 기준은 이하대로 하고, ◎과 ○를 합격으로 하였다.
◎: 치수 변화율 0.2% 미만
○: 치수 변화율 0.2% 이상 내지 0.25% 미만
△: 치수 변화율 0.25% 이상 내지 0.35% 미만
×: 치수 변화율 0.35% 이상
(표면 경도)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제 EC550SX)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두께 2mm의 미터 패널 투명 커버를 성형하였다. 이 성형품을 사용하여 연필 경도(하중 750g, 각도 45°)를 측정하였다. H 이상(특히 H 내지 3H)은 양호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측정기는 연필 긁기 경도 시험기(코테크사제 KT-VF2380)를 사용하였다.
(시인성)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제 EC550SX)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성형된 두께 2mm의 미터 패널 투명 커버를 통하여 본 미터 패널의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미터 패널의 시인성 양호
×: 미터 패널의 시인성 불량
(외관)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까이제 EC550SX)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의 성형 조건에서 성형된 직경 80mm의 반구형 렌즈 30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착색, 기포, 버닝 오염, 파티클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한 샘플수를 셈으로써, 외관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외관 불량의 샘플수가 0 내지 1개
×: 외관 불량의 샘플수가 2개 이상
본 발명의 공중합체 (a-1) 내지 (a-2)와 메타크릴 수지 (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실시예는, 모두 투명성, 내열성, 표면 경도, 내충격성, 색상이 양호하고, 미터 패널의 시인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성형성이 양호하여 반구형 렌즈의 외관도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건에 맞지 않는 공중합체 (a-3) 내지 (a-7)과 메타크릴 수지 (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비교예에서는, 실시예에 비하여, 어느 것의 물성에 있어서 떨어진 것이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투명성, 내열성, 표면 경도, 내충격성, 색상이 우수한 성형품, 예를 들어 자동차 투명 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에 적합하다.

Claims (7)

  1.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45 내지 85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5 내지 45질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 10 내지 30질량%를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 내지 30만이며 또한 2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9% 이상인 스티렌계 공중합체 (A) 15 내지 100질량%와, 메타크릴 수지 (B) 0 내지 8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노치 없음 샤르피 충격 강도가 10kJ/㎡ 이상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캣 연화점(하중 50N, 승온 속도 50℃/시간)이 115℃ 이상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A) 55 내지 70질량%와, 상기 메타크릴 수지 (B) 30 내지 4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기재된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미터 패널 투명 커버.
  7. 제5항에 기재된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반구형 렌즈.
KR1020177035154A 2015-05-11 2016-05-10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 KR20180004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6415 2015-05-11
JP2015096415 2015-05-11
PCT/JP2016/063872 WO2016181963A1 (ja) 2015-05-11 2016-05-10 樹脂組成物、自動車透明部材用樹脂組成物、メーターパネル透明カバー、半球型レン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770A true KR20180004770A (ko) 2018-01-12

Family

ID=5724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154A KR20180004770A (ko) 2015-05-11 2016-05-10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96357B1 (ko)
JP (1) JP6691111B2 (ko)
KR (1) KR20180004770A (ko)
CN (1) CN107960084B (ko)
TW (1) TWI695032B (ko)
WO (1) WO2016181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7400B2 (ja) * 2016-05-31 2020-06-10 Psジャパン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シート及び成形品、並びにスチレン系樹脂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415A (en) * 1985-05-10 1987-12-15 Monsanto Company Rubber modified nylon composition
EP2881407B1 (en) * 2012-07-30 2017-12-06 Denka Company Limite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copolymer for improving heat resistance
JP6568687B2 (ja) * 2012-07-30 2019-08-28 デンカ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用共重合体
ES2640362T3 (es) * 2012-10-22 2017-11-02 Denka Company Limited Composición de resina de vinilo aromático-cianuro de vinilo con termorresistencia mejorada
JP6166058B2 (ja) * 2013-02-20 2017-07-19 デンカ株式会社 導光板
CN106574015B (zh) * 2014-08-11 2019-04-26 电化株式会社 适于提高甲基丙烯酸类树脂的耐热性的共聚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60084A (zh) 2018-04-24
JPWO2016181963A1 (ja) 2018-03-01
TW201704324A (zh) 2017-02-01
JP6691111B2 (ja) 2020-04-28
EP3296357A1 (en) 2018-03-21
TWI695032B (zh) 2020-06-01
EP3296357A4 (en) 2018-03-28
WO2016181963A1 (ja) 2016-11-17
EP3296357B1 (en) 2019-07-03
CN107960084B (zh)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9181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用部材
JP6055832B2 (ja) メタクリル樹脂耐熱性向上用の共重合体
TWI440646B (zh) 丙烯酸系熱可塑性樹脂及其成形體
JP6228126B2 (ja) 芳香族ビニル−シアン化ビニル系樹脂耐熱性向上用の共重合体
KR101639832B1 (ko)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내열성 수지 조성물
JP6148802B1 (ja) メタ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CN111225929B (zh) 马来酰亚胺系共聚物、其制造方法以及使用马来酰亚胺系共聚物的树脂组合物
JP6166058B2 (ja) 導光板
JP6587620B2 (ja) メタクリル樹脂の耐熱性向上に適した共重合体
JP2012208136A (ja) 光学成形体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光学成形体
KR20180004770A (ko) 수지 조성물, 자동차 투명 부재용 수지 조성물, 미터 패널 투명 커버, 반구형 렌즈
KR20180088662A (ko) 투명한 고내열성 스티렌계 공중합체
JP6058420B2 (ja) 導光板
WO2005070978A1 (ja) 光学用樹脂材料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光学プリズム又はレンズ
JP2007224221A (ja) 光学用成形体
JPWO2018084068A1 (ja) 加飾フィルム
JP74929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00060922A (ko) 내화학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TW201443129A (zh) 玻璃強化樹脂組合物
KR20180011140A (ko) 투명한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224130A (ja) 光学用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