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160A -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160A
KR20160044160A KR1020140138482A KR20140138482A KR20160044160A KR 20160044160 A KR20160044160 A KR 20160044160A KR 1020140138482 A KR1020140138482 A KR 1020140138482A KR 20140138482 A KR20140138482 A KR 20140138482A KR 20160044160 A KR20160044160 A KR 2016004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care
patien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풍년
김민지
오새롬
이해완
Original Assignee
(주)아이지엠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지엠메탈 filed Critical (주)아이지엠메탈
Priority to KR102014013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4160A/ko
Publication of KR2016004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진료실 또는 접수처에 위치하여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한 정보인 의료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의료 기관 장치; 환자에게 착용되며 환자의 위치를 포함한 정보인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및 상기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MANAGEMENT AND MEDICAL TREATMENT ORDER}
본 발명은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복잡한 건물 구조를 갖는 대형 병원 등에서 진료항목 별 대기시간 및 환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수 개의 진료항목 별 진료실을 효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환자의 비정상적인 이동 패턴을 탐지하여 병원 내부의 보안성을 제고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의료 기관(병원)의 대형화에 따라 건물 내부의 구조가 복잡함으로 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할 진료실을 찾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어렵게 찾아간 진료실에 대기자가 많아 적지 않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종합검진과 같이 다수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대기자가 없어서 바로 진료가 가능한 진료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진료실에 사람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환자들의 끊임 없는 민원제기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환자의 진료항목 별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와 환자의 현재 위치를 반영하여 현재 상태에서 가장 효율적인 진료 순서를 찾아주고, 해당 진료실의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종합 병원의 번잡과 혼란을 틈타 각종 범죄가 야기될 수 있는 점과 병원의 특성상 연세가 많으신 노인 또는 정신적인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길을 헤매거나 병원의 출입금지 구역에 출입하는 경우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종합 병원의 경우 지역주민 이외의 다양한 지역의 환자들이 방문하는 특성상 처방 받은 약을 수령하기 위하여 병원 근처의 약국을 찾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현재 이러한 문제점은 병원 곳곳에 존재하는 안내 데스크 등을 통하여 직접 물어보는 방법만이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복잡한 건물 구조를 갖는 대형 병원 등에서 진료항목 별 대기시간 및 환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수 개의 진료항목 별 진료실을 효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환자의 비정상적인 이동 패턴을 탐지하여 병원 내부의 보안성을 제고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7067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비정상적인 이동 경로 패턴을 갖는 환자를 탐지하여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의료 기관의 보안성을 제고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환자의 관리 및 진료 안내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진료실 또는 접수처에 위치하여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한 정보인 의료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의료 기관 장치; 환자에게 착용되며 환자의 위치를 포함한 정보인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및 상기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환자가 입력한 환자 고유의 식별번호와, 웨어러블 장치 고유의 식별번호인 웨어러블 장치 식별번호를 매칭하여 생성되는 매칭 식별번호를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된 매칭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의료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진료 항목 중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진료실을 갖는 진료 항목의 진료실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진료 항목을 대상으로 하여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라야 하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 및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 가장 먼저 진료 받아야 하는 대표 고정 진료 항목 및 상기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의 각 진료 항목인 복수개의 자유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 진료 항목 각각의 예상 진료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진료실과 환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부여하여 생성되는 스마트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의료기관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Wireless Fidelity)로 통신하는 통신부;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RFID, NFC 및 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태그 인식을 지원하는 태그(Tag)부; 및 상기 통합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태그 인식함으로써 생성되는 환자의 진료 과정에 대한 정보인 진료 과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의 패턴을 분석하여 기정해진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음성이 출력되도록 명령하기 위한 경고 신호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한 진료 과정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진료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수납 계좌 번호 또는 수납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수납 정보; 환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어러블 장치 반납 장소에 대한 반납 정보; 환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 및 의료기관 주변의 약국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명령하기 위한 안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은 환자의 관리 및 진료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진료실 또는 접수처에 위치한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한 정보인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환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환자의 위치를 포함한 정보인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진료 항목 중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진료실을 갖는 진료 항목의 진료실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진료 항목 중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라야 하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 및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 가장 먼저 진료 받아야 하는 대표 고정 진료 항목 및 상기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의 각 진료 항목인 복수개의 자유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 진료 항목 각각의 예상 진료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진료실과 환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부여하여 생성되는 스마트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일 수 있다.우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진료 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비정상적인 이동 경로 패턴을 갖는 환자를 탐지하여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의료 기관의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과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하여 대상 진료 항목을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환자 관리 시스템(100)은의료 기관 장치(110), 웨어러블(Wearable) 장치(120) 및 서버(130)로 구성된다.
상기 의료 기관 장치(110)는, 진료실 또는 병원 내부의 접수처 등에 위치하여 의료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의료 정보라 함은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성별, 나이 등 인적사항이나 환자마다 부여되는 환자 고유 식별 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환자 고유 식별 번호에 대한 의미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환자의 진료 항목이란, 환자가 진료 받아야 하는 진료 항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복부 초음파 검사, 폐기능 검사, 심전도 검사, 안과 검사, 청력 검사, 소변 검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는, 환자에게 착용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 정보라 함은 환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GPS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30)는 상기 의료 기관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생성된 상기 통합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추천 진료 순서라 함은, 전술한 진료 항목에 대한 최적화된 진료 순서를 의미하며, 최적화된 진료 순서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천 이동 경로라 함은, 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우선 진료 순서를 갖는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을 찾아가는 가장 빠른 이동 경로를 의미한다.
이 때, 환자의 의료 정보 및 환자의 고유 식별 번호를 활용하여 환자의 신체 장애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는 환자가 입력한 환자 고유의 식별번호인 환자 식별 번호와, 웨어러블 장치(120) 고유의 식별번호인 장치 식별번호를 매칭하여 생성되는 매칭 식별번호를 서버(13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자 고유의 식별번호라 함은, 인터넷으로 병원 진료를 예약하거나 방문 접수를 통하여 병원 진료를 예약할 때,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별도로 부여되는 번호를 의미한다.
병원에서는 필요에 따라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웨어러블 장치(120)를 보유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 각각에는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 식별번호가 존재한다.
즉, 환자는 병원에 와서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웨어러블 장치(120)를 신체에 장착하여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환자 식별 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장치 식별번호와 상기 환자 식별 번호가 매칭되어 매칭 식별번호가 생성된다.
이 때, 상기 서버(130)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매칭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가 송신하는 위치 정보의 객체(환자)를 분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의료 기관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진료 항목 중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진료실을 갖는 진료 항목의 진료실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진료 항목이 안과검사, 청력 검사, 소변 검사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이 중 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진료실이 존재하는 진료 항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과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하여 대상 진료 항목을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진료 항목을 대상으로 하여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라야 하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 및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는 환자가 진료할 진료 항목이 기록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진료할 진료 항목으로는 복부 초음파(10), 폐기능 검사(11), 심전도 검사(12), 안과 검사(20), 청력 검사(30) 및 소변 검사(40)가 존재한다.
진료 항목 중에는 의사의 진단에 의하여 반드시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라야 하는 진료 항목들이 존재하는 데 이러한 진료 항목들의 그룹을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이라 명명하고, 순서와 상관없이 환자의 선택에 의하여 진료 받는 것이 가능한 진료 항목들의 그룹을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으로 명명한다.
도 2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복부 초음파 검사(10), 폐기능 검사(11) 및 심전도 검사(12)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진료를 받아야 하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 해당되며, 안과 검사(20), 청력 검사(30) 및 소변 검사의 경우에는 순서에 상관 없이 환자의 선택에 의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 해당된다.
이처럼 서버는 상기 의료 정보를 참조하여 환자가 진료 받아야 할 복수개의 진료 항목들을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과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서버는 상기 통합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 가장 먼저 진료 받아야 하는 대표 고정 진료 항목 및 상기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의 각 진료 항목인 복수개의 자유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 진료 항목 각각의 예상 진료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추천 진료 순서 정보라 한다.
도 2를 예로 들면, 상기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 내에서 최우선 순위로 진료 받아야 하는 대표 고정 진료 항목은 복부 초음파(10)에 해당된다. 대표 고정 진료 항목은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즉,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 포함된 진료 항목은 순서에 관계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진료 순서를 정함에 있어서 대표성을 갖는 진료 항목을 선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 대상 진료 항목이란, 상기 고정 진료 항목 그룹 내에서 선정된 대표 고정 진료 항목(복부 초음파 검사)과 상기 자유 순서 진료 항목에 포함된 모든 진료 항목(안과 검사, 청력 검사, 소변 검사)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서버(130)는 상기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수신한 다른 환자들의 의료 정보 및 다른 환자들의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진료 과정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진료 항목 별 예상 대기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대상 진료 항목 별 예상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대기시간이 짧은 진료 항목을 최우선 진료 항목으로 선정하고, 그 다음으로 대기시간이 짧은 진료 항목을 다음 순서로 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서버(13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20)를 통하여 상기와 같은 추천 진료 순서 정보를 획득하게 된 환자는 복수개의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를 받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예상 대기시간 만을 고려하여 진료 순서를 지정하게 될 경우 환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최우선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까지의 거리가 최장거리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 1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이 현재의 환자 위치에서 가장 멀고, 제 2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이 현재의 환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대기 시간은 5분이고, 상기 제 2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대기 시간은 6분일 경우라면, 환자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게 제 2 순위 진료 항목이 상기 제 1 순위 진료 항목 보다 더 우선적으로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진료 대기 시간 뿐 아니라 환자의 현재위치와 진료실의 거리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서버(130)는 상기 통합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진료실과 환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부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스마트 추천 진료 순서 정보라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시간 만을 고려하여 진료 순서를 결정(추천 진료 순서 정보)하는 것에 비하여, 진료실 간의 거리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대형 병원 등에서는 상기 스마트 추천 진료 순서 정보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입각한 진료 항목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진료실 간의 거리 차이와 상기 진료실 간의 대기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따를 때 제 1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대기 시간이 3분이고, 제 2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대기 시간이 5분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과 현재 환자와의 거리가 30m, 상기 제 2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과 현재 환자와의 거리가 28m 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 2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과 현재 환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순위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과 현재 환자와의 거리보다 2m 가량 가깝지만, 통상의 일반인 기준의 도보속도(약 0.001km/s(=4 km/hr))을 고려할 때, 2분 간 2m 이상을 걸어갈 수 있으므로, 가중치는 미약하게 적용되어, 진료실과 환자와의 거리를 반영하더라도 여전히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서 결정된 진료 순서와 변동이 없을 것이다.
즉, 상기 가중치는 기정해진 통상의 일반인 기준의 도보속도 및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한 예상 진료 대기 시간을 기반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도보에 장애가 있는 환자 또는 환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상기 기정해진 통상의 일반인 기준의 도보속도 대신에 환자 특성을 반영한 도보속도를 채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웨어러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의료기관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Wireless Fidelity)로 통신하는 통신부(121),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RFID, NFC 및 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태그 인식을 지원하는 태그(Tag)부(122) 및 상기 통합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3)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1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를 환자가 목걸이 또는 팔찌와 유사한 방식 등을 통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착용부(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23)는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에 환자 식별번호를 디스플레이부(123)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는, 상기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상기 태그부(122)를 통하여 태그 인식함으로써 생성되는 환자의 진료 과정에 대한 정보인 진료 과정 정보를 상기 서버(1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진료 과정 정보라 함은, 환자가 현재 이미 진료 받은 진료 항목에 대한 정보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진료 과정 정보를 상기 서버(130)에 송신하면, 상기 서버(130)는 환자가 그 다음으로 진료 받아야 할 진료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에 송신해주게 되는 것이다.
다른 환자들의 진료 과정 정보 역시 반영하여 상기 통합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상기 통합 정보에 따른 진료 순서는 계속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버(130)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의 패턴을 분석하여 기정해진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 및 상기 의료 기관 장치(110)에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음성이 출력되도록 명령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30)에는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이라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가 수상한 이동 경로 패턴, 즉, 기정해진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범죄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상황이거나, 정신적 장애가 있는 환자가 대형 병원에서 길을 잃은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상기 의료기관 장치(11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130)에 경고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내부의 출입금지 지역 등에 접근하는 이동 경로를 상기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구간을 연속하여 수 차례 반복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130)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진료 과정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진료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에 수납 계좌 번호 또는 수납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수납 정보, 환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어러블 장치(120) 반납 장소에 대한 반납 정보, 환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 및 의료기관 주변의 약국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명령하기 위한 안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 정보, 반납 정보, 주차장의 위치 정보 및 약국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의료 업계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병원 내부의 원스탑 서비스를 통하여 환자의 편의 증대를 위한 수단으로 큰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합 병원의 경우 지역주민 이외의 다양한 지역의 환자들이 방문하는 특성상 처방 받은 약을 수령하기 위하여 병원 근처의 약국을 찾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의료 기관 장치는 서버에 의료 정보를 송신(S1)하고, 웨어러블 장치(120)는 서버(130)에 매칭 식별 번호를 송신(S2)하고, 제 1 위치 정보를 송신(S3)한다.
이 후, 상기 서버(130)는 상기 매칭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수신한 의료 정보와 수신한 제 1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환자에게 최우선으로 진료하여야 할 진료 항목 및 상기 진료 항목에 대응하는 진료실을 찾아가는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인 제 1 통합 정보를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120)에 송신(S4)한다.
이 후, 환자는 상기 제 1 통합 정보를 통해 가까우면서도 짧은 대기 시간을 갖는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실에서 진료를 받게 된다. 이 후, 환자는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웨어러블 장치(120)에 존재하는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최우선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를 완료하였음을 서버에 알리게 된다(S5).
이 후, 상기 서버(130)는 제 2 통합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20)에 송신(S6)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통합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다른 환자들의 진료 과정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웨어러블 장치(120)는 환자의 위치에 대한 제 2 위치 정보를 송신(S7)하게 된다(설명을 위하여 위치 정보를 나누었으나, 실제 동작시 위치 정보는 실시간 계속하여 서버에 송신된다).
이 때, 상기 서버(130)는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을 탐지(S8)하는 경우 의료 기관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에 경고 신호를 송신(S9)하게 된다.
이 후, 환자가 또 다른 진료 항목에 대한 진료를 완료 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인식을 통하여 웨어러블 장치(120)는 서버(130)에 제 2 진료 과정 정보를 송신(S10)하게 된다.
이 후 서버는 의료 정보를 통하여 환자의 모든 진료가 완료되었음을 탐지(S11)하고 웨어러블 장치(120)에 안내 신호를 송신(S12)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종료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중복되는 기술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은, 진료실 또는 접수처에 위치한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한 정보인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환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환자의 위치를 포함한 정보인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 상기 의료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통합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진료 순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환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비정상적인 이동 경로 패턴을 갖는 환자를 탐지하여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의료 기관의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대여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110: 의료 기관 장치
120: 웨어러블(Wearable) 장치
130: 서버
121: 통신부
122: 태그(Tag)부
123: 디스플레이부
124: 스피커부
125: 착용부

Claims (15)

  1. 환자의 관리 및 진료 안내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진료실 또는 접수처에 위치하여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한 정보인 의료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의료 기관 장치;
    환자에게 착용되며 환자의 위치를 포함한 정보인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및
    상기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의료 정보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환자가 입력한 환자 고유의 식별번호인 환자 식별 번호와, 웨어러블 장치 고유의 식별번호인 웨어러블 장치 식별번호를 매칭하여 생성되는 매칭 식별번호를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된 매칭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의료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진료 항목 중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진료실을 갖는 진료 항목의 진료실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진료 항목을 대상으로 하여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라야 하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 및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 가장 먼저 진료 받아야 하는 대표 고정 진료 항목 및 상기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의 각 진료 항목인 복수개의 자유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 진료 항목 각각의 예상 진료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진료실과 환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부여하여 생성되는 스마트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이며,
    상기 가중치는 기정해진 통상의 일반인 기준의 도보속도 및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한 예상 진료 대기 시간을 기반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의료기관 장치와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Wireless Fidelity)로 통신하는 통신부;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RFID, NFC 및 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태그 인식을 지원하는 태그(Tag)부; 및
    상기 통합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진료실 주변에 위치한 리더기에 태그 인식함으로써 생성되는 환자의 진료 과정에 대한 정보인 진료 과정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이동 경로의 패턴을 분석하여 기정해진 비정상 이동 경로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의료 기관 장치에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음성이 출력되도록 명령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한 진료 과정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진료가 완료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수납 계좌 번호 또는 수납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수납 정보;
    환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어러블 장치 반납 장소에 대한 반납 정보;
    환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 및
    의료기관 주변의 약국의 위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명령하기 위한 안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11. 환자의 관리 및 진료 안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진료실 또는 접수처에 위치한 의료 기관 장치로부터 환자의 진료 항목을 포함한 정보인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환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환자의 위치를 포함한 정보인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진료 순서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의료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진료 항목 중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진료실을 갖는 진료 항목의 진료실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진료 항목 중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라야 하는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 및 기정해진 진료 순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고정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 가장 먼저 진료 받아야 하는 대표 고정 진료 항목 및 상기 자유 순서 진료 항목 그룹에서의 각 진료 항목인 복수개의 자유 진료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 진료 항목 각각의 예상 진료 대기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진료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진료실과 환자와의 거리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상기 추천 진료 순서 정보에 부여하여 생성되는 스마트 추천 진료 순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40138482A 2014-10-14 2014-10-14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4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82A KR20160044160A (ko) 2014-10-14 2014-10-14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82A KR20160044160A (ko) 2014-10-14 2014-10-14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160A true KR20160044160A (ko) 2016-04-25

Family

ID=5591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482A KR20160044160A (ko) 2014-10-14 2014-10-14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416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1-08-24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325184B1 (ko) * 2020-05-26 2021-11-12 김근형 키오스크를 이용한 병원안내시스템
KR20230034475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4476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CN116602664A (zh) * 2023-07-17 2023-08-18 青岛市胶州中心医院 一种神经外科患者综合诊疗护理系统
KR20230166195A (ko) 2022-05-30 2023-12-07 충남대학교병원 병원 진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97A (ko) 2020-02-14 2021-08-24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인식을 위한 식별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스마트 밴드
KR102325184B1 (ko) * 2020-05-26 2021-11-12 김근형 키오스크를 이용한 병원안내시스템
KR20230034475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4476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66195A (ko) 2022-05-30 2023-12-07 충남대학교병원 병원 진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602664A (zh) * 2023-07-17 2023-08-18 青岛市胶州中心医院 一种神经外科患者综合诊疗护理系统
CN116602664B (zh) * 2023-07-17 2023-09-22 青岛市胶州中心医院 一种神经外科患者综合诊疗护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4160A (ko)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200987B2 (en) Virtual telemedicine mechanism
US9892311B2 (en) Detecting unauthorized visitors
US20170024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ar-real or real-time contact tracing
CN107004242B (zh) 以移动通信终端为基础的生活指导方法、移动通信终端及记录该方法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CN104644124B (zh) 一种医疗监控系统、方法及穿戴式装置
WO2020011244A1 (zh) 一种急危重症施救的医疗资源优化匹配方法和系统
KR102202865B1 (ko)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문진을 통한 질병 예측 정보 제공 장치
US20160217260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atient triage
KR20180123955A (ko) 응급 환자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JP7034449B1 (ja) 退勤時刻決定システム、退勤時刻決定装置および退勤時刻決定プログラム
US1050575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retail store environment customer stimuli
KR20230064694A (ko) 환자 정보 등록 장치, 환자 정보 등록 장치와 통신하는 환자 데이터 분석 서버 및 환자 데이터 분석 시스템
KR20170029987A (ko) 위치기반 진료 서비스 시스템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59997B1 (ko) 의료시스템 및 방법
JP2010086357A (ja) 患者搬送先順位決定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US20220359069A1 (en) Moving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4903472A (zh) 基于物联网定位的医院管理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KR20180092158A (ko) 병원업무 안내 및 환자관리 시스템
KR20160150467A (ko) 병원 외래 진료 서비스 관리 방법
Jayashree et al. Smart assistive technologies for aging society: Requirements, response and reality
CN205388760U (zh) 用于急救信息系统的引导装置
Deb et al. Redesign of a Railway Coach for Safe and Independent Travel of Elderly
KR102564942B1 (ko)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