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223A -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 Google Patents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223A
KR20180004223A KR1020177034990A KR20177034990A KR20180004223A KR 20180004223 A KR20180004223 A KR 20180004223A KR 1020177034990 A KR1020177034990 A KR 1020177034990A KR 20177034990 A KR20177034990 A KR 20177034990A KR 20180004223 A KR20180004223 A KR 2018000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mponent
resin composition
laminate
adhes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374B1 (ko
Inventor
요시히로 젠뇨지
Original Assignee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7/0257
    • C09J7/028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1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7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cryl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undling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습열성, 특히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도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고정격 온도 예를 들면, UL의 정격 온도 125℃의 인증을, 가교 공정 없이 얻을 수 있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A)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30∼70 질량%;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60 질량%; 및 (C) 에틸렌과 초산비닐, 메타크릴산 알킬, 및 아크릴산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체 2∼20 질량%;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은 100 질량%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본 발명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습열성(耐濕熱性)이 우수하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배열시킨 복수의 도체를, 절연 기재(基材) 필름과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을 갖는 적층체 등에 의해 끼워 지지하여 피복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다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컴퓨터, 화상표시장치, 휴대전화, 프린터, 카 내비게이션, 및 복사기 등의 전자기기의 배선에 사용되고 있다. 근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밀리파 레이더 및 차재 카메라 등의 자동차 바깥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취반기, 전자 핫 워터 디스펜서, 및 전자레인지 등의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의 고온다습한 환경이 상정되는 용도에도 사용되게 되고 있다. 그런데,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것에서는, 내습열성이 불충분하여, 고온다습한 환경하에서 사용되면, 적층체가 도체로부터 벗겨지고, 심하게는 도체가 노출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음을 알았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는 「필름상 기재, 앵커코트층 및 히트 시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용 피복재로서, 상기 히트 시일층이 필러 성분과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러 성분이 주성분으로서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성분이 주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가, 상기 필러 성분과 수지 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0.5∼10 질량%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피복재.」가 제안되고, 온도 85℃, 습도 85%RH에서 500시간 보존 후의 도체 밀착 강도, 및 절곡(折曲) 보존 시험의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보존 후 도체 밀착 강도는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더욱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 종래, 고정격(高定格) 온도의 규격에 적합하게 하는/인증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선 조사 가교나 수(水) 가교 등의 가교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생산성이나 코스트의 면에서 가교 공정 없이 고정격 온도의 규격에 적합하게 하는/인증을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13-25470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내습열성, 특히,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도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가교 공정 없이 고정격 온도의 규격에 적합하게 하는/인증을 얻을 수 있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A) 산(酸)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70 질량%;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60 질량%; 및
(C) 에틸렌과 초산(酢酸)비닐, 메타크릴산 알킬, 및 아크릴산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체 2∼25 질량%;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은 100 질량%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을 100 질량부로 하고, 추가로, (D) 난연제 10∼300 질량부를 포함하는 제 1 발명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제 4 발명은,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의 위에,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도료로 이루어지는 앵커코트, 및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실란커플링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 4 발명에 기재한 적층체이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다.
제 7 발명은, 제 3 ∼ 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도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가교 공정 없이 고정격 온도의 규격에 적합하게 하는/인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UL의 정격 온도 125℃의 인증을 얻는 것도 가교 공정 없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밀리파 레이더, 및 차재 카메라 등의 자동차 바깥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취반기, 전자 핫 워터 디스펜서, 및 전자레인지 등의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이 상정되는 전자기기의 배선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의 개념도이다.
1. 접착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A)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C)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D) 난연제를 포함한다.
(A)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상기 성분 (A)는,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도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성분 (A)는, 불포화 카르본산이나 불포화 카르본산 유도체가 그래프트(이하, 「산 변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산 변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성분 (B)와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상기 성분 (A)의 산 변성량(그래프트되어 있는 불포화 카르본산이나 불포화 카르본산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은 그래프트되어 있는 불포화 카르본산이나 불포화 카르본산 유도체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예를 들면, 무수말레인산의 경우에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몰% 이상이다. 한편, 제막(製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몰% 이하이다.
상기 성분 (A)의 JIS K 7210:1999에 준거하고, 190℃, 21.18N의 조건에서 측정한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A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g/1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g/1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g/10분 이상이다. 한편,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g/1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g/10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10분 이하이다.
상기 성분 (A)의 융점은, 보다 높은 정격 온도의 규격에 가교 공정 없이 적합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융점의 상한은 특별히 없고,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기 때문에, 통상 입수 가능한 것은 높아도 겨우 168℃ 정도일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융점은, 가부시키가이샤 퍼킨엘머 재팬의 Diamond DSC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며, 230℃에서 5분간 유지하고, 10℃/분으로 -10℃까지 냉각하고, -10℃에서 5분간 유지하고, 10℃/분으로 230℃까지 승온하는 프로그램으로 측정되는 세컨드 융해 곡선(마지막 승온 과정에서 측정되는 융해 곡선)에 있어서, 가장 높은 온도측의 피크 톱 융점이다.
상기 성분 (A)의 배합량은,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을 100 질량%로 하고, 접착성과 제막성의 관점에서, 20∼70 질량%, 바람직하게는 32∼45 질량%이다.
상기 성분 (A)를 생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p)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 (q) 불포화 카르본산, 및 불포화 카르본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05∼5 질량부; 및 (r) 유기과산화물 0.05∼5 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고, 상기 성분 (p)에 상기 성분 (q)를 그래프트시킴으로써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은, 성분 (q) 및 성분 (r)이 완전히 반응하여, 생산되는 성분 (A) 중에 미반응인 채로 잔존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성분 (r)의 1분 반감기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1분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r)의 1분 반감기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2분간 이상 실시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소량의 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 -1-펜텐 등)과의 공중합체(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p)의 융점은, 보다 높은 정격 온도의 규격에 가교 공정 없이 적합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융점의 상한은 특별히 없고,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기 때문에, 통상 입수 가능한 것은 높아도 겨우 167℃ 정도일 것이다. 융점의 정의 및 측정 방법은 상술했다. 이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고(高)입체규칙성(아이소택틱펜타드 분율이, 통상 96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p)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으로는, 예를 들면,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의 유도체로는, 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말레인산 디에스테르, 무수말레인산,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이타콘산 디에스테르,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 푸마르산 디에스테르, 무수푸마르산, 아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산 알킬, 및 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q)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무수 말레인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q)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q)의 배합량은, 상기 (p)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접착성의 관점에서, 0.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다. 또 산 변성 시에 성분 (q)가 생산되는 상기 성분 (A) 중에 미반응인 채로 잔존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유기과산화물로는, 예를 들면,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4-비스(ter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er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r)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신-3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r)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r)의 배합량은, 상기 (p)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접착성의 관점에서, 0.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다. 또 산 변성 시의 용융 점도 저하를 제어하는 관점에서, 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이다.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상기 성분 (B)는,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제막성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성분 (B)의 배합량은,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을 100 질량%로 하고, 접착성과 제막성의 관점에서, 20∼60 질량%, 바람직하게는 45∼58 질량%이다.
상기 성분 (B)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소량의 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등)과의 공중합체(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B)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B)의 JIS K 7210:1999에 준거하고, 230℃, 21.18N의 조건에서 측정한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B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g/1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g/10분 이상이다. 한편, 용융 점도 저하를 제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g/1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g/10분 이하이다.
상기 성분 (B)의 융점은, 보다 높은 정격 온도의 규격에 가교 공정 없이 적합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융점의 상한은 특별히 없고,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기 때문에, 통상 입수 가능한 것은 높아도 겨우 167℃ 정도일 것이다. 융점의 정의 및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했다.
(C) 에틸렌과 초산비닐, 메타크릴산 알킬 , 및 아크릴산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체:
상기 성분 (C)는, 에틸렌과 초산비닐;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산 부틸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 및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및 아크릴산 부틸 등의 아크릴산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성분 (C)는,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도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성분 (D) 난연제를 포함하는 작용을 한다. 또 상기 코모노머는, -COO 구조를 갖고 있고, 연소 시에 탈카르복실 반응(탈탄산 반응)을 일으켜서 난연성을 보조하는 작용도 한다.
이들 중에서, 접착성의 관점에서, 에틸렌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C)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C)의 배합량은,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을 100 질량%로 하고, 상기 성분 (D)의 포함성(包含性)의 관점에서, 2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이다. 한편, 보다 높은 정격 온도의 규격에 가교 공정 없이 적합하게 하는 관점에서, 25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6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C)의 상기 코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하, 「코모노머 함량」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은, 도체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다. 한편,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C)의 JIS K 7210:1999에 준거하고, 190℃, 21.18N의 조건에서 측정한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C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g/1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g/10분 이상이다. 보다 낮은 라미네이트 온도로 도체 밀착 강도를 얻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3g/10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g/10분 이상이다. 한편, 용융 점도 저하를 제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g/10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g/10분 이하이다.
(D) 난연제 :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난연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 (D)를 추가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D)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난연제를,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그 수지 조성물에 통상 이용되는 난연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D)로는, 예를 들면, 안티몬계 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금속수산화물, 아연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함질소(含窒素)화합물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티몬계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삼산화이안티몬, 오산화이안티몬, 삼염화안티몬, 붕산안티몬, 및 몰리브덴산안티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계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1,2-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 펜타브로모디페닐에테르, 옥타브로모디페닐에테르,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에탄, 폴리(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카보네이트 올리고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에폭시 올리고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비스(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취소화(臭素化)폴리스티렌, 및 헥사브로모벤젠 등의 취소계 난연제; 염소화 파라핀, 염소화 폴리페닐, 및 퍼클로로펜타시클로데칸 등의 염소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수산화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연계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주석산 아연 및 붕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트리네오펜틸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포스페이트, 트리(부틸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화페닐)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포스페이트, t-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유기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기인산 에스테르의 2분자 또는 3분자 이상이 축합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축합 유기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유기인산 에스테르 또는 축합 유기인산 에스테르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취소 원자로 치환된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스(트리브로모네오펜틸)포스페이트 등의 취소화 유기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유기인산 에스테르 또는 축합 유기인산 에스테르의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염소 원자로 치환된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스(2,3-디클로로 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의 염소화 유기인산 에스테르계 난연제; 폴리인산 암모늄계 난연제; 및 적린 등의 무기인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함질소화합물계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시아누레이트계 난연제; 트리아진계 난연제; 및 구아니딘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D)로는 이들의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D)의 배합량은,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을 100 질량부로 하고, 난연성의 관점에서, 통상 10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이다. 또 유연성, 내절곡성의 관점에서, 통상 3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상기 성분 (A)∼(D) 이외의 성분, 예를 들면, 상기 성분 (A)∼(C)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안료, 무기필러, 유기필러, 수지필러; 활제(滑劑),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열 안정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 (A)∼(C), 및 상기 성분 (D) 등의 소망에 따라 이용하는 임의 성분을, 임의의 용융 혼련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용융 혼련기로는, 가압니더나 믹서 등의 배치(batch) 혼련기; 1축 압출(押出)기, 동(同)방향 회전 2축 압출기, 및 이(異)방향 회전 2축 압출기 등의 압출 혼련기; 캘린더롤 혼련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얻어진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임의의 방법으로 펠릿화할 수 있다. 상기 펠릿화는 핫 컷, 스트랜드 컷, 및 언더 워터 컷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2. 적층체 :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의 위에,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도료로 이루어지는 앵커코트층, 및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이 순서로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를 들면, 임의의 수지 필름의 한쪽 면의 위에, 직접, 또는 앵커코트층 등을 개재하여,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예를 들면, 임의의 수지 필름의 원료 수지와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임의의 공압출(共押出) 장치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는 방법; 각각의 필름을 임의의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얻은 후, 양자를 드라이 라미네이트 또는 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및, 임의의 수지 필름을 기재로 하여,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는 압출 라미네이트 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및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로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아세틸셀룰로오스 부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함불소계 수지; 기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술폰, 및 폴리에테르 술폰; 등의 수지, 및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혼합물, 그리고 이들의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필름은, 무연신 필름, 1축 연신 필름, 및 2축 연신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필름은, 이들 필름의 1종 이상을 2층 이상 적층한 적층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 필름으로는, 이들 중에서 내열성이 높은 것, 예를 들면,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폴리페닐렌 술파이드계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계 수지 필름, 아미드계 수지 필름, 및 폴리에테르 술폰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코트층의 형성용 도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아크릴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등의 공지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도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도료는, 실란커플링제를 주로(고형분으로서 통상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도료이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가수분해성 기(基)(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아세톡시기 등의 아실옥시기; 클로로기 등의 할로겐기; 등), 및 유기 관능기(예를 들면, 아미노기, 비닐기, 에폭시기, 메타크릴록시기, 아크릴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적어도 2종류의 다른 반응성 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이다. 이들 중에서,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과의 접착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로는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앵커코트층 형성용 도료를 이용하여 앵커코트를 형성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웹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및 다이 코팅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임의의 희석 용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초산n부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초산에틸, 및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앵커코트층 형성용 도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서,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내광성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착색제, 적외선 차폐제, 레벨링제, 칙소성 부여제, 및 필러 등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시켜도 된다.
앵커코트층의 건조 두께는, 통상 0.01∼5㎛ 정도, 바람직하게는 0.03∼1㎛이다.
3.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나, 본 발명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예를 들면,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의 위에,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도료로 이루어지는 앵커코트층, 및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이 순서로 갖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2롤 이용하고, 폭 0.6∼1.7mm, 두께 0.035∼2mm 정도의 연동선(軟銅線), 주석 도금 연동선, 및 니켈 도금 연동선 등의 도체를 1∼30가닥 정도 배열시킨 것을, 한쪽의 상기 적층체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과 다른 쪽의 상기 적층체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으로 끼워 지지하고, 온도 130∼200 ℃로 예열된 가압(押壓) 롤과 온도 130∼200℃로 예열된 받침 롤로 가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가) 제막성:
700mm 폭 T 다이, 압출기, 및 닙 방식의 당겨 감는(引卷取) 장치를 구비하는 제막 장치를 사용하고, 다이 출구 수지 온도 210℃의 조건에서 두께 50㎛의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 중앙에서부터 오른쪽 50mm, 중앙에서부터 오른쪽 100mm, 중앙에서부터 왼쪽 50mm, 중앙에서부터 왼쪽 100mm의 5개소에 대해서, 머신 방향으로 50m 자리에 5개소인 총 25개소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제막할 수 없었던 것에 대해서는 이하의 평가를 생략했다.
◎: 두께의 불균일은 ±5% 이하이다.
○: 두께의 불균일은 ±5% 이상을 넘지만, ±10% 이하이다.
△: 두께의 불균일은 ±10%를 넘는다.
×: 제막할 수 없었다.
(나) 접착력 1(도체 접착력):
적층체로부터 그 머신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폭 50mm, 길이 150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그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의 위에, 도체 폭 0.7mm, 두께 0.035mm의 주석 도금 연동선을, 해당 동선(銅線)의 길이 방향과 상기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도록 두고,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며, 모두 온도 190℃로 예열된 금속판과 실리콘 고무 시트로, 이것을 상기 동선측이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측이 되도록 끼워, 압력 0.3MPa, 시간 8초의 조건에서 가압했다. 상기에서 얻은 샘플의 상기 시험편과 상기 동선과의 접착 강도를, 시험 속도 100mm/분의 조건에서 180도 박리를 행하여 측정했다.
(다) 접착력 2(습열 후의 도체 접착력):
상기 시험 (나)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샘플을 온도 85℃, 상대습도 85%로 설정한 항온항습조 중에서 1000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시험 (나)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험편과 상기 동선과의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라) 접착력 3(내열 후의 도체 접착력):
상기 시험 (나)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샘플을 온도 151℃로 설정한 기어 오븐에 넣어 168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시험 (나)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험편과 상기 동선과의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마) 접착력 4(접착제끼리의 접착력):
적층체로부터 그 머신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폭 50mm, 길이 150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그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끼리를 마주보게 하여 겹친 것을, 모두 온도 190℃로 예열된 금속판과 실리콘 고무 시트로, 압력 0.3MPa, 시간 2초의 조건에서 가압했다. 상기에서 얻은 샘플의 접착 강도를, 시험 속도 100mm/분의 조건으로 T자 박리를 행하여 측정했다. 또한 표 중의 「재파(材破)」란, 적층체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찢어진 것을 의미한다. 「PET」란,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층과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과의 계면에서 박리한 것을 의미한다.
(바) 접착력 5(습열 후의 접착제끼리의 접착력):
상기 시험 (마)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샘플을 온도 85℃, 상대습도 85%로 설정한 항온항습조 중에서 1000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시험 (마)와 마찬가지로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사) 접착력 6(내열 후의 접착제끼리의 접착력):
상기 시험 (마)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샘플을 온도 151℃로 설정한 기어 오븐에 넣어 168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시험 (마)와 마찬가지로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아) 난연성: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장치를 사용하고, 적층체를 2롤 이용하여, 도체 폭 0.7mm, 두께 0.035mm의 주석 도금 연동선을 8가닥 배열시킨 것을, 한쪽의 상기 적층체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과 다른 쪽의 상기 적층체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층으로 끼워 지지하고, 온도 190℃로 예열된 가압 롤과 온도 190℃로 예열된 받침 롤로 가압함으로써, 폭 25mm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얻었다. 얻어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대해서, UL1581의 1080 VW-1 연소 시험에 따라 평가했다.
(자) 내열성:
상기 시험 (아)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부터 길이 15cm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주석 도금 연동선의 긴쪽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각 변이 5cm인 꾸불꾸불하게 접은 것(Z자상으로 접음)으로 하고, 그 접은 곳을 클립에 의해 홀딩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상기에서 얻은 시험편을 온도 151℃로 설정한 기어 오븐에 넣어 168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시험편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는다. 또 접착제의 응집 파괴도 인지되지 않는다.
△: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지만, 접착제의 일부에 응집 파괴가 인지되었다.
×: 어느 층간에서 계면 박리가 인지되었다.
(차) 내습열성:
상기 시험 (자)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시험편을 온도 85℃, 상대습도 85%로 설정한 항온항습조 중에서 1000시간 처리한 후, 상기 시험편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는다. 또 접착제의 응집 파괴도 인지되지 않는다.
△: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지만, 접착제의 일부에 응집 파괴가 인지되었다.
×: 어느 층간에서 계면 박리가 인지되었다.
(카) 내(耐)히트 사이클:
상기 시험 (자)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시험편을, 항온조 중에서, 온도 -40℃로 30분간 처리한 후, 온도 125℃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온도 -40℃까지 냉각하는 사이클을 1 사이클로 하여, 500 사이클 처리한 후, 상기 시험편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는다. 또 접착제의 응집 파괴도 인지되지 않는다.
△: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지만, 접착제의 일부에 응집 파괴가 인지되었다.
×: 어느 층간에서 계면 박리가 인지되었다.
(타) 내한성:
상기 시험 (아)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40도로 설정한 항온 시험실 내에 24시간 방치한 후, 그 실내에서, 접은 곳이 상기 케이블의 머신 방향이 되도록 둘로 접어 상기 시험편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마찬가지로 접은 곳이 상기 케이블의 폭 방향이 되도록 둘로 접어 상기 시험편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어느 경우에도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는다. 또 접착제의 응집 파괴도 인지되지 않는다.
△: 어느 경우에도 계면 박리는 인지되지 않지만, 적어도 어느 경우에 접착제의 일부에 응집 파괴가 인지되었다.
×: 적어도 어느 경우에, 어느 층간에서 계면 박리가 인지되었다.
사용한 원재료
(A)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1)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산 변성량 2 몰%, MFR-A 40g/10분, 융점 168℃.
(A-2) 산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유멕스1001(상품명)」, 산 변성량 1.7 몰%, MFR-A 130g/10분, 융점 154℃.
(A-3) 듀퐁 가부시키가이샤의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후사본드 P353(상품명)」, 산 변성량 0.8 몰%, MFR-A 23g/10분, 융점 136℃.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B-1)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프라임 폴리프로 F227D(상품명)」 MFR-B 7g/10분, 융점 142℃.
(C)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
(C-1) 미쓰이·듀퐁 폴리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바 플렉스 EV260(상품명)」, MFR-C 6.0g/10분, 코모노머 함량 28 질량%
(C-2) 미쓰이·듀퐁 폴리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바 플렉스 EV180(상품명)」, MFR-C 0.2g/10분, 코모노머 함량 33 질량%
(C-3) 미쓰이·듀퐁 폴리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바 플렉스 EV40LX(상품명)」, MFR-C 2.0g/10분, 코모노머 함량 41 질량%
(C-4) 미쓰이·듀퐁 폴리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의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엘바로이 2615(상품명)」, MFR-C 9.0g/10분, 코모노머 함량 15 질량%.
(C-5) 미쓰이·듀퐁 폴리 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의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뉴크렐 N0903(상품명)」, MFR-C 3.0g/10분, 코모노머 함량 9 질량%.
(D) 난연제:
(D-1) 앨비말레사의 취소계 난연제 「SAYTEX8010(상품명)」
(D-2) 니혼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의 삼산화이안티몬 「PATOX-M(상품명)」
앵커코트 도료:
(AC-1) 신에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KBE-903(상품명)」을, 변성 알코올 용제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메탄올 = 80/20/1(체적비)의 혼합 용제」로 고형분 농도 1 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앵커코트 도료.
(AC-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의 변성 올레핀 수지 바니시 「XP012(상품명)」를, 메틸에틸케톤으로 고형분 농도 20 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앵커코트 도료.
(AC-3) 신에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KBE-403(상품명)」을, 변성 알코올 용제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메탄올 = 80/20/1(체적비)의 혼합 용제」로 고형분 농도 1 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앵커코트 도료.
(AC-4) 신에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의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KBE-503(상품명)」을, 변성 알코올 용제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메탄올 = 80/20/1(체적비)의 혼합 용제」로 고형분 농도 1 질량%가 되도록 희석한 앵커코트 도료.
예 1
상기 (A-1) 35 질량부, 상기 (B-1) 55 질량부, 상기 (C-1) 10 질량부, 상기 (D-1) 60 질량부, 및 상기 (D-2) 20 질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동방향 회전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다이스 출구 수지 온도 210℃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여 얻었다. 얻어진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고, 700mm 폭 T 다이, 압출기 및 닙 방식의 당겨 감는 장치를 구비하는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다이 출구 수지 온도 210℃의 조건에서 두께 50㎛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 필름을 제막했다. 다음으로, 두께 25㎛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AC-1)을, 필름 메이어 바 방식의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건조 막 두께가 0.01㎛가 되도록 도포해 앵커코트를 형성했다. 계속해서, 상기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앵커코트 형성 면의 위에,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 필름을 겹치고, 온도 190℃로 예열된 가압 롤과 온도 190℃로 예열된 받침 롤로, 압력 0.3MPa, 속도 1.0m/min의 조건에서 열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 (가)∼(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예 2∼17, 예 1C, 3C∼5C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배합을 표 1∼4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부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 (가)∼(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4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낸다.
예 2C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부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전부 예 1과 마찬가지로 제막을 시도한바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이하의 평가는 생략했다.
예 18
앵커코트 도료로서 상기 (AC-2)를 이용하여, 건조 막 두께를 2.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전부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 (가)∼(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예 19
앵커코트 도료로서, 상기 (AC-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전부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 (가)∼(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예 1S
앵커코트 도료로서, 상기 (AC-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전부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 (가)∼(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제막성이 양호하고,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도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가교 공정 없이 UL의 정격 온도 125℃의 인증을 얻을 수 있다.
1: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층
2: 앵커코트
3: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층
4: 주석 도금 연동선

Claims (7)

  1. (A)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70 질량%;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60 질량%; 및
    (C) 에틸렌과 초산비닐, 메타크릴산 알킬, 및 아크릴산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체 2∼25 질량%;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은 100 질량%인, 접착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합을 100 질량부로 하고, 추가로, (D) 난연제 10∼300 질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포함하는 적층체.
  4.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의 위에,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도료로 이루어지는 앵커코트, 및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커플링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및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적층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KR1020177034990A 2015-05-08 2016-05-02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KR102346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5889 2015-05-08
JP2015095889 2015-05-08
PCT/JP2016/063556 WO2016181880A1 (ja) 2015-05-08 2016-05-02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223A true KR20180004223A (ko) 2018-01-10
KR102346374B1 KR102346374B1 (ko) 2022-01-03

Family

ID=5724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990A KR102346374B1 (ko) 2015-05-08 2016-05-02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25682B2 (ko)
EP (2) EP3858934A1 (ko)
JP (2) JP6698642B2 (ko)
KR (1) KR102346374B1 (ko)
CN (2) CN107960099A (ko)
HU (1) HUE054108T2 (ko)
PL (1) PL3296374T3 (ko)
TW (2) TWI690573B (ko)
WO (1) WO2016181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2995A1 (ja) * 2016-09-01 2018-03-08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US20210317339A1 (en) 2018-09-06 2021-10-14 Riken Technos Corporation Hot-melt adhesive, reinforcing tape, and flexible flat cable having reinforced at conductor terminal with reinforcing tape
CN112226178A (zh) * 2020-10-16 2021-01-15 广东保昌新材料有限公司 Ffc高频传输热熔胶膜
US20240132742A1 (en) 2021-03-22 2024-04-25 Riken Technos Corporation Coating material, coating film, layered product, and flexible flat cable
WO2022221874A1 (en) * 2021-04-15 2022-10-20 H.B. Fuller Company Hot melt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film for use in thin film photovoltaic modu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510A (ja) * 2004-10-28 2006-05-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被覆した絶縁電線
JP2008024786A (ja) * 2006-07-19 2008-02-07 Diabond Industry Co Ltd 難燃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13254703A (ja) 2012-06-08 2013-1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647A (en) 1975-02-27 1977-11-15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laminated resin product
JPS5831106B2 (ja) * 1979-04-24 1983-07-04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59159844A (ja) * 1983-03-01 1984-09-10 Sumitomo Chem Co Ltd 接着性オレフイン系重合体組成物
JPS608347A (ja) * 1983-06-28 1985-01-17 Chisso Corp 接着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S6172041A (ja) * 1984-09-17 1986-04-14 Tokuyama Soda Co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0414258B1 (en) 1989-08-25 1995-06-28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dhesive composition therefor
JP2890756B2 (ja) * 1989-09-05 1999-05-17 三井化学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JP2846451B2 (ja) * 1990-11-26 1999-01-13 昭和電工株式会社 接着性樹脂組成物
US6703141B1 (en) * 1999-12-09 2004-03-09 Exxonmobil Oil Corporation Matte surface film
JP4876327B2 (ja) * 2001-04-19 2012-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
JP5205748B2 (ja) * 2006-07-19 2013-06-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5141071B2 (ja) * 2007-03-29 2013-02-1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テープおよびその製法
US8877856B2 (en) 2011-01-18 2014-11-04 Mitsui Chemicals, Inc.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hot melt adhesive obtained therefro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510A (ja) * 2004-10-28 2006-05-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被覆した絶縁電線
JP2008024786A (ja) * 2006-07-19 2008-02-07 Diabond Industry Co Ltd 難燃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13254703A (ja) 2012-06-08 2013-1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28543A (ja) 2020-08-27
EP3296374A4 (en) 2018-12-05
WO2016181880A1 (ja) 2016-11-17
US20180154620A1 (en) 2018-06-07
EP3858934A1 (en) 2021-08-04
CN107960099A (zh) 2018-04-24
TWI690573B (zh) 2020-04-11
PL3296374T3 (pl) 2021-08-16
JP6698642B2 (ja) 2020-05-27
TW202037697A (zh) 2020-10-16
US10525682B2 (en) 2020-01-07
HUE054108T2 (hu) 2021-08-30
JP6953578B2 (ja) 2021-10-27
KR102346374B1 (ko) 2022-01-03
JPWO2016181880A1 (ja) 2018-04-12
EP3296374A1 (en) 2018-03-21
TW201706380A (zh) 2017-02-16
CN111763486B (zh) 2022-05-17
EP3296374B1 (en) 2021-03-03
CN111763486A (zh) 2020-10-13
TWI749482B (zh) 202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25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JP6953578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CN102648499A (zh) 电线包覆材料用组合物、绝缘电线及线束
WO2016174961A1 (ja) 熱回復物品、熱回復物品の製造方法、ワイヤスプライ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3906817B (zh) 受控剥离的层合物粘合膜
JP2001155554A (ja) 電気ケーブル
US9777181B2 (en) Antistatic 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KR101690435B1 (ko)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
JP7482315B2 (ja) 塗料、塗膜、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8024786A (ja) 難燃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7045947A (ja) 難燃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