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505Y1 - 면장갑 - Google Patents

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505Y1
KR200386505Y1 KR20-2005-0007283U KR20050007283U KR200386505Y1 KR 200386505 Y1 KR200386505 Y1 KR 200386505Y1 KR 20050007283 U KR20050007283 U KR 20050007283U KR 200386505 Y1 KR200386505 Y1 KR 200386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coating layer
cotton
glove body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섭
Original Assignee
홍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섭 filed Critical 홍광섭
Priority to KR20-2005-0007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또는 인조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손에 착용되는 장갑본체와; 상기 장갑본체의 손바닥 측에 마련되는 코팅층과; 상기 장갑본체와 동일한 재질로써 상기 코팅층에 중첩하게 마련되는 섬유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면장갑과 코팅면장갑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새로운 타입의 면장갑을 개시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증대하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면장갑{Glove}
본 고안은, 면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장갑과 코팅면장갑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새로운 타입의 면장갑을 개시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증대하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장갑에 관한 것이다.
장갑은, 손의 보호, 보온, 수식, 계급상징, 때로는 표지등의 목적으로 손에 끼는 주머니 모양으로 된 손 싸개의 총칭이다. 이러한 장갑은 그 재질에 따라 가죽장갑, 헝겊장갑, 편물장갑, 고무장갑, 폴리비닐장갑 등의 호칭이 있으며, 특수한 용도를 위해서는 납가공장갑이라든지 방화장갑 등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 형태에 따라 5개의 손가락을 분리해 놓은 글러브(glove)와 엄지만을 분리한 미튼(mitten)으로 대별된다. 야구용의 글러브와 미트(mitt)는 전자의 전형을 나타내고 복싱용은 후자에 속한다.
또한, 형태상으로 볼 때, 글러브 중에서는, 5개의 손가락을 모두 낄 수 있는 긴장갑과, 장갑의 각 손가락 마디 단부를 일정하게 절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반장갑으로 나뉜다. 반장갑은 오토바이 사용자나, 헬스 운동자, 혹은 낚시꾼들에게 널리 이용된다.
5개의 손가락을 모두 낄 수 있는 긴장갑 중에서 특히, 산업현장이나 공장 등에서 작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에 소위, 면장갑과 코팅면장갑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면장갑은 글자 그대로 면을 이용하여 장갑을 제조한 것이고 코팅면장갑은 면장갑의 손바닥 측으로 코팅액을 도포시킨 것을 가리킨다. 이들 면장갑이나 코팅면장갑은 모두가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면서도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면장갑은 한 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에 약하다. 따라서 기름 작업을 많이 하는 예를 들어, 카센터 등의 작업자가 면장갑을 착용할 경우, 우선 비닐장갑을 먼저 착용한 후, 그 위로 면장갑을 이중으로 사용하는 예가 종종 있다.
이에 반해, 코팅면장갑은 코팅층이 한 겹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면장갑에 비해 내구성은 뛰어나다. 하지만 코팅면장갑을 착용한 후, 수분이나 기름, 분진이 달라붙은 공구나 작업물을 파지할 경우, 쉽게 미끄러지는 단점을 보인다.
이에, 본 출원인은 면장갑과 코팅면장갑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새로운 타입의 면장갑을 개시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증대하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장갑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면장갑과 코팅면장갑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새로운 타입의 면장갑을 개시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증대하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면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천연 또는 인조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손에 착용되는 장갑본체와; 상기 장갑본체의 손바닥 측에 마련되는 코팅층과; 상기 장갑본체와 동일한 재질로써 상기 코팅층에 중첩하게 마련되는 섬유표면층을 포함하는 면장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은 액상의 코팅물질을 상기 장갑본체의 해당 위치에 도포하여 형성되되; 상기 섬유표면층은 상기 코팅물질이 건조되기 전, 상기 코팅층에 중첩하게 배치되어 상기 코팅층의 건조와 함께 상기 장갑본체에 접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코팅층과 상기 섬유표면층은 상기 장갑본체의 손등의 요부공간을 제외한 상기 장갑본체의 손바닥, 손가락 끝 및 상기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까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과 상기 섬유표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힘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장갑본체에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다면 쉽게 착용하기 좋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장갑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장갑(10)은, 앞서 기술한 통상의 면장갑(미도시)과 코팅면장갑(미도시)의 장점만을 취합한 것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내구성이 증대되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면장갑(10)은 손에 착용되는 장갑본체(12)와, 장갑본체(12)의 손바닥 측에 마련되는 코팅층(14)과, 장갑본체(12)와 동일한 재질로써 코팅층(14)에 중첩하게 마련되는 섬유표면층(16)을 포함한다.
장갑본체(12)란 앞서 기술한 통상의 면장갑을 가리킨다. 즉, 5개의 손가락을 모두 낄 수 있는 긴장갑 중에서도 특히, 산업현장이나 공장 등에서 작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장갑본체(12)는 면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면 외에도 부직포나 혹은 여타의 천연섬유, 인조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코팅층(14)은 장갑본체(12)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는 용도로 마련된다. 이러한 코팅층(14)은 장갑본체(12)를 제조한 후, 장갑본체(12)에 액상의 코팅물질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코팅층(14)의 배치 영역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본체(12)의 손등의 요부공간을 제외한 장갑본체(12)의 손바닥, 손가락 끝 및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까지 배치된다.
한편, 코팅층(14)은 장갑본체(12)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이 자체만으로는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단점을 보인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코팅층(14)에 중첩하게 섬유표면층(16)을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섬유표면층(16)의 재질은 장갑본체(12)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장갑본체(12)와는 다른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섬유표면층(16)은 장갑본체(12)에 액상의 코팅물질을 도포한 상태에서 코팅층(14)에 그대로 덮어 중첩하게 배치한 후, 코팅층(14)의 건조되면 장갑본체(12)에 일체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 후, 코팅물질이 묻지 않은 영역을 재단하면 된다. 그러나 애초, 장갑본체(12)를 횡단면으로 자른 손바닥 형상으로 섬유표면층(16)을 재단해 놓고, 코팅물질에 덮게 되면 추후의 재단작업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14)이 장갑본체(12)의 손등의 요부공간을 제외한 장갑본체(12)의 손바닥, 손가락 끝 및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까지 배치되기 때문에 섬유표면층(16) 역시 코팅층(14)과 동일한 위치까지 형성된다. 이 때, 엄지와 검지 사이의 공간은 작업물을 파지시 가장 많이 닿는 부분이므로 이 영여만큼은 최소한 섬유표면층(16)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코팅층(14)의 외측으로 섬유표면층(16)을 한 겹 더 형성하면, 섬유표면층(16)으로 인해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층(14)으로 인해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고, 섬유표면층(16)으로 인해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3겹의 장점으로 그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장갑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3겹으로 면장갑(10a)을 형성할 경우, 기존의 장갑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공구를 파지하거나 작업물을 파지하는데 있어 일정부분 구속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섬유표면층(16)에 접힘부(21)를 추가로 형성하고 있다. 접힘부(21)의 위치는 손바닥에 형성된 손금이 접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접힘부(21)는 애초에 섬유표면층(16)을 재단할 경우, 접힘부(21) 영역을 미리 절취한 상태에서 코팅층(14)에 접착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코팅층(14)에도 접힘부(21)를 형성하면 좋으나, 공정상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섬유표면층(16)에만 접힘부(21)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장갑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장갑본체(12)에 고리부(23)를 더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고리부(23)로 인해 면장갑(10b)을 착용할 경우, 보다 쉽게 잡아당길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면장갑과 코팅면장갑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새로운 타입의 면장갑을 개시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증대하는 한편 수분이나 기름의 침투를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나 기름, 분진 등이 묻은 작업물의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하여 작업에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장갑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장갑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장갑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 : 면장갑 12 : 장갑본체
14 : 코팅층 16 : 섬유표면층
21 : 접힘부 23 : 고리부

Claims (5)

  1. 천연 또는 인조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손에 착용되는 장갑본체와;
    상기 장갑본체의 손바닥 측에 마련되는 코팅층과;
    상기 장갑본체와 동일한 재질로써 상기 코팅층에 중첩하게 마련되는 섬유표면층을 포함하는 면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액상의 코팅물질을 상기 장갑본체의 해당 위치에 도포하여 형성되되;
    상기 섬유표면층은 상기 코팅물질이 건조되기 전, 상기 코팅층에 중첩하게 배치되어 상기 코팅층의 건조와 함께 상기 장갑본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과 상기 섬유표면층은 상기 장갑본체의 손등의 요부공간을 제외한 상기 장갑본체의 손바닥, 손가락 끝 및 상기 손가락들 사이의 공간까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과 상기 섬유표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힘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본체에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장갑.
KR20-2005-0007283U 2005-03-17 2005-03-17 면장갑 KR200386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83U KR200386505Y1 (ko) 2005-03-17 2005-03-17 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83U KR200386505Y1 (ko) 2005-03-17 2005-03-17 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505Y1 true KR200386505Y1 (ko) 2005-06-13

Family

ID=4368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83U KR200386505Y1 (ko) 2005-03-17 2005-03-17 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5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75B1 (ko) * 2006-08-24 2007-05-14 손국태 폴리우레탄 코팅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5778B1 (ko) 2016-06-15 2017-12-07 (주)신성메이저글러브 접힘 구조를 지닌 코팅 면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75B1 (ko) * 2006-08-24 2007-05-14 손국태 폴리우레탄 코팅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5778B1 (ko) 2016-06-15 2017-12-07 (주)신성메이저글러브 접힘 구조를 지닌 코팅 면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0382B2 (en) Utility glove
US7895768B2 (en) Absorbent glove
US20060212990A1 (en) Stretchable, multi-layered gloves
US20120266359A1 (en) Utility Glove
US6829802B2 (en) Fitted dusting-cleaning glove with built-in crevice cleaning tuft
US7237273B2 (en) Double face work gloves
KR200386505Y1 (ko) 면장갑
KR200379193Y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WO2015069795A1 (en) Utility glove
KR101058150B1 (ko) 장갑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0610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장갑
KR20200079144A (ko) 면장갑
CN210869968U (zh) 一种便于分离组合使用的护腕手套
KR200434984Y1 (ko) 작업용 장갑
KR101568341B1 (ko) 만년 장갑
CN217337532U (zh) 一种防油耐磨丁腈手套
AU2018100359A4 (en) Garment Manufacturing Method
JP3192665U (ja) 作業用手袋
JP2001336007A (ja) 作業用防振手袋および同製造方法
JP3202983U (ja) 作業用手袋
JP3018096U (ja) 作業用手袋
JPH11140714A (ja) 作業用手袋
KR200266996Y1 (ko) 내열 방수 장갑
KR20170140682A (ko)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JP2004197240A (ja) 保護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