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275A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275A
KR20170063275A KR1020150169464A KR20150169464A KR20170063275A KR 20170063275 A KR20170063275 A KR 20170063275A KR 1020150169464 A KR1020150169464 A KR 1020150169464A KR 20150169464 A KR20150169464 A KR 20150169464A KR 20170063275 A KR20170063275 A KR 20170063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wearable device
serv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동
Original Assignee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스타헬스케어(주) filed Critical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to KR102015016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3275A/ko
Publication of KR2017006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식별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단말기 및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며,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ATIENT MANAGEMENT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의 식별을 통해 의료기관 내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의 진료, 처방, 처치 등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환자의 본인확인은 병원의 의사, 간호사 또는 행정직원의 수기나 구두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좀 더 발전된 형태로는 환자의 식별번호가 기재된 일회용 식별띠를 환자의 팔목에 착용시켜 수술 등을 받는 환자를 확인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환자의 식별 과정에서, 환자의 불분명한 의사표현이나, 직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환자를 잘못 식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진단이나 처방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의료기관의 복잡한 시설과 검진 절차로 인해, 환자가 어느 장소로 가서 검진 등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을 가질 수 있었으며, 환자 스스로도 자신이 정확한 장소에 도착하였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95780호(2010.09.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정확한 식별을 가능하게 하며, 환자가 정확한 장소에 도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식별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단말기; 및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며,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단말기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단말기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부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인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를 파악하고,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식별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장소에 대한 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별단말기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부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상기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환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관리자 호출이 입력되면,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호출 내용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전송된 호출 내용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관리자로부터 메시지 및 해당 메시지를 전송받을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메시지를 전송받을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전송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메시지 전송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장치를 포함하되,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Beaco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은 식별단말기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단말기가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별단말기는,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확인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단말기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은 환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의료진을 호출하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서버로 호출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파악된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호출 내용을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전송된 호출 내용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통해 환자를 식별함으로써, 환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정확한 장소에 도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의료기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은 서버(10), 웨어러블 기기(20), 식별단말기(30), 액세스 포인트(40) 및 관리자단말기(5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기기(20)는 환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해당 기기의 식별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식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NFC 또는 RFID 신호 송출을 위한 모듈이 웨어러블 기기(20)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태그의 형태로 웨어러블 기기(20)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20)는 손목시계의 형태를 가지는 스마트워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계가 아닌 반지나 목걸이 등의 형태인 액세서리형(Accessory) 기기, 직물에 일체화된 의류 일체형(Clothing) 기기, 스킨 패치(Skin patch)와 같은 신체 부착형(Body-attached) 기기, 신체에 전자장치를 이식하는 생체 이식형(Bio-implemented) 기기 등 어떠한 형태의 기기라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 장치 등을 포함하여 정보를 출력하거나 착용자(환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별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구성 외에 별도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서버(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부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 모듈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다만 통신부의 구성이 상술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에 따른 적절한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20)는 착용자(환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장치로는 터치스크린,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인식부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는 환자가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는 버튼이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웨어러블 기기(2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호출 버튼은 응급상황용 버튼과 일반상황용 버튼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식별단말기(30)는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해당 위치에 접근한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식별단말기(30)는 웨어러블 기기(20)가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에 대응하는 식별부(32)를 포함하여, 식별단말기(30)에 접근한 웨어러블 기기(20)가 송출하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식별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31)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결과(즉, 환자의 식별 결과)를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결과를 소리를 통해 알려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식별단말기(3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31)나 스피커를 통해 환자가 찾아가야 할 장소를 안내해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식별단말기(3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 의료기관의 장소라 함은, 의료기관 내에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환자의 식별이 필요한 장소들(예를 들어 각종 검진실, 진료실, 검사실(방사선실, 채혈실 등), 조치실, 처방실, 수술실 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40)는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웨어러블 기기(20)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의료기관 내부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외부의 인터넷 망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웨어러블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들(40)을 통해 서버(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기기(20)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서버(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는 액세스 포인트들(40)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 즉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체크포인트 방식, 존(zone) 방식, 삼각측량 방식,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방식 등의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40)로는 비콘(Beacon)이 채용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50)는 관리자 즉, 의료기관의 직원(의사,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하며, 웨어러블 기기(20)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단말기(50)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50)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20)에 공지사항을 전달할 수 있으며, 특정 웨어러블 기기(20)로만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50)를 통해 각 웨어러블 기기(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움직인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20)에서 호출이 발생하면 관리자단말기(50)는 해당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와 호출 내용을 표시해 줄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관리자단말기(50)의 동작은 서버(10)와 연동되어 수행되는 것이므로, 보다 자세한 동작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의료정보시스템(60)은 의료기관에 일반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EMR(electnonic medical record),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을 의미하며, 서버(10)는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60)과 연계하여 환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6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의료기관에 기 구축되어 있는 의료정보시스템(60)과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이 연동하여 동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을 총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식별단말기(30)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식별단말기(30)로 전송해줄 수 있다.
또한 판단결과에 따라 부적합한 환자일 경우, 서버(10)는 해당 환자가 찾아가야할 장소(즉 해당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식별단말기(30)나 웨어러블 기기(20)에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20)에 경고를 출력하라는 신호를 보내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10)는 웨어러블 기기(20)에서 호출이 발생하면, 액세스 포인트(40)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즉,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호출 내용(응급상황 호출인지 아니면 일반 호출인지 여부, 어떠한 환자로부터 호출이 발생하였는지)을 관리자단말기(50)로 전달해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10)는 관리자단말기(50)에서 입력된 공지사항이나 알림사항을 웨어러블 기기(20)로 전달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를 받은 웨어러블 기기(20)는 전송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해줄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전송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진동 장치를 구동하여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환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나 관리자단말기(50)는 다수일 수 있으므로, 서버(10)는 각 웨어러블 기기(20)를 담당하는 관리자단말기(50)를 설정하여, 호출이 전달되는 관리자단말기(50)를 특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먼저 환자가 의료기관에 내원을 하면, 관리자는 환자를 접수하고, 웨어러블 기기(20)를 발급한다. 즉, 이때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며, 여기서 환자의 정보에는 환자에게 발급된 웨어러블 기기(20)에 대한 정보(즉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환자의 정보로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의 정보는 서버(10)에 직접 등록될 수도 있으나, 의료정보시스템(60)에 등록될 수도 있다.
이후 환자가 진료실에 진입하여, 진료실에 구비된 식별단말기(30)에 접근하면, 식별단말기(30)는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10)는 이러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진료실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한다. 즉, 서버(10)는, 의료정보시스템(6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각 진료실에서 어떠한 환자가 진료를 받아야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통해 해당 진료실에 접근한 환자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 정보들을 비교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진료실에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즉, 해당 환자가 해당 진료실에서 진료를 받을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렇게 판단된 결과 즉, 환자의 식별 결과를 식별단말기(30)로 전송하며, 식별단말기(30)는 식별 결과에 따른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 식별단말기(30)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예: "correct"라는 글자를 표시함) 및 소리(예:"들어오시면 됩니다."라는 음성을 출력)를 출력할 수 있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 식별단말기(30)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예: "incorrect"라는 글자를 표시함) 및 소리(예:"올바르지 않은 장소입니다."라는 음성을 출력)를 출력하고, 해당 환자가 찾아가야할 장소를 안내(예: 해당 장소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 과정은 추후의 검사실, 조치실, 수술실 등에서도 반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적합한 환자인 경우,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 등은 의료정보시스템(60)에 저장되며, 이러한 정보는 환자의 후속 이동 장소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환자 정보 등록을 수행한다(S200). 여기서 환자의 정보에는 환자에게 발급된 웨어러블 기기(20)에 대한 정보(즉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식별단말기(30)를 통해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신호를 수신한다(S210). 즉 웨어러블 기기(20)는 환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해당 기기의 식별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고, 식별단말기(30)는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해당 위치에 접근한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신된 식별 신호를 서버(10)로 전단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는 상기 단계(210)에서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식별신호를 수신한 식별단말기(30)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한다(S220). 즉, 서버(10)는 식별단말기(30)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식별단말기(30)로 전송해줄 수 있다.
상기 단계(S220)의 판단결과, 적합한 환자라면(S230), 식별단말기(30)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를 출력한다(S240).
반면 상기 단계(S220)의 판단결과, 적합한 환자가 아니라면, 식별단말기(30)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를 출력한다(S250).
즉, 식별단말기(30)는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나 식별단말기(30)는 웨어러블 기기(20)를 통해 적합한 장소가 아님을 경고한다(S260). 즉, 웨어러블 기기(20)에 포함된 진동 장치가 진동하여, 부적합한 장소임을 환자에게 경고해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고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으나, NFC나 RFID를 이용하여 식별단말기(3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식별단말기(30) 또는 웨어러블 기기(20)는 해당 환자가 찾아가야할 장소를 안내한다(S270). 즉, 식별단말기(30)나 웨어러블 기기(20)는 서버(10)로부터 해당 환자가 찾아가야할 장소(즉 해당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해주거나 음성으로 안내해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250) 내지 단계(S270)는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계(S250) 내지 단계(S270)는 동시에 또는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자가 웨어러블 기기(20)를 통해 의료진을 호출하면(S300), 서버(10)는 비콘을 통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한다(S310). 즉 서버(10)는 비콘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 즉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존(zone) 방식을 통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는 상기 단계(S310)에서 파악된 환자의 위치와 상기 단계(S300)의 호출 내용을 관리자단말기(50)로 전달한다(S320). 즉, 환자가 의료진을 호출하면, 서버(10)는 해당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호출 내용과 함께 관리자단말기(50)로 전달해줌으로써, 어느 환자가 어느 위치에서 호출하였는지를 관리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긴급 상황에서 환자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통해 환자를 식별함으로써, 환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정확한 장소에 도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기관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웨어러블 기기
30: 식별단말기
40: 액세스 포인트
50: 관리자단말기
60: 의료정보시스템

Claims (19)

  1. 환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식별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단말기; 및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며,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단말기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말기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부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인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를 파악하고,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식별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장소에 대한 정보에 따른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단말기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소리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부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상기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8. 환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환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관리자 호출이 입력되면, 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전송된 호출 내용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전송된 호출 내용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관리자로부터 메시지 및 해당 메시지를 전송받을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메시지를 전송받을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웨어러블 기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전송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메시지 전송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진동 장치를 포함하되,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진동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Beac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14. 식별단말기가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단말기가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별단말기는,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확인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단말기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파악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장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8. 환자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의료진을 호출하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서버로 호출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파악된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호출 내용을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전송된 호출 내용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20150169464A 2015-11-30 2015-11-3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3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64A KR20170063275A (ko) 2015-11-30 2015-11-3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64A KR20170063275A (ko) 2015-11-30 2015-11-3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75A true KR20170063275A (ko) 2017-06-08

Family

ID=5922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464A KR20170063275A (ko) 2015-11-30 2015-11-3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327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58A1 (ko) * 2018-03-21 2019-09-26 주식회사 메딧 인체착용형 신체정보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지원 시스템
KR101992301B1 (ko) 2018-01-30 2019-09-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오펜스와 환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WO2019235804A1 (en) * 2018-06-07 2019-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profile using message service
KR20200021671A (ko) * 2018-08-21 2020-03-02 폴스타헬스케어(주)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85093A (ko) * 2019-01-04 2020-07-14 주식회사 포에스텍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2333179B1 (ko) * 2020-12-28 2021-12-01 신경욱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KR102494045B1 (ko) * 2022-01-20 2023-01-30 이용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301B1 (ko) 2018-01-30 2019-09-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오펜스와 환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WO2019182258A1 (ko) * 2018-03-21 2019-09-26 주식회사 메딧 인체착용형 신체정보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지원 시스템
WO2019235804A1 (en) * 2018-06-07 2019-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profile using message service
US11700528B2 (en) 2018-06-07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profile using message service
KR20200021671A (ko) * 2018-08-21 2020-03-02 폴스타헬스케어(주)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85093A (ko) * 2019-01-04 2020-07-14 주식회사 포에스텍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2333179B1 (ko) * 2020-12-28 2021-12-01 신경욱 웨어러블 비상 알람 시스템
KR102494045B1 (ko) * 2022-01-20 2023-01-30 이용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3275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436829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for use in a medical facility
EP3200109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for use in a medical facility
US20160210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atient treatment tracking, provider-patient association, and record integration
CN107111677A (zh) 连接护理提供者的可佩戴物
CN103690285A (zh) 一种智能护理装置
US20150237222A1 (en) Imaging modality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ing modality
KR2017011435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18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physiological data
CN104517028A (zh) 移动信息与控制装置以及医务人员对该装置的使用
US201603100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physiological data and a wireless patient monitoring device
KR102303288B1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96978B1 (ko)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US10674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KR101683160B1 (ko) 시각장애인용 사물 인지 시스템
KR20110008965A (ko) 룸 레벨형 환자 위치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EP3000387A1 (en) Medical system
EP4141802A1 (en) Determining characteristic of blood component with handheld camera
US20220265160A1 (en) Patient controlled medical system
JP2007034738A (ja) 警告システムおよび警告方法
JP4822211B2 (ja) 警告システムおよび警告方法
KR101812804B1 (ko) 병원용 티브이 리모컨시스템
JP2024073677A (ja) 安全管理システム
JP2018196627A (ja) 関連医療従事者報知システム
KR20170139716A (ko) 환자 상태 점검 장치, 환자 상태 판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