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713A - 치간 브러시 - Google Patents

치간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713A
KR20170137713A KR1020177024814A KR20177024814A KR20170137713A KR 20170137713 A KR20170137713 A KR 20170137713A KR 1020177024814 A KR1020177024814 A KR 1020177024814A KR 20177024814 A KR20177024814 A KR 20177024814A KR 20170137713 A KR20170137713 A KR 2017013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rojecting
handle
shap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오쿠다
요코 아케마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사용시에 잇몸을 상처를 주는 것을 억제 가능하고, 또한 브러시부의 후단(기부)이 절곡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치간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체의 선단에 형성되고 핸들체의 선단부(16A)의 연장 방향과 같은 E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41), 제 1 돌출부(41)와 교차하는 G 방향으로 돌출되고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축경된 제 2 돌출부(42), 및 제 1 돌출부(41)의 선단과 제 2 돌출부(42)의 후단과 일체로 구성되고 만곡한 형상으로 된 접속부(43)를 포함하고, 또한 경질 수지로 구성된 심부(12)와, 적어도 제 2 돌출부(42)를 피복하는 초부(45), 및 초부(45)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브러시체(46)를 포함하고, 또한 경질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 수지로 구성된 브러시부(13)를 갖는다.

Description

치간 브러시
본 발명은 치간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4월 1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5-08403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치간 브러시는 주로 칫솔에서는 청소가 곤란한 치아와 치아 사이의 간극(인접 치간)을 청소하기 위한 보조 청소 용구로서 사용된다.
치간 브러시에는 브러시부와 핸들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I자 형상 (즉, 직선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나, 핸들체의 선단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브러시부를 갖는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예를 들면, 특허문헌 1)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L자 형상의 치간 브러시를 구성하는 브러시부로서, 꼬아 합친 금속 와이어의 사이에 솔을 협지해서 이루어지는 브러시부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L자 형상의 치간 브러시는 특히, 어금니의 치간을 청소할 때에 유효한 치간 브러시이다.
일본특허공개 평 9-22474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L자 형상의 치간 브러시는 브러시부에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치간에 브러시부를 삽입할 때에 잘못하여 잇몸에 닿으면 상기 잇몸을 상처 입힐 우려가 있다.
특히, 어금니의 치간을 청소할 때에는 손으로 더듬어서 브러시부를 상기 치간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잇몸을 상처 입힐 우려가 높다.
또한, 브러시부를 치간에 삽입할 의도로, 잘못하여 치면에 대하여 브러시부를 밀착시키면, 간단하게 브러시부의 후단(기단)이 절곡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파손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사용시에 잇몸을 상처 입히는 것을 억제 가능하고, 또한 브러시부의 후단(기단)이 절곡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치간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는 핸들체와, 상기 핸들체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체의 선단부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축경(縮徑)된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후단과 일체로 구성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된 접속부를 포함하고, 또한 경질 수지로 구성된 심부와, 적어도 상기 제 2 돌출부를 피복하는 초부, 및 상기 초부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브러시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 수지로 구성된 브러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핸들체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확경(擴徑)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형상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확경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를 피복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외형은 상기 핸들체의 선단부의 외형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핸들체의 선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초부의 두께의 값과 동일한 크기의 단차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러시체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외형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링 형상의 부재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일체가 되고 상기 핸들부의 배면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된 네크부를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치간 브러시에 의하면,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사용시에 잇몸을 상처 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브러시부의 후단(기부)이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로부터 브러시부 및 피복부를 분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 중 영역 B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 중 영역 I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 중, 영역 H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시되는 각 부의 크기나 두께나 치수 등은 실제의 치간 브러시의 치수 관계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B는 영역(이하, 「영역 B」라고 한다), C는 네크부(16)의 이동 가능한 방향(이하, 「C 방향」이라고 한다), E는 네크부(16)의 선단부(16A)의 연장 방향(이하, 「E 방향」이라고 한다), F는 핸들부(15)의 중심선(이하, 「중심선 F」라고 한다), θ1은 중심선 F와 E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하, 「각도 θ1」이라고 한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의 전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의 배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X1, X2 방향은 핸들체(11)를 구성하는 핸들부(15)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Y1, Y2 방향은 치간 브러시(10)의 폭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Z1, Z2 방향은 X1, X2 방향, Y1, Y2 방향, 및 중심선 F와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치간 브러시(10)는 핸들체(11)와, 심부(12)와, 브러시부(13)를 갖는다. 핸들체(11)는 핸들부(15)와 네크부(16)를 갖는다. 핸들부(15)는 핸들부 본체(21)와 피복부(22)를 갖는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도 3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로부터 브러시부 및 피복부를 분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G는 제 2 돌출부(42)의 연장 방향(이하, 「G 방향」이라고 한다), I는 영역(이하, 「영역 I」라고 한다), θ2는 G 방향과 Z1, Z2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하, 「각도 θ2」라고 한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도 5을 참조하면, 핸들부 본체(21)는 소정의 방향(X1, X2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이고, 피복부 배치부(24)와 제 1 오목부(26)와 제 2 오목부(27)를 갖는다.
피복부 배치부(24)는 피복부(22)가 배치되는 부분이고, 핸들부 본체(21)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피복부(22)의 두께분만큼 축경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부 배치부(24)에 피복부(22)를 배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피복부(22)와 네크부(16) 사이 및 피복부(22)와 피복부 배치부(24) 이외의 핸들부 본체(21)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오목부(26)는 핸들부 본체(21)의 전면측에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 1 오목부(26)는 X1, X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오목부(26)로서는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타원형의 오목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 1 오목부(26)의 형상 및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오목부(27)는 핸들부 본체(21)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오목부(27)는 네크부(16)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26, 27)를 가짐으로써 피복부 배치부(24)가 두께가 얇은 피복부(22)로 피복되었을 때,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26, 27)의 형상을 피복부(22)에 전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확실히 손으로 핸들부(15)를 쥘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핸들부 본체(2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경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핸들부 본체(21)의 재료가 되는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MPa의 범위로 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경질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핸들부 본체(21)의 재료가 되는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에 10% 이상 40% 이하의 비율로 된 유리 화이버를 혼련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부(22)는 피복부 배치부(24)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22)는 두께가 얇고(예를 들면, 두께가 1mm정도) 또한 핸들부 본체(21)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피복부(22)를 구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JIS K 7215 쇼어 A의 경도가 0을 초과하고, 90 이하로 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질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는 경우, 용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부(22)는 제 1 라인 형상 볼록부(31)와 제 2 라인 형상 볼록부(32)와 볼록부(33)를 갖는다.
제 1 라인 형상 볼록부(31)는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이고, 제 1 오목부(26)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라인 형상 볼록부(31)는 X1, X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라인 형상 볼록부(32)는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이고, 제 2 오목부(27)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라인 형상 볼록부(32)는 X1, X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33)는 제 1 오목부(26)와 제 2 오목부(27) 사이에 위치하는 피복부(22)의 측면부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3)로서는 예를 들면, 도트 형상의 볼록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제 1 및 제 2 라인 형상 볼록부(31, 32), 및 볼록부(33)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치간 브러시(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크부(16)는 핸들부(15)를 구성하는 핸들부 본체(21)와 일체로 된 부재(바꿔 말하면, 일체 성형된 부재)이다. 따라서, 네크부(16)는 핸들부 본체(21)와 같은 종류의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네크부(16)의 선단은 브러시부(13)가 형성되는 심부(1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네크부(16)의 Y1, Y2 방향의 폭은 핸들부(15)의 Y1, Y2 방향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크부(16)는 핸들부(15)의 배면측으로 휘어진(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핸들부(15)보다 폭이 좁고, 또한 핸들부(15)의 배면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된 네크부(16)를 가짐으로써 어금니 사이에 브러시부(13)를 삽입하기 쉬워짐과 아울러, 네크부(16)의 선단을 C 방향(Y1, Y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네크부(16)의 선단부(16A)는 소정 방향(E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선단부(16A)의 연장 방향인 E 방향과, 핸들부(15)의 중심선 F(바꿔 말하면, X1, X2 방향)가 이루는 각도(θ1)는 예를 들면 5∼30도의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15∼20도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 중, 영역 B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 중, 영역 I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도 6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심부(12)는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돌출부(41)와, 제 2 돌출부(42)와, 접속부(43)를 갖는다.
심부(12)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핸들부 본체(21)의 재료에 적용 가능한 경질 수지와 같은 종류의 경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1종의 경질 수지로 심부(12)를 구성해도 되고, 2종 이상의 경질 수지로 심부(12)를 구성해도 좋다.
제 1 돌출부(41)는 네크부(16)의 선단(바꿔 말하면, 핸들체(11)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41)는 네크부(16)의 선단으로부터 네크부(16)의 선단부(16A)(바꿔 말하면, 핸들체(11)의 선단부)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즉, E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 1 돌출부(41)는 네크부(16)의 선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41)의 후단의 외형은 브러시부(13)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초부(45)의 두께만큼, 네크부(16)의 선단부(16A)의 외형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돌출부(41)의 후단과 네크부(16)의 선단부(16A)의 선단 사이에는 초부(45)의 두께의 값과 같은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심부(12) 전체를 덮도록 브러시부(13)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초부(45)를 형성했을 때에, 초부(45)의 외면과 선단부(16A)의 외면이 면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초부(45)가 그 단부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초부(45)의 단부로부터의 벗겨짐으로부터 기인하는 초부(45)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41)의 형상은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41)의 선단으로부터 네크부(16)의 선단(핸들체(11)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확경된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 1 돌출부(4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치간 브러시(10)의 사용시에 인가되는 응력이 제 1 돌출부(41)에 집중한 경우에도, 제 1 돌출부(41)가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E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41)의 직경이 일정하게 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직경을 예를 들면, 1.2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 1 돌출부(41)의 파손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42)은 제 1 돌출부의 연장 방향(즉, E 방향)과 교차하는 G 방향으로 돌출한 부재이다. 제 2 돌출부(42)는 브러시부(13)를 구성하는 복수의 브러시체(46)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 2 돌출부(42)는 그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축경되어 있다.
이렇게, 제 2 돌출부(42)의 형상을 그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축경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브러시부(13)가 설치된 제 2 돌출부(42)의 선단을 치간에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42)의 기부(후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1.0mm 이상 1.3mm 이하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1.0mm 이상 1.15mm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돌출부(42)의 선단의 외경은 예를 들면, 0.3mm 이상 0.4mm 이하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고, 0.3mm 이상 0.35mm 이하의 범위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돌출부(42)의 높이는 예를 들면, 5mm 이상 20mm 이하의 범위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42)의 연장 방향인 G 방향과 Z1, Z2 방향이 이루는 각도(θ2)는 예를 들면 0∼30도의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15∼25도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접속부(43)는 제 1 돌출부(41)와 제 2 돌출부(4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제 1 돌출부(41)의 선단과 제 2 돌출부(42)의 후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43)는 제 1 돌출부(41)와 제 2 돌출부(42)를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접속부(43)는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속부(43)는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41)와 제 2 돌출부(42)에 각각 접하는 원호 형상이다.
이와 같이, 제 1 돌출부(41)와 제 2 돌출부(42) 사이에, 제 1 돌출부(41)와 제 2 돌출부(42)를 접속하고, 또한 만곡된 형상으로 한 접속부(43)를 형성함으로써, 치간 브러시(10)의 사용시에 있어서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접속부(43)에 가장 응력이 집중하는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접속부(43)에 있어서 특정한 장소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모서리를 갖는 형상으로 된 접속부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상기 응력에서 기인하는 접속부(43)의 파손(손상이나 꺽임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43)의 형상은 예를 들면, 제 2 돌출부(42)의 후단으로부터 제 1 돌출부(41)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확경된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치간 브러시(10)의 사용시에 접속부(43)에 응력이 집중한 경우에도, 접속부(43)의 파손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심부(12)를 포함하는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금형(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을 사용한 수지 성형에 의해, 일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브러시부(13)는 초부(45)와 복수의 브러시체(46)를 갖는다. 초부(45)는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심부(12)의 외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부(12)의 외면 전체를 덮도록 초부(45)를 배치시킴으로써 치간 브러시(10)를 반복해서 몇번이나 사용한 경우에도, 심부(12)로부터 브러시부(13)가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초부(45)의 두께(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25mm 이상 0.25mm 이하의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초부(45)의 두께는 초부(45)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복수의 브러시체(46)는 초부(45)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초부(45)와 일체로 구성(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브러시체(46)는 G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브러시체(46)로서는 예를 들면, 접속부(43)로부터 제 2 돌출부(42)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외형이 작아지는 링 형상(원형이나 반원형 등도 포함한다)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원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링 형상으로 된 복수의 브러시체(46)를 사용함으로써 치석의 제거 성능이 향상하기 때문에, 치간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체(46)인 링 형상의 부재의 외주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링 형상의 부재의 외주 부근의 양면으로 구성되는 경사 각도(θ3)는 예를 들면, 20도로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링 형상의 부재의 가장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예를 들면, 0.38mm로 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체(46)로서, 상기 링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브러시체(46)의 설치 피치는 예를 들면, 1.2mm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브러시체(46)의 형상은 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브러시체(46)로서, 예를 들면 링 형상의 부재의 일부에 절개를 형성한 브러시체나, 초부(45)의 둘레 방향 및 연장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복수 배치된 돌기 형상의 브러시체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브러시체(46)의 G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교 단면 형상에 있어서, 제 2 돌출부(42)측의 선단측의 경사 각도를 접속부(43)측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함으로써 치간에 진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42)의 선단측의 경사 각도를 접속부(43)측의 경사 각도보다 큰 각도로 함으로써 치석의 긁어내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각 브러시체(46)는 G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경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G 방향의 기부측(접속부(43)측)을 향해서 확장되도록 경사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치간에 진입시키기 쉽게 할 수 있고,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G 방향의 선단측(접속부(43)와는 반대측)을 향해서 확장되도록 경사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치석의 긁어내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한 브러시부(13)의 재료로서는 심부(12)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 수지를 사용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치아나 잇몸에 경질 수지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짐과 아울러,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한 연질 수지가 치아나 잇몸과 접촉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치간 브러시(10)의 사용자의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브러시부(13)를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심부(12)에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금속 와이어를 사용한 치간 브러시의 브러시부와 같이 후단(기부)에서 접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치간에 브러시부(13)를 삽입하기 쉬워짐과 아울러, 일반적인 칫솔과 같이 몇번이나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브러시부(13), 및 피복부(22)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 후,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도시하지 않음)내에, 위치를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구조체를 수용시키고, 그 후, 상기 금형에 연질 수지를 도입시킴으로써 일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간 브러시(10)는 핸들체(11)와, 핸들체(11)의 선단에 형성되고 핸들체(11)의 선단부(16A)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E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41), 제 1 돌출부(41)와 교차하는 방향(G 방향)으로 돌출하고,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축경된 제 2 돌출부(42), 및 제 1 돌출부(41)의 선단과 제 2 돌출부(42)의 후단과 일체로 구성되고, 만곡된 형상(제 1 돌출부(41) 및 제 2 돌출부(42)와 각각 접하는 원호 형상)으로 된 접속부(43)를 포함하고, 또한 경질 수지로 구성된 심부(12)와, 심부(12)를 덮는 초부(45), 및 초부(45)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브러시체(46)를 포함하고, 또한 심부(12)를 구성하는 경질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 수지로 구성된 브러시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경질 수지로 구성된 심부(12), 및 심부(12)를 덮는 연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브러시부(13)로 구성된 브러시부(13)를 사용함으로써 브러시부(13)가 잇몸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또한 사용시에 브러시부(13)의 후단(기부)이 접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반적인 칫솔과 같이,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10)를 몇번이나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초부(45)가 심부(12) 전체를 덮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초부(45)는 적어도 제 2 돌출부(42)를 피복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크부(16)를 갖는 핸들체(11)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네크부(16)를 갖지 않고 있는 핸들체를 구성 요소로 하는 치간 브러시에도 적용 가능하고,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구체적으로는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에 있어서, 사용시에 잇몸을 상처 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브러시부의 기부(후단)가 접혀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41), 제 2 돌출부(42), 및 접속부(43)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면에서 제 1 돌출부(41), 제 2 돌출부(42), 및 접속부(43)를 절단했을 때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이나 다각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하,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칫솔의 제작)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칫솔(10)을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방법에 의해, 칫솔(10)을 제작했다.
처음에,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은 금형(도시하지 않음)의 상기 공간에, 용융한 폴리프로필렌을 도입시키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고화시킴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금형(도시하지 않음)의 상기 공간내에, 위치를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구조체를 수용시켰다. 이어서, 상기 금형의 공간내에 용융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도입시키고,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고화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10)를 제작했다.
이 때, 도 5에 나타내는 각도(θ1, θ2)는 각각 19.5도로 했다. 또한, 브러시체(46)로서 링 형상(원형)의 브러시체를 사용하고, 도 6에 나타내는 경사 각도(θ3)를 20도로 했다.
또한, 제 1 돌출부(41)의 형상을 원주로 하고, 그 직경을 2mm로 했다. 접속부(43)의 후단의 직경을 2mm로 하고, 접속부(43)의 선단의 직경을 1.15mm로 했다. 제 2 돌출부(42)의 후단의 직경을 1.15mm, 제 2 돌출부(42)의 선단의 직경을 0.35mm, 제 2 돌출부(42)의 높이를 11.6mm로 했다.
또한, 초부(45)에 대해서는 브러시부(13)의 후단의 직경이 3mm이고, 또한 브러시부(13)의 선단의 직경이 0.6mm가 되도록 브러시부(13)의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했다.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의 구성, 및 그 제작)
도 8은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H는 영역(이하, 「영역 H」라고 한다), I는 핸들부(56)의 중심선(이하, 「중심선 I」라고 한다), J는 헤드부(57)의 선단부(57A)의 연장 방향(이하, 「J 방향」이라고 한다), K는 돌출부(53)의 연장 방향(이하, 「K 방향」이라고 한다), 각도 θ4는 중심선 I와 J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하, 「각도 θ4」라고 한다), 각도 θ5는 K 방향과 Z1, Z2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하, 「각도 θ4」라고 한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 중, 영역 H로 둘러싸여진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고,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50)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치간 브러시(50)는 핸들체(51)와 돌출부(53)와 브러시부(55)를 갖는다. 핸들부(51)는 핸들부(56)와 네크부(57)를 갖는다.
핸들부(56)는 도 1에 나타내는 핸들부 본체(21)와 같은 형상으로 된 핸들부 본체(61)와, 도 1에 나타내는 피복부(22)와 같은 형상으로 된 피복부(62)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네크부(57)는 그 선단이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도 1에 나타내는 네크부(16)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53)는 헤드부(57)의 선단부(57A)로부터 선단부(57A)의 연장 방향(J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K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헤드부(57)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부(55)는 초부(64)와 복수의 브러시체(65)를 갖는다. 초부(64)는 돌출부(53)의 대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브러시체(65)는 초부(64)의 K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브러시체(65)의 형상은 실시예의 복수의 브러시체(46)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50)의 제작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8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50)의 구성 요소로부터 브러시부(55) 및 피복부(62)를 제외한 구조체의 형상에 대응한 공간을 갖는 금형(도시하지 않음)내에, 제 1 연질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을 도입하고, 그 후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고화함으로써 상기 구조체를 형성했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5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금형(도시하지 않음)의 상기 공간내에, 위치를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구조체를 수용시켰다. 이어서, 상기 금형의 공간내에 용융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제 2 연질 수지)를 도입하고, 그 후,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고화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치간 브러시(50)를 제작했다.
이 때, 도 5에 나타내는 각도(θ4, θ5)는 각각 19.5도로 했다. 또한, 브러시체(65)로서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브러시 본체(46)와 같은 형상의 것을 사용했다. 돌출부(53)의 높이는 13.6mm로 했다.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의 구성, 및 그 제작)
도 10은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L은 헤드부(72)의 연장 방향(이하, 「L 방향」이라고 한다), 각도 θ6은 L 방향과 Z1, Z2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하, 「각도 θ6」이라고 한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70)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70)는 핸들부(71)와 헤드부(72)와 돌출부(73)와 브러시부(75)를 갖는다.
헤드부(72)는 핸들부(71) 및 돌출부(7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핸들부(71) 및 돌출부(73)와 일체로 되어 있다. 헤드부(72)는 핸들부(7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L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73)는 헤드부(72)의 전면측에서 Z1, 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러시부(75)는 금속 와이어(77)와 브러시(78)를 갖는다. 금속 와이어(77)는 브러시(78)를 끼워 넣도록 비튼 상태에서, Z1, Z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치간 브러시(70)는 주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했다. 이 때, 핸들부(71), 헤드부(72), 및 돌출부(73)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는 경질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제작했다. 또한, 금속 와이어(77)로서는 직경이 0.25mm의 스테인레스제의 와이어를 사용했다. 브러시(78)로서는 나일론 모를 사용했다.
(각 치간 브러시를 사용했을 때의 어금니 주변에서의 조작성의 평가)
전문가 패널 10명이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10, 50, 70)를 사용해서 어금니 주변을 청소했을 때의 조작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이 때, 만점을 5점으로 하고, 전문가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3점 이상 4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 3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 미만인 경우를 ×로 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참고예

비교예

어금니 주면에서의 치간 브러시의 조작성의 평가 결과




치간으로의 삽입 용이함의 평가 결과




브러시부가 형성된 부분 또는 브러시부의 내구성의 평가 결과




브러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손 또는 브러시부가 파손될 때의 안정성의 평가 결과


×

×

잇몸으로의 통증 없음의 평가



(각 치간 브러시를 사용했을 때의 안쪽 사이로의 삽입 용이함의 평가)
전문가 패널 10명이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10, 50, 70)를 사용했을 때의 안쪽 사이로의 삽입 용이함의 평가를 행했다.
이 때, 5점 만점으로 평가를 행하고, 대단히 양호한 경우를 5점, 양호한 경우를 4점, 약간 양호한 경우를 3점, 그다지 양호하지 않은 경우를 2점, 나쁜 경우를 1점으로 했다.
그리고, 전문가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3점 이상 4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 3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 미만인 경우를 ×로 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브러시부가 형성된 부분, 또는 브러시부의 내구성의 평가)
전문가 패널 10명이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10, 50, 70)를 사용했을 때의 브러시부(13, 55)가 형성된 부분(실시예의 경우에는 심부(12), 참고예의 경우에는 돌출부(53)) 또는 브러시부(75)(비교예의 경우)의 내구성의 평가를 행했다.
이 때, 5점 만점으로 평가를 행하고, 10회 반복 사용해도 접히지 않고, 외관도 변화가 없는 경우를 5점으로 하고, 10회 반복 사용해도 접히지 않고, 외관에 변화가 있지만 충분하게 사용 가능한 경우를 4점으로 하고, 5회 반복 사용하면 외관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를 3점으로 하고, 1회의 사용으로 변형되어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2점으로 하고, 1회의 사용으로 기부(근원)로부터 접혀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1점으로 했다.
그리고, 전문가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3점 이상 4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 3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 미만인 경우를 ×로 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브러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손, 또는 브러시부가 파손됐을 때의 안전성의 평가)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10, 50, 70)를 사용했을 때의 브러시부(13, 55)가 형성된 부분(실시예의 경우에는 심부(12), 참고예의 경우에는 돌출부(53))이 파손, 또는 브러시부(75)(비교예의 경우)가 파손했을 때의 안전성의 평가를 행했다.
이 때, 만점을 5점으로 하고, 브러시부(13)에 의해 접혀진 심부(12)가 덮여져 있는 경우를 ◎로 하고, 균열이 발생한 경우를 ○로 하고, 일부가 끊어진 경우를 △로 하고, 완전하게 분리된 경우를 ×로 하여 평가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잇몸으로의 통증 없음의 평가)
전문가 패널 10명이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10, 50, 70)를 사용했을 때의 잇몸으로의 통증이 없음의 평가를 행했다.
이 때, 5점 만점으로 평가를 행하고, 전혀 통증이 느껴지지 않을 경우를 5점, 거의 통증이 느껴지지 않을 경우를 4점, 거의 느껴지지 않는 정도의 통증을 느끼는 경우를 3점, 통증을 느끼는 경우를 2점, 강하게 통증을 느끼는 경우를 1점으로 했다.
그리고, 전문가 패널 10명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3점 이상 4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점 이상 3점 미만인 경우를 △로 하고, 평균점이 1.5 미만인 경우를 ×로 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각 치간 브러시의 평가 결과의 정리)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치간 브러시(10)에서는 평가한 모든 항목이 ◎이 되고, 대단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50)에서는 실시예의 치간 브러시(10)가 갖는 만곡한 접속부(43)가 없고, 헤드부(57)의 선단부(57A)로부터 직접 돌출부(53)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53)의 기부에 집중하는 응력을 완화하는 부분이 없다. 이 때문에, 내구성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의 치간 브러시(10)쪽이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50)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고 추측된다.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50)에서는 파손되었을 때의 안전성의 평가가 ×가 되었다. 이 이유로서는 파손되었을 때에 브러시부가 탈락하고 구강내에 잔존될 경우가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참고예의 치간 브러시(50)에서는 돌출부(53) 및 브러시부(55)를 연질 수지로 구성했기 때문에 잇몸으로의 통증 없음의 평가 결과는 ◎이 되었다.
스테인레스제의 와이어를 사용한 비교예의 치간 브러시(70)에서는 파손되었을 때의 안전성의 평가가 ×가 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L자 형상으로 된 치간 브러시에 적용할 수 있다.
10 : 치간 브러시 11 : 핸들체
12 : 심부 13 : 브러시부
15 : 핸들부 16 : 네크부
16A : 선단부 21 : 핸들부 본체
22 : 피복부 24 : 피복부 배치부
26 : 제 1 오목부 27 : 제 2 오목부
31 : 제 1 라인 형상 볼록부 32 : 제 2 라인 형상 볼록부
33 : 볼록부 41 : 제 1 돌출부
42 : 제 2 돌출부 43 : 접속부
45 : 초부 46 : 브러시체
B : 영역 C, E, G : 방향
F : 중심선 θ1, θ2 : 각도
θ3 : 경사 각도

Claims (7)

  1. 핸들체와,
    상기 핸들체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체의 선단부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후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축경된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후단과 일체로 구성되고 만곡한 형상으로 된 접속부를 포함하고, 또한 경질 수지로 구성된 심부와,
    적어도 상기 제 2 돌출부를 덮는 초부 및 상기 초부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브러시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질 수지보다 연질의 연질 수지로 구성된 브러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핸들체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확경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치간 브러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형상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의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확경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치간 브러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외형은 상기 핸들체의 선단부의 외형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핸들체의 선단부 사이에는 상기 초부의 두께의 값과 같은 크기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러시체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돌출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외형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링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일체로 되고, 상기 핸들부의 배면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된 네크부를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KR1020177024814A 2015-04-16 2016-04-08 치간 브러시 KR201701377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4038 2015-04-16
JPJP-P-2015-084038 2015-04-16
PCT/JP2016/061529 WO2016167191A1 (ja) 2015-04-16 2016-04-08 歯間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13A true KR20170137713A (ko) 2017-12-13

Family

ID=5712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814A KR20170137713A (ko) 2015-04-16 2016-04-08 치간 브러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6167191A1 (ko)
KR (1) KR20170137713A (ko)
CN (1) CN107427348B (ko)
WO (1) WO20161671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5367A (zh) * 2017-12-28 2020-07-28 小林制药株式会社 齿间清扫器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1546B2 (ja) * 2018-04-27 2022-12-19 小林製薬株式会社 歯間清掃具
JP7503942B2 (ja) 2020-06-30 2024-06-21 小林製薬株式会社 歯間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346A (en) * 1996-02-14 1998-07-07 Advanced Implant Technologies Inc. Interproximal dental appliances
JPH09224745A (ja) * 1996-02-23 1997-09-02 Lion Corp 歯間ブラシ用キャップ
JP4236571B2 (ja) * 2002-12-20 2009-03-11 花王株式会社 歯間清掃用具及びその成形方法
JP3107176U (ja) * 2004-08-11 2005-01-27 有限会社プラスペリティ 歯ブラシ
JP4892631B2 (ja) * 2008-06-13 2012-03-0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間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歯間ブラシ
JP3154935U (ja) * 2009-08-20 2009-10-29 龍昌兄弟股▲ふん▼有限公司 歯間ブラシ
TWI542330B (zh) * 2010-07-23 2016-07-21 獅子股份有限公司 齒間刷
EP2389833A3 (en) * 2011-08-02 2012-02-01 Aiden Taeyeon Kim Multi mascara brush
JP5929346B2 (ja) * 2012-03-13 2016-06-0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5367A (zh) * 2017-12-28 2020-07-28 小林制药株式会社 齿间清扫器具
CN111465367B (zh) * 2017-12-28 2022-08-02 小林制药株式会社 齿间清扫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7348B (zh) 2020-09-25
JPWO2016167191A1 (ja) 2018-02-08
CN107427348A (zh) 2017-12-01
WO2016167191A1 (ja)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3119A1 (en) Interdental cleaner
WO2011118538A1 (ja) 歯ブラシ
CN111480969B (zh) 牙刷
KR20170137713A (ko) 치간 브러시
KR20180058218A (ko) 칫솔
KR102556409B1 (ko) 칫솔
JP6868557B2 (ja) 歯ブラシ
WO2017122783A1 (ja) 歯間ブラシ
EP3903635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JP7212457B2 (ja) 歯間清掃具
KR20180021668A (ko) 칫솔
EP360356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dental cleaning tool
US20210186201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KR101870485B1 (ko) 칫솔
JP6858123B2 (ja) 歯ブラシ
CN111093430B (zh) 牙刷
WO2023127547A1 (ja) 歯間ブラシ
CN114025643B (zh) 牙刷
WO2023127550A1 (ja) 歯間ブラシ
US20210145554A1 (en) Interdental cleaning tool
JP2018140088A (ja) 歯間清掃具
JP6576882B2 (ja) 歯間ブラシ及び歯間ブラシセット
JP2024095525A (ja) 歯間ブラシ群
JP2017060620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