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878A -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878A
KR20240042878A KR1020220121689A KR20220121689A KR20240042878A KR 20240042878 A KR20240042878 A KR 20240042878A KR 1020220121689 A KR1020220121689 A KR 1020220121689A KR 20220121689 A KR20220121689 A KR 20220121689A KR 20240042878 A KR20240042878 A KR 2024004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unit
examination
health checkup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661B1 (ko
Inventor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장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기 filed Critical 장형기
Priority to KR102022012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66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216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661B1/ko
Publication of KR2024004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Toxic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부를 구비한다. 피검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건강검진 자가접수를 수행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신체의 일부에 상기 마커를 표시한다.

Description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Apparatus for Performing Self-Reception of Medical Checkup and Medical Checkup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검진이란, 건강 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라 검진기관을 통해 진찰 및 상담, 이학적 검사,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검사 등을 포함하는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건강검진은 피검사자가 검진기관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각종 검사 항목을 검사 받기 위해 사전 예약 및 방문 접수 후에 검진기관 내에서 정해진 장소를 이동하게 된다.
건강검진의 예약 시에는, 피검사자가 온라인 또는 예약 담장자와의 전화 또는 이메일을 사용한 연락을 통해 검진 프로그램 내용을 확인 또는 상담 후에 검진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예약을 수행한다.
검사 당일에는, 피검사자가 검진 예약 시간에 맞춰서 검진기관에 도착하여 대면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및 동의서 서명 등을 수행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검진을 수행하게 된다.
검사기관의 인력을 절감하고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건강검진 자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진표 작성, 전문과목 설정, 검진기관 설정, 예약, 검진기관 방문 및 건강검진 실시의 순으로 진행되는 건강검진 절차에 있어서 가능한 많은 단계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참조).
하지만, 예약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다양한 루트를 통해 온라인을 통한 사전 예약이 가능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 도착해서는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은 대면으로 실시되고 있어서 전체적인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제한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및 5 참조) 장치를 바꿔서 착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대응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3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84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59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8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517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서의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을 비대면으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서의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을 비대면으로 수행 가능하고,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 가능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건강검진 자가접수를 수행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신체의 일부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는,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원 식별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 상기 피검사자의 ID를 스캔하기 위한 ID 스캔부, 상기 피검사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인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마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는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혈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이 측정되는 동안 상기 신체의 일부에 상기 마커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각각의 검진실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고, 상기 해당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면 다음 검진 항목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를 구비하는,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안내장치 본체,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마커 스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커 스캔부는, 상기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에 의해 가시화된 상기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서의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을 비대면으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서의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을 비대면으로 수행 가능하고,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 가능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에 의해 피검사자의 손등에 인쇄된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포함된 검진항목 안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검진항목 안내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의 진행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에 의해 피검사자의 손등(310)에 인쇄된 마커(3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접수장치 본체(110),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0),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130), 및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부(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검사자는, 건강검진 당일에 검진기관에 도착하면 접수창구를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비대면으로 건강검진 자가접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신원 식별부(130)를 통해 피검사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안내를 따라, 통상적으로 접수창구를 통해 수행하는 대면 접수 및 서명 등의 작업을 비대면으로 자가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킹부(140)는, 신원 식별부(130)에 의해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한다는 것은,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되는 동안 물리적으로 피검사자가 바뀔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지문 인식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는 동안 지문 인식에 사용된 팔의 손등 또는 팔목에 마커를 인쇄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신원을 확인하는 동안 움직이거나 바뀔 수 없는 상황에서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를 등록할 수 있다.
즉,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자세를 바꾸지 못하도록 하고, 이 자세에서 마커가 표시되는 신체의 일부와 마킹부(140)의 거리를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사자의 바꿔치기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킹부(140)가, 신원 식별부(130)에 의해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하므로,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원 식별부(130)는, 피검사자의 ID를 스캔하기 위한 ID 스캔부(210), 피검사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220),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230), 및 피검사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부(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킹부(140)는,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인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킹부(140)에 의해 표시되는 마커는,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킹부(140)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특수 잉크로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마커를 손등(310)에 표시하여, 나안으로는 확인이 불가하지만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예를 들어, 자외선)(320)을 마커가 표시된 손등(310)에 조사하면 인쇄된 특수 잉크가 전자파 또는 열에 반응하여 가시화된다.
이렇듯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여 가시화된 상태에서 적절한 스캔 장치를 통해 마커를 스캔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와 연계된 데이터를 기록 및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킹부(140)는, 혈압 측정부(260)에 의해 피검사자의 혈압이 측정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마킹부(140)는 안으로 팔을 넣을 수 있는 구조로, 내부에 마커 인쇄부(250) 및 혈압 측정부(260)를 포함하고 있어, 피검사자는 마킹부(140) 안으로 팔을 넣은 상태에서 신원 식별부(130)를 통해 신원을 식별하고,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되는 동안 마커 인쇄부(250)가 피검사자의 손등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혈압 측정부(260)가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마킹부(140)에 의해 표시된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여 표시된 마커를 확인하는 마커 확인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마커가 제대로 인쇄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 이후의 검진 절차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예를 들어 표시된 마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킹부(140)를 통해 동일한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마커를 다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각 동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내에 제어 모듈로 구현되고,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동작부 역시 해당하는 동작 모듈로 구현되어 제어부(280)의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접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290)는,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 또는 제2 면(예를 들어, 측면)에 배치된 출력 포트(150)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가 인쇄된 인쇄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각각의 검진 항목에 대응하는 검진실에 배치된 검진항목 안내장치와 연동하여 건강검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포함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검진항목 안내장치(4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즉,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 및 각각의 검진실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여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고, 해당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면 다음 검진 항목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는, 안내장치 본체(410), 안내장치 본체(410)의 제1 면(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420), 안내장치 본체(410)의 제1 면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등)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마커 스캔부(430), 및 피검사자에의 안내를 위한 인터페이스부(4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커 스캔부(430)는,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부(510) 및 조사부(510)에 의해 가시화된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는, 스캔부(520)가 스캔한 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스캔 확인부(530), 해당 항목의 검진을 접수하기 위한 검진 접수부(540), 해당 항목의 검진 후 다음 항목의 검진 또는 이후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진행 안내부(560), 및 음성 또는 영상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안내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440)는, 안내장치 본체(410)의 제1 면 또는 제2 면(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음성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안내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는, 피검사자의 바꿔치기를 방지하기 위해 스캔부(520)가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는 동안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5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은, 접수 단계에서 각 항목의 검진 단계에 이르기까지 이중 삼중의 피검사자의 신원 식별을 통해,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의 진행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600)는 검진기관에 도착한 후,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를 통해 건강검진 자가접수를 수행한다(스텝 S610).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는, 피검사자(600)의 ID,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을 통해 피검사자(600)의 신원을 식별하고(스텝 S620), 피검사자(600)의 신원이 확인되는 동안에 피검사자(600)의 혈압 측정, 문진서 작성, 및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등)에 마커를 표시한다(스텝 S630).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100)에서 건강검진 자가접수가 완료되고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한 피검사자(600)는, 검진 절차에 따라 검진항목의 검진실로 이동하여 검진을 시작한다(스텝 S640).
각각의 검진실에 설치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는 피검사자(600)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여 이를 확인하고(스텝 S650), 마커가 확인된 피검사자(600)는 해당 항목의 검진을 완료한 후(스텝 S660)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를 통해 다시 한번 마커를 스캔하면, 이를 확인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는 피검사자(600)의 다음 진행을 안내한다(스텝 S670).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로부터 다음 진행을 안내받은 피검사자(600)는, 안내에 따라 다음 항목의 검진을 진행하거나, 모든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었을 때는 필요한 검진 완료 절차를 위한 단계로 진행한다(스텝 S68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서의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을 비대면으로 수행 가능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당일에 검진기관에서의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동의서 서명의 제출, 필요한 문진서 제출 등을 비대면으로 수행 가능하고,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 가능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110: 접수장치 본체
120: 디스플레이 130: 신원 식별부
140: 마킹부 150: 출력 포트
210: ID 스캔부 220: 지문 인식부
230: 안면 인식부 240: 홍채 인식부
250: 마커 인쇄부 260: 혈압 측정부
270: 마커 확인부 280: 제어부
290: 출력부 310: 손등
320: 조사광 330: 마커
400: 검진항목 안내장치 410: 안내장치 본체
420: 디스플레이 430: 마커 스캔부
440: 인터페이스부 510: 조사부
520: 스캔부 530: 스캔 확인부
540: 검진 접수부 550: 음성 출력부
560: 진행 안내부 570: 안면 인식부
580: 제어부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부
    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건강검진 자가접수를 수행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신체의 일부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는,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 식별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 상기 피검사자의 ID를 스캔하기 위한 ID 스캔부, 상기 피검사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인쇄부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마커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혈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이 측정되는 동안 상기 신체의 일부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는,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6. 제1항에서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각각의 검진실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고, 상기 해당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면 다음 검진 항목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
    를 구비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안내장치 본체,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마커 스캔부
    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스캔부는,
    상기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에 의해 가시화된 상기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부
    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해당 항목의 검진 후 다음 항목의 검진 또는 이후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진행 안내부; 및
    음성 또는 영상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안내를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를 더 구비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KR1020220121689A 2022-09-26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10267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89A KR102673661B1 (ko) 2022-09-26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89A KR102673661B1 (ko) 2022-09-26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878A true KR20240042878A (ko) 2024-04-02
KR102673661B1 KR102673661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315A (ko) 2009-10-14 2011-04-20 채승병 온라인 건강검진서비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2809A (ko)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건강검진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778495B1 (ko) 2017-06-28 2017-09-26 김명철 맞춤형 문진표를 이용한 건강검진 서비스 시스템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7-12-08 (주)메디코넥스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20190105928A (ko) 2018-03-07 2019-09-18 김명철 스마트 건강검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315A (ko) 2009-10-14 2011-04-20 채승병 온라인 건강검진서비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2809A (ko)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건강검진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70135176A (ko) 2016-05-30 2017-12-08 (주)메디코넥스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KR101778495B1 (ko) 2017-06-28 2017-09-26 김명철 맞춤형 문진표를 이용한 건강검진 서비스 시스템
KR20190105928A (ko) 2018-03-07 2019-09-18 김명철 스마트 건강검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2407B1 (en) Patient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803300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lectronic health care record data
EP36416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patient interface exam station
US87818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nd authenticating an insurance eligibility transaction
US201703230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edical diagnosis
US20090144814A1 (en) Automated Credentialing for Physicians and Other Professionals
US9058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thology specimen collection
JP2009037481A (ja) 患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患者情報管理方法
EP1025800A1 (en) Bone sonometry, densitometry and imaging
KR102673661B1 (ko)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US201703230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patient measurements
KR20240042878A (ko)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JP2003271733A (ja) 医療システム
JP2020086550A (ja) 医療施設用受付システム
KR102673662B1 (ko) 건강검진 시스템
KR20240042872A (ko) 건강검진 시스템
JP2001195366A (ja) 本人確認システム
US201900668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patient measurements
JP2009199128A (ja) 患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患者情報管理方法
JP2002366650A (ja) 病院総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20285023A1 (en) Biliary atresia diagnosis support management system
JP7446031B1 (ja) 診察券又は受診受付票を発行するシステム
JP2009254543A (ja) 測定システム
US20210192030A1 (en) Patient authentication system and patient authentication method
JP202113653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