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255A -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255A
KR20170143255A KR1020160077252A KR20160077252A KR20170143255A KR 20170143255 A KR20170143255 A KR 20170143255A KR 1020160077252 A KR1020160077252 A KR 1020160077252A KR 20160077252 A KR20160077252 A KR 20160077252A KR 20170143255 A KR20170143255 A KR 20170143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ble
guide plate
battery cab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597B1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9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27Covers for, e.g. engine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31Battery compartments
    • B66F9/07536Battery stoppers, i.e. means to hold battery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치타입 지게차와 같은 산업차량의 배터리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10)안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차체(10)안에 마련되는 배터리(20)와;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배터리 케이블(21)과; 상기 배터리(20)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되어서 배터리 케이블(21)을 고정하면서 배터리(20)의 인출 및 인입동작시 배터리 케이블(21)의 손상을 방지해주도록 보호해주는 보호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30)는,
배터리(20)의 상부면 일측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31)과; 상기 가이드판(31)의 안쪽면에 고정되어서 배터리 케이블(21)을 압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압지편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Cable Protecting Apparatus of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치타입 지게차와 같은 전동식 산업차량의 배터리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중 지게차는 화물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荷物)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승강 작용만 하는 카운터 발란스 타입 지게차와, 마스트 조립체가 전,후로 이동하는 리치 타입(reach type) 지게차로 구분된다.
상기 카운더 발란스 타입 지게차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체의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는 리프트 체인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가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카운터 발란스 타입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전륜 구동, 후륜 조향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리치 타입 지게차는,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고, 그 대신 지게차의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레그(Leg)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치 타입 지게차는, 후륜 구동, 후륜 조향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운전자가 선 상태에서 지게차를 운전한다.
상기한 리치 타입 지게차는, 물류 창고나 대형 할인점 등 각종 작업장의 실내에서 팔렛트(Pallet) 위의 물품을 이동시키거나 재배치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종래의 리치 타입 지게차는 전동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동식 지게차인 경우, 배터리의 인출시에는 마스트 조립체가 전진할때, 동시에 잡아당겨지면서 지게차의 차체안으로부터 인출된다.
물론, 작업시에는 마스트 조립체와 배터리는 결합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조작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점검 및 교환을 위해 인출하게 되며, 이때 전원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배터리 케이블을 보호 및 가이드해주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터리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케이블이 지게차의 주위 프레임의 모서리부와 접촉하면서 베터리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을 받아 쇼트 현상을 일으키고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게된다.
또한, 다시 배터리를 지게차의 차체안으로 탑재하는 경우, 배터리 케이블이 정렬되어 있지 않고 아무렇게나 흐트러져 있어, 배터리를 탑재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케이블이 불규칙하게 겹쳐지면서 배터리가 제대로 차체안으로 탑재하기 어려울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가 배터리 케이블을 잡은 상태에서 배터리를 차체안으로 탑재시켜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불편한 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1998-041244호(공개일 : 1998년 08월 17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식의 산업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인출 및 인입동작시 배터리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가이드 및 보호해주도록 하는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차체안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차체안에 마련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배터리 케이블과;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되어서 배터리 케이블을 고정하면서 배터리의 인출 및 인입동작시 배터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해주도록 보호해주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배터리의 상부면 일측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안쪽면에 고정되어서 배터리 케이블을 압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압지편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지편은 가이드판의 안쪽면에 서로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압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지편은 각각 배터리 케이블이 삽입 관통될때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한쪽 프레임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위치의 취부면에, 보호부재의 가이드판이 수평상태일때 프레임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보호부재와 마주보는 위치의 프레임에는, 배터리가 차체안에 수납된 상태에서 배터리 케이블이 수용되어서 프레임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치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게차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점검을 위해 인출 및 인입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상면 일측에서 배터리 케이블의 일부분을 잡아주는 상태로 배터리의 인출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배터리 케이블은 항상 정렬된 한가지 패턴으로만 움직여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어 배터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인출후 다시 차체안으로의 인입 동작시에도 배터리 케이블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있게되어서 배터리의 인입시 원활하게 인입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가 마련된 지게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상태에서 배터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보호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a는 차체안에 배터리가 탑재된 상태일때의 배터리 케이블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배터리가 인출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가 마련된 지게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상태에서 배터리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케이블 보호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게차(1)의 차체(10)안에 탑재되면서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2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보호부재(30)가 갖추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가 마련되는 지게차(1)는 전동식인 리치 타입 지게차로서, 도면에서는 편의상 마스트 조립체는 생략하였다.
배터리(20)의 인출동작은, 배터리(20)와 연결된 마스트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의 전진시 배터리(20)의 인출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지게차(1)로 작업중일때에는 마스트 조립체를 전,후진 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마스트 조립체와 배터리(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고, 배터리 점검을 위한 인출시에는 마스트 조립체와 배터리(20)를 연결하여 마스트 조립체의 전진과 동시에 배터리(20)가 차체(10)안으로부터 한쌍의 레그(12)를 따라 인출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구조 및 동작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30)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판(31)과, 상기 가이드판(31)의 하부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터리(2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편(32)과, 상기 가이드판(31)의 안쪽면에 배터리 케이블(21)을 가이드 및 보호해주도록 마련되는 압지편(33)(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31)은 평평한 플레이트(plat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케이블(21)의 한쪽 단부에는 배터리(20)의 전원을 지게차(1)에 공급하기 위해 접속하는 커넥터(21a)가 마련되어서 차체(10)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지지편(32)은 프레임(22)의 취부면(22a)에 끼우고, 배터리(20)의 상부 안쪽면 일측에서 나사(32a)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가이드판(31)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는 회전축(31a)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압지편(33)(34)은 각각 나사(33a)(34a)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가이드판(31)의 안쪽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지편(33)(34)은 배터리 케이블(21)이 이탈되지 않고 확실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가이드판(31)의 안쪽면과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삽입홈(33a)(34a)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압지편(33)(34)은 삽입홈(33a)(34a)을 통과하는 배터리 케이블(21)이 압지되도록 하여 그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20)의 상부는 둘레를 따라 프레임(22)이 돌출 형성되어서 벽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22)중 어느 한쪽, 바람직하게는 배터리(20)의 인출방향에 있는 프레임(22)의 일측에 상기 보호부재(30)를 설치한다.
상기 보호부재(30)의 설치시에는, 배터리(20)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22)중 한쪽 프레임(22)의 일부분을 제거한 취부면(22a)의 안쪽에 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편(32)을 나사(32a)를 통해 결합,고정시키고, 가이드판(3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31a)을 지지편(3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판(31)의 안쪽면에는 2개의 압지편(33)(34)이 나사(33a)(34a)에 의해 결합 고정 되는데, 한쪽 압지편(33)은 가이드판(31)의 한쪽면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압지편(34)은 상기 압지편(33)과 직교방향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0)의 인출방향에 위치하는 한쪽 프레임(22)의 취부면(22a)과 대향되는 반대쪽 프레임(22)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안치홈(22b)을 형성하고, 배터리 케이블(21)의 일부분이 걸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의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22)에는, 배터리(20)를 지게차(1)로부터 완전히 분리/이동하기 위해서 크레인(도시되지 않음)의 체인 등을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22c)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한쌍의 압지편(33)(34)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한쪽 압지편(33)은 배터리 케이블(21)이 횡방향으로 삽입 관통되도록 하고, 다른쪽 압지편(34)은 배터리 케이블(21)이 종방향으로 삽입 관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게차의 케이블 보호장치는 배터리(20)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22)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22)의 안으로 공간부가 마련되고, 차체(10)안에 삽입되면 차체(10)의 수납실 내부의 상부면과 프레임(22)의 상단부가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안치홈(22b)을 마련하여 배터리 케이블(21)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프레임(22)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어 간섭되지 않게 하고, 보호부재(30) 자체도 한쪽 프레임(22)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아래의 취부면(22a)에 설치함으로써,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이 수평상태일때 프레임(22)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게 하여 배터리(20)의 인출동작시 차체(10)의 수납실내에서 빠져나오면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게차(1)의 차체(10) 안에 탑재된 배터리(20)의 점검 등을 위해 배터리(20)를 인출하면, 배터리 케이블(21)이 커넥터(21a)를 통해 차체(10)와 접속된 상태에서 배터리(20)와 차체(10)안에 접속된 배터리 케이블(21)이 잡아 당겨지면서 인출되기 시작한다.
상기 배터리(20)의 인출 및 인입시에는 지게차(1)에서 마스트 조립체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여야 하므로, 배터리 케이블(21)은 항상 접속된 상태에서 배터리(20)를 인출 또는 인입하는 동작을 수행해야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블(21)이 차체(10)안으로부터 인출되면, 보호부재(30)를 구성하는 가이드판(31)이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세워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 케이블(21)은 배터리(20)가 인출되지 않고 차체(10)안에 수납된 상태일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30)를 경유한 배터리 케이블(21)은 배터리(20)의 상부면에서 한쪽 프레임(22)에 형성된 안치홈(22b)을 거쳐서 상부로 커넥터(21a)가 접속된 상태로 있는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0)의 점검을 위해 차체(10)로부터 배터리(20)를 인출시킬때에는, 커넥터(21a)가 접속된 상태에서 배터리(20)가 차체(10)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배터리 케이블(21)은 배터리(20)의 상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펼쳐져있던 상태에서 세워지고, 이때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이 회전축(31a)을 통해 회전하여 세워지면서 배터리 케이블(21)이 넘어간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3a는 배터리(20)가 차체(10)안에 삽입된 상태일때를 가정하여 배터리 케이블(21)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배터리(20)를 차체(10)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가정하여 배터리 케이블(21)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따라서, 배터리 케이블(21)은 상기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 안쪽면에 고정된 압지편(33)(34)의 삽입홈(33b)(34b)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배터리(20)의 인출동작시, 배터리 케이블(21)은 일정한 패턴으로만 펼쳐지고, 그에 따라 배터리(20)의 바깥쪽으로 이탈하지 않게되어서 차체(10)내에 충돌하지 않게되므로, 배터리 케이블(21)의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손상을 전혀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이 배터리(20)의 상부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편(32)에 결합된 회전축(31a)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20)의 인출시 배터리 케이블(21)이 가이드판(31)의 끝단부에서 꺽여지게 되므로, 배터리 케이블(21)에 의한 저항을 받아서 배터리(20)의 인출시 원활하게 인출되지 못하거나, 또는 배터리 케이블(21)이 과도하게 절곡되어 배터리 케이블(21)에 손상을 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은 회동이 자유자재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20)의 인출시, 배터리 케이블(21)이 세워짐과 동시에, 절곡되면서 가이드판(31)의 반대쪽으로 넘어갈때, 아무런 저항없이 자연스럽게 가이드판(31)을 넘어서 배터리(20)의 안쪽면에서 차체(1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만 이동됨으로써, 배터리 케이블(21)은 주변 구조물과의 아무런 충돌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어서 배터리 케이블(21)의 손상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된다.
한편, 다시 인출하였던 배터리(20)를 차체(10)안으로 인입할 때에는, 인출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배터리(20)가 차체(10)안으로 진입할때, 배터리(20)의 상면에 마련된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은 세워진 상태에서 눕혀지게 되고, 그러면서 배터리 케이블(21)의 커넥터(21a)는 접속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배터리 케이블(21)이 배터리(20)의 상부면의 공간부에 눕혀지면서 정렬이 되어서 안치홈(22b)에 배터리 케이블(21)이 위치하면서 배터리(20)의 인입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0)의 상면 일측에서 배터리 케이블(21)의 일부분을 잡아주는 상태로 배터리(20)의 인출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배터리 케이블(21)은 항상 정렬된 한가지 패턴으로만 움직여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어 배터리 케이블(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인출후 다시 인입동작시에도 배터리 케이블(21)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있게되어서 배터리(20)의 삽입시 원활하게 삽입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지게차
10 : 차체
12 : 레그
20 : 배터리
21 : 배터리 케이블
21a : 커넥터
22 : 프레임
22a : 취부면
22b : 안치홈
22c : 걸이공
30 : 보호부재
31 : 가이드판
31a : 회전축
32 : 지지편
32a : 나사
33,34 : 압지편
33a,34a : 나사
33b,34b ; 삽입홈

Claims (5)

  1. 차체(10)안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차체(10)안에 마련되는 배터리(20)와;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배터리 케이블(21)과;
    상기 배터리(20)의 상부면 일측에 마련되어서 배터리 케이블(21)을 고정하면서 배터리(20)의 인출 및 인입동작시 배터리 케이블(21)의 손상을 방지해주도록 보호해주는 보호부재(30);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30)는,
    배터리(20)의 상부면 일측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31)과;
    상기 가이드판(31)의 안쪽면에 고정되어서 배터리 케이블(21)을 압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압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지편은 가이드판(31)의 안쪽면에 서로 직교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압지편(33)(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압지편(33)(34)은 각각 배터리 케이블(21)이 삽입 관통될때 지지되도록 하는 삽입홈(33b)(3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의 상부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둘레를 따라 프레임(22)이 형성되고, 한쪽 프레임(22)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위치의 취부면(22a)에, 보호부재(30)의 가이드판(31)이 수평상태일때 프레임(22)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보호부재(30)와 마주보는 위치의 프레임(22)에는, 배터리(20)가 차체(10)안에 수납된 상태에서 배터리 케이블(21)이 수용되어서 프레임(22)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치홈(2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KR1020160077252A 2016-06-21 2016-06-21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KR10204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252A KR102044597B1 (ko) 2016-06-21 2016-06-21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252A KR102044597B1 (ko) 2016-06-21 2016-06-21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55A true KR20170143255A (ko) 2017-12-29
KR102044597B1 KR102044597B1 (ko) 2019-11-13

Family

ID=6093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52A KR102044597B1 (ko) 2016-06-21 2016-06-21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648A (zh) * 2021-12-06 2022-06-14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托盘车用操作手柄总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199A (ja) * 1995-03-07 1996-09-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ーケーブル保護装置
KR19980041244A (ko) 1996-11-30 1998-08-17 이승춘 리치형 지게차 구조
JPH10310389A (ja) * 1997-05-14 1998-11-24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JPH10338485A (ja) * 1997-06-04 1998-12-22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バッテリケーブル保持構造
JP2003327397A (ja) * 2002-05-13 2003-11-19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ホース結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199A (ja) * 1995-03-07 1996-09-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ーケーブル保護装置
KR19980041244A (ko) 1996-11-30 1998-08-17 이승춘 리치형 지게차 구조
JPH10310389A (ja) * 1997-05-14 1998-11-24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JPH10338485A (ja) * 1997-06-04 1998-12-22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バッテリケーブル保持構造
JP2003327397A (ja) * 2002-05-13 2003-11-19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ホース結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648A (zh) * 2021-12-06 2022-06-14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托盘车用操作手柄总成
CN114620648B (zh) * 2021-12-06 2023-12-29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托盘车用操作手柄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597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110B2 (ja) 保管用設備、並びに特にこの設備用の倉庫ラック及び荷役機械
US20060185330A1 (en) Wrapping device
CN109565169B (zh) 具有电缆管理单元的顶置式充电系统
KR20130104449A (ko) 지게차용 포크장치
KR20170143255A (ko) 산업차량의 케이블 보호장치
WO2022143696A1 (zh) 一种设备装配系统及方法
JP2007203906A (ja) 荷受台昇降装置
KR101812202B1 (ko) 수직이동 용접장치
JP2009209535A (ja) スライド式吊り荷台装置
KR100778735B1 (ko) 다양한 크기의 간지코일 삽입장치
KR20130128261A (ko) 와이어 점검장치
CN216861982U (zh) 一种自动接膜装置
JP2002195791A (ja) 管束引き抜き方法
CN116812651A (zh) 一种可升降电缆放线架
KR101683794B1 (ko) 높이조절 가능한 물류창고용 렉
JP3619379B2 (ja) ケーブル作業車
CN218809921U (zh) 一种新型下料吊具
CN216403642U (zh) 一种可升降的大型设备吊运装置
CN217498453U (zh) 移动装置
CN219065540U (zh) 测试机构
KR20130007441U (ko)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040020382A (ko) 압연스탠드의 소경롤 교환장치
CN115609546A (zh) 一种液晶显示器检测工作台
CN210501501U (zh) 一种可自动定位塑料桶提手安装孔的装置
CN210299391U (zh) 一种竹盐生产设备的防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