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288B1 -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288B1
KR102303288B1 KR1020180097269A KR20180097269A KR102303288B1 KR 102303288 B1 KR102303288 B1 KR 102303288B1 KR 1020180097269 A KR1020180097269 A KR 1020180097269A KR 20180097269 A KR20180097269 A KR 20180097269A KR 102303288 B1 KR102303288 B1 KR 10230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wearable device
serv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671A (ko
Inventor
윤여동
Original Assignee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스타헬스케어(주) filed Critical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to KR102018009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2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에 기 구축된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정보 및 투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포함된 치료 또는 투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지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OF INTEGRATED MANAGEMENT FOR PATIENT}
본 발명은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식별, 위치 파악, 환자와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를 통합 관리하는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의 진료, 처방, 처치 등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환자의 본인확인은 병원의 의사, 간호사 또는 행정직원의 수기나 구두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좀 더 발전된 형태로는 환자의 식별번호가 기재된 일회용 식별띠를 환자의 팔목에 착용시켜 수술 등을 받는 환자를 확인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러한 환자의 식별 과정에서, 환자의 불분명한 의사표현이나, 직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환자를 잘못 식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수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입원 환자를 관리하고, 적절한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EMR(electnonic medical record),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의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의 진료 경과 등을 통합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정보 시스템에의 정보는 현재 의료진에게만 전달되고 있어, 환자에게 전달될 필요가 있는 정보(예: 투약정보, 진료정보, 치료정보 등) 또한 의료진을 거쳐 환자에게 전달되고 있어, 관리상의 실수로 인한 의료과오가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95780호(2010.09.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식별, 위치 파악, 환자와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은 환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및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에 기 구축된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정보 및 투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포함된 치료 또는 투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지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되, 상기 치료 정보에 포함된 치료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치료 장소까지의 경로 안내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며,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의무기록 및 처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의무기록 및 처방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투약 시간 정보에 따라 약의 종류 및 투약 방법을 포함하는 투약 지시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은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동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관리 및 투약 관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은 서버(10), 웨어러블 기기(20), 식별단말기(30), 게이트웨이(40) 및 관리자단말기(5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기기(20)는 환자가 착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20)는 메모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프로세서 유닛, 블루투스 모듈, 3축 가속도계 및/또는 나침반,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20)는 해당 기기의 식별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20)는 NFC 방식이나, RFID 방식으로 식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NFC 또는 RFID 신호 송출을 위한 모듈이 웨어러블 기기(20)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태그의 형태로 웨어러블 기기(20)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20)는 손목시계의 형태를 가지는 스마트워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계가 아닌 반지나 목걸이 등의 형태인 액세서리형(Accessory) 기기, 직물에 일체화된 의류 일체형(Clothing) 기기, 스킨 패치(Skin patch)와 같은 신체 부착형(Body-attached) 기기, 신체에 전자장치를 이식하는 생체 이식형(Bio-implemented) 기기 등 어떠한 형태의 기기라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 장치 등을 포함하여 정보를 출력하거나 착용자(환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별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구성 외에 별도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게이트웨이(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20)는 착용자(환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장치로는 터치스크린,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인식부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는 환자가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는 버튼이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웨어러블 기기(2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호출 버튼은 응급상황용 버튼과 일반상황용 버튼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식별단말기(30)는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해당 위치에 접근한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식별단말기(30)는 웨어러블 기기(20)가 식별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에 대응하는 식별부(32)를 포함하여, 식별단말기(30)에 접근한 웨어러블 기기(20)가 송출하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식별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부(31)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결과(즉, 환자의 식별 결과)를 표시해 줄 수 있으며,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결과를 소리를 통해 알려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식별단말기(3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31)나 스피커를 통해 환자가 찾아가야 할 장소를 안내해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식별단말기(3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 의료기관의 장소라 함은, 의료기관 내에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환자의 식별이 필요한 장소들(예를 들어 각종 검진실, 진료실, 검사실(방사선실, 채혈실 등), 조치실, 처방실, 수술실 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게이트웨이(40)는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웨어러블 기기(2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는 서버(1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계기능을 통해 서버(10)와 웨어러블 기기(20)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40)는 웨어러블 기기(20)와의 통신 및 서버(10)와의 통신 수행 시,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20)와의 통신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서버(10)와의 통신에는 의료기관에 기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방식의 선택은 데이터 송수신 및 위치 정보 확인의 신뢰도와 웨어러블 기기(20)의 전력 사용을 고려한 것이며, 웨어러블 기기(20)의 사용 수명을 고려하여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이 채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게이트웨이(4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의료기관에 설치된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20)가 접속하는 게이트웨이(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파악 시, 웨어러블 기기(20)와 게이트웨이(40) 사이의 접속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정보만을 게이트웨이(40)가 수신하면 되므로, 페어링 수행 전의 단계일 수도 있다.
관리자단말기(50)는 관리자 즉, 의료기관의 직원(의사, 간호사 등)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예: PC 등)에 해당하며, 웨어러블 기기(20)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단말기(50)는 디스플레이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50)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20)에 공지사항을 전달할 수 있으며, 특정 웨어러블 기기(20)로만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50)를 통해 각 웨어러블 기기(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움직인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기기(20)에서 호출이 발생하면 관리자단말기(50)는 해당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와 호출 내용을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의료정보 시스템(60)은 의료기관에 일반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EMR(electnonic medical record),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을 의미하며, 병원 정보 통합 관리시스템(HIS)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서버(10)는 이러한 의료정보 시스템(60)과 연계하여 환자의 정보를 획득하고, 진료의 적합여부와 의료정보(의무기록 및 처방정보)를 의료진에게 화면과 음성 등으로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의료정보 시스템(60)으로부터, 환자의 치료 정보, 투약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환자의 치료 정보는 환자가 받아야하는 시술, 수술, 처치 등에 대한 정보로, 해당 치료가 이루어지는 장소(예: 검사실, 수술실, 입원실 등)에 대한 정보, 수행될 치료 종류에 대한 정보, 치료 시작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환자의 웨어러블 기기(20)로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치료 시작 시간 전에 미리 치료가 이루어지는 장소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웨어러블 기기(20)로 전송하여, 환자가 해당 장소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상술한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 파악을 통해, 치료 장소에 대한 경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웨어러블 기기(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경로 안내가 제공되도록 관련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환자가 치료 장소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장소에 위치한 식별단말기(30)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식별단말기(30)로 전송해줄 수 있다.
또한 판단결과에 따라 부적합한 환자일 경우, 서버(10)는 해당 환자가 찾아가야할 장소(즉, 해당 환자가 받아야할 치료에 수행될 장소)에 대한 정보를 식별단말기(30)나 웨어러블 기기(20)에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20)에 경고를 출력하라는 신호를 보내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환자가 의료기관에 내원을 하면, 관리자는 환자를 접수하고, 웨어러블 기기(20)를 발급한다. 즉, 이때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며, 여기서 환자의 정보에는 환자에게 발급된 웨어러블 기기(20)에 대한 정보(즉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환자의 정보로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의 정보는 서버(10)에 직접 등록될 수도 있으나, 의료정보 시스템(60)에 등록될 수도 있다.
이후 환자가 진료실에 진입하여, 진료실에 구비된 식별단말기(30)에 접근하면, 식별단말기(30)는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서버(10)는 이러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진료실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한다. 즉, 서버(10)는, 의료정보 시스템(6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각 진료실에서 어떠한 환자가 진료를 받아야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20)의 식별 신호를 통해 해당 진료실에 접근한 환자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 정보들을 비교하여 해당 환자가 해당 진료실에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즉, 해당 환자가 해당 진료실에서 진료를 받을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렇게 판단된 결과 즉, 환자의 식별 결과를 식별단말기(30)로 전송하며, 식별단말기(30)는 식별 결과에 따른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적합한 환자인 경우에 식별단말기(30)는 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예: "correct"라는 글자를 표시함) 및 소리(예:"들어오시면 됩니다."라는 음성을 출력)를 출력할 수 있고, 부적합한 환자인 경우에 식별단말기(30)는 부적합한 환자임을 알리는 영상(예: "incorrect"라는 글자를 표시함) 및 소리(예:"올바르지 않은 장소입니다."라는 음성을 출력)를 출력하고, 해당 환자가 찾아가야할 장소를 안내(예: 해당 장소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환자의 식별이 수행되면, 서버(10)는 의료정보 시스템(60)으로부터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 및 처방정보 등을 획득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 수술 등을 수행할 의료진의 관리자단말(50)에 제공할 수 있다.
환자의 투약 정보는 환자가 복용하여야할 약에 대한 정보로 약의 종류, 투약 방법, 투약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환자의 웨어러블 기기(20)로 투약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투약 시간에 투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웨어러블 기기(20)로 전송하여, 환자가 정확한 투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잘못된 투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웨어러블 기기(20)에서 호출이 발생하면, 게이트웨이(40)를 통해 해당 웨어러블 기기(20)의 위치(즉,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호출 내용(응급상황 호출인지 아니면 일반 호출인지 여부, 어떠한 환자로부터 호출이 발생하였는지)을 관리자단말기(50)로 전달해줄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10)는 관리자단말기(50)에서 입력된 공지사항이나 알림사항을 웨어러블 기기(20)로 전달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를 받은 웨어러블 기기(20)는 전송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7)를 통해 표시해줄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전송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진동 장치를 구동하여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환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20)나 관리자단말기(50)는 다수일 수 있으므로, 서버(10)는 각 웨어러블 기기(20)를 담당하는 관리자단말기(50)를 설정하여, 호출이 전달되는 관리자단말기(50)를 특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료정보 시스템(60)에 저장된 정보는 서버(10)에 의해 외부의 장치(보호자의 스마트폰, 정부의 의료 정보 시스템 등)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시스템(60)이 직접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보안상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서버(10)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는 개인정보 보호, 보안 등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를 가공하거나, 제공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의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웨어러블 기기
30: 식별단말기
40: 게이트웨이
50: 관리자단말기
60: 의료정보 시스템

Claims (5)

  1. 환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의료기관의 각 장소에 구비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식별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에 기 구축된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치료 정보 및 투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포함된 치료 또는 투약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지시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게이트웨이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되, 상기 치료 정보에 포함된 치료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치료 장소까지의 경로 안내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식별 신호에 따른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지 판단하며, 적합한 환자인지 여부의 판단결과를 상기 식별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환자가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적합한 환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의무기록 및 처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에 대응하는 관리자단말기로 상기 의무기록 및 처방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투약 시간 정보에 따라 약의 종류 및 투약 방법을 포함하는 투약 지시 메시지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80097269A 2018-08-21 2018-08-21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0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69A KR102303288B1 (ko) 2018-08-21 2018-08-21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69A KR102303288B1 (ko) 2018-08-21 2018-08-21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71A KR20200021671A (ko) 2020-03-02
KR102303288B1 true KR102303288B1 (ko) 2021-09-16

Family

ID=6980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269A KR102303288B1 (ko) 2018-08-21 2018-08-21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82B1 (ko) * 2021-02-08 2023-02-24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환자용 진료정보제공장치
KR102529689B1 (ko) * 2022-09-16 2023-05-08 주식회사 키핀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61B1 (ko) * 2015-10-13 2017-11-08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63275A (ko) * 2015-11-30 2017-06-08 폴스타헬스케어(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71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360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for use in a medical facility
CA2737086C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ized medical data
EP3200109B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for use in a medical facility
JP6783765B2 (ja) 介護者に接続されたウェアラブル装置
US20160210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patient treatment tracking, provider-patient association, and record integration
JP2018198940A (ja) 薬剤情報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099871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used to track medical information at a hospital
JP2015527095A (ja) 健康及びセキュリティの管理を容易にする方法及び装置
JP2022078160A (ja) デバイス接続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20170063275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43288A1 (en) Individual Health Information Aggregation System
KR102303288B1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50066532A1 (en) Mobile information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TWI776105B (zh) 個人醫療資訊系統
WO2014037038A1 (en) Instant aid
KR20160000985A (ko)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Pooja et al. Health Data Accessibility Method using Smart Card in IoT
JP201919199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7127908B1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JP2024024979A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KR20160063202A (ko) 투약 안내 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
CN116848584A (zh) 启用ai的医疗保健服务访问
Rashmi et al. ATION O RING AL
TWM515170U (zh) 智慧型行動醫療照護系統
AU201520313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ized medical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