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697A -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 Google Patents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697A
KR20210103697A KR1020200018166A KR20200018166A KR20210103697A KR 20210103697 A KR20210103697 A KR 20210103697A KR 1020200018166 A KR1020200018166 A KR 1020200018166A KR 20200018166 A KR20200018166 A KR 20200018166A KR 20210103697 A KR20210103697 A KR 2021010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arer
patient
module
identif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우빈
지설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697A/ko
Publication of KR2021010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에 환자마다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진료 호출시 상기 밴드에 구비된 알림모듈을 통해 소리 또는 진동으로 이를 착용자에게 알려주고, 환자 본인 확인 기능을 강화하여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착용자 확인용 고유 식별수단이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 상기 메인밴드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환형(環形)을 이루어 환자의 흉부, 복부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보조밴드; 상기 보조밴드의 외면에 구비되는 저주파 발생기; 상기 보조밴드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밴드는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인레이어와,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아웃레이어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밴드는, 탄성 재질의 내피와, 상기 내피의 일면에 적층되며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외피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Medical smart band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 recognition}
본 발명은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에 환자마다 고유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진료 호출시 상기 밴드에 구비된 알림모듈을 통해 소리 또는 진동으로 이를 착용자에게 알려주고, 환자 본인 확인 기능을 강화하여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병원, 건강검진센터를 포함한 의료 기관에서는 검사를 위한 검진자 또는 환자(이하 ‘환자’라고 통칭함)의 손목에 병원측에서 제공한 RFID 태그를 착용하여, 각각의 검사실에 설치된 리더기에 인식함으로써 환자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검진을 받는 경우, 접수처를 통해 제공한 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되 이때 환자 고유의 식별코드가 저장된 밴드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이후, 환자는 각각의 검사실 주변에서 대기 중 간호사의 호출을 받은 이후 제공받은 밴드를 리더기에 인식하여 호출한 이름과 환자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대형병원의 경우, 초진(初診)인 환자가 외래 접수를 한 이후, 각종 검사를 위해 검사실로 이동하게 되는데 통상 대형병원은 검사실이 진료실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한 번의 검사를 위해 여러층을 이동해야 하고, 각각의 검사실에 도착한 이후 환자가 자신의 정보를 검사실로 제공한 이후 자신의 순서가 될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또한, 검사실 또는 진료실의 주변에서 대기 중일 때 자신의 이름이 언제 호출되는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대기자의 인원수에 상관없이 자신의 이름이 호출될 때까지 계속 대기 해야만 한다.
이는 간호사가 자신의 이름을 호출하는 것을 듣지 못하거나 자리를 비우는 경우 다음 순번의 대기자가 진료 또는 검사를 진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사 또는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환자의 피로도는 상승하고, 다수의 환자가 대기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간호사는 환자의 이름을 호명하는 것만으로 환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있어 실제 환자와 진찰 대상 환자가 바뀌는 사고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51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41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저10-20273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환자의 손목에 채워지고 환자를 인식하기 위한 고유 식별수단이 구비된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되, 상기 스마트 밴드를 구성하는 메인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 보조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밴드에는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저주파 발생기 및 자극부재가 구비되어 대기 중인 환자 또는 입원 중인 환자의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통한 치료 또는 통증 완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 확인용 고유 식별수단이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
상기 메인밴드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환형(環形)을 이루어 환자의 흉부, 복부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보조밴드;
상기 보조밴드의 외면에 구비되는 저주파 발생기;
상기 보조밴드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밴드는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인레이어와,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아웃레이어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밴드는, 탄성 재질의 내피와,
상기 내피의 일면에 적층되며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외피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외피의 외측면 일단에 형성된 후크형 벨크로와, 상기 외피의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형 벨크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루프형 답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밴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관통 형성된 통풍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착용자의 바이탈사인(vital signs)을 감지하는 바이탈 체크모듈과, 착용자의 바이탈사인을 송신하고, 착용자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림모듈과,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과 상기 알림모듈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 상기 통신모듈, 상기 알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 통신모듈, 알림모듈, 디스플레이 및 제어모듈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수단은, 접수처 또는 진료실에 구비된 리더기에 바코드, QR코드, NFC,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태그 인식을 지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환자의 오인 혼동을 방지하여 의료 사고 확률을 최소화하고, 진료실 또는 검사실 주변에서 대기 하지 않아도 자신의 차례가 되면 바디에 구비된 알림모듈을 통해 진동 또는 조명을 통해 인지할 수 있어 대기 중 위치 이동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 시간 또는 입원 중인 상태의 환자의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가함으로써 치료 또는 통증의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입원 중인 환자의 바이탈사인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해당 환자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서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와 메인밴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밴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를 구성하는 구성을 개략 도시한 블록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 확인용 고유 식별수단(11)이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20)와, 상기 메인밴드(20)에 결합수단(40)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환형(環形)을 이루어 환자의 흉부, 복부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보조밴드(30)와, 상기 보조밴드(30)의 외면에 구비되는 저주파 발생기(50) 및 상기 보조밴드(30)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정방형의 사각 형태 이외에도, 장방형의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일측으로 굴곡진 호(弧)형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바디(10)는 착용자 확인용 고유 식별수단(11)이 구비되어 진찰실 또는 검사실 주위에 배치된 리더기에 상기 고유 식별수단(11)을 인식함으로써 착용자와 대상자가 동일인이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별수단(11)은, 접수처 또는 진료실에 구비된 리더기에 바코드, QR코드, NFC,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태그 인식을 지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별수단(11)은 바디(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14)의 화면에 출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NFC 또는 RFID 로 이루어지는 경우 바디(10)의 내부에 착용자의 식별 정보를 저장 및 리셋(reset)할 수 있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한 칩(chip)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에는, 착용자의 바이탈사인(vital signs)을 감지하는 바이탈 체크모듈(12)과, 착용자의 바이탈사인을 송신하고, 착용자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4)과, 상기 통신모듈(14)을 통해 수신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림모듈(13)과,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과 상기 알림모듈(13)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와,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 상기 통신모듈(14), 상기 알림모듈(13) 및 상기 디스플레이(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 및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 통신모듈(14), 알림모듈(13), 디스플레이(14) 및 제어모듈(15)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7)가 구비된다.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은 착용자의 바이탈사인 즉, 혈압, 맥박, 체온, 호흡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나 보다 정확하게는 착용자의 맥박과 체온을 감지하는 것이다. 즉, 바이탈사인 중 전문기기가 필요한 혈압과 호흡을 제외한 맥박과 체온을 감지한다.
상기 통신모듈(14)은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을 통해 감지된 착용자의 맥박, 체온 정보를 서버 또는 서버와 연결된 중계기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에서 발송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모듈(14)은 Wifi 또는 LTE와 같은 무선 통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서버 또는 서버와 연결된 중계기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Wifi 및 LTE 의 기술적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알림모듈(13)은 상기 통신모듈(14)을 통해 수신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에서 발생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상기 통신모듈(14)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소리 또는 조명 또는 진동을 통해 착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를 위해 상기 알림모듈(13)은 소리를 배출하기 위한 스피커 또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를 배치하여 소리와 조명 또는 조명과 진동이 동시에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과 상기 알림모듈(13)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14)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태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술한 착용자 식별수단(11)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5)은 상기의 바이탈 체크모듈(12), 상기 통신모듈(14), 상기 알림모듈(13) 및 상기 디스플레이(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제어모듈(15)은 통상의 멀티컨트롤유닛(MCU)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며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7)는 상기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교체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메인밴드(20)는 상기 바디(10)에 결합되고 착용자 즉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된다.
이러한 메인밴드(2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다양한 환자의 손목이나 발목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손목 또는 발목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인장되어 삽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삽입 후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메인밴드(20)는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인레이어(21)와,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아웃레이어(2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져 인장 및 수축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밴드(20)는 탄성 재질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개의 독립된 체인이 연결되되 일단이 상호 분리되고 분리된 단부에 상호 결합 가능한 체결구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밴드(30)는 상기 메인밴드(20)에 결합수단(40)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환형(環形)을 이루어 환자의 흉부, 복부, 목, 손목, 발목 등의 환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된다.
이러한 보조밴드(30)는 후술하는 저주파 발생기 및 자극부재를 통해 환자의 통증 완화 및 치료를 구현할 때 상기 자극부재가 환자의 환부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밴드(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태로 이루어지되, 탄성 재질의 내피(31)와, 상기 내피(31)의 일면에 적층되며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외피(3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31)와 외피(32)는 서로 상응한 크기를 갖고, 압착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내피(31)가 환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피는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밴드(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내피와 신축성을 갖는 외피를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므로 잡아 당김으로써 늘어나고 놓으면 복원되기 때문에 환부의 굵기나 감싸 조이게 되는 조임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늘려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보조밴드(30)는 적정 길이를 갖는데, 특히 일반 성인의 흉부, 복부, 목, 손목, 발목 등의 환부를 감싸되, 상기 메인밴드(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밴드(20)와 함께 흉부나 복부 등의 환부를 감싸 조일 정도로 늘린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밴드(30)는 적정 두께를 갖는데, 이는 내피(31)와 외피(32)가 각각 적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 후 압착 후 일체화 된 상태에서 적정 두께를 가지도록 하고, 특히 환부와 직접 닿게 되는 내피(31)는 압박감을 줄이면서 환부의 굴곡에 맞게 감쌀 수 있도록 2~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밴드(3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관통 형성된 통풍홀(33)이 형성된다.
상기 통풍홀(33)은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가 숨을 쉬도록 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통풍홀(33)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밴드(30)의 상부와 하부의 위치 변경이 독립적으로 가능하여 환부의 굴곡에 맞게 변형시켜 착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환부가 무릎인 경우 통풍홀(33)이 무릎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통풍홀(33)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뉘는 보조밴드가 무릎의 상하측을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밴드(30)를 메인밴드(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40)은, 상기 외피(32)의 외측면 일단에 형성된 후크형 벨크로(41)와, 상기 외피(32)의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형 벨크로(4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루프형 답면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형 벨크로(41)는 상호 탈부착이 되는 암수 벨크로에서 수형 벨크로 구조로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된 후 재봉에 의한 박음질로 상기 외피(32)의 외측면 일단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루프형 답면부(42)는 상호 탈부착이 되는 암수 벨크로에서 암형 벨크로 구조로서, 별도의 부재에 형성된 후 재봉에 의한 박음질로 상기 외피(32)의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고정 결합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외피(32)의 재질이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외피에서 노출되는 일면에 루프형 답면부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착용하게 되는 환부에 대한 보조밴드의 조임 세기 조절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상기 저주파 발생기(50)는, 상기 보조밴드(30)의 외면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저주파를 생성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기(50)는 출력단자가 후술하는 자극부재(60)배치되는 영역에 장착되는 접속단자와 상호 연결되며 일며이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보조밴드(30)를 구성하는 외피면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저주파 발생기(50)는 전원 및 모드를 선택하는 여러 스위치와 각 스위치의 모든 선택에 따라 저주파를 발생시키고 저주파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프로그램 된 마이컴과, 마이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극부재(60)는, 상기 보조밴드(30)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극부재(60)는 상기 저주파 발생기(50)에서 발생한 저주파를 전달 받아 환부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밴드(30)의 내피(31)에 배치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자극부재(60)는 상기 보조밴드(30)에 형성된 통풍홀(33)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전도성 필름은 습기에 강한 내습성을 갖기에 변색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손상이 덜 한 특성을 갖는다.
즉, 맞닿은 환부 또는 피부에서 배출되는 땀, 분비물 등과 같은 액체성 물질에 의해 변색 또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자극부재를 이루는 전도성 필름은 상기 보조밴드(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형태의 띠 구조를 갖는데, 그 길이는 상기 보조밴드(30)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자극부재(60)는 저주파 발생기(50)에서 발생한 저주파를 전달 받고, 환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전달 받은 저주파를 환부측으로 제공한다.
이렇게 전달된 저주파는 근육이 본래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근욱이 상부운동신경계와 단절된 뒤 나타나는 근위축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근육의 기능이 퇴화하는 것을 막고, 근육이 가지는 본래의 운동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재교육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밴드와 상기 보조밴드에 구비된 저주파 발생기 및 자극부재를 통해 환부의 통증 완화 및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환부의 위치에 따라 메인밴드를 환자의 손목에서 이탈시킨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바디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통해서 서버 또는 서버와 연결된 중계기와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를 호출하는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알림모듈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10 : 바디
11 : 식별수단 12 : 바이탈 체크모듈
13 : 알림모듈 14 : 디스플레이
15 : 통신모듈 16 : 제어모듈
17 : 배터리
20 : 메인밴드
21 : 인레이어 22 : 아웃레이어
30 : 보조밴드
31 : 내피 32 : 외피
33 : 통풍홀
40 : 결합수단
41 : 후크형 벨크로 44 : 루프형 답면부
50 : 저주파 발생기
60 : 자극부재

Claims (5)

  1. 착용자 확인용 고유 식별수단(11)이 구비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메인밴드(20);
    상기 메인밴드(20)에 결합수단(40)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환형(環形)을 이루어 환자의 흉부, 복부 또는 목의 환부를 감싸는 보조밴드(30);
    상기 보조밴드(30)의 외면에 구비되는 저주파 발생기(50);
    상기 보조밴드(30)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부에 저주파 자극을 주기 위한 자극부재(60);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밴드(20)는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인레이어(21)와,
    외측에 배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아웃레이어(2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밴드(30)는, 탄성 재질의 내피(31)와,
    상기 내피(31)의 일면에 적층되며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의 외피(3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외피(32)의 외측면 일단에 형성된 후크형 벨크로(41)와,
    상기 외피(32)의 외측면 타단 일부 또는 전부(前部)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형 벨크로(4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루프형 답면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밴드(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관통 형성된 통풍홀(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착용자의 바이탈사인(vital signs)을 감지하는 바이탈 체크모듈(12)과,
    착용자의 바이탈사인을 송신하고, 착용자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4)과,
    상기 통신모듈(14)을 통해 수신한 착용자 호출신호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림모듈(13)과,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과 상기 알림모듈(13)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와,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 상기 통신모듈(14), 상기 알림모듈(13) 및 상기 디스플레이(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 및
    상기 바이탈 체크모듈(12), 통신모듈(14), 알림모듈(13), 디스플레이(14) 및 제어모듈(15)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11)은,
    접수처 또는 진료실에 구비된 리더기에 바코드, QR코드, NFC,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태그 인식을 지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0200018166A 2020-02-14 2020-02-14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KR20210103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66A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0-02-14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66A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0-02-14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697A true KR20210103697A (ko) 2021-08-24

Family

ID=7750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66A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0-02-14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36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145A (ko) * 2021-10-05 2023-04-13 (주)디트리플 환자의 상태에 맞춰 낙상감지 및 신경자극이 가능한 스마트손목밴드
KR20230049144A (ko) * 2021-10-05 2023-04-13 (주)디트리플 입원환자 모니터링용 스마트손목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160A (ko) 2014-10-14 2016-04-25 (주)아이지엠메탈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7-12-08 (주)메디코넥스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102027385B1 (ko) 2017-11-24 2019-10-01 박진오 의료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160A (ko) 2014-10-14 2016-04-25 (주)아이지엠메탈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7-12-08 (주)메디코넥스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102027385B1 (ko) 2017-11-24 2019-10-01 박진오 의료용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145A (ko) * 2021-10-05 2023-04-13 (주)디트리플 환자의 상태에 맞춰 낙상감지 및 신경자극이 가능한 스마트손목밴드
KR20230049144A (ko) * 2021-10-05 2023-04-13 (주)디트리플 입원환자 모니터링용 스마트손목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64037A1 (en) Wear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wcd) system using sensor modules with reassurance code for confirmation before shock
US10016613B2 (en) Wearable cardiac defibrillator system long-term monitoring alternating patient parameters other than ECG
US6351671B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ardio-pulmonary-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or a training defibrillator
US8615295B2 (en) External defibrillator
KR20210103697A (ko)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CN108135471A (zh) 用于心脏复苏的识别和治疗系统
US20150077245A1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sentinel events
KR101631666B1 (ko) 피부 부착형 생체 신호 측정 장치
WO2018119193A1 (en) Buffered adhesive structures for wearable patches
US10271800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emergency method thereof
CN109431480A (zh) 一种腕带式监测仪及监测系统
KR101627760B1 (ko) 인체 착용형 무선 통신 장치
US20180310847A1 (en) Wearable monitoring device
CN213606334U (zh) 一种神经内科睡眠监测急救装置
CN210129279U (zh) 一种语音播报腕带及呼叫系统
EA00730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екущего контроля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функций и состояний пользователя
KR200423283Y1 (ko) 신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의복
CN205644887U (zh) 医院用多功能腕带
CN110322956A (zh) 一种用于急救的智能可穿戴装置
CN217408805U (zh) 一种住院患者多功能液晶手腕带
CN211431151U (zh) 具有识别定位功能的一体式病服
CN212434259U (zh) 医患互联装置
KR102241608B1 (ko) 평활근 이완 기능이 내장된 무선 웨어러블 환자모니터링 장치
US20220108796A1 (en) Systems Enabling Doctors to Access Medical Device Data
KR102504082B1 (ko) 환자용 진료정보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