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662B1 - 건강검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검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662B1
KR102673662B1 KR1020220121676A KR20220121676A KR102673662B1 KR 102673662 B1 KR102673662 B1 KR 102673662B1 KR 1020220121676 A KR1020220121676 A KR 1020220121676A KR 20220121676 A KR20220121676 A KR 20220121676A KR 102673662 B1 KR102673662 B1 KR 10267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examination
unit
examine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42872A (ko
Inventor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장형기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기 filed Critical 장형기
Priority to KR102022012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662B1/ko
Publication of KR2024004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건강검진 시스템은, 건강검진을 위한 접수창구 또는 자가접수장치를 통해 등록된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 및 검진을 받기 위한 검진실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접수창구 또는 상기 자가접수장치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마커를 등록한다.

Description

건강검진 시스템 {Medical Checkup System}
본 발명은 건강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검진이란, 건강 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라 검진기관을 통해 진찰 및 상담, 이학적 검사,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검사 등을 포함하는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건강검진은 피검사자가 검진기관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각종 검사 항목을 검사 받기 위해 사전 예약 및 방문 접수 후에 검진기관 내에서 정해진 장소를 이동하게 된다.
건강검진의 예약 시에는, 피검사자가 온라인 또는 예약 담장자와의 전화 또는 이메일을 사용한 연락을 통해 검진 프로그램 내용을 확인 또는 상담 후에 검진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예약을 수행한다.
검사 당일에는, 피검사자가 검진 예약 시간에 맞춰서 검진기관에 도착하여 대면 접수 및 수납, 검진 안내 및 동의서 서명 등을 수행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검진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는,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장치를 바꿔서 착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대응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8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517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 가능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강검진을 위한 접수창구 또는 자가접수장치를 통해 등록된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 및 검진을 받기 위한 검진실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접수창구 또는 상기 자가접수장치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마커를 등록하는,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피검사자의 홍채 또는 지문을 포함하는 생체 인식 마커, 상기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비저블(Visible) 마커, 및 상기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되어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인비저블(Invisible) 마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안내장치 본체,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마커 스캔부, 및 상기 안내장치 본체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상기 해당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면, 상기 마커를 다시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다음 검진 항목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해당 항목의 검진 후 다음 항목의 검진 또는 이후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진행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으로 상기 피검사자에게 안내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가접수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마커를 등록하기 위한 마커 등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 등록부는, 상기 신원 식별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마커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원 식별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 상기 피검사자의 ID를 스캔하기 위한 ID 스캔부, 상기 피검사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커 등록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홍채를 스캔하기 위한 홍채 스캔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지문을 스캔하기 위한 지문 스캔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커 등록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인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가접수장치는,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커 등록부는, 상기 혈압 측정부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이 측정되는 동안 상기 마커를 등록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 가능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사자 교체 방치를 위한 마커의 일례로 피검사자의 손등에 인쇄된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검진항목 안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검진항목 안내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사자 교체 방치를 위한 마커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검진 진행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은, 건강검진을 위한 접수창구 또는 자가접수장치(100)를 통해 등록된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200) 및 검진을 받기 위한 검진실에 설치되어 마커(200)를 스캔하여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수창구 또는 자가접수장치(100)에서는,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고,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마커(200)를 등록한다.
여기서,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마커(200)를 등록한다"는 것은,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되는 동안 물리적으로 피검사자가 바뀔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신분증(ID)과 안면 인식을 통해 신원을 확인함과 동시에 피검사자의 홍채를 스캔하여 등록하거나, 피검사자의 지문 인식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는 동안 지문 인식에 사용된 팔의 손등 또는 팔목에 마커를 인쇄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신원을 확인하는 동안 움직이거나 바뀔 수 없는 상황에서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를 등록할 수 있다.
즉,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자세를 바꾸지 못하도록 하고, 이 자세에서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를 스캔하거나 마커가 표시되는 신체의 일부와 마킹 장치의 거리를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사자의 바꿔치기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하거나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를 스캔하므로,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커(200)는, 피검사자의 홍채 또는 지문을 포함하는 생체 인식 마커,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비저블(Visible) 마커, 및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되어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인비저블(Invisible) 마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사자 교체 방치를 위한 마커(200)의 일례로 피검사자의 손등(210)에 인쇄되는 마커(2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은,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표시되는 마커는,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에 반응하는 특수 잉크로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마커를 손등(210)에 표시하여, 나안으로는 확인이 불가하지만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예를 들어, 자외선)(220)을 마커가 표시된 손등(210)에 조사하면 인쇄된 특수 잉크가 전자파 또는 열에 반응하여 가시화된다.
이렇듯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여 가시화된 상태에서 적절한 스캔 장치를 통해 마커를 스캔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와 연계된 데이터를 기록 및 갱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검진항목 안내장치(300)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검진항목 안내장치(3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즉,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 및 각각의 검진실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 또는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여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고, 해당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면 다음 검진 항목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30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진항목 안내장치(300)는, 안내장치 본체(310), 안내장치 본체(310)의 제1 면(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320), 안내장치 본체(310)의 제1 면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 또는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등)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마커 스캔부(330), 및 피검사자에의 안내를 위한 인터페이스부(3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커 스캔부(330)는,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부(420)를 포함하건,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부(410) 및 조사부(410)에 의해 가시화된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검진항목 안내장치(300)는, 스캔부(420)가 스캔한 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스캔 확인부(430), 해당 항목의 검진을 접수하기 위한 검진 접수부(440), 해당 항목의 검진 후 다음 항목의 검진 또는 이후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진행 안내부(460), 및 음성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안내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340)는, 안내장치 본체(310)의 제1 면 또는 제2 면(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음성 출력부(450)로부터의 음성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안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검진항목 안내장치(400)는, 피검사자의 바꿔치기를 방지하기 위해 스캔부(420)가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는 동안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4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은, 접수 단계에서 각 항목의 검진 단계에 이르기까지 피검사자의 신원 식별을 통해,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는, 접수장치 본체(110),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면)의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0),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130), 및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신원을 식별하기 위한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등록부(1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검사자는, 건강검진 당일에 검진기관에 도착하면 접수창구를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비대면으로 건강검진 자가접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신원 식별부(130)를 통해 피검사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안내를 따라, 통상적으로 접수창구를 통해 수행하는 대면 접수 및 서명 등의 작업을 비대면으로 자가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커 등록부(140)는, 신원 식별부(130)에 의해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를 스캔하거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마커 등록부(140)가, 신원 식별부(130)에 의해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를 스캔하거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하므로,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자세를 바꾸지 못하도록 하고, 이 자세에서 생체 마커를 스캔하는 부위 또는 마커가 표시되는 신체의 일부와 마커 등록부(140)의 거리를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사자의 바꿔치기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원 식별부(130)는, 피검사자의 ID를 스캔하기 위한 ID 스캔부(610), 피검사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620),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630), 및 피검사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부(6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는,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부(6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커 등록부(640)는, 혈압 측정부(660)에 의해 피검사자의 혈압이 측정되는 동안 피검사자의 생체 마커를 스캔하거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마커 등록부(140)는 안으로 팔을 넣을 수 있는 구조로, 내부에 마커 인쇄부(650) 및 혈압 측정부(660)를 포함하고 있어, 피검사자는 마커 등록부(140) 안으로 팔을 넣은 상태에서 신원 식별부(130)를 통해 신원을 식별하고,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되는 동안 마커 인쇄부(650)가 피검사자의 손등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혈압 측정부(660)가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는, 마커 등록부(140)에 의해 표시된 마커에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조사하여 표시된 마커를 확인하는 마커 확인부(6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마커가 제대로 인쇄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 이후의 검진 절차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예를 들어 표시된 마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커 등록부(140)를 통해 동일한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마커를 다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는,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각 동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내에 제어 모듈로 구현되고,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동작부 역시 해당하는 동작 모듈로 구현되어 제어부(680)의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접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6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690)는, 접수장치 본체(110)의 제1 면 또는 제2 면(예를 들어, 측면)에 배치된 출력 포트(150)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가 인쇄된 인쇄물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100)는, 각각의 검진 항목에 대응하는 검진실에 배치된 검진항목 안내장치(300)와 연동하여 건강검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사자 교체 방치를 위한 마커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검진 당일에 피검사자는 검진기관 도착 후, 건강검진 접수창구 또는 자가접수장치를 통해 검진 접수를 수행한다(스텝 S710). 이후의 설명은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를 통한 마커 등록 절차를 설명한다.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는, 피검사자의 ID,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을 통해 피검사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한다(스텝 S720). 피검사자의 인증에 성공하면(스텝 S730, Yes), 피검사자의 인증이 계속되는 동안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를 등록한다(스텝 S740).
스텝 S730에서 피검사자의 인증에 실패하면(스텝 S730, No), 스텝 S720으로 되돌아가 피검사자의 인증을 다시 수행한다.
피검사자의 마커 등록에 성공하면(스텝 S750, Yes), 피검사자는 정해진 검진 절차를 시작한다(스텝 S760), 스텝 S750에서 마커 등록에 실패하면(스텝 S750, Yes), 스텝 S740으로 되돌아가 피검사자의 마커 등록을 다시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검진 진행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피검사자 고유의 마커로 피검사자의 손등에 표시하는 인비저블 마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는 검진기관에 도착한 후, 건강검진 접수창구 또는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를 통해 건강검진 접수를 수행한다(스텝 S810).
건강검진 접수창구 또는 자가접수장치에서는, 피검사자의 ID,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을 통해 피검사자의 신원을 식별하여 피검사자를 인증하고(스텝 S820), 피검사자의 인증이 성공하고 계속되는 동안에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등)에 마커를 표시한다(스텝 S830). 이 때, 피검사자의 혈압 측정, 문진서 작성 등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에서 건강검진 자가접수가 완료되고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한 피검사자는, 검진 절차에 따라 검진항목의 검진실로 이동하여 검진을 시작한다(스텝 S840).
각각의 검진실에 설치된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표시된 마커를 스캔하여 이를 확인하고(스텝 S850), 마커가 확인된 피검사자는 해당 항목의 검진을 완료한 후(스텝 S860) 검진항목 안내장치를 통해 다시 한번 마커를 스캔하면, 이를 확인한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피검사자의 다음 진행을 안내한다(스텝 S870).
검진항목 안내장치로부터 다음 진행을 안내받은 피검사자는, 안내에 따라 다음 항목의 검진을 진행하거나, 모든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었을 때는 필요한 검진 완료 절차를 위한 단계로 진행한다(스텝 S88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류 또는 고의로 인해 피검사자가 바뀌는 상황에 대처 가능한 건강검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건강검진 자가접수장치 110: 접수장치 본체
120: 디스플레이 130: 신원 식별부
140: 마커 등록부 150: 출력 포트
210: 손등 220: 조사광
230: 마커 300: 검진항목 안내장치
310: 안내장치 본체 320: 디스플레이
330: 마커 스캔부 340: 인터페이스부
410: 조사부 420: 스캔부
430: 스캔 확인부 440: 검진 접수부
450: 음성 출력부 460: 진행 안내부
470: 안면 인식부 580: 제어부
610: ID 스캔부 620: 지문 인식부
630: 안면 인식부 640: 홍채 인식부
650: 마커 인쇄부 660: 혈압 측정부
670: 마커 확인부 680: 제어부
690: 출력부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의 정면의 제1 부분에 배치되어, 피검사자의 진위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신원 식별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정면의 제2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신체의 일부에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등록부를 포함하는 자가접수장치; 및
    검진을 받기 위한 검진실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기 위한 검진항목 안내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 등록부는, 안으로 팔을 넣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내부에 상기 피검사자의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마커 인쇄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마커 등록부 안으로 팔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신원 식별부가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피검사자의 신원이 식별되는 동안 상기 혈압 측정부가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고, 상기 혈압 측정부가 상기 피검사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마커 인쇄부가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손등 또는 팔의 평평한 부분에 상기 마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건강검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신체의 일부에 표시되어 나안으로는 인식하지 못하고 특정 파장의 전자파 또는 열을 통해서만 인식 가능한 인비저블(Invisible) 마커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안내장치 본체,
    상기 안내장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마커를 스캔하기 위한 마커 스캔부, 및
    상기 안내장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에게 해당 항목의 검진을 안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항목 안내장치는, 상기 해당 항목의 검진이 완료되면, 상기 마커를 다시 스캔하여 상기 피검사자에게 다음 검진 항목을 안내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 식별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한 안면 인식부, 상기 피검사자의 ID를 스캔하기 위한 ID 스캔부, 상기 피검사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부, 및 상기 피검사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검진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21676A 2022-09-26 건강검진 시스템 KR10267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76A KR102673662B1 (ko) 2022-09-26 건강검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676A KR102673662B1 (ko) 2022-09-26 건강검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872A KR20240042872A (ko) 2024-04-02
KR102673662B1 true KR102673662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660A (ja) * 2004-11-10 2008-06-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バーコ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的処置の管理用に機械可読な医療マーキングを利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151161A (zh) * 2020-09-18 2020-12-29 厦门湖里国宇门诊部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识别技术的健康体检控制系统及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660A (ja) * 2004-11-10 2008-06-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バーコ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的処置の管理用に機械可読な医療マーキングを利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2151161A (zh) * 2020-09-18 2020-12-29 厦门湖里国宇门诊部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识别技术的健康体检控制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6642B2 (en) Simultaneous multi-factor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transactions
US11244315B2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use based on heartbeat shape
JP4855727B2 (ja) 生体認証装置の委任事項変更方法、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JP4711701B2 (ja) 生体認証装置の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KR100857490B1 (ko) 생체 인증 기능을 구비하는 ic 카드의 갱신 방법 및 ic카드 갱신 장치
US9614840B2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eye tracking procedure
US7599522B2 (en) Information access method using biometrics authent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biometrics authentication
JP4672327B2 (ja) 自動サービス方法、自動サービス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60106646A1 (en) Medical kiosk with multiple input sources
KR101616266B1 (ko)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EP2610820A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progra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KR20070042898A (ko) 생체인증 제어방법, 생체인증제어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현금자동거래장치
KR102673662B1 (ko) 건강검진 시스템
KR20080067609A (ko) 자동거래장치
US9269008B2 (en)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40042872A (ko) 건강검진 시스템
KR101802359B1 (ko) 소형 이미지센서에 의한 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62572B2 (ja) 生体認証装置の委任者情報登録方法、生体認証装置の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KR102673661B1 (ko)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CN208722236U (zh) 一种生物信息采集装置
KR20240042878A (ko) 건강검진 자가접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강검진 시스템
US11763389B2 (en) Application, a service processing system and an insurance servic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13073031A1 (ja) 生体情報取得装置
JP2014026585A (ja) 生体情報入力装置、生体支持状態判定方法、および生体支持状態判定プログラム
TWM573866U (zh) Dual verification system for financial counter trans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