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176A -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176A
KR20170135176A KR1020160066679A KR20160066679A KR20170135176A KR 20170135176 A KR20170135176 A KR 20170135176A KR 1020160066679 A KR1020160066679 A KR 1020160066679A KR 20160066679 A KR20160066679 A KR 20160066679A KR 20170135176 A KR20170135176 A KR 2017013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ation
examinee
smart band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평
Original Assignee
(주)메디코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코넥스 filed Critical (주)메디코넥스
Priority to KR102016006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176A/ko
Publication of KR2017013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G06Q50/24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진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1 엔에프씨모듈(110) 및 와이파이 모듈(120), 진동장치(130)가 구비되며 수진자의 손목에 착용 되는 스마트밴드(100)와; 각각의 검사실(200)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밴드(100)가 일정거리 범위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엔에프씨모듈(110)에 저장된 수진자 정보를 읽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와; 상기 제2 엔에프씨모듈(210)로부터 수진자 정보를 전달받아 수진자의 검진 순번 및 진료정보를 등록하는 검사실서버(220)와; 상기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수진자의 진료정보를 전달받아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에 따른 검진순서를 계산하는 메인서버(300)를 포함하고, 수진자의 검진순서 시 상기 검사실서버(220)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에 호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밴드(100)는 상기 검사실서버(220)의 호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진동장치(130)를 구동시켜 수진자에게 알림을 표시하며, 상기 메인서버(300) 및 검사실서버(220)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와 와이파이(Wi-Fi)를 통하여 IoT(Internet of Things)통신한다.

Description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HEALTH SCREENING SYSREM USING SMART BAND}
본 발명은 건강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에프씨 및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수진자에게 효율적인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검진시 수진자의 손목에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착용하여, 각각의 검사실에 설치된 알에프아이디 리더기에 갖다 대면 검진자의 식별정보가 제공되는 등 건강검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부분에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검진자가 검사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의 도움이 필요하며, 검사진행에 대한 정보 또한 간호사들을 통하여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검사실의 정보들을 간호사들에게만 의존하게 되며, 간호사가 바쁘거나 간호사의 수가 부족한 경우 검진 대기시간이 오래 걸려 검사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생겨난다.
또한, 검사실의 대기순번에 따른 해당 수진자의 검사순서 시, 수진자를 일일이 불러야 하며, 혹시나 수진자가 자리를 비운 상황에서는 호출정보를 수진자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검진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실의 대기순번에 따른 수진자의 검진순서 시, 수진자를 효율적으로 호출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진자의 검진 진행상황에 따라 건강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진자에게 실시간으로 검진순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은, 수진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1 엔에프씨모듈(110) 및 와이파이 모듈(120), 진동장치(130)가 구비되며 수진자의 손목에 착용 되는 스마트밴드(100)와; 각각의 검사실(200)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밴드(100)가 일정거리 범위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엔에프씨모듈(110)에 저장된 수진자 정보를 읽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와; 상기 제2 엔에프씨모듈(210)로부터 수진자 정보를 전달받아 수진자의 검진 순번 및 진료정보를 등록하는 검사실서버(220)와; 상기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수진자의 진료정보를 전달받아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에 따른 검진순서를 계산하는 메인서버(300)를 포함하고, 수진자의 검진순서 시 상기 검사실서버(220)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에 호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밴드(100)는 상기 검사실서버(220)의 호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진동장치(130)를 구동시켜 수진자에게 알림을 표시하며, 상기 메인서버(300) 및 검사실서버(220)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와 와이파이(Wi-Fi)를 통하여 IoT(Internet of Things)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에는 디스플레이부(1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검사실서버(220)의 호출시, 상기 진동장치(130)의 구동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검사실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수진자에게 다음 검사실 정보를 출력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수진자의 검진 등록 또는 검진 시작을 전달받게 되면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에 따른 검사실별 대기시간과 이동동선을 조합하여 현재 검사실로부터 가까우면 대기시간이 짧은 다음 검사실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스마트밴드(100)에 해당 검사실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서버(300)와 연동하며 수진자의 검진진행상황을 제공하는 앱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엔에프씨모듈(110,210)은 서로 쌍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NFC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은, 수진자의 검진 순서 시, 검사실서버와 와이파이 통신하는 스마트밴드의 진동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진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호출신호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건강검진이 원활히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진자가 검사를 진행할 때마다 메인서버를 통하여 대기시간 및 이동거리가 가장 짧은 다음 검사실을 계산하고, 계산된 다음 검사실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하는 스마트밴드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가장 최소화된 시간 및 동선으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인서버와 연동하는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수진자의 보호자가 수진자의 검진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보호자의 개인적인 시간이 확보되며 보호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진자를 케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은, 스마트밴드(100)와, 검사실(200), 메인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마트밴드(100)는 수진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의 형태로 제작된다. 스마트밴드(100)는 제1 엔에프씨모듈(110)과, 와이파이모듈(120), 진동장치(130),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엔에프씨모듈(110)은 스마트밴드(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제1 엔에프씨모듈(110)에는 수진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수진자의 식별정보는 수진자의 건강검진 등록시 제1 엔에프씨모듈(110)에 저장된다. 제1 엔에프씨모듈(110)는 후기하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에 일정거리로 접근하게 되면 제2 엔에프씨모듈(210)이 제1 엔에프씨모듈(21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진자의 데이터 정보를 읽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엔에프씨모듈(110) 및 제2 엔에프씨모듈(210)은 NFC 기술을 통하여 무선 송, 수신한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기술은, FR(Rdadio Frequency)통신 방식보다 근거리에 사용되는 기술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기술이다. 이와 같은 엔에프씨 방식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RF 방식에 비하여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서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하던 RF방식과 달리 쌍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제1 엔에프씨모듈(110)과 제2 엔에프씨모듈(210)은 쌍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동일한 장치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다른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엔에프씨모듈(110)이 태그로서 역할을 하고 제2 엔에프씨모듈(210)이 리더기로서 역할을 하도록 기재되어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엔에프씨모듈(110)이 제2 엔에프씨모듈(210)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밴드(100)를 이용하여 검사실(200)의 정보 데이터를 읽어 습득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기능 및 작업들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와이파이모듈(120)은 스마트밴드(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와이파이모듈(120)은 스마트밴드(100)가 Wi-Fi 기술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Wi-Fi(와이파이: Wireless Fidelity)는 무선 접속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칭하는 기술이다.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는 무선 인터넷 공유기, 무선 인터넷 전화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와이파이 기술은 모든 기기를 무선으로 항상 연결할 수 있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구현에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란, 생활 속 사물들(Things)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사물인터넷을 이끄는 기술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엔에프씨 및 와이파이(Wi-Fi)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진동장치(130)는 스마트밴드(100)의 내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진동장치(130)는 진동모터(미도시)가 사용된다. 진동장치(130)는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수진자에게 진동이 전해지도록 구동한다. 진동장치(130)에 전달되는 신호는 검사실의 호출신호로서, 해당 검사실(200)에 수진자의 검사 순서가 되면 검사실서버(220)를 통하여 의사 및 간호사가 호출신호를 보내게 된다.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송신된 호출신호는 검사실서버(220)와 Wi-Fi 통신하는 와이파이모듈(120)을 통하여 진동장치(1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장치(130)가 구동되어 스마트밴드(100)에 진동이 울리게 되면, 스마트밴드(100)를 착용하고 있던 수진자는 이 진동을 감지하여 알림을 표시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진동장치(130)의 구동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부(140)에 해당 검사실(200)의 정보가 함께 출력된다. 수진자는 진동장치(130)의 진동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검사실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검사실을 찾아가 검진을 진행하면 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스마트밴드(100)의 외측면에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LED 모니터로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두 줄 이상의 텍스트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수신받은 호출신호에 따라 해당 검사실(200)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000 수진자님 000 검진이 시작됩니다. 000 검진실로 오시기 바랍니다."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부(140)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송신되는 수진자의 다음 검사실 정보를 출력해준다.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다음 검사실 정보가 수신될 시, 수진자에게 다음 검사실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도록 진동장치(130)도 함께 구동될 수 있다.
검사실(200)은 각각의 검진을 수행하는 검사장소를 의미한다. 검사실(200)에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과 검사실서버(220)가 마련된다.
제2 엔에프씨모듈(210)은 각각의 검사실(200)마다 설치되며, 검사실(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엔에프씨모듈(21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검사실(200)은 초음파 검사실, 심전도 검사실, 시청각 검사실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검사실이 포함된다. 제2 엔에프씨모듈(210)은 검사실(200)의 입구 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검사실(200)에 구비되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에 스마트밴드(100)가 설정된 일정거리로 접근하게 되면, 제2 엔에프씨모듈(210)이 스마트밴드(100)에 내장된 제1 엔에프씨모듈(110)의 데이터를 읽어 검사실서버(220)로 데이터 정보를 보내게 된다.
검사실서버(220)는 검사실(200)의 내측에 사용되는 일체형 PC의 형태일 수 있다. 검사실서버(220)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를 통하여 제1 엔에프씨모듈(110)에 저장되어 있는 수진자의 정보를 전달받게 되면 해당 검사실(200)의 대기순번에 해당 수진자를 등록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메인서버(300)에 해당 검사실(200)에 수진자의 진료가 등록되었음을 송신하게 된다. 검사실(200)에서 해당 수진자의 진료순서가 돌아오면 검사실서버(220)를 통하여 수진자의 스마트밴드(100)에 호출신호를 송신한다. 검사실서버(220)는 수진자의 진료 시작 및 진료 완료시에도 메인서버(300)에 그 정보를 송신한다.
메인서버(300)는 수진자의 검진목록에 따른 검사실별 대기시간과 이동동선을 조합하여 수진자의 검사순서를 산출한다. 최초 수진자의 검진 등록시 메인서버(300)는 제일 대기시간이 짧은 검사실을 계산하여 수진자의 스마트밴드(100)에 송신하게되며, 스마트밴드(100)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해당 검사실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장치(130)도 함께 작동하여 수진자에게 효율적인 알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검진이 시작되면 검진의 진행과 함께 검사실서버(220)는 메인서버(300)에 수진자의 진료정보를 제공한다. 검사실서버(220)는 스마트밴드(100)의 제1 엔에프씨모듈(110)과 제2 엔에프씨모듈(210)을 통한 검진등록 및 검진시작, 검진완료 등과 같은 정보를 메인서버(300)에 제공한다. 메인서버(300)는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송신되는 수진자의 검진등록 또는 검진시작을 기점으로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에 따른 검사실별 대기시간과 현재 검사실로부터의 이동거리 및 이동동선을 조합하여 현재 검사실로부터 제일 가까우면서 대기시간이 짧은 검사실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계산된 다음 검사실 정보를 스마트밴드(100)로 전달하여 수진자에게 다음 검사실 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이와 덧붙여, 메인서버(300)와 연동되는 앱(APP)이 제공된다. 앱은 메인서버(300)로부터 수진자의 정보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형태이며, 앱을 통해 제공되는 수진자의 정보는 수진자의 현재위치 및 남은 진료목록, 예산 소요시간 등과 같은 간단한 진료정보만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앱은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구동된다. 이에 따라, 수진자의 동반 보호자도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앱을 통하여 수진자의 현재위치 및 남은 진료 목록, 예상 소요시간 등과 같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어, 보호자의 개인적인 시간이 확보되며 보호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진자를 케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수진자가 검진을 받기 위하여 병원을 방문하여 건강검진을 등록하게 되면, 수진자는 병원관계자로부터 수진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스마트밴드(100)를 제공받아 손목에 착용하게된다(S110).
수진자의 검진이 등록되면 메인서버(300)는 수진자가 신청한 검진목록별에 따른 대기시간을 계산하여 제일 대기시간이 짧은 최초 검사실 정보를 스마트밴드(100)를 통하여 수진자에게 알려준다. 수진자는 스마트밴드(100)의 진동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되는 검사실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검사실로 이동하여 검사실(20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에 스마트밴드(100)를 근접시켜 해당검사실에 검진등록을 한다(S120).
검사실(200)에서는 대기순서에 따라 검진이 시작되며, 검진의 진행에 따라 수진자의 검진순서가 되면 검사실서버(220)를 통하여 수진자의 스마트밴드(100)에 호출신호를 송신한다(S130).
검사실서버(220)의 호출신호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밴드(100)에 수신되어 진동장치(130)와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동시켜 수진자에게 알림을 표시한다(S140).
수진자는 스마트밴드(100)를 통하여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검사실(200)로 이동하여 검진을 시작한다(S150).
이때 검사실서버(220)에 등록되는 수진자 정보는 모두 메인서버(300)로 전달되게 되며, 수진자의 검진등록 또는 검진시작이 시작되면 메인서버(300)는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160).
남은 검진목록이 있으며, 메인서버(300)는 현재 수진자의 검사실 위치를 기점으로 남은 검진별 대기시간 및 이동동선, 이동거리를 조합하여 제일 대기시간이 짧으면서도 가까운 검사실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다음 검사실 정보를 스마트밴드(100)로 송신하며, 스마트밴드(100)는 메인서버(300)로부터 다음 검사실 정보를 수신하여 진동장치(130)의 진동 및 디스플레이부(140)의 텍스트를 통하여 수진자에게 검사실 정보를 출력한다(S170). 그리고 수진자는 스마트밴드(100)를 통하여 전달받는 다음 검사실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검사실로 이동하여 검진을 시작한다.
만약, (S160)단계에서 남은 검진 목록이 없다고 판단되면, 수진자의 검진은 종료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스마트밴드 110:제1 엔에프씨모듈
120:와이파이모듈 130:진동장치
140:디스플레이부 200:검사실
210:제2 엔에프씨모듈 220:검사실서버
300:메인서버

Claims (6)

  1. 수진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1 엔에프씨모듈(110) 및 와이파이 모듈(120), 진동장치(130)가 구비되며 수진자의 손목에 착용 되는 스마트밴드(100)와;
    각각의 검사실(200)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밴드(100)가 일정거리 범위로 접근하면 상기 제1 엔에프씨모듈(110)에 저장된 수진자 데이터 정보를 읽는 제2 엔에프씨모듈(210)과;
    상기 제2 엔에프씨모듈(210)로부터 수진자 정보를 전달받아 수진자의 검진 순번 및 진료정보를 등록하는 검사실서버(220)와;
    상기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수진자의 진료정보를 전달받아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에 따른 검진순서를 계산하는 메인서버(300)를 포함하고,
    수진자의 검진순서 시 상기 검사실서버(220)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에 호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밴드(100)는 상기 검사실서버(220)의 호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진동장치(130)를 구동시켜 수진자에게 알림을 표시하며, 상기 메인서버(300) 및 검사실서버(220)는 상기 스마트밴드(100)와 와이파이(Wi-Fi)를 통하여 IoT(Internet of Things)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0)에는 디스플레이부(1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검사실서버(220)의 호출시, 상기 진동장치(130)의 구동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검사실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수진자에게 다음 검사실 정보를 출력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검사실서버(220)로부터 수진자의 검진 등록 또는 검진 시작을 전달받게 되면 수진자의 남은 검진목록에 따른 검사실별 대기시간과 이동동선을 조합하여 현재 검사실로부터 가까우면 대기시간이 짧은 다음 검사실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스마트밴드(100)에 해당 검사실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300)와 연동하며 수진자의 검진진행상황을 제공하는 앱을 포함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엔에프씨모듈(110,210)은 서로 쌍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NFC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1020160066679A 2016-05-30 2016-05-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20170135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79A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6-05-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79A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6-05-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76A true KR20170135176A (ko) 2017-12-08

Family

ID=609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679A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6-05-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1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1-08-24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KR20240042872A (ko) 2022-09-26 2024-04-02 장형기 건강검진 시스템
KR20240042878A (ko) 2022-09-26 2024-04-02 장형기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1-08-24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KR20240042872A (ko) 2022-09-26 2024-04-02 장형기 건강검진 시스템
KR20240042878A (ko) 2022-09-26 2024-04-02 장형기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1764B (zh) 用于远程监控系统中的患者识别的系统和方法
US9800293B2 (en) System for configuring indicia readers using NFC technology
JP571138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の無線中継モジュール
CN101040286B (zh) 用于把无线医疗设备与患者相关联的自动的持续且可靠的患者标识系统
CN103314380A (zh) 医疗装置无线网络架构
US20130257614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Of Information
JP2012075854A (ja) 医用テレメータシステムおよび医用テレメータ
CN104012127A (zh) 具有紧急呼叫功能的无线中继模块
KR101552250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의료기기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70155427A1 (en) Wireless network transfer
KR20170135176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JP6904680B2 (ja) 位置情報を利用した看護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28044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병원 관리 시스템
KR20170063275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496468B2 (en) Endoscope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16106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equipm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2013028113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80003890A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2809A (ko) 건강검진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WO2018230256A1 (ja) テレメトリシステム
JP2018056712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20230206013A1 (en) Patient-monitoring devices using rfid technology for use in patient-monitoring systems
JP2018074288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CN117940059A (zh) 一种用于术后康复的监护方法和监护系统
RU2541907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