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275A - 혈액백 용도의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감압 접착제 피복 시트 - Google Patents

혈액백 용도의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감압 접착제 피복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275A
KR20170140275A KR1020177032841A KR20177032841A KR20170140275A KR 20170140275 A KR20170140275 A KR 20170140275A KR 1020177032841 A KR1020177032841 A KR 1020177032841A KR 20177032841 A KR20177032841 A KR 20177032841A KR 20170140275 A KR20170140275 A KR 2017014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lood bag
polypropylene film
label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다르사나 무커르지
Original Assignee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4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09J7/028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8Arrangement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container contents, e.g. sterile cond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7/027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2Labels for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혈액백 부착용의 다양한 라벨 및 라벨링 기술이 기재된다. 라벨은 하나 이상의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접착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벨이 접착된 혈액백 및 관련된 사용 방법이 기재된다.

Description

혈액백 용도의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감압 접착제 피복 시트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4월 30일자로 출원된 인도 가출원 제1727/MUM/201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시트 또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감압 구조체, 특히 혈액백 라벨 용도에 사용되는 감압 접착제 코팅을 갖는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미세다공성 시팅/페이스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는 라벨링된 혈액백에 관한 것이다.
수혈은 다양한 질환 및 질병 상태의 환자들 사이에서 계속 증가하는 의학적 요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혈액백은 다양한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혈액을 보관 및 수용하여, 수혈자에게 혈액을 주입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혈액백은 헌혈자로부터 최종 수혈자에게로의 혈액을 신뢰성있게 트랙킹하기 위해 튼튼한 라벨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단일층 또는 다층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폴리머 시팅은 일반적으로 혈액백 라벨 용도의 접착제 코팅과 함께 사용된다. 수혈이 이루어지기 전, 라벨에 대해 특히 품질 및 법규 규제를 엄수하기 위해 매우 까다로울 수 있는 다수의 처리, 테스트, 및 보관 작업이 혈액백 및 부착된 라벨에 행해진다. 예를 들면, 라벨링된 혈액백은 멸균 목적으로 고온에 노출된다. 이러한 고온에의 노출은 폴리머 시팅을 특히 시팅에 접착제 계면에서 변형, 열화 또는 수축을 야기시킨다. 더욱이, 라벨은 원심 분리, 극저온 동결, 수조에서의 쉐이킹 또는 가온을 견디어야만 한다. 현재 혈액백 라벨 용도의 경우,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수요가 많은 라벨링 기술은 용제계 접착제가 제공되는 본질적으로 미세다공성의 HDPE인 테슬린(Teslin)계 페이스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테슬린의 주요 단점은 비용이 고가이어서 채용이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종래의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OPP) 또는 캐스트 폴리프로필렌(PP) 시트/필름은 일반적으로 혈액백 처리 단계시 주름/파이핑이 나타난다. 고온에 노출시 접착제가 코팅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수축하여 주름/변형/파이핑이 나타난다는 것은 당업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PVC 혈액백과 같은 유연한 표면에 부착했을 경우, 고온에서의 폴리프로필렌 라벨과 유연한 PVC 혈액백 표면의 수축률의 차이는 상기 상황을 악화시킨다. 또한, 혈액백 라벨 용도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수의 다른 재료는 유해하거나 또는 환경 친화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까다로운 라벨 처리 및 취급 단계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요구되는 품질 및 규정 준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비용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로 되고 있다.
이전의 접근법과 관련된 문제 및 단점은 본 발명에서 하기와 같이 다루어진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혈액백에 사용하기 적합한 라벨을 제공한다. 상기 라벨은 제 1 페이스 및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페이스를 규정하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벨은 상기 필름의 제 1 페이스와 제 2 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외면을 규정하는 혈액백과 상기 혈액백의 외면에 부착된 라벨을 포함하는 라벨링된 혈액백을 제공한다. 상기 라벨은 내면 및 외면을 규정하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과 상기 혈액백의 외면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벽부재를 갖는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그 외 다른 실시형태일 수 있고, 그 수개의 세부 사항은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제의 층 또는 영역을 갖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링된 혈액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멸균 전의 혈액백 상의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라벨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멸균 후의 도 3의 혈액백 상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라벨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주제로서 사용되는 목적 중 하나는 감압 구조체에 있어서의 페이스 재료 용도, 특히 혈액백 라벨링 용도의 품질을 갖는 미세다공성 시팅/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등가물의 형태로 미세다공성 시팅/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다공성 시팅/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층간 보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PP)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는 미세다공성 시팅/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 효과적인 감압 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 백과 일치하는 수축률을 갖는 감압 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액백 라벨링용의 제약학적이고 또한 규정을 준수하는 감압 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지속가능성 목표를 충족시키는 혈액백 라벨용의 감압 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의 실시형태 및 예시는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형태 및 특징 또는 이점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 설명에서 예시된 또는 예시될 한정적이지 않는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지된 구성요소 및 처리 기술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가 불필요하게 모호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예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설명 또는 그 일부는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혈액백"는 전혈 및/또는 혈액 성분을 보관 및/또는 운반하기 위해 의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요성 벽백, 파우치 또는 인클로저와 같은 임의의 용기를 가리킨다. 본 발명은 혈액백을 라벨링하는 것과 함께 기재되지만,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용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학 분야 외에 다른 많은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품질의 편차가 최소인 비용 경쟁력이 있는 혈액백 라벨이 제공된다. 혈액백 라벨의 페이스 필름 또는 시팅은 라벨이 고온, 원심 분리, 극저온 동결, 노출 온도의 변화 및 용기 충전 용도(container-fill application)를 위한 가요성의 까다로운 조건을 견el고, 유연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주머니 표면에 대해 부착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본 명세서의 각종의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백 용도의 감압 구조체를 설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1) 종이 또는 테슬린의 페이스 재료에서 발견될 수 있는 다공성; 2) 고온을 견디도록 유연한 하지 백 표 표면과 조화되는 횡방향 수축률; 및 3) 동결, 원심 분리 및 용기 충전 용도를 수용하는 유연성과 같은 필름/시팅 재료의 특성을 균형 맞추기 위해 노력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시팅 페이스 재료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등가물일 수 있다.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 필름을 고체 함유물의 계면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층간 보이드를 생성하도록, 폴리올레핀 필름,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연신 등을 함으로써 미세다공성을 생성하기 위해 공지의 산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공극"의 개념은 자유 체적 또는 분자 수준 공간까지 확장되지 않는다. 공극 크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필름은 0.01∼1미크론의 범위 내의 크기 또는 스팬을 일반적으로 갖는 상호 연결된 공극을 갖는다. 공극의 상호 연결성은 연장시 순수 반결정질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의 층간 공간, 및 폴리올레핀과 고체 충전제 또는 다른 비상용성 폴리머 사이에의 불균일 계면에의 보이드의 생성으로 인해 달성된다. 이러한 공극 형성은 비상용성 폴리머 블렌드에 있어서의 상분리 또는 응력 집중에 기인한 폴리머 매트릭스로부터의 무기 폴리머 충전제의 분리와 같은 다양한 팩터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공극, 공극의 형성 및 특징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통한 습윤 공기의 운반", J. of Macromolecular Science, Vol. C43, No. 2, p. 143-186 (2003)에 기재되어 있다.
공동화 필름 또는 미세다공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폴리머에 비상용성 공동화제(cavitating agent) 입자를 조합하고, 압출 시트를 일축 또는 이축으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공지의 공동화제로는 탄산칼슘(CaCO3) 또는 실리카(SiO2), 및 폴리부틸 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나일론과 같은 PP 비상용성의 고용융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동화제는 필름 비용에 추가되고,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다. 또 다른 대안은 높은 β 결정성(K > 0.8, 전반적인 결정상에서의 β의 분율)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고, 이것을 β상의 융점 이하에서 연신시키는 것이다. 마이크로보이드는 β 결정성이 α 결정성으로 변환될 때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대부분의 β상이 소실된다. K 값을 높이는 방법은 폴리머에 저농도로 미세하게 분산되어 용융물로부터 고화시 결정을 시딩하는, 퀴나크리돈 염료, 6-퀴나지린 술폰산의 알루미늄염, o-프탈산의 디나트륨염,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N-N'-디시클로헥실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미드, 유기 이염기산+옥사이드, 히드록사이드 및/또는 II족 금속(Mg, Ca, St, Ba)의 하나 이상의 산의 혼합물과 같은 특수 조핵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β-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필름 성형성이 향상됨으로써, 미세다공성 필름을 저비용으로 연속적으로 제조되게 할 수 있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CA 2772028에 기재되어 있다.
연신은 본 명세서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따른 약 2500∼4771거얼리초(Gurley-seconds)의 범위 내의 공극률 값의 보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행해질 수 있다. 거얼리초는 100입방 센티미터(1데시리터)의 공기가 4.88inchH2O(0.176psi)의 압력차에서 1.0평방인치의 주어진 재료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초수(ISO 5636-5:2003)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의 필름에 대해서 사용되는 용어 "미세다공성"이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내는 필름을 가리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2,500거얼리초 미만 또는 4,771거얼리초 초과와 같은 상기 범위 밖의 공극률을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공극률에 의해 가스 투과성을 제공하는 것에 추가해서 접착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폴리프로필렌이 121℃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한편,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진 필름의 특정 두께를 이용함으로써 순응성이 증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은 약 100미크론∼약 200미크론, 보다 구체적으로는 110∼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대표적인 값보다 작거나 또는 큰 두께를 갖는 필름을 포함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시트는 테슬린의 경우와 같이 임의의 실리카 또는 그외 충전제를 갖지 않아도 좋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은 "실리카 비함유"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미세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시팅은, 멸균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121℃에서 30분간 횡방향으로 4∼6%일 수 있는 PVC 백의 수축률과 일치하는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벨 필름의 수축률 특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PVC인 혈액백에 사용되는 재료의 수축률 특징과 일치하거나 또는 거의 상응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시팅 페이스는 약 110∼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 및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밀도의 110미크론 미만의 필름 두께는 강성 부족으로 인하여 감압 구조체에서 디스펜싱 및 다이 커팅에 있어서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두께와 밀도 범위의 상기 조합은 양호한 다이 커팅 및 매트릭스 스트립핑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용기 충전 용도를 위한 혈액백 처리시 필요한 순응성을 균형있게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혈액백 용도용의 라벨과 같은 감압 구조체가 제공된다. 감압 구조체는 페이스 재료로서의 미세다공성 필름/시팅 및 미세다공성 필름/시팅 하층에 있는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감압 구조체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체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혈액백 라벨링을 위한 감압 구조체는 접착제층 하층에 있는 이형층 또는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형층은 접착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고, 라벨 부착 전에 제거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층의 접착제는 사용 온도가 -80℃∼140℃ 범위 내의 용제계 영구 아크릴 감압 접착제이다. 다수의 제약학적 용도에 있어서, 접착제는 FDA 간접 식품접촉 용도 요구조건 또는 해당 법률에 의거한 임의의 다른 준수 조항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감압 구조체용 기재는 PVC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고, 접착제층을 통해 적용되는 혈액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혈액백의 기재 PVC는 멸균(121℃에서 30분)시 라벨의 종방향으로 2% 미만 또한 라벨의 횡방향으로 4∼6%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하지 PVC 백의 수축을 견디기 위해서 라벨도 마찬가지로 수축함으로써, 멸균 후 접착제가 흘러나오게 할 수 있는 백에 대한 필름의 수축이 더욱 커지는 것을 회피하는 것도 확립된다. 그러므로,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은 121℃에서 종방향으로 2% 미만, 횡방향으로 4∼6% 미만의 수축률을 달성하도록 연신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의 수축 특징(121℃에서 30분간 가열시)은 일반적으로 PVC인 혈액백 벽재료의 수축 특징과 거의 일치한다. 매칭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거의 일치하는(closely match)"이라는 용어는 혈액백 벽재료의 대응하는 치수의 90% 이내,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내 및 소정 실시형태에서는 99% 이내인 라벨의 가열 후 치수 차이를 나타낸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공기, 증기 및 가스를 이송하기에 충분한 가스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증기 멸균, 원심 분리, 유연한 PVC 백 표면에 대한 접착성 및 라벨과 PVC 백 사이의 임의의 갇힌 기포의 제거와 같은 까다로운 조건을 견디기 위해 완충 효과, 순응성, 접착제에 대한 더욱 양호한 고정성을 제공한다.
투과성에 대한 요구조건의 예시는 종이 또는 미세다공성 HDPE(테슬린) 필름은 멸균 후 라벨 왜곡 또는 엽렬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증거에 입각한다. 그러나, 종이의 사용이 가진 우려는 낮은 방수성이다. 종이와 미세다공성 HDPE 필름(테슬린)의 사용과 관련된 추가적인 우려는 이러한 재료는 혈액백 시장의 비용 요구를 지지하지 못하므로, 낮은 시장 침투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용기 충전 용도를 위한 가요성 및 유연한 PVC 백 표면에 대한 접착성을 나타내므로, 원심 분리 처리 요구를 충족시킨다. 대조적으로, 캐스트 또는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합성 폴리올레핀은 주름 또는 기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의 개략도이다. 라벨 (10)은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20)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의 층 또는 영역(30)을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인디시아, 마킹 및/또는 다른 라벨 성분을 수용할 수 있는 외부 페이스(22)를 규정한다. 접착제층(30)은 폴리프로필렌 필름(20)을 혈액백과 같은 기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페이스(32)를 규정한다. 라벨(10)은 부착 전에 제거되는 라이너(35) 또는 이형층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링된 혈액백(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라벨링된 혈액백(100)은 혈액백 벽(50)의 외부 페이스(52)에 접착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벨(10)을 포함한다. 라벨(10)은 접착제층(30)을 통해 백에 부착된다. 상기 백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내부 페이스(54)를 규정한다.
기판 또는 페이스층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벨 어셈블리는 라벨을 지지하는 미세다공성 기재, 페이스스톡 필름 또는 층을 포함한다. 페이스스톡층은 미세다공성 필름 재료가 충분한 가스 투과성을 나타내고, 필름 재료의 수축 특성이 라벨이 부착되는 백 또는 기재의 수축 특징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면, 다양한 미세다공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페이스스톡용의 대표적인 미세다공성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배향 및 비배향 모두), 및 이들의 코폴리머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페이스스톡용으로 잠재적으로 적합한 필름의 또 다른 예는 미세다공성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그 코폴리머의 층이다. 추가적 미세다공성 재료는 오르토-프탈알데히드(OPA)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용도로서는 미세다공성 PET가 바람직하다. 또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OPP) 미세다공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페이스스톡의 외부 페이스는 라벨의 최외면을 구성하기 쉽기 때문에,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로 배향된 페이스를 따르는 페이스스톡용으로 선택되는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인쇄적성 특징을 나타낸다.
인쇄적성은 일반적으로 화상의 선명도 및 밝기, 및 잉크 고정에 의해 규정된다. 선명도는 인쇄 표면의 표면 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잉크 고정은 종종 테이프 테스트(최종 테스트: FTM21)에 의해 테스트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PVC는 PVC와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 다양한 잉크로 인쇄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잉크는 수계(특히 미국)이거나, 또는 UV 건조용(특히 유럽)으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모든 폴리올레핀 필름은 온프레스 코로나 처리 후 UV 잉크로 인쇄될 수 있고, 폴리에틸렌은 주로 잉크 접착에 대해 폴리프로필렌보다 우수하다. 수계 잉크의 경우, 양호한 잉크 고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머 또는 탑코트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다양한 라벨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다른 접촉 표면에 결합을 허용하는 점착성 표면을 제공한다. 접착제층은 단일 접착제층일 수 있고, 또는 다층 접착제층일 수 있다.
접착제는 그 특성 및 특징이 얻어지는 라벨 어셈블리의 패키징 및/또는 적용 요건과 일치하는 한, 다양한 접착제가 이 층에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는 핫멜트 감압 접착제, 예를 들면 고무계 또는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는 UV 경화된 핫멜트일 수 있다. 접착제는 고무계 핫멜트 조성물, 용제 고무 접착제, 용제 아크릴 접착제, 또는 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계일 수 있다. 접착제는 에멀젼 아크릴 접착제와 같은 에멀젼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PSA)의 형태이다. 다양한 종류의 각종 감압 접착제가 본 출원의 양수인이 소유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5,623,011호; 5,830,571; 및 6,147,16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감압 접착제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5∼약 40미크론의 범위이고,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15∼약 22미크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두께보다 크거나 작은 두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접착제층은 일반적으로 약 5∼약 50g/㎡, 소정 실시형태에서는 약 10∼약 30g/㎡, 및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약 15∼약 25g/㎡의 코팅 중량을 갖는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 예를 들면 층(30) 중의 접착제는 다양한 제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다른 아크릴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아크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부타디엔, 및/또는 그 혼합물의 블록 코폴리머계의 핫멜트 접착제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폴리이소부틸렌 등에 의거한 고무계 접착제의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는 리올로지를 통해 측정했을 때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유리전이온도(Tg)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대표값과 상이한 Tg를 나타내는 접착제의 사용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라벨 또는 라벨 어셈블리를 혈액백의 외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와 관련하여, 이들은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접착제이고,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접착제에 추가해서 또는 대신하여, 용제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및/또는 에멀젼 접착제와 같은 다른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형층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벨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이형층 또는 라이너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층은 라벨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형층은 접착제층에 바로 인접하여 접촉하는 이형 표면을 제공한다.
실리콘, 알키드, 비닐 폴리머의 스테아릴 유도체(예를 들면, 폴리비닐스테 아릴 카르바메이트), 스테아르산 염화크롬, 스테아라미드 등을 포함한, 감압 테이프 및 라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이형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플루오로카본 폴리머가 코팅된 이형 라이너도 알려져 있지만, 비교적 고가이다. 대부분의 감압 접착제 용도용으로는 실리콘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이다. 실리콘 이형 코팅은 고속 박리 및 저속 박리 모두에서 용이하게 이형됨으로써, 다양한 제조 방법 및 용도에 적합하다.
공지된 실리콘 이형 코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반응성 실리콘 폴리머, 예를 들면 오르가노폴리실록산("폴리실록산" 또는 간단히 "실록산"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가교 결합제; 및 촉매를 포함한다. 인접한 층 또는 다른 기재에 도포된 후에, 코팅은 실리콘 폴리머쇄를 가교 결합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열적 또는 방사적으로(예를 들면, 자외선 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반드시 경화되어야 한다.
도포 방식에 기초하여, 감압 접착제 산업에서 사용되는 3가지 기본 타입의 실리콘 이형 코팅이 공지되어 있다: 용제계 에멀젼, 수계 에멀젼 및 용제 비함유 코팅. 각 타입에는 장단점이 있다. 용제계 실리콘 이형 코팅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탄화수소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점점 더 엄격한 대기 오염 규제, 높은 에너지 요구량 및 높은 비용으로 인해서 최근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실제로, 용제 회수 또는 소각의 에너지 요구량은 일반적으로 코팅 작업 자체의 에너지 요구량을 초과한다.
수계 실리콘 에멀젼 이형 시스템은 용제 시스템이라고도 잘 알려져 있으며, 테이프, 바닥 타일 및 비닐 벽지와 같은 다양한 감압성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이 기재에 도포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어왔다. 물은 종이 섬유를 팽창시켜 이형 라이너 백킹의 치수 안정성을 파괴하여, 시트 컬링 및 후속 공정에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무용제 또는 용매 비함유 실리콘 이형 코팅은 최근 수년간 성장하여 현재 실리콘 이형 코팅 시장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실리콘 코팅과 마찬가지로 가요성 라이너 기재에 도포한 후 반드시 경화시켜야 한다. 이 경화에 의해 감압 접착제에 의한 침투에 저항하는 가교 필름이 생성된다.
다양한 이형 재료, 그 특징 및 라미네이트 어셈블리에의 조합에 대한 정보 설명은 본 출원의 양수인이 소유한 미국 특허 제5,728,469호; 6,486,267호; 및 미국 특허출원 공개 2005/0074549호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왁스가 이형 재료에 사용되거나 또는 이형층에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벨은 비교적 얇은 이형층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통상의 이형층의 두께는 약 0.2∼약 4미크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층의 두께는 약 0.5∼약 1.5미크론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을 갖는 감압 라벨 구조체를 85cm×85cm 및 100cm×100cm의 크기로 다이 커팅하고, 라벨 샘플을 혈액백에 적용했다.
비교용 참조로서, 배향된 비다공성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감압 구조체를 85cm×85cm 및 100cm×100cm의 크기로 다이 커팅하고, 혈액백에 적용했다.
비교용 참조로서, 캐스트 비다공성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감압 구조체를 85cm×85cm 및 100cm×100 cm의 크기로 다이 커팅하고, 혈액백에 적용했다.
비교용 참조로서, WS 종이를 이용한 감압 구조체를 85cm×85cm 및 100cm×100cm의 크기로 다이 커팅하고, 혈액백에 적용했다.
비교용 참조로서, 실온에서 15분의 드웰 시간(dwell time)을 모든 샘플에 부여했다. 그 다음, 혈액백을 혈액백 산업 표준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백에 밀봉하고, 121℃에서 30분∼45분 동안 멸균을 수행했다. 그 다음, 상기 백을 80℃에서 8시간 동안 오븐 건조시켰다.
그 후, 상기 백에 100ml의 물을 채우고, 4000rpm으로 각각 10℃ 및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했다. 그 다음, 상기 백을 -80℃에서 24시간 급속 냉동 보존한 다음, 37℃에서 30분간 수조에서 해동시켰다.

파라미터

미세다공성 PP

캐스트 PP
(비다공성)

배향된 PP
(비다공성)

WS 종이

121℃-30분 멸균

라벨이 손상되지 않음

터널링/파이핑

터널링/파이핑

라벨이 손상되지 않음

80℃-8시간 오븐

수축되지 않음

파이핑이 개선됨

파이핑이 개선됨

수축되지 않음

원심 분리

라벨이 손상되지 않음

가장자리가 들리고, 파이핑이 악화됨

가장자리가 들리고, 파이핑이 악화됨

가장자리가 찢기고 들림

급속 냉동

라벨이 손상되지 않음

이미 파손되어 테스트 불가

이미 파손되어 테스트 불가

추가 손상 없음

수조

내수성

이미 파손되어 테스트 불가

이미 파손되어 테스트 불가

물 흡수
표 1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종이의 공극성이 구조체가 멸균을 견디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공극성이 없는 배향된 또는 캐스트 폴리프로필렌은 유연한 PVC 표면과 라벨 사이에 공기가 갇히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라벨 상에 파이핑 또는 터널 효과가 야기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종이는 원심 분리 및 수조 테스트 후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링된 혈액백의 사진으로서, 멸균, 즉 가열 후 발생하는 라벨 및 혈액백의 수축 및/또는 치수 변화 간에서 거의 일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라벨과 백 모두에서 종방향과 횡방향 모두의 치수를 나타내는 치수 마킹이 있는 라벨링된 백을 도시한다. 도 4는 멸균 후의 라벨링된 백을 도시하고, 수축이 발생하였지만 라벨과 백 모두의 수축 정도가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동일한 것을 입증한다.
미세다공성은 접착성을 향상시키므로, 라벨 구조체가 라벨 보존성을 유지하면서 원심 분리를 더욱 견딜 수 있게 한다.
다수의 다른 이점들이 본 기술의 향후 적용 및 발전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 분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 된 모든 특허, 출원, 표준 및 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과 양태의 모든 실시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나의 특징이 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또 다른 특징이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경우, 본 발명은 이들 특징의 조합을 갖는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하기 실시형태가 고려된다. 모든 특징과 실시형태의 모든 조합이 고려된다.
실시형태 1: 혈액백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라벨로서, 상기 라벨은 제 1 페이스 및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제 2 페이스를 규정하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제 1 페이스 및 제 2 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벨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0미크론∼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횡방향으로 4∼6%의 수축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7: 실시형태 1∼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접착제 중 하나에 인접한 추가층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 8: 실시형태 1∼7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 9: 실시형태 1∼8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용제계 감압 접착제이다.
실시형태 10: 실시형태 1∼9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접착제이다.
실시형태 11: 실시형태 1∼1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사용 온도가 -80℃∼140℃의 범위 내인 용제계의 영구 아크릴 감압 접착제이다.
실시형태 12: 라벨링된 혈액백은 외면을 규정하는 혈액백 및 상기 혈액백의 외면에 부착되는 라벨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은 외면 및 내면을 규정하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과 상기 혈액백의 외면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13: 실시형태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벨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상기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4: 실시형태 12∼1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다.
실시형태 15 : 실시형태 12∼1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0미크론∼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형태 16 : 실시형태 12∼1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2∼1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횡방향으로 4∼6%의 수축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2∼17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접착제 중 하나에 인접한 추가층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2∼18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용제계 감압 접착제이다.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12∼19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접착제이다.
실시형태 21: 실시형태 12∼2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사용 온도가 -80℃∼140℃의 범위 내인 용제계의 영구 아크릴 감압 접착제이다.
실시형태 22: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라벨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벽부재를 갖는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23 : 실시형태 2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다.
실시형태 24: 실시형태 22∼2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0미크론∼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형태 25: 실시형태 22∼2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26: 실시형태 22∼2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횡방향으로 4∼6%의 수축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27: 실시형태 22∼2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28: 실시형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멸균 조건에 노출시, 상기 라벨은 상기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29: 실시형태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멸균 조건에 노출시, 상기 라벨은 상기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30: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멸균 조건에 노출시 상기 필름은 멸균 조건에 노출된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전략, 시스템 및/또는 장치와 관련된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 및 설명된 구성 요소의 세부 사항, 재료 및 배열의 다양한 변화가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에 표현된 청구된 주제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0)

  1. 혈액백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라벨로서,
    제 1 페이스 및 반대 방향을 향한 제 2 페이스를 규정하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상기 필름의 제 1 페이스 및 제 2 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멸균 조건에 노출시,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라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혈액백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라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라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0미크론∼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라벨.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내는 라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횡방향으로 4∼6%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라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접착제 중 하나에 인접한 추가층을 더 포함하는 라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라벨.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용제계 감압 접착제인 라벨.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접착제인 라벨.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사용 온도가 -80℃∼140℃의 범위 내인 용제계의 영구 아크릴 감압 접착제인 라벨.
  13. 외면을 규정하는 혈액백; 및
    상기 혈액백의 외면에 부착되는 라벨로서, 외면 및 내면을 규정하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과 상기 혈액백의 외면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라벨링된 혈액백.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멸균 조건에 노출시 상기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라벨링된 혈액백.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상기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혈액백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라벨링된 혈액백.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라벨링된 혈액백.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0미크론∼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라벨링된 혈액백.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내는 라벨링된 혈액백.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횡방향으로 4∼6%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라벨링된 혈액백.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접착제 중 하나에 인접한 추가층을 더 포함하는 라벨링된 혈액백.
  21. 제 1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용제계 감압 접착제인 라벨링된 혈액백.
  22. 제 13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접착제인 라벨링된 혈액백.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사용 온도가 -80℃∼140℃의 범위 내인 용제계의 영구 아크릴 감압 접착제인 라벨링된 혈액백.
  24. 멸균 조건에 노출시, 상기 멸균 조건에 노출된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백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벽부재를 갖고, 상기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상기 혈액백의 수축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필름.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0.5∼0.6g/cc의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필름.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00미크론∼200미크론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필름.
  28.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내는 필름.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121℃의 온도에 30분간 노출시 종방향으로 2% 미만 및 횡방향으로 4∼6%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필름.
  30. 제 24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2,500∼4,771거얼리초의 범위 내의 공극률을 나타내는 필름.
KR1020177032841A 2015-04-30 2016-04-29 혈액백 용도의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감압 접착제 피복 시트 KR20170140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727MU2015 2015-04-30
IN1727/MUM/2015 2015-04-30
PCT/US2016/029955 WO2016176527A1 (en) 2015-04-30 2016-04-29 Breathable polypropylene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 for blood bag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275A true KR20170140275A (ko) 2017-12-20

Family

ID=5611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41A KR20170140275A (ko) 2015-04-30 2016-04-29 혈액백 용도의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감압 접착제 피복 시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60319164A1 (ko)
EP (1) EP3289034A1 (ko)
JP (1) JP2018522606A (ko)
KR (1) KR20170140275A (ko)
CN (1) CN108541220A (ko)
AU (1) AU2016254125A1 (ko)
BR (1) BR112017023132A2 (ko)
CA (1) CA2983435A1 (ko)
CL (1) CL2017002734A1 (ko)
CO (1) CO2017011429A2 (ko)
MX (1) MX2017013825A (ko)
WO (1) WO2016176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13722A (es) 2015-04-30 2018-03-02 Avery Dennison Corp Adhesivos opacos en condicion humeda para aplicacion de etiquetas.
FR3060304A1 (fr) * 2016-12-21 2018-06-22 Adhex Thechnologies Etiquette pour poche a sang et poche a sang munie d'une telle etiquette
WO2019159382A1 (en) * 2018-02-13 2019-08-22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urface protective shee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19159381A1 (en) * 2018-02-13 2019-08-22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urface protective shee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roll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N111028662B (zh) * 2019-12-30 2021-06-25 唐山元升科技有限公司 一种适应不同贴标温度的血液标签制作方法
JP7388705B2 (ja) 2020-02-06 2023-11-29 株式会社マツザキ ヒートシール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0173A1 (de) * 1989-12-05 1991-06-06 Hoechst Ag Beidseitig siegelbar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0611386B1 (en) * 1991-11-04 1996-02-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por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ing
ATE193721T1 (de) 1994-08-12 2000-06-15 Avery Dennison Corp Klebriggemachter, druckempfindlicher emulsionsklebstoff
GB2305392B (en) 1995-06-05 1999-11-24 Avery Dennison Corp Heat resista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nstructions
US5728469A (en) 1995-06-06 1998-03-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Block copolymer release surface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6824828B2 (en) 1995-06-07 2004-11-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release liners
JP3539532B2 (ja) * 1995-07-04 2004-07-07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US5660925A (en) * 1995-12-07 1997-08-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mper-indicating and authenticating label
JP3707858B2 (ja) * 1996-03-05 2005-10-19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感圧粘着ラベル
GB2323323A (en) * 1997-03-18 1998-09-23 Hoechst Trespaphan Gmbh Polymeric label
US6147165A (en) 1997-03-31 2000-11-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for marking films
US6486267B1 (en) 2000-08-03 2002-11-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lease composition
MXPA04010476A (es) * 2002-04-24 2005-07-14 Treofan Germany Gmbh & Co Kg Uso de peliculas de polipropileno para el etiquetado en el molde.
WO2005103127A1 (ja) 2004-04-22 2005-11-03 Toray Industries, Inc. 微孔性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06676A (ko) * 2004-10-07 2007-11-05 트레오판 저머니 게엠베하 앤 코. 카게 디프 드로잉법을 위한 라벨 필름
US8927135B2 (en) * 2009-06-20 2015-01-06 Treofan Germany Gmbh & Co. Kg Microporous foil for batteries having shutdown function
CN103843051B (zh) * 2011-08-01 2018-04-24 艾利丹尼森公司 经受冷凝的标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6527A1 (en) 2016-11-03
US20160319164A1 (en) 2016-11-03
CA2983435A1 (en) 2016-11-03
CO2017011429A2 (es) 2018-01-16
AU2016254125A1 (en) 2017-11-09
CN108541220A (zh) 2018-09-14
EP3289034A1 (en) 2018-03-07
CL2017002734A1 (es) 2018-05-11
BR112017023132A2 (pt) 2018-07-10
JP2018522606A (ja) 2018-08-16
MX2017013825A (es)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0275A (ko) 혈액백 용도의 통기성 폴리프로필렌계 감압 접착제 피복 시트
KR20130086526A (ko) 가열 밀봉 패키징용의 재밀봉가능한 라미네이트
EP2414257B1 (en) Resealable laminate for heat sealed packaging
EP2414473A1 (en) Removable adhesive label containing inherently shrinkable polymeric film
JP4763005B2 (ja) 積層体
AU2005321270A1 (en) Shrinkable multilayered film comprising a release layer
KR20130075733A (ko) 변조 방지 컨테이너
JP2018047954A (ja)
JP3707858B2 (ja) 感圧粘着ラベル
JP4578307B2 (ja) 感熱ラベル
EP2741900B1 (en) In-mould labelling
JP5791851B2 (ja) チューブ用積層体
JP6668704B2 (ja) 多層構造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5014701A1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3707885B2 (ja) 感圧粘着ラベル
JP4307924B2 (ja) 酸化珪素薄膜の保護方法
JP7232929B2 (ja) 積層体及びホットメルト型粘着ラベル
JP4880993B2 (ja) 感熱ラベルおよびラベル付き容器
US11173690B2 (en) Multipart label laminate, labels and labelling
JP2021030610A (ja) 積層フィルム
ES2808407T3 (es) Etiqueta resistente a las manchas adherida a un producto que incluye uno o más materiales que manchan la etiqueta en la misma
BR112020005376B1 (pt) Estrutura de filme laminado, artigo e método para formar uma estrutura laminada
JP2008265833A (ja) 味噌用包装材料
JPH09314720A (ja) 包装材料
WO2004060661A1 (ja) 易剥離性積層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