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68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68A
KR20180021668A KR1020177021686A KR20177021686A KR20180021668A KR 20180021668 A KR20180021668 A KR 20180021668A KR 1020177021686 A KR1020177021686 A KR 1020177021686A KR 20177021686 A KR20177021686 A KR 20177021686A KR 20180021668 A KR20180021668 A KR 2018002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oft
rigid
hard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토 키무라
토시아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조작성이 뛰어나고, 계속적으로 사용해도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부(114),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체(110)와, 헤드부(118)의 식모면(118a)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112)을 구비하고, 핸들부(114)는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124)와, 상기 연질 수지보다 쇼어 A 경도가 높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120)를 구비하고, 경질부(120)와 연질부(124)가 모두 핸들부(114)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120)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있고,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가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칫솔(11).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6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5-12642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봉 형상의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설치된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핸들체와, 상기 헤드부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인 칫솔에 있어서는 브러싱시에 핸들부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억제하고, 모다발로부터 치아에 충분히 힘을 줄 수 있도록 핸들체가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핸들체를 경질 수지만으로 형성한 칫솔은 핸들체가 단단하고, 휘기 어렵기 때문에 조작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브러싱 중에 칫솔의 조작을 잘못하거나, 그것에 의해서 구강 내를 상처내거나 할 경우가 있다.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의 피트감을 높여서 조작성을 향상시킨 칫솔로서는,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된 봉 형상의 핸들 심부의 표면을 연질 수지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덮은 핸들부를 구비하는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그러나, 특허문헌 1∼3과 같은 칫솔에 있어서는 연질 수지의 경시 변화에 의해서 블룸이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했을 경우, 핸들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질 수지 로 형성된 부분을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쉬워 사용감이 저하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6-46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14403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159739호 공보
본 발명은 조작성이 뛰어나고, 계속적으로 사용해도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선단에 연장설치된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체와,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을 구비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와, 상기 연질 수지보다 쇼어 A 경도가 높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질부와 상기 연질부가 모두 상기 핸들부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상기 경질부의 노출 부분이 상기 연질부의 노출 부분보다 외측에 있고, 상기 핸들부의 상기 연질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경질부와 상기 연질부의 합계 단면적 에 대한 상기 연질부의 단면적의 비율이 40% 이상 80% 이하이며, 상기 네크부 및 상기 헤드부는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칫솔.
[2] 상기 경질부가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는 1개의 봉 형상인 [1]에 기재된 칫솔.
[3] 상기 봉 형상의 경질부의 측면에 오목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조 내에 상기 연질부가 형성되어 있는 [2]에 기재된 칫솔.
[4] 상기 핸들부가 봉 형상의 연질부인 핸들 심부의 표면에 상기 경질부가 형성된 핸들부인 [1]에 기재된 칫솔.
[5] 상기 경질부가 상기 핸들부의 둘레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된 복수의 경질 부분을 구비하는 [4]에 기재된 칫솔.
[6] 상기 경질부가 가요성을 갖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칫솔.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는 조작성이 뛰어나고, 계속적으로 사용해도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칫솔의 I-I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i)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칫솔의 A-A 단면도다.
도 9는 도 7의 칫솔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칫솔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i)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i)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i)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질 수지란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수지를 의미한다.
경질 수지란 연질 수지보다 쇼어 A 경도가 높은 수지, 즉 쇼어 A 경도가 30 초과의 수지를 의미한다.
쇼어 A 경도란 JIS K 7215 또는 JIS K 6253에 준거해서 측정되는 경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선단에 연장설치된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체와,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는 핸들부가,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와, 상기 연질 수지보다 쇼어 A 경도가 높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를 구비한다. 경질부와 연질부는 모두 핸들부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의 노출 부분이 연질부의 노출 부분보다 외측에 있다. 네크부 및 헤드부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칫솔의 형태로서는 이하의 2가지의 형태를 들 수 있다.
(i)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는 1개의 봉 형상인 경질부를 구비하는 형태.
(ii) 봉 형상의 연질부인 핸들 심부의 표면에 경질부가 형성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형태.
이하, 실시형태 (i) 및 실시형태 (ii)에 대해서 각각 예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실시형태 (i)>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에 대해서 일례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실시형태 (i)의 칫솔(1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체(110)와, 핸들체(110)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112)을 구비한다.
[핸들체]
핸들체(110)는 봉 형상의 핸들부(114)와, 핸들부(114)의 선단에 연장설치되고 핸들부(114)보다 가는 네크부(116)와, 네크부(116)의 선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모다발(112)이 식설되는 헤드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부(114)와 네크부(116)는 그것들의 경계 부분을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115a, 115b)가 핸들부(114)로부터 네크부(116)에 걸쳐서 서서히 가까워지는 변곡점(a, b)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114)와 네크부(116)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는 핸들부(114)로부터 네크부(116)에 걸쳐서 폭이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체(110)에서는 핸들부(114)와 네크부(116)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115a, 115b)의 변곡점(a)과 변곡점(b)을 연결한 직선(L)을, 핸들부(114)와 네크부(116)의 경계선으로 한다.
(핸들부)
핸들부(114)는 브러싱시에 손으로 잡히는 부분이며, 핸들부(114)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는 1개의 봉 형상인 경질부(120)와, 경질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조(122) 내에 형성된 연질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경질부(120)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연질부(124)는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경질부(120)는 선단측 경질 부분(126)과, 후단측 경질 부분(128)과, 기부(130)와, 볼록조(132a, 132b)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측 경질 부분(126)은 핸들부(114)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지름이 축소되어 있다. 후단측 경질 부분(128)은 핸들부(114)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부(130)는 장척의 평판 형상이고, 선단측 경질 부분(126)으로부터 후단측 경질 부분(128)까지 연장되어 있다.
볼록조(132a)는 기부(130)의 한쪽의 면에 3개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조(132a)는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여, 선단측 경질 부분(126)으로부터 후단측 경질 부분(128)까지 축 방향으로 병행해서 연장되어 있다. 기부(130)의 양쪽의 측가장자리측의 각각의 볼록조(132a)는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측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볼록조(132b)는 기부(130)의 다른쪽의 면에 2개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조(132b)는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여 선단측 경질 부분(126)으로부터 후단측 경질 부분(128)까지 축 방향으로 병행해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볼록조(132b)는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3개의 볼록조(132a)의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114)의 굵기 및 길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칫솔(11)을 사용하는 대상자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다.
기부(130)의 두께, 및 볼록조(132a, 132b)의 폭 및 높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충분한 강성이 얻어지도록 핸들부(113)의 굵기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기부(130)의 두께를 1∼4㎜ 정도, 볼록조(132a, 132b)의 폭을 1∼4㎜ 정도, 볼록조(132a, 132b)의 높이를 1∼5㎜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볼록조와 볼록조의 간격은, 예를 들면 0.5∼3.0㎜ 정도로 할 수 있다.
볼록조(132a)의 수는 3개에는 한정되지 않고, 2개 이하라도 되고, 4개 이상 이어도 된다. 볼록조(132b)의 수는 2개에는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되고,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볼록조(132a)와 볼록조(132b)의 수는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경질부(120)는 선단측 경질 부분(126)과, 후단측 경질 부분(128)과, 기부(130)와, 볼록조(132a, 1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로서 1개의 봉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경질부(120)의 측면에는 기부(130)와 볼록조(132a, 132b)에 의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조(122)가 7개 형성되어 있다.
경질부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연질 수지보다 쇼어 A 경도가 높은 수지, 즉 쇼어 A 경도가 30 초과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경질 수지로서는 굽힘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경질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등 중, 쇼어 A 경도가 30 초과인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쇼어 A 경도가 30 초과이면 엘라스토머라도 경질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경질 수지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경질부는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이 적절하게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뛰어난 피트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경질부의 가요성은 경질부에 있어서의 기부의 두께나 볼록조의 폭 등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경질부는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질 수지에 발포제를 배합해서 발포시킨 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발포제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화학 발포제나 물리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수지는 기포 함유율에 의해 최종적인 경도가 변하기 때문에 베이스의 수지(발포제를 첨가하기 전의 수지)의 경도는 묻지 않는다.
연질부(124)는 7개의 각각의 오목조(122) 내에 핸들부(114)에 있어서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의 위치가 오목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경질부(120)와 연질부(124)는 모두 핸들부(114)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120)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칫솔(11)에 있어서는 경질부(120)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경질부(120)는 기부(130)의 폭 방향의 양단부와, 볼록조(132a)의 선단부와, 볼록조(132b)의 선단부가 각각 핸들부(114)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노출 부분(120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질부(124)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 형상은 전체로서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질부(124)의 단면 형상은 이 예의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전체로서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등이라도 된다.
칫솔(11)에 있어서는 경질부(120)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핸들부(114)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는 손가락이 경질부(120)와 접촉하고, 연질부(124)에는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가령 연질 수지의 경시 변화에 의해서 연질부(124)에 블룸이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해도 핸들부(114)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이 저하하기 어렵다.
경질부(120)의 노출 부분(120a)과 연질부(124)의 노출 부분(124a)의 단차는, 예를 들면 0.5∼3㎜ 정도로 할 수 있다.
칫솔(11)에 있어서는, 핸들부(114)는 경질부(120)와 연질부(124)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핸들부가 경질부만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서 높은 탄력성을 갖고, 휘기 쉽다. 또한, 핸들부(114)가 1개의 봉 형상의 경질부(120)를 갖기 때문에, 핸들부(114)에는 브러싱시에 과도하게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도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브러싱시의 조작성이 뛰어나게 되고, 목적의 치아에 모다발을 접촉시켜서 충분한 힘을 주기 쉽기 때문에 확실히 치아를 닦기 쉽다.
핸들부(114)의 연질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경질부(120)와 연질부(124)의 합계 단면적에 대한 연질부(124)의 단면적의 비율은 40% 이상 80% 이하이며, 50% 이상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하한값 이상이면 핸들부의 유연성이 뛰어나 브러싱시에 핸들부가 적절하게 휜다. 또한, 상기 비율이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싱시에 핸들부가 과도하게 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비율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칫솔의 조작성이 뛰어난 것으로 되고, 브러싱시의 칫솔의 조작을 잘못하기 어려워진다.
연질부를 형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연질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중,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다. 연질 수지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연질 수지의 쇼어 A 경도는 30 이하이며, 0∼25가 바람직하고, 0∼20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질 수지의 쇼어 A 경도가 상한값 이하이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우수한 피트감이 얻어진다.
연질부는 연질 수지에 발포제를 배합해서 발포시킨 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발포제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화학 발포제나 물리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수지는 기포 함유율에 의해 최종적인 경도가 변하기 때문에 베이스의 수지(발포제를 첨가하기 전의 수지)의 경도는 묻지 않는다.
연질부의 노출 부분의 표면에는 주름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손가락이 연질부의 노출 부분에 접촉했다고 해도 그 접촉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감이 보다 저하하기 어렵다.
(네크부, 헤드부)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는 연질부(1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116)는 핸들부(114)보다 가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단 부분이 핸들부(114)를 향해서 서서히 지름이 확장되고, 선단 부분이 헤드부(118)를 향해서 서서히 지름이 확장되어 있다.
헤드부(118)는 네크부(116)의 선단에 설치된 복수의 모다발(112)을 식설하는 부분이다. 헤드부(118)에 있어서의 상면이 모다발(112)을 식설하는 식모면(118a)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118)의 형상은 평면으로 볼 때에 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각부가 둥글게 잘려진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218)의 길이, 폭 및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칫솔(11)을 사용하는 대상자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다.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는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경질부(120)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는 핸들부(114)에 있어서의 경질부(120)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는 핸들부(114)에 있어서의 경질부(120)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와 달라도 된다.
[모다발]
모다발(112)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모다발을 채용할 수 있다. 모다발(112)은 원기둥 형상이어도 좋고, 각기둥 형상이어도 좋다. 모다발(112)의 모길이 및 굵기는 모다발(112)에 요구되는 모 탄력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다.
모다발(112)을 구성하는 용모(用毛)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용모를 채용할 수 있고, 모끝이 날카롭게 된 테이퍼모라도 되고, 식모면(118a)으로부터 모끝을 향해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스트레이트모라도 된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6-12 나일론 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용모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예를 들면 4∼10mil(1mil=1/1000inch=0.025㎜)로 한다.
헤드부(118)의 식모면(118a)에 모다발(112)을 식설하는 형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는 식모면(118a)의 선단 부근과 후단 부근에, 각각 폭 방향으로 2개의 모다발(112)이 식설되고, 그것들의 사이의 영역에 폭 방향으로 3개의 모다발(112)이 배열되고, 또한 축 방향으로 4개의 모다발(112)이 배열되도록 12개의 모다발(112)이 식설되어 있다.
[제조 방법]
실시형태 (i)의 제조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핸들체(11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차 금형을 사용한 경질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봉 형상의 경질부(120),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의 일체물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일체물을 2차 금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연질 수지를 사출하여 연질부(124)를 성형해서 핸들체(110)를 얻는다.
핸들체(110)의 헤드부(118)에 모다발(112)을 식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평선식 식모법, 열용착식 식모법,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i)의 칫솔에 있어서는, 핸들부가 경질부와 연질부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부를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경질부와 연질부의 합계 단면적에 대한 연질부의 단면적의 비율이 40% 이상 80% 이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가 충분한 탄력성을 가져 유연하고, 또한 충분한 강성도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뛰어난 조작성이 얻어진다. 또한, 경질부의 노출 부분이 연질부의 노출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에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질부에 블룸이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이 저하하기 어렵다.
또한, 실시형태 (i)의 칫솔은 상기한 칫솔(11)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한 칫솔(12)이라도 좋다. 도 3에 있어서의 도 2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12)은 핸들체(110)가 핸들부(114) 대신에 핸들부(114A)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11)과 같다.
핸들부(114A)는 측면에 8개의 오목조(122A)가 형성된 경질부(120A)와, 오목조(122A) 내에 형성된 연질부(124A)를 구비하고 있다. 경질부(120A)는 기부(130)의 한쪽의 면에 5개의 볼록조(132a)가 형성되고, 기부(130)의 다른쪽의 면에 5개의 볼록조(132b)가 형성되어 있다. 5개의 볼록조(132a) 및 5개의 볼록조(132b)는 모두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의 것이 가장 높고,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5개의 볼록조(132a) 중,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볼록조(132a)는 기부(130)의 측단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5개의 볼록조(132b) 중,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볼록조(132b)도 기부(130)의 측단으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5개의 볼록조(132a)와 5개의 볼록조(132b)의 기부(1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각각 일치하고 있다.
핸들부(114A)의 그 이외의 형태는 핸들부(114)와 같다. 경질부(120A)의 8개의 오목조(122A) 내에는 연질부(124A)가 형성되고, 핸들부(114A)에 있어서의 연질부(124A)의 노출 부분(124a)의 위치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경질부(120A)와 연질부(124A)는 모두 핸들부(114A)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120A)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A)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칫솔(12)에 있어서도 뛰어난 조작성이 얻어지고, 또한 핸들부(114A)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124A)에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감도 뛰어나다.
실시형태 (i)의 칫솔은 도 4에 예시한 칫솔(13)이라도 된다. 도 4에 있어서의 도 2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13)은 핸들체(110)가 핸들부(114) 대신에 핸들부(114B)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11)과 같다.
핸들부(114B)는 측면에 8개의 오목조(122B)가 형성된 경질부(120B)와, 오목조(122B) 내에 형성된 연질부(124B)를 구비하고 있다. 경질부(120B)에 있어서는, 기부(130)의 한쪽의 면의 폭 방향의 중앙에 1개의 볼록조(132a)가 형성되고, 볼록조(132a)의 폭 방향의 양측에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높이가 높아지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의 볼록조(1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130)의 다른쪽의 면에도 마찬가지로, 폭 방향의 중앙에 1개의 볼록조(132b)가 형성되고, 볼록조(132b)의 폭 방향의 양측에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높이가 높아지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의 볼록조(134b)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114B)의 그 이외의 형태는 핸들부(114)와 같다. 경질부(120B)의 8개의 오목조(122B) 내에는 연질부(124B)가 형성되고, 핸들부(114B)에 있어서의 연질부(124B)의 노출 부분(124a)의 위치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경질부(120B)와 연질부(124B)는 모두 핸들부(114B)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120B)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B)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칫솔(13)에 있어서도 뛰어난 조작성이 얻어지고, 또한 핸들부(114B)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124B)에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감도 뛰어나다.
실시형태 (i)의 칫솔은 도 5에 예시한 칫솔(14)이라도 된다. 도 5에 있어서의 도 2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14)은 핸들체(110)가 핸들부(114) 대신에 핸들부(114C)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11)과 같다.
핸들부(114C)는 측면에 4개의 오목조(122C)가 형성된 경질부(120C)와, 오목조(122C) 내에 형성된 연질부(124C)를 구비하고 있다. 경질부(120C)에 있어서는 기부(130)의 한쪽의 면의 폭 방향의 중앙에 1개의 볼록조(132a)가 형성되고, 기부(130)의 다른쪽의 면의 폭 방향의 중앙에도 1개의 볼록조(132b)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114C)의 그 이외의 형태는 핸들부(114)와 같다. 경질부(120C)의 4개의 오목조(122C) 내에는 연질부(124C)가 형성되고, 핸들부(114C)에 있어서의 연질부(124C)의 노출 부분(124a)의 위치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경질부(120C)와 연질부(124C)는 모두 핸들부(114C)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120C)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C)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칫솔(14)에 있어서도 뛰어난 조작성이 얻어지고, 또한 핸들부(114C)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124C)에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감도 뛰어나다.
실시형태 (i)의 칫솔은 도 6에 예시한 칫솔(15)이라도 된다. 도 6에 있어서의 도 1과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16)은 핸들체(110)가 핸들부(114) 대신에 핸들부(114D)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11)과 같다.
핸들부(114D)는 경질부(120) 대신에 경질부(120)에 있어서의 오목조(122)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기부(130) 및 볼록조(132a, 132b)를 연결시키도록, 둘레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노출되는 판부(136)가 설치된 경질부(120D)를 구비하고 있다. 판부(136)는 핸들부(114D)의 축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3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경질부(120D)의 측면에는 경질부(120)에 있어서의 7개의 오목조(122)가 각각 축 방향으로 4개로 분단된 오목조(122D)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조(122) 내에는 연질부(124D)가 형성되고, 핸들부(114D)에 있어서의 연질부(124D)의 노출 부분(124a)의 위치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경질부(120D)와 연질부(124D)는 모두 핸들부(114D)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경질부(120D)의 노출 부분(120a)이 연질부(124D)의 노출 부분(124a)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칫솔(15)에 있어서도 뛰어난 조작성이 얻어지고, 또한 핸들부(114D)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124D)에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감도 뛰어나다.
실시형태 (i)의 칫솔은 경질부(120)에 있어서 볼록조(132a, 132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질부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경질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오목조는 핸들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i)의 칫솔은 봉 형상의 기부에 나선 형상의 볼록조가 형성되고, 경질부의 측면에 오목조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i)의 칫솔은 봉 형상의 기부에 둘레 방향으로 링 형상의 볼록조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되고, 경질부의 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조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실시형태 (ii)>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 (ii)에 대해서 일례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실시형태 (ii)의 칫솔(21)은, 도 7∼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체(210)와, 핸들체(210)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212)을 구비한다.
[핸들체]
핸들체(210)는 봉 형상의 핸들부(214)와, 핸들부(214)의 선단에 연장설치되고 핸들부(214)보다 가는 네크부(216)와, 네크부(216)의 선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모다발(212)이 식설되는 헤드부(218)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부(214)와 네크부(216)는 그것들의 경계 부분을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215a, 215b)가 핸들부(214)로부터 네크부(216)에 걸쳐서 서서히 가까워지는 변곡점(a, b)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214)와 네크부(216)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는, 핸들부(214)로부터 네크부(216)에 걸쳐서 폭이 서서히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핸들체(210)에 있어서도 핸들부(214)와 네크부(216)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215a, 215b)의 변곡점(a)과 변곡점(b)을 연결한 직선(L)을, 핸들부(214)와 네크부(216)의 경계선으로 한다.
(핸들부)
핸들부(214)는 브러싱시에 손으로 잡히는 부분이며, 봉 형상의 연질부인 핸들 심부(220)와, 핸들 심부(220)의 표면에 형성된 경질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심부(220)는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경질부(222)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핸들 심부(220)의 형상은 원기둥의 네크부(216)측이 서서히 지름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심부(220)의 후단 부근의 부분에 있어서의 평면으로 볼 때의 양쪽의 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한 후단측 오목부(224a, 22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 심부(220)의 선단 부근의 부분에 있어서의 평면으로 볼 때의 양쪽의 측면에도 마찬가지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한 선단측 오목부(226a, 226b)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체(210)를 성형할 때에 후단측 오목부(224a, 224b) 및 선단측 오목부(226a, 226b)를 이용함으로써 2차 금형 내에 있어서의 핸들 심부(22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핸들 심부(220)의 굵기 및 길이는 핸들체(210)의 굵기 및 길이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다. 핸들체(210)의 굵기 및 길이는 칫솔(21)을 사용하는 대상자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다.
핸들 심부(220)는 핸들부(214)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선단 부근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 심부(220)의 단면 형상은 이 예에서는 원형상이지만, 원형상에는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상 등이라도 좋다.
경질부(222)는 핸들 심부(22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반구 형상의 후단측 경질 부분(222a)과, 핸들 심부(220)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선단을 향해서 서서히 지름이 축소하는 선단측 경질 부분(222b)과, 후단측 경질 부분(222a)과 선단측 경질 부분(222b)의 사이에 설치된 격자 형상 경질 부분(222c)을 구비한다.
격자 형상 경질 부분(222c)은 후단측 경질 부분(222a)으로부터 선단측 경질 부분(222b)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와, 둘레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으로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심부(220)의 중심축 둘레로 등간격으로 6개 형성되어 있다.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의 후단측 경질 부분(222a)과 선단측 경질 부분(222b) 사이에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핸들부(214)에서는 경질부(222)의 격자 형상 경질 부분(222c)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의 사이에서,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핸들 심부(22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214)는 연질 수지로 형성된 핸들 심부(220)를 구비하고, 또한 그 핸들 심부(220)가 경질부(2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214)는 뛰어난 탄력성을 갖고,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이 적절하게 오목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뛰어난 피트감이 얻어진다. 또한, 핸들 심부(220)의 표면에 경질부(2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핸들부(214)에는 브러싱 시에 과도하게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싱시의 조작성이 뛰어난 것으로 되고, 목적의 치아에 모다발을 접촉시켜서 충분한 힘을 주기 쉽기 때문에 확실히 치아를 닦기 쉽다.
핸들부(214)에 있어서 연질부인 핸들 심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경질부(222)와 핸들 심부(220)의 합계 단면적에 대한 핸들 심부(220)의 단면적의 비율은 40% 이상 80% 이하이며, 50% 이상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하한값 이상이면 핸들부의 유연성이 뛰어나 브러싱시에 핸들부가 적절하게 휜다. 또한, 상기 비율이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싱시에 핸들부가 과도하게 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비율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칫솔의 조작성이 뛰어나게 되고, 브러싱시의 칫솔의 조작을 잘못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실시형태 (ii)에 있어서도 핸들부에 있어서의 핸들 심부의 노출 부분(220a)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경질부의 노출 부분이 연질부인 핸들 심부의 노출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심부(220)의 노출 부분(220a)의 표면이 경질부(222)의 표면보다 지름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핸들 심부(220)의 노출 부분(220a)이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핸들 심부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i)의 칫솔과 마찬가지로, 가령 연질 수지의 경시 변화에 의해 핸들 심부에 블룸이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해도,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이 저하하기 어렵다. 특히, 이 예와 같이 경질부를 격자 형상으로 형성해서 그 간극으로부터 핸들 심부를 노출시키는 형태는, 손으로 잡았을 때에 핸들 심부의 노출 부분에 손가락이 보다 접촉하기 어려워 끈적임에 의한 사용감의 저하를 보다 억제하기 쉽다.
핸들 심부의 노출 부분의 표면에는 주름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핸들 심부의 노출 부분에 접촉했다고 해도 그 접촉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령 연질 수지의 경시 변화에 의해 핸들 심부의 표면에 블룸이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했다고 해도,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이 저하하기 어렵다.
실시형태 (ii)의 칫솔에 있어서는 이 예의 띠 형상 경질 부분(222d)과 같이, 경질부가 핸들부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간해서 형성된 복수의 경질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에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어서 과도하게 휘기 어려워지는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브러싱시의 조작성이 뛰어난 것으로 되기 쉬워진다. 특히, 이 예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띠 형상 경질 부분과, 축 방향으로 이간한 링 형상 경질 부분에 의해 격자 형상의 경질 부분을 형성하는 형태는, 브러싱시에 핸들부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다 얻어지기 쉽고, 조작성이 보다 뛰어난 것으로 되기 쉽다.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의 수는 이 예에서는 6개이지만, 5개 이하라도 되고, 7개 이상이라도 된다.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의 폭은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의 수, 성형하기 쉬움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5∼20㎜로 할 수 있다.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띠 형상 경질 부분(222d)끼리의 간격은 0.5∼20㎜가 바람직하고, 1.5∼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하한값 이상이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우수한 피트감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간격이 상한값 이하이면 브러싱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띠 형상 경질 부분(222d)끼리의 간격이란, 그것들 띠 형상 경질 부분(222d) 사이의 핸들 심부(220)의 노출 부분(220a)을 정면으로 볼 때의 이웃하는 띠 형상 경질 부분(222d)끼리의 간격의 최대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의 수는 이 예에서는 4개이지만, 3개 이하라도 되고, 5개 이상이라도 된다.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의 폭은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의 수, 성형하기 쉬움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5∼150㎜로 할 수 있다.
경질부의 두께는 경질부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0.5∼5㎜가 바람직하고, 1.5∼3㎜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질부의 두께가 하한값 이상이면 브러싱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경질부의 두께가 상한값 이하이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이 적절하게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뛰어난 피트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핸들 심부를 형성하는 연질 수지로서는, 실시형태 (i)에서 예시한 연질 수지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경질부를 형성하는 경질 수지도, 실시형태 (i)에서 예시한 경질 수지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 (ii)에 있어서도 경질부는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이 적절하게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뛰어난 피트감이 얻기 쉬워진다. 경질부의 가요성은 경질부의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질부를 얇게 함으로써 경질부의 가요성이 향상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질부의 두께를 0.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로 함으로써 경질부의 가요성이 충분히 높아지기 쉽다.
(네크부, 헤드부)
네크부(216) 및 헤드부(218)의 형태는 실시형태 (i)의 칫솔(11)에 있어서의 네크부(116) 및 헤드부(118)의 형태와 같다.
[모다발]
모다발(212)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모다발을 채용할 수 있다. 모다발(212)의 형태로서는 실시형태 (i)에서 예시한 모다발과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실시형태 (ii)의 칫솔의 제조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핸들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1차 금형을 사용한 연질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핸들 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 심부를 2차 금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경질 수지를 사출하여 경질부, 네크부 및 헤드부를 성형해서 핸들체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핸들체(210)를 제조할 경우에는 핸들 심부(220)에 후단측 오목부(224a, 224b) 및 선단측 오목부(226a, 226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차 금형 내에서 그것들의 부분에 지그를 끼워 넣음으로써 핸들 심부(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 2차 금형 내에서 경질부(222), 네크부(216) 및 헤드부(218)를 보다 안정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1차 금형을 사용한 경질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경질부, 네크부 및 헤드부를 성형한 후, 그 성형물을 2차 금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연질 수지를 사출하고, 핸들 심부를 형성해서 핸들체를 얻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핸들체의 헤드부에 모다발을 식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평선식 식모법, 열용착식 식모법,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ii)의 칫솔에 있어서는, 핸들부가 연질부인 핸들 심부와 경질부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부를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경질부와 핸들 심부의 합계 단면적에 대한 핸들 심부의 단면적의 비율이 40% 이상 80% 이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가 충분한 탄력성을 가져 유연하고, 또한 충분한 강성도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뛰어난 조작성이 얻어진다. 또한, 경질부의 노출 부분이 연질부의 노출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핸들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에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질부에 블룸이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끈적임을 느끼기 어려워 사용감이 저하하기 어렵다. 또한, 핸들부에 있어서는 연질 수지로 형성된 핸들 심부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경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핸들부는 뛰어난 탄력성을 갖고, 손으로 잡았을 때에는 손가락이 접하는 부분이 적절하게 오목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뛰어난 피트감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ii)의 칫솔에 있어서는 손으로 잡았을 때의 뛰어난 피트감과, 브러싱시의 뛰어난 조작성도 양립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ii)의 칫솔은 상기한 칫솔(21)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ii)에 있어서는 핸들 심부의 표면에 형성하는 경질부의 형태는 격자 형상의 경질 부분을 구비하는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ii)의 칫솔은 도 11에 예시한 칫솔(22)이라도 된다. 도 11에 있어서의 도 7과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22)은 경질부(222) 대신에 경질부(222A)가 형성된 핸들부(214A)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21)과 같다. 경질부(222A)는 격자 형상 경질 부분(222c) 대신에 후단측 경질 부분(222a)으로부터 선단측 경질 부분(222b)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띠 형상 경질 부분(222d)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경질부(222)와 같다. 즉, 경질부(222A)는 링 형상 경질 부분(222e)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경질부(222)와 같다.
칫솔(22)에 있어서도 핸들부(214A)를 손으로 잡았을 때에 손가락이 연질부인 핸들 심부(220)에 접촉하기 어려워 사용감이 뛰어남과 아울러, 뛰어난 피트감과 뛰어난 조작성이 양립된다.
칫솔(21, 22)과 같이, 핸들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띠 형상 경질 부분을 포함하는 경질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띠 형상 경질 부분의 수는 6개에는 한정되지 않고, 5개 이하라도 되고, 7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는 띠 형상 경질 부분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간격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핸들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띠 형상 경질 부분은 핸들부의 선단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ii)의 칫솔은 도 12에 예시한 칫솔(23)이라도 된다. 도 12에 있어서의 도 7과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23)은 경질부(222) 대신에 경질부(222B)가 형성된 핸들부(214B)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21)과 같다. 경질부(222B)는 격자 형상 경질 부분(222c) 대신에 둘레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이간한 복수의 링 형상 경질 부분(222f)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경질부(222)와 같다. 이 경우, 경질부(222B)는 각 링 형상 경질 부분(222f)을 연결하는 부분을 요한다.
칫솔(23)에 있어서도 핸들체(210)가 연질 수지로 형성된 핸들 심부(220)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경질부(222B)가 형성된 핸들부(214B)를 구비함으로써 뛰어난 피트감과 뛰어난 조작성이 양립된다.
실시형태 (ii)의 칫솔은 도 13에 예시한 칫솔(24)이라도 된다. 도 13에 있어서의 도 7과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24)은 경질부(222) 대신에 경질부(222C)가 형성된 핸들부(214C)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칫솔(21)과 같다. 경질부(222C)는 격자 형상 경질 부분(222c) 대신에, 후단측 경질 부분(222a)으로부터 선단측 경질 부분(222b)까지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 경질 부분(222g)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경질부(222)와 같다.
칫솔(24)에 있어서도 핸들체(210)가 연질 수지로 형성된 핸들 심부(220)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경질부(222C)가 형성된 핸들부(214C)를 구비함으로써 뛰어난 피트감과 뛰어난 조작성이 양립된다.
실시형태 (ii)의 칫솔은 연질 수지로 핸들 심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범위이면, 상기한 형태 이외의 형태의 경질부가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실시형태 (ii)의 칫솔은 핸들 심부(220)에 있어서의 후단측 오목부(224a, 224b) 및 선단측 오목부(226a, 226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핸들 심부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11∼15, 21∼24 : 칫솔 110, 210 : 핸들체
112, 212 : 모다발
114, 114A∼114D, 214, 214A∼214C : 핸들부
116, 216 : 네크부 118, 218 : 헤드부
120 : 경질부 120a : 노출 부분
122 : 오목조 124 : 연질부
124a : 노출 부분 126 : 선단측 경질 부분
128 : 후단측 경질 부분 130 : 기부
132a, 132b, 134a, 134b : 볼록조 136 : 판부
220 : 핸들 심부 222, 222A∼222C : 경질부
222a : 후단측 경질 부분 222b : 선단측 경질 부분
222c : 격자 형상 경질 부분 222d : 띠 형상 경질 부분
222e, 222f : 링 형상 경질 부분 222g : 나선 형상 경질 부분

Claims (6)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선단에 연장설치된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핸들체와,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복수의 모다발을 구비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쇼어 A 경도가 30 이하인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와, 상기연질 수지보다 쇼어 A 경도가 높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질부와 상기 연질부가 모두 상기 핸들부의 둘레면에서 노출되고, 또한 상기 경질부의 노출 부분이 상기 연질부의 노출 부분보다 외측에 있고,
    상기 핸들부의 상기 연질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경질부와 상기 연질부의 합계 단면적에 대한 상기 연질부의 단면적의 비율이 40% 이상 80% 이하이며,
    상기 네크부 및 상기 헤드부는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상기 핸들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는 1개의 봉 형상인 칫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의 경질부의 측면에 오목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조 내에 상기 연질부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봉 형상의 연질부인 핸들 심부의 표면에 상기 경질부가 형성된 핸들부인 칫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상기 핸들부의 둘레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된 복수의 경질 부분을 구비하는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가 가요성을 갖는 칫솔.
KR1020177021686A 2015-06-24 2016-05-31 칫솔 KR20180021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6428 2015-06-24
JP2015126428 2015-06-24
PCT/JP2016/066022 WO2016208333A1 (ja) 2015-06-24 2016-05-31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68A true KR20180021668A (ko) 2018-03-05

Family

ID=5758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86A KR20180021668A (ko) 2015-06-24 2016-05-31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17935B2 (ko)
KR (1) KR20180021668A (ko)
CN (1) CN107708480A (ko)
WO (1) WO2016208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299A1 (ja) * 2016-12-12 2018-06-2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と歯ブラシの製造方法
WO2022137961A1 (ja) 2020-12-24 2022-06-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WO2022239598A1 (ja) * 2021-05-13 2022-11-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429U (ja) * 1982-11-17 1984-05-25 宮川 元一 歯ブラシ
JPH0631936Y2 (ja) * 1989-05-10 1994-08-2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ハンドル
JPH0686564U (ja) * 1993-05-28 1994-12-20 有限会社ラブスターハマ 歯ブラシ
GB9601013D0 (en) * 1996-01-18 1996-03-20 Procter & Gamble Brush invention
US5946759A (en) * 1996-01-18 1999-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ush head
US5908038A (en) * 1997-06-16 1999-06-01 Chesebrough-Pond's Usa Co. Unitarily molded toothbrush
JP2001008733A (ja) * 1999-06-29 2001-01-16 Tokin Corp 歯ブラシ
JP2001211936A (ja) * 1999-11-25 2001-08-07 Johnson & Johnson Kk 歯清掃部材用の柄
JP2001299450A (ja) * 2000-04-27 2001-10-30 Lion Corp 歯ブラシ
JP2004242781A (ja) * 2003-02-12 2004-09-02 Taihei Kogyo Kk 歯間歯ブラシ
JP2006000466A (ja) * 2004-06-18 2006-01-05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CN2776130Y (zh) * 2005-03-09 2006-05-03 董喜春 复合结构的牙刷
GB0513537D0 (en) * 2005-07-01 2005-08-10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Toothbrush
JP2010201197A (ja) * 2010-06-14 2010-09-16 Lion Corp 歯ブラシ
JP5879118B2 (ja) * 2011-12-19 2016-03-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MX2014011339A (es) * 2012-03-22 2015-01-22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que tiene mango flexi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208333A1 (ja) 2018-04-05
JP6817935B2 (ja) 2021-01-20
WO2016208333A1 (ja) 2016-12-29
CN107708480A (zh) 201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820B2 (ja) 歯ブラシ
KR102577531B1 (ko) 칫솔
JP5970157B2 (ja) 歯ブラシ
US20180193119A1 (en) Interdental cleaner
CN107683121A (zh) 牙缝清扫工具
JP6364641B2 (ja) 歯ブラシ
JP7166372B2 (ja) 歯ブラシ
CN107635432B (zh) 牙刷
KR20180021668A (ko) 칫솔
WO2017122783A1 (ja) 歯間ブラシ
CN107427348B (zh) 牙缝刷
WO2016194819A1 (ja) 頭皮洗浄用ブラシ
JP6433065B2 (ja) 歯間ブラシ
JP6512703B2 (ja) 歯ブラシ
KR20180127964A (ko) 칫솔
JP6858123B2 (ja) 歯ブラシ
JP5785819B2 (ja) 歯ブラシ
JP2017060620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