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42B1 -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42B1
KR102564942B1 KR1020190104793A KR20190104793A KR102564942B1 KR 102564942 B1 KR102564942 B1 KR 102564942B1 KR 1020190104793 A KR1020190104793 A KR 1020190104793A KR 20190104793 A KR20190104793 A KR 20190104793A KR 102564942 B1 KR102564942 B1 KR 10256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information
patient
mov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177A (ko
Inventor
김형근
Original Assignee
(주)한국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한국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9010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9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larm System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낙상 예측 시스템은, 낙상예측 환자의 옷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단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단말로부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와 내부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낙상예측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 및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복수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된 낙상예측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동선을 추출하며, 추출된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매칭되는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의 낙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낙상예측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낙상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SYSTEM FOR PREDICTING FALLDOWN USING DOSAGE DRUG AND THE LINE OF FOLLOW FOR PATIENT}
본 발명은 낙상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 및 이동에 따른 동선을 이용하여 낙상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도록 하는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나 고령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낙상은 큰 사고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고 실제로 낙상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에 고령환자들을 케어하는 시설이 증가하고 간병인이 환자들을 돌보고 있지만 환자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소수의 간병인으로는 일대 일 케어가 어려우므로 낙상을 막기에는 역부족한 실정이다.
특히나, 약물복용으로 어지럼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낙상만으로도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지 혹은 사후 빠른 조치는 필수적이다.
종래에 낙상 감지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낙상이 발생한 이후에 낙상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며 낙상을 사전에 예측하여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한편,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낙상을 예측하는 기술들도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45617호는 환자의 신체에 여러 센서를 부착하여 가속도, 각속도, 장애물까지 거리, 발높이 및 압력을 검출하여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낙상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낙상 방지장치는 여러 개의 센서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여러 센서를 신체에 부착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83008호에는 사용자에 착용된 낙상센싱단말이 사용자의 이동 또는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가속도 특징값 또는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낙상센싱서버가 낙상 센싱 단말로부터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낙상 위험율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낙상 예측 또는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의 장치에 낙상센싱단말은 3축 가속도 센서와, 가속도 특징값 추출부, 이벤트분류부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계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서는 환자가 복용하는 약물과 환자가 이동하는 동선에 따른 낙상을 검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약물복용 후 정신이 혼미한 경우나 어지럼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복용약물과 동선에 따라 낙상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낙상 사전 예측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6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3008호
본 발명은 환자가 복용하는 복용약물의 정보와 환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을 이용하여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에 옷에 부착된 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정보로부터 이동에 따른 동선을 분석하여 환자의 낙상을 사전에 예측하도록 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 가능성 예측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낙상 가능성 예측결과를 활용하여 환자의 이동시 알림을 전송하여 적극적인 환자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은, 낙상예측 환자의 옷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ID)가 저장되는 단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와 내부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 및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된 낙상예측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동선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매칭되는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의 낙상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낙상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ID저장부; 상기 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이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단말을 감지하는 감지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환자의 식별정보별로 복용약물 정보를 저장하는 복용약물정보저장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별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저장하는 낙상정보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상관리서버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동선을 추출하는 동선추출부; 상기 복용약물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낙상정보저장부에서 상기 추출된 복용약물 정보 및 상기 추출된 동선과 매핑되는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별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의 낙상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낙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낙상예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선추출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좌표를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동선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좌표는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를 각각 2차원 좌표계 또는 3차원 좌표계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추출된 복용약물 정보와 동일한 복용약물 정보를 상기 복용약물정보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동선추출부에서 추출된 동선과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을 상기 낙상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낙상 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동선추출부에서 추출된 동선의 위치좌표와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의 위치좌표가 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상기 유사도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낙상관리서버는, 상기 낙상 가능성을 예측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낙상 가능성을 예측한 결과에는 상기 환자의 낙상이 예측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복용약물과 동선을 활용하여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므로 간단한 구성과 처리로 낙상 가능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는 옷에 소형의 단말을 부착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위치측정이 가능하므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수집된 환자의 위치정보로부터 이동에 따른 동선을 분석하므로 환자의 낙상 가능성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 가능성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낙상 가능성 정보를 활용하여 환자의 이동시 알림을 전송하여 환자의 관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낙상 가능성 판단시 약물복용을 고려하므로 낙상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에 대한 낙상 예측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에 구비된 단말이 환자의 옷에 부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에 구비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에 구비된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선추출부에서 추출된 동선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낙상 가능성 예측 결과를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의 단말을 환자의 옷에 부착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1)(이하 낙상 예측 시스템)은 단말(100), 게이트웨이(200), 낙상관리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는 환자(10)에 부착될 수 있는 소형 장치이다. 환자(10)가 이동함에 따라 같이 이동되며, 후술하는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단말(100)은 예컨대 비콘 태그(beacon tag), NFC 태그, RFID 태그 등이 될 수 있다.
환자(10)의 옷에 쉽고 편하게 부착하기 위해 단말(100)의 일측면과 옷의 일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단말(100)을 옷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단말(100)은 내부에 환자의 식별정보(ID)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단말(100)이 부착되는 환자(10)마다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식별정보는 단말(100)을 식별하는 정보가 될 수도 있고 해당 단말(100)이 부착된 환자(10)를 식별하는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단말(100)을 다른 환자에게 부착할 경우 그 환자(10)에 대응하는 새로운 식별정보를 다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필요에 따라 관리자는 식별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환자(10)가 어떤 단말(100)를 부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100)이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단말(100)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200)는 내부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위치정보는 게이트웨이(200)가 설치된 위치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2차원 또는 3차원 위치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200)는 단말(100)을 감지하면 단말(100)로부터 단말(100)에 저장된 환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수신된 환자의 식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를 후술하는 낙상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는 다수의 환자의 식별정보별로 복용약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복용약물 정보는 환자마다 복용중인 약물에 관련된 정보로서, 낙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용약물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전에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정보의 주체인 실험대상 환자와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는 환자(10)를 구별하기 위하여, 전자는 실험대상 환자로 칭하고, 후자는 낙상예측 환자(10)로 칭한다.
구체적으로, 사전에 많은 실험대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물을 복용한 후에 이동에 따른 동선을 파악하고 그 동선에서 낙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실험대상 환자들은 많을수록 좋다.
낙상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수신된 환자(10)의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초로 해당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낙상관리서버(300)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매칭되는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의 낙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추출하여 해당 낙상예측 환자(10)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낙상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수신된 환자(10)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낙상관리서버(300)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수신된 환자(1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낙상예측 환자(10)의 동선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매칭되는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의 낙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하여 환자(10)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동일 또는 유사한 동선이라도 특정 약물의 경우 복용하면 낙상 가능성이 높고 복용하지 않으면 낙상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동일 또는 유사한 동선이라도 다른 특정 약물의 경우 복용하면 낙상 가능성이 낮고 복용하지 않으면 낙상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낙상예측 환자(10)가 복용하는 약물과 동선에 따라 낙상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와 동선에 따라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많은 실험대상 환자마다 복용약물 정보와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미리 저장하고, 이후에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와 동선에 매핑되는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와 동선의 낙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추출하여 해당 낙상예측 환자(10)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ID저장부(110) 및 송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D저장부(110)는 단말(100)이 부착된 환자(10)의 식별정보(ID)를 저장할 수 있다. ID저장부(110)는 환자(10)의 식별정보(ID)뿐만 아니라 환자(10)에 부착된 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환자의 식별정보(ID)와 단말(100)의 식별정도는 서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송신부(120)는 ID저장부(110)에 저장된 환자(10)의 식별정보(ID)를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10)의 식별정보(ID)는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200)는 감지부(210), 위치정보저장부(220), 제어부(230) 및 전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210)는 단말(100)을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이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설정거리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단말(100)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100)은 예컨대 비콘으로 구현하는 경우 일정주기로 신호를 송출하고 단말(100)이 게이트웨이(200)로 설정거리 내로 이동하면 감지부(210)는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단말(100)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정보저장부(220)는 게이트웨이(2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2차원 또는 3차원 위치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는 게이트웨이(200)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게이트웨이(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감지부(210)에 의해 단말(100)이 감지되면 위치정보저장부(22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전송부(240)를 통해 낙상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와 함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환자(10)의 식별정보(ID)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게이트웨이(200)와 낙상관리서버(300) 간의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하에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낙상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400)는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와 낙상정보저장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는 다수의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별로 복용약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복용약물 정보는 다수의 낙상예측 환자(10)마다 복용중인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환자(10)마다 어떠한 약물을 복용중인지 약물의 종류, 복용량, 복용시간 등에 대한 각종 정보가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에 저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는 약물복용의 원인인 병명, 증상, 진료상황 등의진료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용약물 정보뿐만 아니라 진료정보를 고려하여 낙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도 있다.
낙상정보저장부(420)를 사전에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낙상정보저장부(420)는 사전에 많은 실험대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물을 복용한 후에 이동에 따른 동선을 파악하고 그 동선에서 낙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사전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실험대상 환자들마다 각각 어떠한 약물을 복용한 후 어떠한 동선으로 이동하였으며, 그 동선에서 어떤 위치에서 낙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에 저장된 복용약물 정보와 낙상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낙상 정보는 낙상예측 환자(10)를 구별하고, 각각의 환자(10)별로 낙상 가능성이 있는지를 예측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낙상 예측 시스템에 구비된 낙상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상 예측 시스템의 낙상관리서버(300)는 통신부(310), 동선추출부(320), 정보추출부(330) 및 낙상예측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게이트웨이(200)의 전송부(240)로부터 낙상예측 환자(10)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와 전송부(240)는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엘티이(LT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엘이(BLE), 5G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에는 2차원 또는 3차원 위치좌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에는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게이트트웨이(200)에서 단말(100)을 감지한 시간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정보를 이용하면 단말(100)이 어느 시점에 게이트웨이(200)의 설정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선추출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낙상예측 환자(10)의 동선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선추출부(320)는 상기와 같이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위치좌표를 추출한 후, 추출된 위치좌표를 측정된 시간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동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선은 표시부(미도시)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선추출부에서 추출된 동선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낙상예측 환자(10)의 위치좌표를 측정된 시간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해당 환자(10)의 이동에 따른 동선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동선에는 위치좌표와 그 위치좌표가 측정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동선 상의 어느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면 그 지점의 위치좌표와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위치좌표는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일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2차원 좌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정 동선의 경우 동선의 일 위치에 낙상 발생과 낙상이 발생한 위치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정보추출부(330)는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로부터 환자(1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복용약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추출부(330)는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 및 상기 추출된 동선과 매핑되는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별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의 낙상 정보를 낙상정보저장부(4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낙상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낙상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많은 실험대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물을 복용한 후에 이동에 따른 동선을 파악하고 그 동선에서 낙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와, 동선 및 낙상이 발생한 위치좌표와 시간 정보를 미리 기록하여 저장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낙상예측부(340)는 정보추출부(330)에 의해 추출된 낙상 정보를 기초로 낙상예측 환자(10)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세히, 정보추출부(330)에 의해 추출된 낙상 정보에는 이미 수많은 실험대상 환자들을 상대로 사전에 복용약물 정보와 동선에 따라 낙상이 발생하였는지의 학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현재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정보와 동선과 유사도가 높은 실험대상 환자의 학습정보를 근거로 낙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많은 실험대상 환자들마다 동일한 약물을 복용하고 동일한 동선으로 이동하였다고 하더라도 낙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복용약물과 동선에 대하여 낙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따라 낙상 가능성, 즉 낙상이 발생할 확률을 산출하여 낙상예측 환자(10)에게 적용함으로써 해당 환자(10)의 낙상 가능성, 즉 낙상이 발생할 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추출부(330)는 추출된 복용약물 정보와 동일한 복용약물 정보를 복용약물정보저장부(410)에서 추출할 수 있고, 그리고 동선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동선과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낙상 정보를 낙상정보추출부(320)에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정보추출부(330)는 동선추출부(320)에서 추출된 동선의 위치좌표와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의 위치좌표가 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유사도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보추출부(330)는 낙상정보저장부(420)를 이용하여 낙상예측 환자(10)의 복용약물 및 동선과 유사도가 높은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추출하고, 유사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실험대상 환자의 낙상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는 낙상예측 환자(10)의 동선과 데이터베이스(300)에 사전에 저장된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이 유사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와 같이 정보추출부(330)는 예컨대 두 개의 동선(L1,L2)을 비교할 때 동일한 출발점(O)에서 출발하여 각각 P1, P1'의 위치, P2, P2'의 위치,..., Pn, Pn'의 위치마다 서로 간의 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낙상예측 환자(10)의 동선과 유사도가 높은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을 추출하기 위해 낙상예측 환자(10)의 동선은 많은 실험대상 환자들의 동선과 비교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산출된 거리(d)가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이면 두 동선(L1,L2)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 산출된 거리(d)가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인 비율이 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두 동선에서 5개의 위치마다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각 위치에서의 거리차가 각각 1m, 1m, 2m, 3m, 1m이며,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3m라고 가정하면, 5개의 거리차는 모두 3m 이내이므로 두 동선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2m라고 가정하면 4개의 거리차는 모두 2m 범위 이내가 되고 1개는 3m이므로 거리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이때, 5개 중에서 4개가 모두 2m 범위 이내이므로, 그 비율은 80%가 된다.
이에, 이러한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두 동선을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설정된 비율이 75%라고 하면 80%는 설정된 비율 이상이므로 두 동선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다른 예에서 전체 위치좌표 중 각 위치좌표에서 두 동선 간의 거리차이가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인 비율이 설정 비율 이하이면 이들 동선은 유사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환자의 동선과 다시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추출부(330)는 낙상정보저장부(420)에 저장된 복수의 환자마다 동선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한 후 유사도가 높은 환자의 낙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상기 관리서버에서 낙상 가능성 예측 결과를 일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낙상예측부(340)는 각각의 낙상예측 환자(10)별로 약물복용 정보 및 동선에 기초한 낙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도 9의 일예와 같이, 낙상 가능성에 대한 예측 결과는 적어도 하나의 환자별로 복용약물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동선과, 낙상 확률, 낙상 예측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예측 결과는 시각적으로 표시부(미도시) 등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각 환자마다 낙상 가능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낙상 문제는 비단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이다. 특히 일반인이라도 특정 약물을 복용하거나 정신적 문제가 있는 경우 이로 인해 낙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낙상을 검출하거나 낙상을 예측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일 예시로 환자가 이동중에 발생하는 낙상에 대하여 그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복용약물 및 동선에 따라 낙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물론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 환자 100 : 단말
110 : ID저장부 120 : 송신부
200 : 게이트웨이 210 : 감지부
220 : 위치정보저장부 230 : 제어부
240 : 전송부 300 : 낙상관리서버
310 : 통신부 320 : 동선추출부
330 : 정보추출부 340 : 낙상예측부
400 : 데이터베이스 410 : 복용약물정보저장부
420 : 낙상정보저장부

Claims (12)

  1. 낙상예측 환자의 옷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ID)를 저장되고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된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를 저장하는 복용약물정보저장부와,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는 낙상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동선을 추출하는 동선추출부와, 상기 수신된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용약물정보저장부로부터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낙상예측 환자의 복용약물 정보 및 동선에 매칭되는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에 따른 낙상 정보를 상기 낙상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낙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낙상예측부를 포함하는 낙상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추출부는, 상기 동선추출부에서 추출된 낙상예측 환자의 동선과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낙상 정보를 상기 낙상정보저장부에서 추출하되, 상기 동선추출부에서 추출된 동선의 위치좌표와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인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 환자의 동선의 위치좌표가 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상기 유사도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낙상예측부는 상기 낙상 가능성의 예측 시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낙상이 예측되는 위치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낙상예측 환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ID저장부;
    상기 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이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단말을 감지하는 감지부;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추출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위치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좌표를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동선을 형성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좌표는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를 각각 2차원 좌표계 또는 3차원 좌표계로 표시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관리서버는,
    상기 낙상 가능성을 예측한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낙상 예측 시스템.
  12. 삭제
KR1020190104793A 2019-08-27 2019-08-27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KR102564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793A KR102564942B1 (ko) 2019-08-27 2019-08-27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793A KR102564942B1 (ko) 2019-08-27 2019-08-27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177A KR20210025177A (ko) 2021-03-09
KR102564942B1 true KR102564942B1 (ko) 2023-08-09

Family

ID=7517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793A KR102564942B1 (ko) 2019-08-27 2019-08-27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9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008B1 (ko) 2012-04-03 2018-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낙상 예측 또는 감지 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1645617B1 (ko) 2014-07-30 2016-08-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장치
CN113367671A (zh) * 2015-08-31 2021-09-10 梅西莫股份有限公司 无线式病人监护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177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48593B (zh) 通信装置、异常通知系统及生成体温的履历数据的方法
US97107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prediction of events based on changes in behavior
US92359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aregiver and patient protocol compliance
US7242306B2 (en) Article locating and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US11116424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CN104718507A (zh) 自主行走装置的行走信息生成装置、方法及程序、以及自主行走装置
US11238597B2 (en) Suspicious or abnormal subject detecting device
US20140236611A1 (en) Proximity tracking systems and method
Vuong et al. A mobile-health application to detect wandering patterns of elderly people in home environment
Vuong et al. mHealth sensor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for managing wandering behavior of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Nguyen et al. Falls management framework for supporting an independent lifestyle for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KR20160044160A (ko) 환자 관리와 진료 순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143780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KR102564942B1 (ko) 환자의 복용약물 및 동선을 이용한 낙상 예측 시스템
KR101896978B1 (ko)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85773B1 (ko) 건물의 실내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JP2007122735A (ja) 歩行者移動支援装置
JP2018085079A (ja) 緊急連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緊急連絡システム
KR20180056982A (ko)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KR102420549B1 (ko)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
Mitabe et al. An intelligent support system for elderly care with RFID tags and a cleaning robot
GB2362978A (en) Location system
JP2012113548A (ja) 行動監視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Nishimura et al. Development of a nursing care support system that seamlessly monitors both bedside and indoor locations
EP2575085A1 (en)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managing interactions of a person with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