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682A -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682A
KR20170140682A KR1020160073327A KR20160073327A KR20170140682A KR 20170140682 A KR20170140682 A KR 20170140682A KR 1020160073327 A KR1020160073327 A KR 1020160073327A KR 20160073327 A KR20160073327 A KR 20160073327A KR 20170140682 A KR20170140682 A KR 20170140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love
wing
knitted
n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나이스
Priority to KR102016007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682A/ko
Publication of KR20170140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와 나일론사를 이중 편직하여 장갑을 형성함으로써, 겨울철에 부드럽고 따뜻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은, 스판사에 커버링 형성한 날개사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하되, 날개사는 장갑의 안감으로 편직되어 보온성을 유지하고,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는 장갑의 바깥감으로 편직되어 날개사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GLOVES FOR 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를 적용하여 겨울철에 부드럽고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동절기에 추위로부터 손을 보호하거나 작업자가 작업시 손을 보호하는 목적 등으로 많이 사용되는 물품이다.
상기와 같은 장갑에 대한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2209호에는 장갑의 마지막 편직부분인 손목부분의 편직구조를 개량한 면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면 소재를 이용하여 장갑을 편직하므로 겨울철 보온성이 떨어지며, 장갑의 안감이 부드럽지 않고 거칠어서 착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2209호(1999.06.25.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와 나일론사를 이중 편직하여 장갑을 형성함으로써, 겨울철에 부드럽고 따뜻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은, 스판사에 커버링 형성한 날개사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하되, 상기 날개사는 장갑의 안감으로 편직되어 보온성을 유지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장갑의 바깥감으로 편직되어 상기 날개사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사는 40 내지 140 데니아(Denia)를 갖는 스판사에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링하여 12 내지 17 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 시, 상기 날개사는 외부로 편직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내부로 편직되며, 이중 편직 후 상기 장갑본체를 뒤집게 되면, 상기 날개사는 장갑의 안감으로 위치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바깥감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를 코팅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코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은, (a) 스판사에 날개사를 커버링하는 단계; (b) 상기 날개사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하는 단계; (c) 상기 날개사가 장갑의 안감으로 위치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가 장갑의 바깥감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장갑본체를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장갑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에 따르면, 스판사에 커버링 형성한 날개사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중 편직하여 장갑본체를 형성함으로써,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가 장갑의 안감으로 편직되어 사용자가 겨울철 장갑 착용 시 부드럽고 따듯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탄성을 가지면서 질긴 소재인 나일론사가 장갑의 바깥감으로 편직되어 날개사를 잡아줌으로써 날개사가 빠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장갑의 표면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갑본체의 손바닥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 형태의 코팅부를 형성함으로써,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 시 장갑의 손바닥면이 헤지거나 찢어지는 등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 대용 평면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대용 평면사진.
도 3은 도 1의 A부분과 도 2의 B부분을 각각 확대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을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날개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를 코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 대용 평면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대용 평면사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과 도 2의 B부분을 각각 확대한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을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날개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100)은 손등부, 손바닥부, 손가락부 및 손목부를 포함하는 장갑본체(110)로 구성될 수 있다.
장갑본체(110)는 날개사(113)와 나일론사(111)를 이중 편직하여 형성한다. 이때, 날개사(113)는 장갑의 안감으로 편직되고, 나일론사(111)는 장갑의 바깥감으로 편직된다.
날개사(113)는 보온성이 우수한 겨울용 원사이다. 이러한 날개사(113)는 탄성을 갖는 스판사(Spandex)(112)에 커버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사(113)는 40 내지 140 데니아(Denia)를 갖는 스판사(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판사(112)의 외부를 커버링하여 12 내지 17 수의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서, 데니아(Denier)란 편직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실 9000m(9km)의 무게, 즉 실의 두께(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데니아의 숫자가 작을수록 편직물이 얇고, 데니아의 숫자가 클수록 편직물이 두껍게 된다. 수는 날개사의 두께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수의 숫자가 작을수록 날개사의 두께가 두껍고, 수의 숫자가 클수록 날개사의 두께가 얇게 된다.
따라서, 스판사(112) 40 데니아에 날개사(113) 17 수를 커버링하는 경우 실의 두께가 얇게 되고, 스판사(112) 140 데니아에 날개사(113) 12 수로 커버링하는 경우 실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되어 보온성이 더 우수하다.
나일론사(111)는 면 소재에 비해 탄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컬러 색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나일론사(111)는 140 내지 280 데니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사(113)와 나일론사(111)를 이중 편직하여 장갑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일론사(111) 대신 폴리에스테르사(미도시)를 이용하여 날개사(113)와 이중 편직하여 장갑본체(1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113)를 장갑의 안감으로 형성함으로써 겨울철 장갑 착용시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받게 된다. 또한, 탄성을 가지면서 질긴 소재인 나일론사(111)를 장갑의 바깥감으로 형성함으로써 날개사(113)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아울러 장갑의 표면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장갑본체(110)의 손목부 끝단은 폴리에스테르로 연사한 접착사로서 편직하여 열가공한 마감부(114)를 형성하여 손목부위가 풀리지 않도록 마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손바닥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를 코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100)은 장갑본체(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장갑의 손바닥면에 코팅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120)는 장갑본체(110)의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 시 장갑의 손바닥면이 헤지거나 찢어지는 등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코팅부(120)는 합성고무 라텍스를 기재로 발포 제조된 코팅용 조성물을 장갑본체(110)의 표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부(120)는 손바닥 형상과 대응되도록 장갑본체(110)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코팅부(120)는 손바닥면과 대응되는 부위에 도포되는 제 1 코팅부(121)와, 손가락과 대응되는 부위에 도포되는 제 2 코팅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코팅부(122)는 손가락 마디별로 구분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제 2 코팅부(122)의 손가락 끝단 부위에는 손가락 지문 형태의 제 3 코팅부(123)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코팅부(120)를 손바닥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손바닥면과 손가락 마디 부위가 물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 시 손의 손바닥면과 손가락 부위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길이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스판사(112)에 보온성이 우수한 날개사(113)를 커버링한다(S101). 예를 들어, 40 내지 140 데니아(Denia)를 갖는 스판사(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사(113)가 스판사(112)의 외부를 커버링하도록 12 내지 17 수의 두께로 날개사(113)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날개사(113)와 나일론사(111)를 이용하여 장갑본체(110)를 이중 편직한다(S102). 장갑본체(110)를 이중 편직 시, 날개사(113)는 외부로 편직되고 나일론사(111)는 내부로 편직된다.
다음으로, 이중 편직된 장갑본체(110)를 뒤집는다(S103). 이처럼 장갑을 뒤집게 되면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113)가 장갑의 안감으로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겨울철 장갑 착용 시 부드럽고 따듯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탄성을 가지면서 질긴 소재인 나일론사(111)가 장갑의 바깥감으로 위치하게 되어 날개사(113)를 잡아줌으로써 날개사(113)가 빠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장갑의 표면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갑본체(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장갑 착용시 손바닥면에 해당하는 장갑 하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로 코팅부(120)를 형성한다(S104). 이처럼 장갑의 손바닥면에 코팅부(120)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장갑 완제품을 포장단위로 포장한다(S105).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용 장갑에 따르면, 스판사(112)에 커버링 형성한 날개사(113)와 나일론사(111)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중 편직하여 장갑본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온성을 갖는 날개사(113)가 장갑의 안감으로 편직되어 사용자가 겨울철 장갑 착용 시 부드럽고 따듯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탄성을 가지면서 질긴 소재인 나일론사(111)가 장갑의 바깥감으로 편직되어 날개사(113)를 잡아줌으로써 날개사(113)가 빠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장갑의 표면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갑본체(110)의 손바닥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 형태의 코팅부(120)를 형성함으로써, 장갑을 착용하여 작업 시 장갑의 손바닥면이 헤지거나 찢어지는 등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작업용 장갑 110 : 장갑본체
111 : 나일론사 112 : 스판사
113 : 날개사 120 : 코팅부
121 : 제 1 코팅부 122 : 제 2 코팅부
123 : 제 3 코팅부

Claims (5)

  1. 스판사에 커버링 형성한 날개사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하되,
    상기 날개사는 장갑의 안감으로 편직되어 보온성을 유지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장갑의 바깥감으로 편직되어 상기 날개사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사는 40 내지 140 데니아(Denia)를 갖는 스판사에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링하여 12 내지 17 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 시, 상기 날개사는 외부로 편직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내부로 편직되며,
    이중 편직 후 상기 장갑본체를 뒤집게 되면, 상기 날개사는 장갑의 안감으로 위치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바깥감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를 코팅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코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
  5. (a) 스판사에 날개사를 커버링하는 단계;
    (b) 상기 날개사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장갑본체를 이중 편직하는 단계;
    (c) 상기 날개사가 장갑의 안감으로 위치하고 상기 나일론사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사가 장갑의 바깥감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장갑본체를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장갑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에 도트 또는 전사지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KR1020160073327A 2016-06-13 2016-06-13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0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27A KR20170140682A (ko) 2016-06-13 2016-06-13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27A KR20170140682A (ko) 2016-06-13 2016-06-13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82A true KR20170140682A (ko) 2017-12-21

Family

ID=6093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327A KR20170140682A (ko) 2016-06-13 2016-06-13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06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34B1 (ko) * 2021-01-12 2021-03-18 주식회사 베스트모카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34B1 (ko) * 2021-01-12 2021-03-18 주식회사 베스트모카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KR102418165B1 (ko) * 2021-01-12 2022-07-07 주식회사 베스트모카 작업 및 군용 장갑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597B2 (en) Utility glove
USRE44849E1 (en) Single layer, two different sided hair wrap
US10119209B2 (en) Lightweight robust thin flexible polymer coated glove
US20100275342A1 (en) Knitted gloves having a single layer with a plurality of yarns
US20090038052A1 (en) Utility glove
US20080295221A1 (en) Hair wrap with different sidedness
US20160138215A1 (en) Method and material for improving the internal grip in gloves and clothing
JP4319172B2 (ja) 作業用手袋
KR20170140682A (ko)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805596B1 (ko) 어린이용 체험학습 장갑 및 그 제조방법
JP2000096322A (ja) 背抜き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0652B1 (ko) 어린이용 체험학습 장갑
JP2000220017A (ja) 作業用手袋
JP3137355U (ja) 作業用手袋
KR200386505Y1 (ko) 면장갑
JP4354793B2 (ja) 手腕被覆体
JP4548138B2 (ja) 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3055U (ja) 2重層複合材料からなる手袋構造
JP3183056U (ja) 5本指タイプ手袋構造
CN218527800U (zh) 一种自动调温手套
JP2000045114A (ja) 作業用手袋
JP3027907U (ja) 手 袋
JP3924105B2 (ja) 保護手袋
JPH0651221U (ja) 滑り止め手袋
JP2008063702A (ja) 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