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454A -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 - Google Patents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454A
KR20170136454A KR1020170068520A KR20170068520A KR20170136454A KR 20170136454 A KR20170136454 A KR 20170136454A KR 1020170068520 A KR1020170068520 A KR 1020170068520A KR 20170068520 A KR20170068520 A KR 20170068520A KR 20170136454 A KR20170136454 A KR 2017013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s
lung cancer
leu
expression level
pro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677B1 (ko
Inventor
이동기
장윤수
김은영
장성일
김성훈
권남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Publication of KR2017013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601/00Ligases forming carbon-oxygen bonds (6.1)
    • C12Y601/01Ligases forming aminoacyl-tRNA and related compounds (6.1.1)
    • C12Y601/0101Methionine-tRNA ligase (6.1.1.1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23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u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15Ligases (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ethionyl-tRNA synthetase, MRS)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이용하면 예후가 양호하지 않은 환자와 양호한 환자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암의 예후를 조기에 판단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 및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재발율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Usefulness of Methionyl-tRNA synthetase (MRS) as a prognostic biomarker of lung cancer}
본 발명은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ethionyl-tRNA synthetase, MRS)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2015년에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76,855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27.9%가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조사망률: 10만명당 150.8명). 암 사망순위는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및 췌장암 순으로, 이들 5대 암에 의한 사망이 전체 암 사망의 약 66.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남성에 있어 주요 암 사망원인은 폐암, 간암, 위암, 및 대장암 등으로 이들 4대 암에 의한 사망자 수(31,297명)가 전체 남성 암 사망자 수(47,678명)의 6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에 있어 주요 암 사망원인은 폐암, 대장암, 위암, 간암, 및 췌장암 등의 순으로 이들 5대 암에 의한 사망자 수(16,850명)가 전체 여성 암 사망자 수(29,177명)의 57.8%를 차지하고 있다(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202000000).
폐암은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의 20∼30%를 차지하고 있어 암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이 중 전체 폐암의 80% 이상이 비소세포폐암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이며, 국내 보고에 의해면 2010-2014년에 발생한 폐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25.1% 에 불과하다. 폐암의 높은 사망률은 절제 불가능한 상태로 발견되는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것과 관련되어 있다 (Parkin DM, Bray F, Ferlay J, et al. CA Cancer J Clin 55:74-108, 2005). 또한 절제 가능한 병기의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에서도 외과적으로 절제한 환자의 상당수가 암의 재발로 사망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Arriagada R, Bergman B, Dunant A, et al: Cisplatin-based adjuvant chemotherapy for completely resected non-small-cell lung cancer. N Engl J Med 350:351-60, 2004). 따라서 폐암 환자들에 대한 예후 인자를 이용할 경우, 예후의 예측과 함께 재발의 조기발견을 위한 검사 및 치료법의 선발 및 평가를 위한 수단을 치료를 최적화 할 수 있어 폐암 환자의 맞춤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폐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분자 마커를 동정하기 위한 집중적인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연구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폐암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를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 결과, 폐암 환자의 암조직에서 MRS가 과발현되어 있으며, MRS의 발현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폐암 환자의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시료로부터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 (methionyl-tRNA synthetase, MRS)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RS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환자로부터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서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정상 대조구 시료의 MRS mRNA의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 발현수준과 비교하여 발현수준이 증가한 피검체를 가진 폐암환자에서 예후가 좋지 않음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시료로부터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ethionyl-tRNA synthetase, MRS)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MRS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폐암의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환자로부터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서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정상 대조구 시료의 MRS mRNA의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 발현수준과 비교하여 발현수준이 증가한 피검체를 폐암에서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시료로부터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ethionyl-tRNA synthetase, MRS)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MRS(methionyl-tRNA synthetase)’는 메치오닌 아미노산을 tRNA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메치오닐 티알엔에이 중합효소를 의미한다. 인간에서는 MARS 유전자에 암호화되어 있으며, MRS의 서열 정보는 NM_004990(mRNA), NP_004981.2, P56192.2(단백질) 등의 Genbank accession number로 공지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인간의 MRS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서열번호 1>
MRLFVSDGVPGCLPVLAAAG RARGRAEVLISTVGPEDCVV PFLTRPKVPVLQLDSGNYLF STSAICRYFFLLSGWEQDDL TNQWLEWEATELQPALSAAL YYLVVQGKKGEDVLGSVRRA LTHIDHSLSRQNCPFLAGET ESLADIVLWGALYPLLQDPA YLPEELSALHSWFQTLSTQE PCQRAAETVLKQQGVLALRP YLQKQPQPSPAEGRAVTNEP EEEELATLSEEEIAMAVTAW EKGLESLPPLRPQQNPVLPV AGERNVLITSALPYVNNVPH LGNIIGCVLSADVFARYSRL RQWNTLYLCGTDEYGTATET KALEEGLTPQEICDKYHIIH ADIYRWFNISFDIFGRTTTP QQTKITQDIFQQLLKRGFVL QDTVEQLRCEHCARFLADRF VEGVCPFCGYEEARGDQCDK CGKLINAVELKKPQCKVCRS CPVVQSSQHLFLDLPKLEKR LEEWLGRTLPGSDWTPNAQF ITRSWLRDGLKPRCITRDLK WGTPVPLEGFEDKVFYVWFD ATIGYLSITANYTDQWERWW KNPEQVDLYQFMAKDNVPFH SLVFPCSALGAEDNYTLVSH LIATEYLNYEDGKFSKSRGV GVFGDMAQDTGIPADIWRFY LLYIRPEGQDSAFSWTDLLL KNNSELLNNLGNFINRAGMF VSKFFGGYVPEMVLTPDDQR LLAHVTLELQHYHQLLEKVR IRDALRSILTISRHGNQYIQ VNEPWKRIKGSEADRQRAGT VTGLAVNIAALLSVMLQPYM PTVSATIQAQLQLPPPACSI LLTNFLCTLPAGHQIGTVSP LFQKLENDQIESLRQRFGGG QAKTSPKPAVVETVTTAKPQ QIQALMDEVTKQGNIVRELK AQKADKNEVAAEVAKLLDLK KQLAVAEGKPPEAPKGKKKK
상기 MRS와 종양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대장암에서 MRS의 촉매로서의 활성이 매우 증진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Proc. Soc. Exp. Biol. Med. 153,273276 (1976), MRS의 기질인 tRNAi Met의 지속적인 과발현이 종양성 전환을 유도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Cell 133, 7889, (2008),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육종(sarcoma), 악성 신경교종, 교모세포종(glioblastoma)등의 암에서 MRS가 과발현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으나(Cancer Genet. Cytogenet. 78, 165171 (1994), Cancer Genet Cytogenet. 83, 3236 (1995), Cancer Genet. Cytogenet. 95, 141147 (1997), Cancer Res. 56, 51415145 (1996).), MRS의 발현양상이 폐암 환자의 예후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최초로 공개하는 바이다.
본 발명자들은 MRS가 폐암 환자의 암조직에 과발현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MRS의 과발현 여부가 폐암 환자의 예후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예후(prognosis)”는 질병을 진단하여 판단된 장래의 증세 또는 경과에 대한 전망을 말한다. 암 환자에 있어서 예후는 통상적으로 암 발병 또는 외과적 시술 후 일정기간 내의 전이 여부 또는 생존기간을 뜻한다. 예후의 예측 (또는 예후의 진단)은 특히 폐암 환자의 화학치료 여부를 비롯하여 향후 치료의 방향에 대한 단서를 제시하므로 매우 중요한 임상적 과제이다. 예후 예측은 질환 치료제에 대한 환자의 반응, 치료 경과에 대한 예측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예후란 총생존율(overall survival) 또는 무병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 rate)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료는 폐암 환자의 암 조직일 수 있다. 상기 암 조직에는 일부 정상 세포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암세포를 포함하는 조직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formalinfixedparaffin-embedded, FFPE)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MRS의 검출은 MRS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현(expression)'은 세포에서 단백질 또는 핵산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또는 '펩타이드(peptide)'와 호환성 있게 사용되며, 예컨대, 자연 상태의 단백질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말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또는 '핵산'은 단일-또는 이중-가닥의 형태로 된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DNA)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RNA)를 말한다. 다른 제한이 없는 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뉴클레오티드와 비슷한 방법으로 핵산에 혼성화되는 자연적 뉴클레오티드의 공지된 아날로그도 포함된다. 'mRNA'는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로부터 아미노산 서열을 특정하게 되는 리보솜으로 유전 정보(유전자 특이적 염기 서열)를 전달하는 RNA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이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것일 때에는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S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 세트일 수 있다.
상기 MRS의 mRNA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MRS의 mRNA는 서열번호 2 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MRS의 mRNA 특이적인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은 공지된 RNA를 감지하는 방법에 필요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지된 RNA를 감지하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피검체에서 상기 마커들의 mRNA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서열번호 2>
1 aaatagtcta ctttccggta gcggtgccag ggcagtggcc taatacggaa ctccatttcc
61 cggcgtgcct cgcggaggcc gctgaactca gaagcgggag gccggttccg gttgcatcag
121 cgagggattc acggcgaaat gagactgttc gtgagtgatg gcgtcccggg ttgcttgccg
181 gtgctggccg ccgccgggag agcccggggc agagcagagg tgctcatcag cactgtaggc
241 ccggaagatt gtgtggtccc gttcctgacc cggcctaagg tccctgtctt gcagctggat
301 agcggcaact acctcttctc cactagtgca atctgccgat attttttttt gttatctggc
361 tgggagcaag atgacctcac taaccagtgg ctggaatggg aagcgacaga gctgcagcca
421 gctttgtctg ctgccctgta ctatttagtg gtccaaggca agaaggggga agatgttctt
481 ggttcagtgc ggagagccct gactcacatt gaccacagct tgagtcgtca gaactgtcct
541 ttcctggctg gggagacaga atctctagcc gacattgttt tgtggggagc cctataccca
601 ttactgcaag atcccgccta cctccctgag gagctgagtg ccctgcacag ctggttccag
661 acactgagta cccaggaacc atgtcagcga gctgcagaga ctgtactgaa acagcaaggt
721 gtcctggctc tccggcctta cctccaaaag cagccccagc ccagccccgc tgagggaagg
781 gctgtcacca atgagcctga ggaggaggag ctggctaccc tatctgagga ggagattgct
841 atggctgtta ctgcttggga gaagggccta gaaagtttgc ccccgctgcg gccccagcag
901 aatccagtgt tgcctgtggc tggagaaagg aatgtgctca tcaccagtgc cctcccttac
961 gtcaacaatg tcccccacct tgggaacatc attggttgtg tgctcagtgc cgatgtcttt
1021 gccaggtact ctcgcctccg ccagtggaac accctctatc tgtgtgggac agatgagtat
1081 ggtacagcaa cagagaccaa ggctctggag gagggactaa ccccccagga gatctgcgac
1141 aagtaccaca tcatccatgc tgacatctac cgctggttta acatttcgtt tgatattttt
1201 ggtcgcacca ccactccaca gcagaccaaa atcacccagg acattttcca gcagttgctg
1261 aaacgaggtt ttgtgctgca agatactgtg gagcaactgc gatgtgagca ctgtgctcgc
1321 ttcctggctg accgcttcgt ggagggcgtg tgtcccttct gtggctatga ggaggctcgg
1381 ggtgaccagt gtgacaagtg tggcaagctc atcaatgctg tcgagcttaa gaagcctcag
1441 tgtaaagtct gccgatcatg ccctgtggtg cagtcgagcc agcacctgtt tctggacctg
1501 cctaagctgg agaagcgact ggaggagtgg ttggggagga cattgcctgg cagtgactgg
1561 acacccaatg cccagtttat cacccgttct tggcttcggg atggcctcaa gccacgctgc
1621 ataacccgag acctcaaatg gggaacccct gtacccttag aaggttttga agacaaggta
1681 ttctatgtct ggtttgatgc cactattggc tatctgtcca tcacagccaa ctacacagac
1741 cagtgggaga gatggtggaa gaacccagag caagtggacc tgtatcagtt catggccaaa
1801 gacaatgttc ctttccatag cttagtcttt ccttgctcag ccctaggagc tgaggataac
1861 tataccttgg tcagccacct cattgctaca gagtacctga actatgagga tgggaaattc
1921 tctaagagcc gcggtgtggg agtgtttggg gacatggccc aggacacggg gatccctgct
1981 gacatctggc gcttctatct gctgtacatt cggcctgagg gccaggacag tgctttctcc
2041 tggacggacc tgctgctgaa gaataattct gagctgctta acaacctggg caacttcatc
2101 aacagagctg ggatgtttgt gtctaagttc tttgggggct atgtgcctga gatggtgctc
2161 acccctgatg atcagcgcct gctggcccat gtcaccctgg agctccagca ctatcaccag
2221 ctacttgaga aggttcggat ccgggatgcc ttgcgcagta tcctcaccat atctcgacat
2281 ggcaaccaat atattcaggt gaatgagccc tggaagcgga ttaaaggcag tgaggctgac
2341 aggcaacggg caggaacagt gactggcttg gcagtgaata tagctgcctt gctctctgtc
2401 atgcttcagc cttacatgcc cacggttagt gccacaatcc aggcccagct gcagctccca
2461 cctccagcct gcagtatcct gctgacaaac ttcctgtgta ccttaccagc aggacaccag
2521 attggcacag tcagtccctt gttccaaaaa ttggaaaatg accagattga aagtttaagg
2581 cagcgctttg gagggggcca ggcaaaaacg tccccgaagc cagcagttgt agagactgtt
2641 acaacagcca agccacagca gatacaagcg ctgatggatg aagtgacaaa acaaggaaac
2701 attgtccgag aactgaaagc acaaaaggca gacaagaacg aggttgctgc ggaggtggcg
2761 aaactcttgg atctaaagaa acagttggct gtagctgagg ggaaaccccc tgaagcccct
2821 aaaggcaaga agaaaaagta aaagaccttg gctcatagaa agtcacttta atagataggg
2881 acagtaataa ataaatgtac aatctctata tacaaaaaaa aaaaaaaaaa aa//
'프라이머(primer)'는 DNA 합성의 개시점(starting point)으로 작용하는 짧은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single strand oligonucleotide)이다. 프라이머는 적합한 완충액(buffer)와 온도 조건에서 주형(template)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DNA 중합효소가 프라이머에 주형 DNA에 상보적인 염기를 갖는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를 추가하여 연결함으로써 DNA가 합성된다.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30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염기 구성과 길이에 따라 주형 가닥에 결합하는 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달라진다.
프라이머의 서열은 주형의 일부 염기 서열과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주형과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고유의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마커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프라이머는 각 유전자 서열에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DNA 합성을 통해 mRNA 또는 cDNA의 특정 구간을 증폭하여 mRNA의 양을 측정하려는 목적에 맞는 길이와 상보성을 갖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증폭 반응을 위한 프라이머는 증폭하고자 하는 mRNA의 특정 구간의 양쪽 끝부분의 주형(또는 센스, sense)과 반대편(안티센스, antisense)에 각각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한 세트(쌍)으로 구성된다. 프라이머는 당업자라면 MRS의 mRNA 또는 cDNA 염기서열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MRS의 mRNA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한 세트, 한 쌍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브(probe)'는 특정 유전자의 mRNA나 cDNA(complementary D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짧게는 수개 내지 길게는 수백 개의 염기(base pair) 길이의 RNA 또는 DNA 등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단편을 의미하며, 표지(labeling)되어 있어서 결합하는 대상 mRNA나 cDNA의 존재 유무, 발현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MRS의 mRNA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피검체의 시료와 혼성화 반응(hybridization)을 수행하여 MRS mRNA의 발현양을 측정함으로써 암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프로브의 선택 및 혼성화 조건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포스포아미다이트(phosphoramidite) 고체지지체 합성법이나 기타 널리 공지 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MRS의 mRNA와의 혼성화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 그리고 형광 또는 효소를 이용한 표지물질(labeling material)의 결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이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것일 때에는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S 단백질에 각각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항체(antibody)'는 항원성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항체는 MRS 단백질 이외에는 다른 종류의 아미노아실 티알엔에이 합성효소를 포함하는 다른 단백질에는 반응하지 않고, MRS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이다. MRS 항체는 각 유전자를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상기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을 수득하고, 수득한 단백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MRS 항원성 부위를 포함하는 MRS 단백질의 단편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항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클론항체(polyclonal antibody) 또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포함한다. 또한 항원-항체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전체 항체의 일부도 본 발명의 항체에 포함되며, MRS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모든 종류의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갖는 완전한 형태의 항체 뿐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 즉 항원 결합 기능을 갖는 Fab, F(ab'), F(ab')2 및 Fv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항체에는 MRS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인간화 항체, 키메릭 항체 등의 특수 항체와 재조합 항체도 포함된다.
상기 각 마커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를 MRS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은 공지된 단백질을 감지하는 방법에 필요한 제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지된 단백질을 감지하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피검체에서 MRS 단백질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MRS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후 예측용 키트에는 MRS 단백질을 마커로 인식하는 항체 또는 MRS의 mRNA를 마커로 인식하는 프라이머, 프로브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진단 키트는 역전사 중합효소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키트일 수 있다.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키트는 마커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쌍을 포함한다. 프라이머는 각 마커 유전자의 핵산서열에 특이적인 서열을 가지는 뉴클레오타이드로서, 약 7bp 내지 50bp의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bp 내지 30bp의 길이이다. 또한 대조군 유전자의 핵산 서열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키트는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키트일 수 있다. DNA 칩 키트는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가 부착되어 있는 기판, 및 형광표식 프로브를 제작하기 위한 시약, 제제, 효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대조군 유전자 또는 그의 단편에 해당하는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환자로부터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서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정상 대조구 시료의 MRS mRNA의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 발현수준과 비교하여 발현수준이 증가한 피검체를 폐암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a) 단계는 환자로부터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시료는 폐암의 예후를 예측하고자 하는 피검체에서 채취된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생검 등으로 얻어진 세포나 조직, 혈액, 전혈, 혈청, 혈장, 타액, 뇌척수액, 각종 분비물, 소변, 대변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액, 혈장, 혈청, 타액, 비액, 객담, 관절낭액, 양수, 복수, 자궁경부 또는 질 분비물, 소변 및 뇌척수액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암 조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b) 단계는 (a) 단계에서 제공한 시료에서 MRS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발현 수준은 MRS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일 수 있다.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검출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는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에 서술한 바와 같다.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 닷 블랏팅(dot blotting),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사능 면역분석법(RIA), 방사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 전기영동,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침전법(immunoprecipitation), 보체 고정 분석법, 유세포 분석법(FACS) 또는 단백질 칩(chip) 방법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일 수 있다.
MRS의 mRNA 수준은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나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시료로부터 MRS의 mRNA나 cDNA를 증폭하거나, 프로브와 혼성화 반응(hybridization)을 이용하여 피검체 시료 내 MRS의 mRNA의 존재와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다.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mRNA 발현 수준의 측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발현 수준 확인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분석 방법의 예로 역전사중합체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PA: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microarray chip), RNA 염기서열분석(RNA sequencing), 나노스트링(nanostring)을 이용한 혼성화 방법, 조직 절편의 인시투 혼성화 방법(in situ hybridization)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단계에서 예후가 좋지 않다는 것은 환자의 무병생존기간, 총 생존기간이 길지 않고, 종양의 현재 STAGE가 나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폐암 완치 환자의 경우에는 재발 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의 정상대조구는 폐암 환자에서 MRS의 발현량이 낮은 환자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MRS의 발현 강도와 빈도 점수가 0 또는 1인 음성인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폐암 환자의 폐 조직에서 MRS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MRS의 발현 수준이 높을수록 환자의 무병생존기간(Disease free survival) 및 총 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이 짧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폐암의 병기(stage)가 높을수록 MRS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RS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후, 이를 정상 대조구 또는 예후가 좋았던 환자의 폐 조직 내 MRS 발현량과 비교함으로써 폐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이용하면 예후가 양호하지 않은 환자와 양호한 환자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암의 예후를 조기에 판단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 및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재발율을 낮출 수 있다.
도 1A는 야생형 C57BL/6 마우스의 주요 기관의 비 종양 조직에서 MRS의 발현을 IHC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1B는 야생형 C57BL/6 마우스의 주요 기관의 비 종양 조직 용해물에서 MRS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2A는 인간의 폐와 인접한 정상조직에서 MRS 발현을 IHC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2B는 LSL-Kras G12D 및 LSL-Kras G12D:p53fl /fl 마우스의 폐암 조직에서 MRS 발현을 IHC를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폐암 조직 샘플 12종에서 폐암(C)과 암종증 주변의 정상양 조직(N)내 단백질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4A는 폐암 조직 샘플 내에서 MRS의 발현량을 세포질과 핵으로 구분하여, 면역조직염색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4B는 총 231명의 폐암환자 조직샘플에서 MRS의 발현량을 면역조직염색법을 통해 확인한 후, 염색 강도와 염색 빈도를 반영하여 수치화한 후, 각 수치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Kaplan-Myer를 이용하여 폐암 환자에서 MRS의 발현과 총생존율 및 무병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한 결과이다(도 5A는 무병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 DFS)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총 생존율(overall survival, OS)를 나타낸 결과이다. No/weak expression은 MRS의 발현점수가 0점 또는 1점인 환자를 의미하며, strong expression은 MRS의 발현점수가 2점 내지 9점인 환자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1> 실험동물
본 발명의 웨스턴 블로팅 및 면역염색분석에서 사용된 동물 샘플은 8주 된 야생형 C57BL/6 마우스의 주요 장기로부터의 조직 용해물 및 파라핀 내장 조직 블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마우스 폐암 조직에서 MRS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LSL-Kras G12D 및 LSL-Kras G12D:p53fl /fl 마우스에 각각 AdCre 바이러스 입자를 흡입시킨 후 24주 및 8주에 희생시켰다(http://mouse.ncifcrf.gov/). 모든 동물 실험은 연세대학교 실험동물운영위원회(2014-0229-1)의 승인을 받고, 미국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American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Animal Care)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1-2> 임상조직샘플
본 발명의 모든 실험방법들은 강남세브란스 병원의 윤리위원회 (IRB)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IRB # 3-2014-0299). 폐암 환자의 폐 조직에서 MRS의 발현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서는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파라핀 포매된 비소세포성폐암(NSCLC) 환자의 폐 조직 슬라이드 231개를 면역조직염색에 사용하였다.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연세의료원 산하의 세브란스 병원과 강남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폐암 진단하에 수술적 치료 받은 환자로부터 총 231개의 폐암 샘플을 수득하였다. 조직샘플은 수술 직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파라핀 포매하였다. 무병 생존기간은 수술 후로부터 재발 또는 전이가 확인된 일자까지로 계산하였으며, 총 생존기간은 진단일로부터 사망일 또는 마지막 추적 관찰일로부터 추계하였다. 또한 동 기간 동안 폐암 수술을 시행 받고 검체 제공 동의서를 제공한 환자들의 급속 냉동 검체 중 폐암과 암종증 주변의 정상양 조직 12 쌍을 얻어 lysate를 제조하고 웨스턴 블로팅을 시행 폐암 특이적 MRS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면역 화학염색의 결과 분석을 위해 하나의 암종증 slide내에서 암종증 주변에 위치하는 정상양 주변 조직에서 MRS의 발현을 암세포에서의 발현과 비교 분석하였다.
<1-3> 웨스턴 블로팅
본 발명에서 사용된 anti-MRS 및 anti-LRS 항체는 Neomix Inc(수원, 경기도,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anti-Ki67 항체는 Abcam(Cambridge, UK)으로부터 구입 하였다. 그 외의 다른 모든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Danver, M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급속 냉동되어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된 폐암과 암종증 주변의 정상양 조직 12 쌍을 확보하여 protease와 phosphatase의 억제물이 포함되어 있는 2X의 램니 검체 버퍼에 넣고, 호모게나이저 및 소니케이션을 통해 웨스턴 블로팅용 lysate를 제작하였다. 30-50 ㎍의 lyate를 7.5 ∼ 12% 의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 영동한 뒤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겼으며 이후 1차 및 2차 항체를 붙이고 ECL 키트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1-4> 면역조직화학염색(IHC) 분석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위하여, 조직 샘플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고 파라핀 포매하였다. 조직 슬라이드는 자일렌에 침지함으로써 파라핀을 제거하였고, 100%, 90%, 80%, 70% 에탄올에 차례대로 내려가며 재수화하였다. 재수화 후에 슬라이드를 상온에서 증류수로 수차례 세척하였다. 조직 절편은 0.3% 과산화수소로 15분간 인큐베이션 하여 퍼옥시다제를 블로킹 하였으며, PBS로 3차례 세척하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3% 염소 혈청으로 블로킹하였다. 마지막으로 4℃에서 인간 MRS, Ki67, pS6 및 pGSK-3β에 대한 일차 항체와 함께 밤샘 방치하였다. 이차 항체는 DAKO polymer-HRP goat anti-rabbit IgG를 이용하였다. 세포를 Mayer’s 헤마톡실린으로 대조염색 하였다. 이미지는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5> 면역조직화학염색(IHC)의 해석
폐암 환자의 암종에서 MRS의 IHC 염색은 (a) 염색의 강도 (intensity) ; 암세포 특이 염색 강도에 따라서 0,1,2,3 으로 나누었고, (b) 염색의 분율 (frequency); 전체 암세포들 중에서 염색에 양성인 세포의 분율에 따라 0, 1, 2 및 3으로 점수화 하였다. 여기서 염색의 분율의 0은 10% 미만, 1은 10~50%, 2는 51 내지 80% 및 3은 80% 이상의 세포에서 염색 양성을 나타낸 경우를 의미한다. (c) 염색의 강도를 나타내는 값과 염색의 분율을 나타내는 값의 곱 (intensity score X frequency score)을 얻어 각 slide에서 MRS의 염색의 점수로 정의하였다. 각각의 조직 샘플에서 MRS의 염색의 점수가 2 이상인 경우를 과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한편, 상기 염색의 강도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판단하였다:
0; 분명한 MRS의 발현이 암종증에서 관찰되지 않아 염색의 강도가 주변 정상양 조직과 차이가 없는 경우
1: 암종증 주변의 정상양 조직과는 명확히 구분이 되나 internal reference로 사용된 섬모기관지 상피세포(ciliated bronchial epithelial cell) 및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 등에서 관찰되는 염색강도보다 낮은 경우
2. 암종증 주변의 정상양 조직과는 명확히 구분이 되고 internal reference로 사용된 섬모기관지 상피세포(ciliated bronchial epithelial cell) 및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 등에서 관찰되는 염색의 강도와 유사한 경우
3. internal reference로 사용된 섬모기관지 상피세포(ciliated bronchial epithelial cell) 및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s) 등의 염색의 강도보다 명확히 강하게 염색된 경우.
<1-6>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인 분석은 SPS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MRS의 발현량과 임상병리학적 특성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Chi-square 테스트(χ2) 및 Fisher's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총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생존곡선의 차이는 log-rank 테스트로써 분석하였다. P-value가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 실시예 1>
다양한 마우스 조직에서의 MSR의 발현
폐암의 치료 표적으로서의 MRS의 잠재력을 탐색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IHC) 및 웨스턴 블로팅을 통하여 8주 된 야생형 C57BL/6 마우스의 주요 기관의 비 종양 조직에서 MRS 발현을 평가 하였다.
IHC를 수행한 결과,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야생형 C57BL/6 마우스에서 MRS는 비장 및 장 상피에서 약하게 발현되었고, 신장, 간 및 폐에서는 미미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조직 용해액의 웨스턴 블로팅을 수행하고 이전의 실험에서 높은 MRS 발현을 보인 대조군으로서 심장조직 용해물을 포함시켰다.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HC 결과와 유사하게 MRS 발현 강도는 비장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에 장 및 다른 장기들에 미미하게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MRS는 정상 폐조직에서는 약하게 발현되며, 폐암 특이적으로 강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비소세포 폐암 특이적 MRS의 발현
MRS 발현이 폐암에 특이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폐와 인접한 조직에서 MRS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2A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RS는 인간의 폐와 인접한 정상조직인 폐포 및 혈관에서 발현되지 않았으며 기관지 상피 세포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반면,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LSL-Kras G12D 및 LSL-Kras G12D:p53fl/fl 마우스 폐 조직에서는 MRS가 과 발현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암 특이성 MRS 과발현에 대하여 웨스턴 블로팅을 통하여 추가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2쌍의 폐암조직과 폐암 주변 정상양 조직의 비교에서 MRS는 72%의 검체에서 폐암 특이적 과발현을 보이고 있다. 또한 MRS의 과발현을 보이는 검체는 대부분 pS6의 과발현이 동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MRS의 발현과 비소세포성폐암 ( NSCLC ) 환자 예후와의 상관관계
도 4A 및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RS는 폐암 조직의 세포질에서 주로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RS의 발현 강도와 빈도 점수가 0 또는 1인 경우를 음성으로 정의하였고, 점수가 2 ∼9 인 경우를 MRS 발현 양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파라핀 포매된 231개의 비소세포성폐암 조직샘플 중에서 179(77.4%)개의 조직샘플에서 세포질 내 MRS의 발현이 양성을 나타내었다.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RS 발현의 임상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조직샘플들을 MRS 발현 음성과 양성인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임상/병리학적 특성들을 비교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31개의 조직샘플들 중에서 78개(33.8%)가 여성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1.6세 이었다. 분석에 사용된 측정 파라미터들 중에서 MRS 양성인 비율은 종양의 병리학적 스테이지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p=0.018, Pearson’s χ2-test).
[표 1]
Figure pat00001
Kaplan-Myer를 이용하여 폐암 환자에서 MRS의 발현과 총생존율 및 무병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적인 사후관찰 기간은 121.4달이었으며, 78(32.1%)개의 조직샘플이 폐암이 재발한 조직이었다. 124(51.0%)개의 조직이 사후관찰기간 중 환자가 사망한 조직이었다. MRS 발현이 양성인 그룹에서 음성인 그룹과 비교해 예후가 좋지 못했는데, 구체적으로 무병생존기간이 MRS 발현 양성인 그룹에서 142.3개월인 반면, MRS 발현 음성인 그룹에서는 161.6개월로 나타났다(P=0.014). 또한, 총 생존율에서도 MRS 발현 양성인 그룹이 음성인 그룹과 비교해 더 좋지 않은 예후를 나타냈다.
한편, Cox regression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단변량분석(univariate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RS의 발현과 병리학적 스테이지가 좋지 않은 무병생존율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이용하면 예후가 양호하지 않은 환자와 양호한 환자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암의 예후를 조기에 판단하여 재발의 조기발견을 위한 검사 및 치료법의 선발 및 평가를 위한 수단을 선택 및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재발율을 낮출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110> Medicinal Bioconvergence Research Cente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120> Usefulness of Methionyl-tRNA synthetase (MRS) as a prognostic biomarker of lung cancer <130> NP16-0019P <150> 10-2016-0068200 <151> 2016-06-01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0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 MRS amino acid sequence <400> 1 Met Arg Leu Phe Val Ser Asp Gly Val Pro Gly Cys Leu Pro Val Leu 1 5 10 15 Ala Ala Ala Gly Arg Ala Arg Gly Arg Ala Glu Val Leu Ile Ser Thr 20 25 30 Val Gly Pro Glu Asp Cys Val Val Pro Phe Leu Thr Arg Pro Lys Val 35 40 45 Pro Val Leu Gln Leu Asp Ser Gly Asn Tyr Leu Phe Ser Thr Ser Ala 50 55 60 Ile Cys Arg Tyr Phe Phe Leu Leu Ser Gly Trp Glu Gln Asp Asp Leu 65 70 75 80 Thr Asn Gln Trp Leu Glu Trp Glu Ala Thr Glu Leu Gln Pro Ala Leu 85 90 95 Ser Ala Ala Leu Tyr Tyr Leu Val Val Gln Gly Lys Lys Gly Glu Asp 100 105 110 Val Leu Gly Ser Val Arg Arg Ala Leu Thr His Ile Asp His Ser Leu 115 120 125 Ser Arg Gln Asn Cys Pro Phe Leu Ala Gly Glu Thr Glu Ser Leu Ala 130 135 140 Asp Ile Val Leu Trp Gly Ala Leu Tyr Pro Leu Leu Gln Asp Pro Ala 145 150 155 160 Tyr Leu Pro Glu Glu Leu Ser Ala Leu His Ser Trp Phe Gln Thr Leu 165 170 175 Ser Thr Gln Glu Pro Cys Gln Arg Ala Ala Glu Thr Val Leu Lys Gln 180 185 190 Gln Gly Val Leu Ala Leu Arg Pro Tyr Leu Gln Lys Gln Pro Gln Pro 195 200 205 Ser Pro Ala Glu Gly Arg Ala Val Thr Asn Glu Pro Glu Glu Glu Glu 210 215 220 Leu Ala Thr Leu Ser Glu Glu Glu Ile Ala Met Ala Val Thr Ala Trp 225 230 235 240 Glu Lys Gly Leu Glu Ser Leu Pro Pro Leu Arg Pro Gln Gln Asn Pro 245 250 255 Val Leu Pro Val Ala Gly Glu Arg Asn Val Leu Ile Thr Ser Ala Leu 260 265 270 Pro Tyr Val Asn Asn Val Pro His Leu Gly Asn Ile Ile Gly Cys Val 275 280 285 Leu Ser Ala Asp Val Phe Ala Arg Tyr Ser Arg Leu Arg Gln Trp Asn 290 295 300 Thr Leu Tyr Leu Cys Gly Thr Asp Glu Tyr Gly Thr Ala Thr Glu Thr 305 310 315 320 Lys Ala Leu Glu Glu Gly Leu Thr Pro Gln Glu Ile Cys Asp Lys Tyr 325 330 335 His Ile Ile His Ala Asp Ile Tyr Arg Trp Phe Asn Ile Ser Phe Asp 340 345 350 Ile Phe Gly Arg Thr Thr Thr Pro Gln Gln Thr Lys Ile Thr Gln Asp 355 360 365 Ile Phe Gln Gln Leu Leu Lys Arg Gly Phe Val Leu Gln Asp Thr Val 370 375 380 Glu Gln Leu Arg Cys Glu His Cys Ala Arg Phe Leu Ala Asp Arg Phe 385 390 395 400 Val Glu Gly Val Cys Pro Phe Cys Gly Tyr Glu Glu Ala Arg Gly Asp 405 410 415 Gln Cys Asp Lys Cys Gly Lys Leu Ile Asn Ala Val Glu Leu Lys Lys 420 425 430 Pro Gln Cys Lys Val Cys Arg Ser Cys Pro Val Val Gln Ser Ser Gln 435 440 445 His Leu Phe Leu Asp Leu Pro Lys Leu Glu Lys Arg Leu Glu Glu Trp 450 455 460 Leu Gly Arg Thr Leu Pro Gly Ser Asp Trp Thr Pro Asn Ala Gln Phe 465 470 475 480 Ile Thr Arg Ser Trp Leu Arg Asp Gly Leu Lys Pro Arg Cys Ile Thr 485 490 495 Arg Asp Leu Lys Trp Gly Thr Pro Val Pro Leu Glu Gly Phe Glu Asp 500 505 510 Lys Val Phe Tyr Val Trp Phe Asp Ala Thr Ile Gly Tyr Leu Ser Ile 515 520 525 Thr Ala Asn Tyr Thr Asp Gln Trp Glu Arg Trp Trp Lys Asn Pro Glu 530 535 540 Gln Val Asp Leu Tyr Gln Phe Met Ala Lys Asp Asn Val Pro Phe His 545 550 555 560 Ser Leu Val Phe Pro Cys Ser Ala Leu Gly Ala Glu Asp Asn Tyr Thr 565 570 575 Leu Val Ser His Leu Ile Ala Thr Glu Tyr Leu Asn Tyr Glu Asp Gly 580 585 590 Lys Phe Ser Lys Ser Arg Gly Val Gly Val Phe Gly Asp Met Ala Gln 595 600 605 Asp Thr Gly Ile Pro Ala Asp Ile Trp Arg Phe Tyr Leu Leu Tyr Ile 610 615 620 Arg Pro Glu Gly Gln Asp Ser Ala Phe Ser Trp Thr Asp Leu Leu Leu 625 630 635 640 Lys Asn Asn Ser Glu Leu Leu Asn Asn Leu Gly Asn Phe Ile Asn Arg 645 650 655 Ala Gly Met Phe Val Ser Lys Phe Phe Gly Gly Tyr Val Pro Glu Met 660 665 670 Val Leu Thr Pro Asp Asp Gln Arg Leu Leu Ala His Val Thr Leu Glu 675 680 685 Leu Gln His Tyr His Gln Leu Leu Glu Lys Val Arg Ile Arg Asp Ala 690 695 700 Leu Arg Ser Ile Leu Thr Ile Ser Arg His Gly Asn Gln Tyr Ile Gln 705 710 715 720 Val Asn Glu Pro Trp Lys Arg Ile Lys Gly Ser Glu Ala Asp Arg Gln 725 730 735 Arg Ala Gly Thr Val Thr Gly Leu Ala Val Asn Ile Ala Ala Leu Leu 740 745 750 Ser Val Met Leu Gln Pro Tyr Met Pro Thr Val Ser Ala Thr Ile Gln 755 760 765 Ala Gln Leu Gln Leu Pro Pro Pro Ala Cys Ser Ile Leu Leu Thr Asn 770 775 780 Phe Leu Cys Thr Leu Pro Ala Gly His Gln Ile Gly Thr Val Ser Pro 785 790 795 800 Leu Phe Gln Lys Leu Glu Asn Asp Gln Ile Glu Ser Leu Arg Gln Arg 805 810 815 Phe Gly Gly Gly Gln Ala Lys Thr Ser Pro Lys Pro Ala Val Val Glu 820 825 830 Thr Val Thr Thr Ala Lys Pro Gln Gln Ile Gln Ala Leu Met Asp Glu 835 840 845 Val Thr Lys Gln Gly Asn Ile Val Arg Glu Leu Lys Ala Gln Lys Ala 850 855 860 Asp Lys Asn Glu Val Ala Ala Glu Val Ala Lys Leu Leu Asp Leu Lys 865 870 875 880 Lys Gln Leu Ala Val Ala Glu Gly Lys Pro Pro Glu Ala Pro Lys Gly 885 890 895 Lys Lys Lys Lys 900

Claims (10)

  1.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시료로부터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ethionyl-tRNA synthetase, MRS)를 검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은 MRS 유전자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MRS의 mRNA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폐암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MRS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MRS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가 RT-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또는 단백질 칩 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 (a) 환자로부터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시료에서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MRS의 mRNA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정상 대조구 시료의 MRS mRNA의 발현수준 또는 단백질 발현수준과 비교하여 발현수준이 증가한 피검체를 폐암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암 예후 예측용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및 DNA 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웨스턴 블랏, ELISA, 방사선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FACS 및 단백질 칩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인 방법.
KR1020170068520A 2016-06-01 2017-06-01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 KR101917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8200 2016-06-01
KR1020160068200 2016-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54A true KR20170136454A (ko) 2017-12-11
KR101917677B1 KR101917677B1 (ko) 2018-11-12

Family

ID=6094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520A KR101917677B1 (ko) 2016-06-01 2017-06-01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2265A1 (en) * 2009-12-11 2011-06-16 Atyr Pharma, Inc. Aminoacyl trna synthetases for modulating inflam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2265A1 (en) * 2009-12-11 2011-06-16 Atyr Pharma, Inc. Aminoacyl trna synthetases for modulating inflamm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S. 등, Nature Rev Cancer volume 11, pp.708-718 (2011.) *
Ko Y.-C. 등, in vivo 29: 83-94 (2015) *
Li L. 등, Nature Communications, Vol.5, No.5469, pp.1-12 (2014.11.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677B1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8934B2 (ja) 肺癌についての多重遺伝子予後診断アッセイ
ES2523683T3 (es) Marcadores para cáncer endometrial
KR102047502B1 (ko) 포타슘 채널 단백질을 이용한 암 진단용 조성물
US11022612B2 (en) BARD1 isoforms in lung and colorectal cancer and use thereof
JP2021513658A (ja) 大腸癌のバイオマーカとしてのbmmf1 repタンパク質の使用
KR20170100206A (ko) 대장암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KR102061891B1 (ko) 폐암 질환의 진단용 마커
KR101416147B1 (ko) 위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adcy3의 용도
Miao et al. Annexin IV i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clear cell carcinoma of the ovary
WO2019134994A1 (en) Prognostic biomarkers for human papillomavirus positive cancers
CA3082650A1 (en) A novel cip2a variant and uses thereof
KR101917677B1 (ko) 폐암의 예후 예측용 바이오 마커로서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mrs)의 유용성
KR20220129816A (ko) 미만형 위암의 예후 진단 마커
WO2014185466A1 (ja) 膵がんの予後評価方法
KR20170124683A (ko) 담도암 진단용 신규 바이오마커로서의 융합 유전자 및 융합 단백질
KR20170100213A (ko) 신장암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JP6820014B2 (ja) 子宮体がんのリンパ節転移能の評価方法
KR20190037071A (ko) 대장암의 항암제 내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US20120100144A1 (en) Biomarker and Treatment for Cancer
KR102260756B1 (ko) 반전성 유두종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전성 유두종 예측 또는 진단방법
KR20180042192A (ko) 비-소세포성 폐암 진단 융합 전사체 및 신규 전사체 마커
KR102133432B1 (ko) 폐암 질환의 진단용 마커
JP2024012078A (ja) Her2陽性乳癌治療予後予測用新規バイオマーカーおよびその用途
KR20240033766A (ko) HER2 양성 유방암의 전이 예후 예측용 Copine1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30086462A (ko) 전이성 유방암의 항암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예측용 신규한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