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66A - 배터리 팩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66A
KR20180001466A KR1020170078288A KR20170078288A KR20180001466A KR 20180001466 A KR20180001466 A KR 20180001466A KR 1020170078288 A KR1020170078288 A KR 1020170078288A KR 20170078288 A KR20170078288 A KR 20170078288A KR 20180001466 A KR20180001466 A KR 2018000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aling surface
cooling duct
seal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022B1 (ko
Inventor
아키히로 고사키
고오이치 다나카
다케노리 고바야시
시게루 후쿠다
도시아키 나루케
아키라 아즈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01M10/3909Sodium-sulfur cells
    • H01M10/3963Sealing means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터리 팩 구조는, 챔버와, 팩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냉각 덕트와, 챔버와 냉각 덕트를 연통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챔버에 제1 시일재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되는 제1 개구와, 냉각 덕트에 제2 시일재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되는 제2 개구와, 제1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챔버 입구면에 대하여 제1 시일재를 통해 면하는 통 형상면 또는 평면의 제1 시일면과, 제2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덕트 출구면에 대하여 제2 시일재를 통해 면하는 통 형상면 또는 평면의 제2 시일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구조{BATTERY PACK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팩 케이스의 내측에 있어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챔버와, 팩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 덕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이 차량의 구동용 전동 모터가 탑재되는 차량에서는,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도 탑재된다.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로 형성되고,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형성된다.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팩 케이스로서의 팩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팩 케이스에는, 외측에 배치된 냉각 덕트가 접속된다. 냉각 덕트로부터 배터리 팩 케이스 내로 차 실내 등의 공기가 보내짐으로써, 배터리 모듈이 냉각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58979에는, 팩 케이스로서의 수납 케이스의 삽입 관통 구멍에 냉각 덕트로서의 흡기 덕트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어, 배터리 모듈의 셀 커버의 측면부에 공기 유로로서의 챔버가 설치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흡기 덕트의 단부는, 수납 케이스의 내측에서 챔버에 접속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15-158979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냉각 덕트와 챔버가 접속된다. 이 때, 냉각 덕트와 챔버가 직접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 냉각 덕트 및 챔버 중 적어도 한쪽의 부품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는, 냉각 덕트 및 챔버의 접속부에 큰 간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2개 부품의 감합부에서 2개의 부품이 이격되거나, 비스듬히 감합됨으로써 간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렇게 간극이 발생한 경우에는, 접속부에 있어서, 냉각용 공기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 구조의 냉각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냉각 성능의 저하는 배터리의 출력 저하 및 수명 저하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 구조에 있어서, 팩 케이스의 외측 냉각 덕트와 내측의 챔버가 접속되는 구성에 있어서, 냉각 덕트 및 챔버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 구조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과, 복수의 상기 배터리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팩 케이스와, 상기 팩 케이스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로의 공기 유로가 되는 챔버와, 상기 팩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 유로가 되는 냉각 덕트와, 상기 냉각 덕트 및 상기 팩 케이스를 접속시키고, 상기 챔버와 상기 냉각 덕트를 공기 유로로서 연통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와, 제1 시일면과, 제2 시일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챔버의 입구부에 제1 시일재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된다.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냉각 덕트의 출구부에 제2 시일재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된다. 상기 제1 시일면은, 상기 제1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시일면은, 챔버 입구면에 대하여 상기 제1 시일재를 통해 면한다. 상기 제1 시일면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다. 상기 챔버 입구면은, 상기 입구부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상기 챔버 입구면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다. 상기 제2 시일면은, 상기 제2 개구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시일면은, 덕트 출구면에 대하여 상기 제2 시일재를 통해 면한다. 상기 제2 시일면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다. 상기 덕트 출구면은, 상기 출구부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상기 덕트 출구면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다.
상기 전지 팩 구조에 의하면, 냉각 덕트 및 챔버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커넥터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제1 시일재 및 제2 시일재에 의해,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덕트와 챔버가 접속되는 구성에 있어서, 냉각 덕트 및 챔버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 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면 및 상기 제2 시일면의 한쪽은, 상기 통 형상면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시일면 및 상기 제2 시일면의 다른 쪽은, 상기 평면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시일면 및 상기 제2 시일면의 상기 다른 쪽은, 상기 제1 시일면 및 상기 제2 시일면의 상기 한쪽에 의해 형성되는 통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시일면의 축 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 및 다른 쪽의 시일면에 평행한 제2 방향의 냉각 덕트 및 챔버의 변동이 큰 경우에도, 그 2개 방향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팩 구조에 의하면, 냉각 덕트와 챔버가 접속되는 구성에 있어서, 냉각 덕트 및 챔버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 구조에 있어서, 덮개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배터리 모듈 및 챔버를 취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 팩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배터리 팩 구조의 단면도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로부터 냉각 덕트 및 케이스 본체의 제2 벽부를 제거하고, 케이스 본체의 덮개부와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팩 케이스에 덮개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팩 케이스와 냉각 덕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냉각 덕트, 커넥터 및 챔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커넥터를, 도 6과는 역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커넥터로부터 제1 시일재를 떼어내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b의 B-B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 구조에 있어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b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a로부터 커넥터를 취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 구조에 있어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 구조에 있어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팩 구조의 실시 형태인 배터리 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형상, 수량, 재질 등은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배터리 팩의 사양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배터리 팩이 차량에 탑재될 경우를 설명하지만, 배터리 팩은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정용 또는 공장용 등의 다른 용도에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10)에 있어서, 덮개부(16)(도 5 참조)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1개의 배터리 모듈(20) 및 챔버(30)를 취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배터리 팩(10)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평면 모식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A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팩(10)의 케이스로서의 팩 케이스(12)(도 5)와, 복수의 배터리 모듈(20)과, 복수의 챔버(30)와, 제1 냉각 덕트(40) 및 제2 냉각 덕트(50)와, 복수의 커넥터(60a, 60b)(도 3a, 도 3b, 도 4)를 구비한다.
팩 케이스(12)는, 상단에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14)(도 1)와, 케이스 본체(14)의 개구를 막도록 케이스 본체(14)에 고정되는 덮개부(16)(도 5 참조)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20)은, 팩 케이스(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각 배터리 모듈(20)은 전후 방향(Y)으로 연신되는 블록 형상이다. 도 1 내지 도 6, 도 9에서는, 좌우 방향을 X로 나타내고, 좌우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전후 방향을 Y로 나타내고, X 및 Y에 대하여 직교하는 상하 방향을 Z로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 팩(10)은, 예를 들어 차량의 뒷좌석 뒤에 탑재되어, 차량에 탑재된 주행용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이 때, 팩 케이스(12)는 차체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전후 방향(Y), 좌우 방향(X), 상하 방향(Z)은, 각각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케이스 본체(14) 및 덮개부(16)는, 철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케이스 본체(14)를 모식적으로 상자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케이스 본체(14)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20)의 후방측, 좌우 양측을 연속해서 덮는 제1 벽부(14a)와, 저판부(도시하지 않음)와, 복수의 배터리 모듈(20)의 전방측을 덮는 제2 벽부(14b)를 포함한다. 저판부는, 제1 벽부(14a)의 저부 개구를 막아서 제1 벽부(14a)에 고정된다. 제2 벽부(14b)는, 제1 벽부(14a)의 전단부 개구를 막아서 제1 벽부(14a)에 고정된다.
도 4는, 도 1로부터 냉각 덕트(40, 50) 및 케이스 본체(14)의 제2 벽부(14b)를 떼어내고, 케이스 본체의 제1 벽부(14a)와 커넥터(60a, 60b)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벽부(14a)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단 벽부(14c)에 있어서, 좌우 방향(X)으로 이격된 복수 위치에는, 커넥터 삽입 관통 구멍(14d)이 형성된다. 커넥터 삽입 관통 구멍(14d)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20) 중,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20)의 사이에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각 커넥터 삽입 관통 구멍(14d)에는 후술하는 커넥터(60a, 60b) 중 어느 것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4에서는 커넥터 삽입 관통 구멍(14d)의 내측을 무지로 하여 커넥터 삽입 관통 구멍(14d)의 이면측이 보이지 않는 도면으로 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4)의 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터리 모듈(20)의 사이에는, 챔버(30)이 배치된다. 챔버(30)는, 배터리 모듈(20)에 접속되고, 배터리 모듈(20)로의 공기 유로이며, 냉각용 공기를 배터리 모듈(20)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부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1 냉각 덕트(40) 및 제2 냉각 덕트(50)의 출구부가 커넥터(60a, 60b)의 제2 개구에 제2 시일재를 통해 접속되고, 커넥터(60a, 60b)의 제1 개구가 챔버(30)의 입구부에 제1 시일재를 통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 덕트(40, 50), 커넥터(60a, 60b), 챔버(30)를 통해, 냉각 덕트(40, 50)의 상류측으로부터 배터리 모듈(20)로 냉각용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 덕트(40, 50)와 챔버(30)가 접속되는 구성에 있어서, 냉각 덕트(40, 50) 및 챔버(30)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배터리 팩(10)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벽부(14a)의 후단 벽부(14c)에 있어서, 좌우 방향(X)의 중앙 위치에는, 배기 구멍(14e)이 형성된다. 팩 케이스(12) 내를 흐른 공기는, 배기 구멍(14e)을 통해 팩 케이스(12) 외부로 배출된다.
배터리 모듈(20)은, 팩 케이스(12)의 저판부의 상측에, 예를 들어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배터리 모듈(20)은, 도 3a를 참조하여, 복수의 배터리 셀(22)을 포함하고, 복수의 배터리 셀(22)이 전후 방향(Y)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모듈 케이스(24)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셀(22)의 배열 방향은, 전후 방향(Y)과 일치한다. 복수의 배터리 셀(22)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 셀(22)은, 각각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니켈 수소 이차 전지 등의 각형 이차 전지이다. 또한, 배터리 셀은, 원통형 이차 전지로 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0)의 모듈 케이스(24)는, 좌우 방향(X)의 양단부면에 개구부(26)를 갖는다. 도 2에서는 우측의 개구부(26)를 나타내고, 좌측의 개구부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좌측의 개구부도 우측의 개구부(26)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챔버(30)는, 팩 케이스(12)의 내측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20)의 모듈 케이스(24)의 좌우 방향(X)의 일단부면(도 2의 우측 단부면)에 설치됨으로써, 배터리 모듈(20)과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챔버(30)는, 내부에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이며, 전후 방향(Y)으로 연신되어 있다. 또한, 챔버(30)의 전후 방향(Y)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관한 단면 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다. 챔버(30)는, 상자 형상의 챔버 본체(32)와, 챔버(3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챔버(30) 본체보다도 상하 방향(Z) 길이가 작아짐으로써 유로 단면적이 좁아진 입구부(34)를 갖는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부(34)는, 배터리 모듈(20)보다 후방측(도 3b의 하측)에 배치되고, 챔버 본체(32)로부터, 접속되는 배터리 모듈(20)측(도 3b의 좌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 본체(32)의 전단부(도 2의 하단)와 입구부(34)의 후단부(도 2의 상단부)는, 상하 양단부가 상하 방향(Z)에 대하여 경사진 중간 통부(36)에 의해 접속된다. 입구부(34)도, 챔버 본체(32)와 동일하게, 전후 방향(Y)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관한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또한, 챔버(30) 중, 챔버 본체(32)의 좌우 방향(X) 타방 측면(도 2의 좌측면)은, 모듈 케이스(24)의 좌우 방향(X)의 일단부면에 고정된다. 챔버 본체(32)의 좌우 방향(X)의 타방 측면의 전후 방향(Y)의 복수 위치에는 관통 구멍(38)이 형성된다. 각 관통 구멍(38)은, 모듈 케이스(24)의 좌우 방향(X)의 일단부(도 2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6)를 향해 개구한다. 따라서, 챔버(30) 내의 냉각 공기가, 관통 구멍(38), 개구부(26)를 통해, 모듈 케이스(24) 내에 도입되어, 모듈 케이스(24) 내의 배터리 셀(22)(도 1, 도 3b)이 냉각된다. 또한, 챔버(30)의 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덮개부 또는 챔버 시일부가 설치되어, 챔버 내의 유로의 전단부를 막고 있다. 챔버(30)는, 철 등의 금속 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챔버(30)의 입구부(34)에는, 후술하는 커넥터(60a, 60b)의 제1 개구(61)가 제1 시일재(70)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된다.
도 1로 돌아가서, 제1 냉각 덕트(40) 및 제2 냉각 덕트(50)는, 팩 케이스(12)(도 5)의 외측에 배치되고, 팩 케이스(12)의 후단 벽부(14c)의 외면에 좌우로 나뉘어져 설치된다. 제1 냉각 덕트(4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20) 중, 좌측 2개의 배터리 모듈(20)에 접속된 2개의 챔버(30)로 공기를 보내는 공기 유로가 된다. 제2 냉각 덕트(5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20) 중, 나머지 3개의 배터리 모듈(20)에 접속된 3개의 챔버(30)로 공기를 보내는 공기 유로가 된다. 이 때, 각 냉각 덕트(40, 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팩 케이스(12)에, 커넥터(60a, 60b)(도 5)를 통하지 않고 클립(84)(도 6)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도 1에서는, 각 냉각 덕트(40, 50)를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1 냉각 덕트(40)는, 상류측 단부(도 1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덕트 입구부(41)와, 하류측으로 2개로 나뉘어져 설치된 2개의 덕트 출구부(42)(도 3b)를 갖는다. 도 3b에서는, 덕트 출구부(42)로서 1개만 나타내고 있지만, 나머지 덕트 출구부(42)도 동일하다. 제1 냉각 덕트(40) 중, 2개의 덕트 출구부(42)가 형성된 하류측 부분에 있어서, 팩 케이스(12)에 면하는 측면은 평면이다. 덕트 출구부(42)의 주위에는 제1 냉각 덕트(40)의 전방측면(도 3b의 상측면)으로부터 전방측(도 3b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직사각 형상의 통부(43)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팩 케이스(12)에 덮개부(16)를 설치한 상태에서, 팩 케이스(12)와 냉각 덕트(40, 50)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팩 케이스(12)의 외측에서 후단 벽부(14c) 부근의 좌우 방향(X)의 양측에서, 제1 블로워(80) 및 제2 블로워(82)가 각각 배치된다. 제1 블로워(80) 및 제2 블로워(82)는,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입구부(41)에는, 제1 블로워(80)의 배출구(81)가 접속된다.
제1 냉각 덕트(40)의 하류 부분(도 5의 우측 부분)의 상단부 2개소 위치와, 제1 냉각 덕트(40)의 하류 단부의 하단부에는 상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판부(44)가 고정되고, 각 고정판부(44)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각 고정판부(44)의 구멍에는 제1 결합 수단인 푸시 리벳 형상의 클립(84)(도 6)이 삽입되고, 그 클립(84)의 선단부가 팩 케이스(12)의 후단 벽부(14c)에 형성된 클립 구멍(15a)(도 5)에 삽입된 상태로 벌어져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 냉각 덕트(40)가 팩 케이스(12)의 후단부에, 후술하는 커넥터(60a)를 통하지 않고 결합 고정된다. 제1 결합 수단은, 볼트 및 너트 등이어도 된다. 제1 냉각 덕트(4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는, 하류 단부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서서히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제2 냉각 덕트(50)는, 상류 단부(도 1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덕트 입구부(51)와, 하류측으로 3개로 나뉘어져 설치된 3개의 덕트 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제2 냉각 덕트(50)의 덕트 출구부는,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도 3b)와 동일하다. 제2 냉각 덕트(50) 중, 3개의 덕트 출구부(42)가 형성된 하류 부분(도 1의 좌측 부분)에 있어서, 팩 케이스(12)에 면하는 측면은 평면이다.
제2 냉각 덕트(50)의 덕트 입구부(51)에는, 제2 블로워(82)(도 5)의 배출구(83)가 접속된다. 제2 냉각 덕트(50)의 하류 부분(도 5의 좌측 부분)의 상단부 2개소 위치와, 제2 냉각 덕트(50)의 하류 단부의 하단부에는 상측 또는 좌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판부(52)가 고정되고, 각 고정판부(52)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제2 냉각 덕트(50)는, 제1 냉각 덕트(40)와 동일하게, 각 고정판부(52)의 구멍에 제1 결합 수단인 클립(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고, 그 선단부가 팩 케이스(12)의 후단 벽부(14c)의 클립 구멍(15b)(도 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2 냉각 덕트(50)가 팩 케이스(12)의 후단부에, 커넥터(60b)를 통하지 않고 결합 고정된다.
도 6은, 제1 냉각 덕트(40), 커넥터(60a) 및 챔버(3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20)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제1 냉각 덕트(40)는, 각 덕트 출구부(42)가 팩 케이스(12)(도 5)에 고정된 상태로 각 덕트 출구부(42)가 커넥터(60a)를 통해 팩 케이스(12)의 내측에 배치된 챔버(30)의 입구부(34)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60a)는, 제1 냉각 덕트(40) 및 챔버(30)를 공기 유로로서 연통시킨다. 또한, 제1 냉각 덕트(40)가 커넥터(60a)에, 후술하는 제2 시일재(71)(도 6)를 통해 압박됨으로써, 커넥터(60a)는, 제1 냉각 덕트(40) 및 팩 케이스(12)를 접속시킨다.
도 5에 도시한 제2 냉각 덕트(50)도, 제1 냉각 덕트(40)와 동일하게, 대응하는 챔버(30)의 입구부에 접속된다. 제2 냉각 덕트(50)가 챔버(30)에 접속되는 구조는, 제1 냉각 덕트(40) 및 챔버(30)의 접속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1 냉각 덕트(40)와 접속되는 커넥터(60a) 및 챔버(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커넥터(60a)를, 도 6과는 역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넥터(60a)로부터 제1 시일재를 떼어내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b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제2 냉각 덕트(50)에 접속되는 커넥터(60b)(도 4)는, 후술하는 클립 삽입 구멍(63)을 갖는 케이스 고정 돌기부(62)의 위치가 상이할 뿐이며, 제1 냉각 덕트(40)에 접속되는 커넥터(60a)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7, 도 8에 도시한 커넥터(60a)는, 통부(65)와, 통부(65)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66)를 갖는다. 통부(65)는, 전단부(도 7의 좌측 단부)가 직사각형 통상이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65)의 플랜지(66)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제1 블로워측(도 3b의 좌측)이 플랜지(66)에 근접할수록 서서히 제1 블로워측으로 경사지며 유로가 넓어지고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65)를 구성하는 제1 블로워측(도 7, 도 8의 좌측)의 벽부(65a)의 선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5b)가 형성된다.
커넥터(60a)는, 통부(65)의 전단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통상의 제1 개구(61)와, 통부(65)의 후단부이며 플랜지(66)의 내측에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제2 개구(67)와, 제1 시일면(61a) 및 제2 시일면(67a)을 갖는다. 제1 개구(61)는, 챔버(30)의 직사각형 통상의 입구부(34)에 제1 시일재(70)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된다. 제2 개구(67)는,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에, 후술하는 제2 시일재(71)(도 6)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된다.
또한, 제1 시일면(61a)은, 통부(65)에 있어서, 제1 개구(61)의 주변부에 형성되고, 제1 개구(61)의 축 방향(도 9의 좌우 방향)과 평행한 직사각형 통 형상면이다. 제1 시일면(61a)은, 챔버(30)의 입구부(34)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내측의 통 형상면인 챔버 입구면(34a)에 대하여 제1 시일재(70)를 통해 면한다. 구체적으로는, 챔버 입구면(34a)은, 입구부(34)의 내측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통 형상면이며, 제1 시일면(61a)의 외측에 면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일면(61a)은, 직사각 형상의 제1 시일재(70)를 통해 챔버 입구면(34a)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개구(61)는, 제1 시일재(70)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입구부(34)에 접속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일재(70)는 통부(65)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감겨서 부착된다. 제1 시일재(70)는, 단면 직사각형의 선재를 직사각 형상으로 구부려 통부(65)의 전체 둘레에 감아, 그 양단부가 통부(65)의 축 방향으로 겹치도록 형성되며, 그 겹쳐진 부분의 일부가 돌기부(65b)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시일면(61a)과 챔버(30)의 입구부(34)는, 중심축(O1)(도 9)이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제1 시일면(61a)의 외주면과 챔버(30)의 입구부(34)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환상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시일재(70)는, 커넥터(60a)와 챔버(30)의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한다. 제1 시일재(7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시일재(70)는,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이며, 저밀도이며 연질형의 것이 사용되고,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시일재(70)의 코너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아지는 경우에도, 제1 시일재(70)의 주위로부터의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시일재(70)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적절하게 규정한다. 제1 시일재(70)는, 예를 들어 고무 스펀지로 해도 된다. 제1 시일재(70)는, 단면이 O 형상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제1 시일재(70)는, 차량의 전후 방향(Y)의 부품의 형상 변동 및 조립 변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시일면(67a)은, 플랜지(66)의 후방면(도 9의 우측면)에 제2 개구(67)를 둘러싸도록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평면이다. 플랜지(66)의 후방면은, 제2 개구(67)의 주연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따른 평면이다. 이에 의해, 제2 시일면(67a)은, 제2 개구(67)의 주변부이며, 플랜지(66)의 후방면에 형성된다.
제2 시일면(67a)은,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의 주변부에 형성된 덕트 출구면(45)에 대하여 제2 시일재(71)(도 9)를 통해 전후 방향에 면한다. 덕트 출구면(45)은,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의 주변부에 덕트 출구부(42)를 둘러싸도록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평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일면(67a)은, 직사각 형상의 제2 시일재(71)를 통해 덕트 출구면(45)에 접속된다. 제2 시일재(71)도, 제1 시일재(70)와 동일하게,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시일재(7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면(45)에, 덕트 출구부(42)를 둘러싸도록 접착된다. 제2 시일재(71)는, 예를 들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관한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이다. 제2 시일재(71)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시일재(71)는, 제1 시일재(70)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고무 스펀지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60a)의 제2 개구(67)(도 9)는, 제2 시일재(71)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덕트 출구부(42)에 접속된다. 커넥터(60a)의 플랜지(66)의 후방면과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 주위의 전방면은, 거의 평행하다. 이 때문에, 플랜지(66)의 후방면과 덕트 출구부(42)의 주위 전방면의 사이에는, 제2 시일재(71)에 따른 환상 부분의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 둘레에 제2 시일재(71)가 배치되고, 덕트 출구부(42)의 외주연보다 제2 시일재(71)가 크게 설정된다. 제2 시일재(71)는, 차량의 상하 방향(Z) 및 좌우 방향(X)의 부품의 형상 변동 및 조립 변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60a)의 평면인 제2 시일면(67a)은, 통 형상면인 제1 시일면(61a)에 의해 형성되는 통의 축 방향(도 9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66)의 1개의 코너부에는, 단차부(68)를 통해 제2 시일면(67a)보다 전방측(도 7, 도 8의 좌측)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연결된 케이스 고정 돌기부(62)가 형성된다. 케이스 고정 돌기부(62)에는 클립 삽입 구멍(63)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60a)의 케이스 고정 돌기부(62)는, 팩 케이스(12)의 케이스 본체(14)의 후방면에, 클립 삽입 구멍(63)에 삽입된 제2 결합 수단인 클립(85)에 의해 고정된다. 클립(85)은, 도 6에 도시한 클립(84)과 동일하게, 푸시 리벳 형상이다. 제2 결합 수단은, 볼트 및 너트 등이어도 된다. 또한, 케이스 고정 돌기부(62)는, 커넥터(60a)의 플랜지(66)보다 앞(도 4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60a)의 플랜지(66)와 팩 케이스(12)의 후방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60a)에 있어서, 케이스 고정 돌기부(62)와 플랜지(66)의 연결부인 단차부(68)를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서 팩 케이스(12)에 대한 커넥터(60a)의 경사가 허용된다.
상기 배터리 팩(10)에 의하면, 각 블로워(80, 82)가 구동됨으로써 블로워(80, 82)로부터 공기가 각 냉각 덕트(40, 50)로 보내지고, 커넥터(60a, 60b)를 통해 복수의 챔버(30)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도 3b에 화살표 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제1 냉각 덕트(40), 커넥터(60a), 챔버(30)를 순서대로 흐른다. 그리고, 챔버(30)로부터 복수의 관통 구멍(38)을 통해 배터리 모듈(20)의 전후 방향의 복수 위치에 보내진다. 배터리 모듈(20)을 흐른 공기는 배터리 셀(22)을 냉각시키면서, 배터리 모듈(20) 밖으로 분출된다. 팩 케이스(12) 내의 공기는, 팩 케이스(12)의 후단 벽부(14c)의 배기 구멍(14e)을 통해 밖으로 분출된다. 이에 의해, 각 배터리 모듈(20)이 냉각된다.
또한, 각 냉각 덕트(40, 50)가 커넥터(60a, 60b), 각 시일재(70, 71)를 통해 챔버(30)에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60a, 60b)의 제1 개구(61)는, 제1 시일재(70)를 통해 챔버(30)에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60a, 60b)의 제2 개구(67)는, 제2 시일재(71)를 통해 냉각 덕트(40, 50)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냉각 덕트(40, 50) 및 챔버(30)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냉각 덕트, 커넥터 및 챔버의 접속부에서 변동을 시일재(70, 71)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60a)의 제1 개구(61)의 단부가 도 9의 화살표 β1의 범위에서, 챔버(30)의 챔버 입구면(34a)에 대하여 전후 방향(Y)으로 이동해도, 제1 시일재(70)에 의해 제1 시일면(61a)에 관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챔버(30)의 입구부(34)에 대하여 커넥터(60a)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것만으로, 챔버(30)에 커넥터(60a)가 직접 결합 고정은 되지 않으므로, 챔버(30)에 커넥터(60a)를 조립할 때에 전후 방향(Y)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0a)의 제2 개구(67)가, 도 9의 화살표 β2의 범위에서,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면(45)에 대하여 상하 방향(Z)으로 이동해도, 제2 시일재(71)에 의해 제2 시일면(67a)에 관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제1 냉각 덕트(40)에 대하여 커넥터(60a)는 직접 결합 고정되지는 않으므로, 제1 냉각 덕트(40)를 커넥터(60a)에 압박하면서 팩 케이스(12)에 고정시킬 때에, 상하 방향(Z)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방향 이외의 제2 시일면(67a)에 따른 방향의 변동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변동이 큰 경우에도, 커넥터(60a)의 각 시일면(61a, 67a)에 관한 접속부에서의 공기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 구조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0a)의 제1 시일면(61a)에 의해 형성되는 통의 축 방향에 대하여 제2 시일면(67a)은 직교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시일면(61a)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서의 전후 방향(Y), 및 제2 시일면(67a)과 평행한 방향이면서, 또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냉각 덕트 및 챔버의 변동이 큰 경우에도, 그 2개 방향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일면(67a)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서, 좌우 방향(X) 또는 상하 방향(Z)이 있고, 전후 방향(Y), 좌우 방향(X), 상하 방향(Z)의 어느 변동도 흡수할 수 있다. 이 면에서도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 덕트(40)의 상류 단부는 제1 블로워(80)에 접속되고, 제2 냉각 덕트(50)의 상류 단부는 제2 블로워에 접속된다. 이 때, 각 냉각 덕트(40, 50)는, 커넥터(60a, 60b), 제1 시일재(70) 및 제2 시일재(71)를 통해 챔버(30)에 접속된다. 이렇게 냉각 덕트(40, 50)가, 커넥터(60a, 60b)와 다른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커넥터(60a, 60b)에 챔버(30)를 접속시킨 후에, 각 냉각 덕트(40, 50)를, 대응하는 블로워(80, 82)와 챔버(3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덕트의 일부를 팩 케이스(12) 내에 삽입하면서 다른 부분을 블로워(80, 82)에 접속시키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각 냉각 덕트(40, 50)를 챔버(30)에 접속시키는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0a, 도 10b는,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도 10a는, 도 9에 대응한다. 도 10b는, 도 10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a로부터 커넥터(60a)를 취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도 10b, 도 11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도 1로부터 도 9의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60a)의 플랜지(66)보다 뒤에 제2 통부(69)가 형성된다. 제2 통부(69)는 직사각형 통상이며, 플랜지(66)에 대하여 전방측의 통부(65)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도 10a,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부(69)는, 내측에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제2 개구(69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통부(69)의 외주면이며, 제2 개구(69a)의 주변부에는 제2 시일면(69b)이 형성된다. 제2 시일면(69b)은 제2 개구(69a)의 축 방향(도 10a의 좌우 방향)과 평행한 통 형상면이다.
그리고, 제2 통부(69)의 제2 시일면(69b)은, 제1 냉각 덕트(40)의 통부(43)의 내측에, 직사각형 통상의 제2 시일재(71a)를 통해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시일면(69b)과 제1 냉각 덕트(40)의 통부(43)는, 중심축이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제2 시일면(69b)의 외주면과 통부(43)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시일재(71a)는, 커넥터(60a)와 제1 냉각 덕트(40)의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한다.
제2 개구(69a)는, 제2 시일재(71a)에 의해 시일된 상태에서,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통부(43)의 직사각형 통상 내주면과 면한다. 통부(43)의 내주면은 덕트 출구면이다. 제2 개구(69a)는, 제2 시일재(71a)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덕트 출구부(42)에 접속된다. 이 때, 제1 냉각 덕트(40)는, 통부(43)가 제2 통부(69)의 외측에 제2 시일재(71a)를 통해 감합되므로, 클립 등의 제1 결합 수단에 의해 팩 케이스(12)에 결합 고정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0a, 도 10b, 도 1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냉각 덕트(40)의 통부(43)가, 도 10a에 화살표 β3으로 나타낸 범위에서, 커넥터(60a)의 제2 시일면(69b)에 대하여 전후 방향(Y)으로 이동해도, 제2 시일재(71a)에 의해 커넥터(60a)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각 변동이 큰 경우에도, 커넥터(60a)와 제1 냉각 덕트(40)의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 구조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로부터 도 9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도 1로부터 도 9의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60a)의 통부(65)의 양단 개구의 내측에 챔버(30)의 입구부(34)와 제1 냉각 덕트(40)의 덕트 출구부(42)의 통부(43)가,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커넥터(60a)의 통부(65)의 제1 개구(61)의 내주측에, 직사각형 통상의 제1 시일면(61b)이 형성된다. 제1 시일면(61b)과 챔버(30)의 직사각형 통상의 입구부(34)는, 중심축이 거의 일치한다. 또한, 챔버(30)의 입구부(34)의 외주면과, 제1 시일면(61b)의 사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환상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구부(34)의 외주면과 제1 시일면(61b)의 사이에 제1 시일재(70)가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의 제2 개구(67)의 내주측에, 직사각형 통상의 제2 시일면(67b)이 형성된다. 제2 시일면(67b)과 제1 냉각 덕트(40)의 통부(43)는, 중심축이 거의 일치한다. 또한, 제1 냉각 덕트(40)의 통부(43)의 외주면과, 제2 시일면(67b)의 사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환상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통부(43)의 외주면과 제2 시일면(67b)의 사이에 직사각형 통 형상의 제2 시일재(71a)가 배치된다. 제1 시일재(70)는, 챔버(30)와 커넥터(60a)의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고, 제2 시일재(71a)는, 제1 냉각 덕트(40)와 커넥터(60a)의 사이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도, 도 1로부터 도 9의 구성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제1 냉각 덕트(40) 또는 챔버(30)의 형상 변동 또는 조립 변동이 큰 경우에도, 냉각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로부터 도 9의 구성, 또는 도 10a, 도 10b, 도 11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구성에서는, 도 12의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60a)의 제1 개구(61)의 주변부에 플랜지(61c)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61c)와, 챔버(30)의 입구부(34)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4b)가, 직사각 형상의 제1 시일재(70a)를 통해 접속된다. 커넥터(60a)의 플랜지(61c)의 전방면(도 13의 좌측면)에는 제1 시일면이 형성된다. 제1 시일면은, 제1 개구(61)의 주연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따른 평면이다. 제1 시일재(70a)는, 챔버(30)의 플랜지(34b)의 후방면(도 13의 우측면)인 입구측에 위치하는 면과 제1 시일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커넥터(60a)의 전단부를 챔버(30)의 후단부에 제1 시일재(70a)를 통해 압박하므로, 커넥터(60a)와 챔버(30)를, 클립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직접 결합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커넥터(60a)를 팩 케이스(12)의 내측에서 브래킷 및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팩 케이스(12)에 고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60a)와 챔버(30)의 상하 방향(Z) 또는 좌우 방향(X)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로부터 도 9의 구성, 또는 도 1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0a, 도 10b로부터 도 13의 구성에서는, 제1 냉각 덕트(40), 커넥터(60a) 및 챔버(30)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제2 냉각 덕트(50), 커넥터(60b) 및 챔버의 접속 구조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예에서는, 2개의 냉각 덕트(40, 50)로 나뉘어져 복수의 챔버(30)에 접속시키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1개의 냉각 덕트에 의해 복수의 챔버(30) 전부에 접속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예에서는, 커넥터의 개구 주변부의 시일면을 통 형상면으로 할 경우에 있어서, 통 형상면이 단면 직사각 형상인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통 형상면은 원통면으로 해도 된다. 단, 원통면은 평면과 비교하여 면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곤란하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면에서는 통 형상면을 단면 직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 직사각형의 통 형상면인 경우에는, 원통면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직사각형을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는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Claims (2)

  1. 배터리 팩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배터리 셀(22)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20);
    복수의 상기 배터리 모듈(20)을 내부에 수용하는 팩 케이스(12);
    상기 팩 케이스(12)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20)로의 공기 유로가 되는 챔버(30);
    상기 팩 케이스(12)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 유로가 되는 냉각 덕트(40, 50); 및
    상기 냉각 덕트(40, 50) 및 상기 팩 케이스(12)를 접속시키고, 상기 챔버(30)와 상기 냉각 덕트(40, 50)를 공기 유로로서 연통시키는 커넥터(60a, 60b)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60a, 60b)는, 제1 개구(61)와, 제2 개구(67)와, 제1 시일면(61a)과, 제2 시일면(67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61)는, 상기 챔버(30)의 입구부(34)에 제1 시일재(70)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되고,
    상기 제2 개구(67)는, 상기 냉각 덕트(40, 50)의 출구부(42)에 제2 시일재(71)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시일면(61a)은, 상기 제1 개구(61)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시일면은, 챔버 입구면(34a)에 대하여 상기 제1 시일재(70)를 통해 면하며, 상기 제1 시일면(61a)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며, 상기 챔버 입구면(34a)은, 상기 입구부(34)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상기 챔버 입구면(34a)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고, 또한
    상기 제2 시일면(67a)은 상기 제2 개구(67)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시일면(67a)은, 덕트 출구면(45)에 대하여 상기 제2 시일재(71)을 통해 면하며, 상기 제2 시일면(67a)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이며, 상기 덕트 출구면(45)은 상기 출구부(42)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상기 덕트 출구면(45)은 통 형상면 및 평면 중 한쪽인, 배터리 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면(61a) 및 상기 제2 시일면(67a)의 한쪽은, 상기 통 형상면이며,
    상기 제1 시일면(61a) 및 상기 제2 시일면(67a)의 다른 쪽은, 상기 평면이며, 또한
    상기 제1 시일면(61a) 및 상기 제2 시일면(67a)의 상기 다른 쪽은, 상기 제1 시일면(61a) 및 상기 제2 시일면(67a)의 상기 한쪽에 의해 형성되는 통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배터리 팩 구조.
KR1020170078288A 2016-06-24 2017-06-21 배터리 팩 구조 KR101949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5638A JP6412063B2 (ja) 2016-06-24 2016-06-24 バッテリパック構造
JPJP-P-2016-125638 201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66A true KR20180001466A (ko) 2018-01-04
KR101949022B1 KR101949022B1 (ko) 2019-02-15

Family

ID=6057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88A KR101949022B1 (ko) 2016-06-24 2017-06-21 배터리 팩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1315B2 (ko)
JP (1) JP6412063B2 (ko)
KR (1) KR101949022B1 (ko)
CN (1) CN107546347B (ko)
DE (1) DE102017210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3126B2 (ja) * 2018-01-31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冷却構造
CN108155322B (zh) * 2018-02-06 2024-01-23 广东顺德工业设计研究院(广东顺德创新设计研究院) 散热封装结构及电池组件
JP7019509B2 (ja) * 2018-05-16 2022-02-1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冷却装置のダクト構造
CN208368689U (zh) * 2018-07-17 2019-01-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冷却组件
US11652245B2 (en) 2018-07-17 2023-05-16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cooling assembly
JP7115421B2 (ja) * 2019-05-29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CN113036276B (zh) * 2019-12-05 2023-07-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和电动车
DE102020114313B4 (de) 2020-05-28 2022-05-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gehäuse mit integrierten Kühlmittelkanälen, Kraftfahrzeug
JP2023028290A (ja) * 2021-08-19 2023-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EP4287381A1 (en) * 2021-10-18 2023-12-0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with reinforced safet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8554A (ja) * 2009-03-31 2010-10-21 Toyota Motor Corp 蓄電素子のホルダ
JP2011060733A (ja) * 2009-09-14 2011-03-24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装置
KR20140058759A (ko) * 2012-11-06 2014-05-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147978A (ko) * 2013-06-20 2014-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498853B1 (ko) * 2014-02-18 2015-03-05 세방전지(주) 배터리의 밸브 밀폐구조
JP2015153533A (ja) * 2014-02-12 2015-08-2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834A (en) 1992-02-18 1993-06-01 Globe Union Inc. Battery thermal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780050B2 (ja) * 2007-07-04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冷却構造
US8895171B2 (en) * 2007-10-23 2014-1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cooling a vehicle battery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JP2009161062A (ja) * 2008-01-08 2009-07-23 Calsonic Kansei Corp 発熱体の冷却装置
JP5531478B2 (ja) 2009-07-16 2014-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5362629B2 (ja) * 2010-03-18 2013-12-1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発熱体冷却装置
EP2664642A4 (en) * 2011-01-14 2014-12-10 Sumitomo Bakelite Co LIQUID RESOL-PHENOL RESIN
JP2012199205A (ja) * 2011-03-23 2012-10-18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の温度調節構造
KR101878809B1 (ko) * 2011-12-16 201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
JP5993209B2 (ja) * 2012-05-24 2016-09-14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JP5827615B2 (ja) * 2012-12-27 2015-12-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排気構造
WO2014147669A1 (ja) * 2013-03-22 2014-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温度調節構造
JP6168908B2 (ja) * 2013-08-12 2017-07-26 株式会社東芝 発熱体収容装置
JP6258693B2 (ja) * 2013-12-19 2018-01-10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冷却装置
JP2015158979A (ja) * 2014-02-21 2015-09-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ー
JP6024704B2 (ja) * 2014-05-09 2016-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US9583801B2 (en) 2014-06-25 2017-02-28 Honda Motor Co., Ltd. Battery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CN204011533U (zh) * 2014-08-06 2014-12-10 广州明美电子有限公司 一种大功率的圆柱形电池组
JP6524654B2 (ja) * 2014-12-09 2019-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JP6118355B2 (ja) * 2015-01-16 2017-04-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ー
JP6011949B2 (ja) * 2015-01-16 2016-10-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バッテリ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8554A (ja) * 2009-03-31 2010-10-21 Toyota Motor Corp 蓄電素子のホルダ
JP2011060733A (ja) * 2009-09-14 2011-03-24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装置
KR20140058759A (ko) * 2012-11-06 2014-05-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147978A (ko) * 2013-06-20 2014-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15153533A (ja) * 2014-02-12 2015-08-2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固定構造
KR101498853B1 (ko) * 2014-02-18 2015-03-05 세방전지(주) 배터리의 밸브 밀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46347B (zh) 2020-09-22
DE102017210344A1 (de) 2017-12-28
US20170373361A1 (en) 2017-12-28
US10411315B2 (en) 2019-09-10
KR101949022B1 (ko) 2019-02-15
CN107546347A (zh) 2018-01-05
JP2017228495A (ja) 2017-12-28
JP6412063B2 (ja)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022B1 (ko) 배터리 팩 구조
JP5405858B2 (ja) 組電池、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
US20160285142A1 (en) Battery pack and heater assembly
KR20190066731A (ko) 셀 에지 직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963132B (zh) 蓄电装置
KR101272594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매니폴드 블록
US20160190632A1 (en) Fuel cell unit
WO2017047205A1 (ja) 電池パック
US10686206B2 (en) Exhaust apparatus
JP6973126B2 (ja) 蓄電装置の冷却構造
JP2019169411A (ja) 車載用バッテリー
CN115714190B (zh) 燃料电池用膜加湿器
US20200185752A1 (en) Fuel cell system
JP5960076B2 (ja) 電池パック構造
KR101337961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매니폴드 블록
JP2018018796A (ja) 電池装置及び電池システム
JP4581177B2 (ja) 電源装置
US10777825B2 (en) In-vehicle fuel cell stack
CN109935944A (zh) 冷却装置、单元电池模块及制造冷却装置的冷却板的方法
US20190252714A1 (en) Fuel cell system
US11450905B2 (en) Battery pack
JP6557365B2 (ja) 蓄電装置
CN220528318U (zh) 电控盒、室外机和暖通设备
CN112133943A (zh) 燃料电池系统
CN117673544A (zh) 电池模组的冷却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