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734B1 -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8734B1 KR102228734B1 KR1020210003921A KR20210003921A KR102228734B1 KR 102228734 B1 KR102228734 B1 KR 102228734B1 KR 1020210003921 A KR1020210003921 A KR 1020210003921A KR 20210003921 A KR20210003921 A KR 20210003921A KR 102228734 B1 KR102228734 B1 KR 102228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gloves
- polyurethane
- wing
- knit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5—Epoxy resi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과 손목의 일부에 각각 착용되어 산업현장 및 군부대에 사용되는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 폴리우레탄사로 되어 데니어가 서로 다른 제2, 3원사, 꼬임과정을 거치는 심사 양측에 폴리우테탄 코팅액이 코팅되는 부사가 돌출되어 완성되는 날개사를 이용하여 장갑 형태로 편직하고, 장갑 형태로 편직된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로 도트가 형성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과 손목의 일부에 각각 착용되어 산업현장 및 군부대에 사용되는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 폴리우레탄사로 되어 데니어가 서로 다른 제2, 3원사, 꼬임과정을 거치는 심사 양측에 폴리우테탄 코팅액이 코팅되는 부사가 돌출되어 완성되는 날개사를 이용하여 장갑 형태로 편직하고, 장갑 형태로 편직된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로 도트가 형성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을 보호하거나 추위를 막거나 장식하기 위하여 손에 끼는 것으로, 편직기를 이용해 실로 뜨개질 한 것처럼 편직하여 생산되는 편직장갑(knitted gloves)과, 피혁 및 섬유재의 원단을 재단하여 이를 재봉 생산하는 봉제장갑(cut gloves) 방식으로 크게 분류된다.
장갑은 일상생활인 가정이나 산업현장, 음식점 및 군부대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현장 및 군부대에서 많이 사용되는 작업용 장갑의 경우 폴리에스터사와 면사를 적절하게 혼용하여 편직되며, 편직된 손바닥면으로 합성수지인 코팅층을 형성시켜 미끄럼방지 및 작업용 장갑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사용되어 왔다.
즉, 작업용 장갑을 합성수지로 된 코팅액에 일정시간 동안 함침시킨 후 꺼내어 건조함으로써 작업용 장갑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내약품성이 취약하여 사용범위가 한정되고, 접착성이 약하여 코팅층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코팅층이 두껍고 투박하기 때문에 그립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 침적방법에 의해 장갑을 제조하는 경우 장갑 깊숙하게 코팅액이 침투하게 됨에 따라 착용감이 떨어지고, 두꺼운 코팅층으로 인해 그립성이 떨어지며, 자동차 정비업체 등과 같이 오일이 묻은 기계나 부품을 다루는 산업현장과 주로 야외에서 훈련하는 군부대에서는 오히려 매끄럽게 형성된 고무코팅층으로 인해 작업 대상물과의 미끄럼이 발생하는 등 사용상에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용 장갑은 단순히 작업자의 손의 보호 및 미끄럼방지의 용도로만 사용되어 장갑의 보온 및 착용성 등의 기능은 담보되지 못한 문제점 또한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2429호 (2016. 12. 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 폴리우레탄사로 되어 데니어가 서로 다른 제2, 3원사, 폴리에스터사이며 꼬임과정을 거치는 심사 양측에 폴리우테탄 코팅액이 코팅되는 부사가 돌출되도록 완성되는 날개사를 각각 가닥수 비율을 조절하여 장갑 형태로 편직하여 착용성과 보온성을 극대화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장갑 형태로 편직된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로 다양한 조성물이 혼합되어 완성된 도트가 형성되어 작업대상물과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도트가 그 형태를 견고하게 고정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은, 손과 손목에 착용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00 ~ 150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를 준비하고, 50 ~ 15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로 된 제2원사 및 150 ~ 35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로 된 제3원사를 준비하며, 100 ~ 150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를 심사로 하고, 75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한 코팅액을 코팅한 실을 부사로 하여, 심사를 꼬임시킴과 아울러 꼬임된 심사 양측에 부사를 돌출시켜 완성되는 날개사를 준비하고, 손이 착용되는 부위는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날개사를 4 : 1 : 0.5 ~ 1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하며, 손목이 착용되는 부위는 상기 상기 제1원사, 제3원사 및 날개사를 4 : 1 : 0.5 ~ 1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 폴리우레탄사로 된 다른 제2원사 및 제3원사, 폴리에스터사를 심사로 하고,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한 코팅액을 코팅한 실을 부사로 한 날개사를 이용하여 가닥수 비율에 맞춰 작업용 장갑을 편직함으로써, 제2, 3원사를 통해 손과 손목 부위에 긴밀히 밀착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날개사의 부사가 작업용 장갑의 내, 외부에 돌출되어 보온력과 부드러운 감촉을 구현하여 양질의 작업용 장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에 형성되는 도트로 인해 작업대상물과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날개사의 심사 양측에 돌출된 부사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면서 알긴산접착액이 포함되어 작업용 장갑과의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도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도트의 이탈이 방지되고, 수산화마그네슘과 벤조페논이 포함되어 산업현장 및 군부대에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불과 마찰에 의한 도트의 손상 및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면서 자외선에 의한 도트의 균열을 최소화하며, 벤토나이트를 통해 도트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기능을 유지시켜주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과 손목에 착용되는 작업용 장갑에 보온성 및 착용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00 ~ 150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를 준비함과 아울러 50 ~ 15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로 된 제2원사 및 150 ~ 35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로 된 제3원사를 준비한다.
또한, 100 ~ 150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를 심사로 하고, 75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한 코팅액을 코팅한 실을 부사로 하여, 심사를 꼬임시킴과 아울러 꼬임된 심사 양측에 부사를 돌출시켜 완성되는 날개사를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제1, 2, 3원사와 날개사를 통해 장갑 형태로 편직하게 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손이 착용되는 부위는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날개사를 4 : 1 : 0.5 ~ 1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함과 아울러 손목이 착용되는 부위는 상기 상기 제1원사, 제3원사 및 날개사를 4 : 1 : 0.5 ~ 1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한다.
즉, 제1원사인 폴리에스터사는 장갑용 편직물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섬유 중 가격경쟁력이 좋으면서 강도 및 취급이 용이한 점을 기인하여 사용되며, 상기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의 데니어와 가닥수 비율을 한정하는 것은, 수요가 많아 쉽게 구할 수 있고, 작업용 장갑(1)에 필요한 보온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두께이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스터사는 땀의 흡수가 잘되어 피부에 닿는 끈적거림이나 이물감을 해소할 수 있고, 세탁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3원사는 장갑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며, 상기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하였을 때 보온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작업용 장갑(1)이 손과 손목에 적절히 밀착되어 우수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 3원사의 데니어를 구분하여 제3원사를 제2원사 보다 두꺼운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는 것은 제2원사는 손이 착용되는 부위에 편직되고, 제3원사는 손목이 착용되는 부위에 편직되어 작업용 장갑(1)의 손목 부위에 보다 높은 탄성력을 부가하여 손목에서 장갑이 흘러내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가로 이루어지는 나일론사나 스판덱스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용 장갑(1)에 밀착력을 부가하여 착용성을 향상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날개사는 심사를 꼬임시킴과 아울러 꼬임된 공간의 양측에 부사를 돌출시켜 작업용 장갑(1)의 내부와 외부로 폴리우레탄이 코팅된 부사가 노출되어 보온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작업용 장갑(1)의 내부에 돌출되는 부사는 착용자의 손에 직접 마찰되어 보온력을 향상시키고, 작업용 장갑(1)의 외부에 돌출되는 부사는 손에 마찰되지는 않지만 작업용 장갑(1)의 보온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후술되는 도트(10)와 결합력을 높이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며, 즉 도트(10)는 날개사의 심사 양측 중 작업용 장갑(1)의 외부에 돌출된 부사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도트(10)와 작업용 장갑(1)과의 결합력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용 장갑(1)의 내부 및 외부로 돌출되는 부사는 폴리우레탄이 코팅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부드럽고 가벼운 터치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 폴리우레탄사로 된 다른 제2원사 및 제3원사, 폴리에스터사를 심사로 하고,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한 코팅액을 코팅한 실을 부사로 한 날개사를 이용하여 가닥수 비율에 맞춰 작업용 장갑(1)을 편직함으로써, 제2, 3원사를 통해 손과 손목 부위에 긴밀히 밀착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날개사의 부사가 작업용 장갑(1)의 내, 외부에 돌출되어 보온력과 부드러운 감촉을 구현하여 양질의 작업용 장갑(1)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원사와 날개사의 심사 및 부사는 폴리에스터사로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터사는 선염이 용이한 재질로 제1원사는 선택된 임의의 색상으로 선염을 진행하고, 날개사의 심사 및 부사는 제1원사와 다른 색상으로 대비되도록 선염을 진행하여 가닥수 비율이 다르게 편직되는 제1원사와 날개사로 인해 외관이 미려한 색상으로 구현하여 시각적으로 우수한 작업용 장갑(1)을 편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원사는 작업용 장갑(1)의 가장 많은 부위로 편직되며, 이러한 제1원사에 항균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원사에 도포되는 항균물질은 황토분말 25 ~ 30중량%, 실란커플링제 25 ~ 30중량%, 견운모분말 15 ~ 2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10 ~ 15중량%, 은 분산액 8 ~ 12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황토분말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견운모분말의 경우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녀 작업용 장갑(1)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장갑 내에 존재하는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게 되어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 발진과 가려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접착력을 발휘하여 제1원사에 항균물질을 도포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제올라이트분말은 소취 및 탈취효능으로 인해 작업용 장갑(1)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청결한 환경을 유지시키면서 소량의 땀이 계속적으로 발생되었을 때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은은 살균 및 항균 능력 등이 매우 우수하며, 특히 물에 분산되어 일정한 양의 수분이 혼합되는 은 분산액의 경우 살균 및 항균 효과 등이 더욱 강해져 세균이나 독성의 번식을 억제하게 되므로, 은 분산액은 상술한 살균 및 항균 작용과 더불어 탈취, 전자파 및 자외선 차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등과 같이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항생물질로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날개사로 편직되는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로 양각의 도트(10)를 형성시켜 작업시에 작업대상물과 주로 마찰되는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에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트(10)는 두께 1 ~ 2㎜, 직경 0.3 ~ 0.7㎜이며, 도트(10) 사이의 간격은 0.3 ~ 0.7㎜로 형성되어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의 전체 표면적을 기준으로 40 ~ 60% 범위로 도트(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생산비용 및 슬립방지기능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범위이다.
또한, 도트(10)의 재질은 실리콘수지, PVC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중 어느 하나의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80 ~ 120 중량부, 벤토나이트 15 ~ 20중량부, 알긴산소다와 물이 혼합된 알긴산접착액 20 ~ 30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5 ~ 10중량부, 벤조페논 5 ~ 1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실리콘수지, PVC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는 도트(10)의 주재료로서 탄성 및 접착력이 좋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도트(10)로 사용되었 때 쿠션과 유연성을 좋게 하여 작업용 장갑(1)을 장시간 착용해도 손이 결리거나 아프지 않고, 작업대상물을 파지하였을 때 도트(10)와 접촉성이 좋아 슬립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물은 도트(10)의 점성을 결정하는 구성요소로 물이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투입되면 도트 혼합물의 점성이 낮아져 접착력과 강도가 약화되며, 경화 후 도트(10) 내부의 수분이 건조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 반면에 물이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투입되면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에 도트(10)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벤토나이트는 건조 시와 습윤 시 체적 수축과 팽창이 큰 특징이 있다. 실제로 벤토나이트는 정수 상태에서 물과 반응하면 보통 무게의 5배까지, 체적의 13 ∼ 16배까지 팽창하여 겔(gel) 상태 물질로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용해성 물질이 아닌 도트(10)의 구성요소 내에서의 팽윤작용에 의한 균일한 분산을 위해 사용되며, 벤토나이트를 통해 겔(gel) 상태 물질로 변화하면 물(수분)을 배척하는 성질과 더불어 다른 물질과 혼합될 경우 서로 점결시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때, 벤토나이트는 화학적으로 활성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점착되는 재료의 원래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주지 않아 도트(10)의 또 다른 구성요소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그 기능을 온전히 유지시키게 한다.
이러한 벤토나이트의 결정화 반응을 이용하기 위해 불연성 무기입자인 벤토나이트에 의해 도트(10)를 이루는 벤토나이트 입자는 결정화 반응을 진행하게 되고, 도트(10)에 침투된 벤토나이트 입자들이 결정화 되면서 작업용 장갑(1)과 결속을 하여 상기 벤토나이트의 결정화 반응은 작업용 장갑(1)과의 접착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화된 벤토나이트는 경화된 도트(10)의 유연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강도를 향상시켜 형상을 유지하게 해주어 슬립현상을 차단하면서 결정화된 벤토나이트는 불에 타지 않으므로 불연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알긴산접착액은 알긴산소다와 물이 1 : 5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도트 혼합물에 접착력을 부가하도록 사용된다.
알긴산소다는 미역, 다시마, 감태와 같은 갈조류를 알칼리 추출한 후 산을 첨가하여 젤화한 것이며, 천연의 고분자 응집제로 불리울만큼 접착력이 뛰어나서 작업용 장갑(1)과 효과적으로 접착되면서도 천연재료로 이루어져 도트(10)의 유해성분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알긴산접착액을 분말화시켜 도트 혼합물 중 물과 혼합하게 되면 면 점성이 발생됨으로 고착력이 극대화되어 접착액으로서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수산화마그네슘은 분말형 난연제로서, 산업현장 및 군부대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장갑(1)은 추운 기후에 불에 직접 마찰시켜 손을 녹이기도 하는데 이때 도트(10)가 불의 열기로 인해 도트(10)가 녹거나 현장에 방치된 작업용 장갑(1)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수산화마그네슘은 다른 분말형 난연제에 비해 인체에 무해한 특징으로 가지며, 흡열 분해점이 332℃ 정도로 높아서 다른 물질의 첨가시 발화점을 높이고 연기가 적게 나게 한다. 또한, 연소시 산소를 흡수하고 물을 생성하여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화재 방지용 코팅제로 사용될 정도로 도트(10)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고 화재 발생시 용융수지의 드롭(drop) 현상을 방지하면서 연기 발생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화염에 의한 도트(10)의 손상 및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벤조페논은 자외선차단제 및 변색방지제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태양광선 중 290 ~ 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은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플라스틱의 변색, 표면 갈라짐, 기계적 물성 저하 등 플라스틱 노화의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벤조페논이 도트(10)에 혼합되어 자외선을 차단 또는 자외선을 안정화시켜 도트(10)의 주재료가 되는 실리콘수지, PVC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의 균열 및 변색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도트(10)는 손바닥 부위 및 손가락 부위에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날개사의 심사 양측에 돌출된 부사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면서 알긴산접착액이 포함되어 작업용 장갑(1)과의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도트(10)의 이탈이 방지되고, 수산화마그네슘과 벤조페논이 포함되어 산업현장 및 군부대에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불과 마찰에 의한 도트(10)의 손상 및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면서 자외선에 의한 도트(10)의 균열을 최소화되며, 벤토나이트를 통해 도트(10)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기능을 유지시켜주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조성물로 도트(10)가 형성된 작업용 장갑(1)은 80 ∼ 90℃로 유지되는 밀폐된 챔버에서 10 ~ 20분 동안 1차건조하고, 40 ∼ 50℃로 유지되는 밀폐된 챔버에서 50 ~ 60분 동안 2차건조하여 그 형태를 완성하게 된다.
즉, 1차건조는 급속도로 도트(10)를 건조하여 도트(1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1차건조는 이보다 높은 온도 및 건조시간이 길어지면 도트(10)의 경화와는 관계없이 도트(10)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2차건조는 경화된 도트(10)의 숙성을 위한 것으로 도트(10)의 수축현상이 방지되고 도트(10)가 작업용 장갑(1)에 일체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날개사의 부사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폴리우레탄을 주재료하여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구리, 알루미늄, 탄소,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되는 도전체 분말 10 ~ 15중량부,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가 혼합된 복합 난연제 10 ~ 15중량부, 실리카 5 ~ 8중량부, 분산제 2 ~ 3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도전체 분말은 날개사에 전기도전성이 구비되어 작업용 장갑(1)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특히, 날개사의 부사에만 도전체 분말이 구비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균일한 전기 저항값을 유지하며, 도전체가 분말 형태로 코팅액에 혼합되어 도전체 분말이 작업용 장갑(1)의 외부로 표출되지 않아 스마트폰 사용시에 긁힘현상을 방지되어 스마트폰 액정의 파손 및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합 난연제는 도트(10)와 더불어 작업용 장갑(1)에 돌출된 날개사가 불의 열기로 인해 녹거나 가열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는 산소의 차단과 불꽃의 확대를 저지하고, 특히 연소시 불연성 가스를 발생시켜 부사의 코팅액에서부터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시켜 작업용 장갑(1) 전체 부위에 난연기능이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는 브롬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실리카는 증점안정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부사에 코팅액이 코팅될 때 코팅액의 적절한 점도를 구비하여 코액팅이 부사가 편심되게 코팅되거나 부사에 코팅액이 미코팅되는 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폴리우레탄이 포함된 코팅액의 경도 및 강도를 향상시켜 부사의 기능성 물질이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되도록 한다
분산제는 코팅액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도전체 분말 및 실리카를 용이하게 분산시키게 한다.
한편, 제1, 2, 3원사는 편직과정에서 편직기에 급사할 때 장력을 주어 편직공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제1원사는 5 ~ 10gf의 급사장력을 가하고, 제2원사는 2 ~ 3gf의 급사장력을 가하고, 제3원사는 1 ~ 1.5gf의 급사장력을 가하여 편직공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비교적 탄성을 가지는 제2, 3원사는 급사장력을 적게 주고, 제2, 3원사에 비해 탄성이 적은 제1원사는 급사장력을 많게 주어 탄성이 각기 다른 제1, 2, 3원사에 장력을 조절하여 편직기에 공급함으로써, 작업용 장갑원단의 텐션이 유지되어 신축성이 향상되면서도 밀도를 촘촘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양질의 작업용 장갑원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 : 작업용 장갑 10 : 도트
Claims (4)
- 손과 손목에 착용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00 ~ 150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로 된 제1원사를 준비하고, 50 ~ 15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로 된 제2원사 및 150 ~ 350데니어인 폴리우레탄사로 된 제3원사를 준비하며, 100 ~ 150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를 심사로 하고, 75데니어인 폴리에스터사에 폴리우레탄을 주재료로 한 코팅액을 코팅한 실을 부사로 하여, 심사를 꼬임시킴과 아울러 꼬임된 심사 양측에 부사를 돌출시켜 완성되는 날개사를 준비하고,
손이 착용되는 부위는 상기 제1원사, 제2원사 및 날개사를 4 : 1 : 0.5 ~ 1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하며,
손목이 착용되는 부위는 상기 상기 제1원사, 제3원사 및 날개사를 4 : 1 : 0.5 ~ 1의 가닥수 비율로 편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3921A KR102228734B1 (ko) | 2021-01-12 | 2021-01-12 |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
KR1020210031387A KR102418165B1 (ko) | 2021-01-12 | 2021-03-10 | 작업 및 군용 장갑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3921A KR102228734B1 (ko) | 2021-01-12 | 2021-01-12 |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387A Division KR102418165B1 (ko) | 2021-01-12 | 2021-03-10 | 작업 및 군용 장갑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8734B1 true KR102228734B1 (ko) | 2021-03-18 |
Family
ID=752321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3921A KR102228734B1 (ko) | 2021-01-12 | 2021-01-12 |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
KR1020210031387A KR102418165B1 (ko) | 2021-01-12 | 2021-03-10 | 작업 및 군용 장갑의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387A KR102418165B1 (ko) | 2021-01-12 | 2021-03-10 | 작업 및 군용 장갑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2873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399B1 (ko) * | 2013-05-24 | 2014-05-13 | 이창우 | 고신축성 날개사 및 그 제조방법 |
KR101682429B1 (ko) | 2009-08-19 | 2016-12-05 | 쇼와 글로브 가부시키가이샤 | 작업용 장갑 |
KR20170140682A (ko) * | 2016-06-13 | 2017-12-21 | 주식회사 성진나이스 |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KR102150828B1 (ko) * | 2020-05-27 | 2020-09-02 | 백승화 | 향균장갑의 제조방법 |
-
2021
- 2021-01-12 KR KR1020210003921A patent/KR1022287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3-10 KR KR1020210031387A patent/KR1024181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2429B1 (ko) | 2009-08-19 | 2016-12-05 | 쇼와 글로브 가부시키가이샤 | 작업용 장갑 |
KR101393399B1 (ko) * | 2013-05-24 | 2014-05-13 | 이창우 | 고신축성 날개사 및 그 제조방법 |
KR20170140682A (ko) * | 2016-06-13 | 2017-12-21 | 주식회사 성진나이스 |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
KR102150828B1 (ko) * | 2020-05-27 | 2020-09-02 | 백승화 | 향균장갑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8165B1 (ko) | 2022-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0828B1 (ko) | 향균장갑의 제조방법 | |
CN110004554B (zh) | 一种高柔软阻燃面料 | |
CN111347738B (zh) | 透气贴身防护服制造工艺 | |
Fei | High-performance fibers for textiles | |
KR102228734B1 (ko) | 작업용 장갑의 제조방법 | |
CN102514317A (zh) | 一种多功能舒适面料 | |
CN101812758A (zh) | 一种多功能防辐射机织面料及其生产方法 | |
CN105901792A (zh) | 一种阻燃抗菌环保羊毛衫 | |
CN106987967B (zh) | 一种具有阻燃抗菌功能的纺织面料 | |
JP2003166138A (ja) | 積層糸 | |
CN205272714U (zh) | 阻燃防水面料 | |
CN110295445B (zh) | 一种户外用毛巾面料 | |
CN204914761U (zh) | 一种阻燃防辐射布料 | |
KR102106530B1 (ko) | 인체의 혈액순환 개선 및 피부 쾌적성을 갖는 의류용 이중직 원단 | |
CN210881140U (zh) | 一种防辐射服装面料 | |
CN105803627A (zh) | 一种防辐射阻燃面料及其制作方法 | |
CN112064165B (zh) | 一种抗静电纺织面料及其制备方法 | |
KR101598966B1 (ko) | 절단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코팅장갑 | |
CN106820308A (zh) | 一种由多功能防辐射布料制成的防辐射服 | |
US20060201128A1 (en) | Fireproof composite yarn comprising three types of fibers | |
CN103382624A (zh) | 一种新型绝缘面料 | |
KR101988537B1 (ko) | 양모 원사의 천연항균성 부여방법 | |
CN206456058U (zh) | 一种新型棉麻弹力布 | |
CN215551593U (zh) | 一种亲肤穿着舒适度高的新型布料 | |
RU2647807C1 (ru) | Двухслойная защитная ткан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