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579A -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휴대기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579A
KR20170130579A KR1020177030774A KR20177030774A KR20170130579A KR 20170130579 A KR20170130579 A KR 20170130579A KR 1020177030774 A KR1020177030774 A KR 1020177030774A KR 20177030774 A KR20177030774 A KR 20177030774A KR 20170130579 A KR20170130579 A KR 2017013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portable device
antenna
vehicl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스케 이시카와
승석 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13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4/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20)와, 차량에 탑재되어,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을 제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 제어 장치(10)를 구비한다. 차량 제어 장치는, 공용 안테나(14)를 구비하고, 이 공용 안테나를, 휴대기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신 접속용 안테나 및 휴대기를 인증하는 인증용 안테나로서 공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스템 전체로서의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휴대기
본 출원은, 2015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5-068820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여기에 그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을 제어 가능한 상태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서는, 기계적인 키가 아니고,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에 의해 무선으로 도어의 시정이나 개정의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유저가 휴대하는 손목 시계형 휴대기가 차량측의 ECU에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에 기초하여 도어의 시정이나 개정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77603호 공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휴대기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와, 휴대기를 인증하기 위한 안테나를, 각각 별개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시스템 전체의 부품 개수가 증가하고, 또한, 시스템 전체의 구성이 복잡화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을 제어 가능한 상태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시스템 전체로서의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와, 차량에 탑재되어,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차량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을 제어 불능한 상태로부터 제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는, 공용 안테나를 구비하고, 이 공용 안테나를, 휴대기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용 안테나 및 휴대기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용 안테나로서 공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용 안테나와 인증용 안테나를 별개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시스템 전체로서의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예시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 제어 장치(10) 및 휴대기(20)에 의해 구축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며, 제어부(11), 통신 접속용 드라이버 회로(12), 인증용 드라이버 회로(13), 공용 안테나(14)를 구비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통신 접속용 드라이버 회로(12)를 「드라이버 회로(12)」라고 칭하고, 인증용 드라이버 회로(13)를 「드라이버 회로(13)」라고 칭한다.
제어부(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제어 장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휴대기(2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도시되지 않은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있다. 드라이버 회로(12)는, 제어부(11)로부터 부여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킨다. 또한, 드라이버 회로(13)는, 제어부(11)로부터 부여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킨다.
공용 안테나(14)는, 차량의 외부에서 휴대기(20)를 대는 것이 가능한 위치, 이 경우, 차량의 도어 핸들 주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공용 안테나(14)는, 코일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무선에 의한 송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공용 안테나(14)는, 차량의 도어 핸들 부분이 아니고, 예를 들어 필러, 도어 미러, 프론트 유리의 하부 등에 설치해도 된다. 즉, 공용 안테나(14)는, 차량의 외부에서 휴대기(20)를 지근 거리로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라면, 그 설치 부위를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휴대기(20)는, 유저가 휴대하는 것으로, 제어부(21), 로크 버튼(22), 언로크 버튼(23), 안테나(24), 버튼 전지(25)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휴대기(2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는, 휴대기(2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코드를, 도시되지 않은 기억 매체에 저장하고 있다. 로크 버튼(22) 및 언로크 버튼(23)은,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휴대기(20)는, 로크 버튼(22) 및 언로크 버튼(23) 이외의 버튼을 구비해도 된다.
안테나(24)는, 코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무선에 의해 보내지는 전력을 수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버튼 전지(25)는, 휴대기(20)의 전원이 되는 것이다. 휴대기(20)는, 기본적으로는, 버튼 전지(25)가 전지가 떨어지게 되면 동작 불능이 된다. 단, 안테나(24)가 코일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휴대기(20)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송전을 수신함으로써, 그 전력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키는 제1 모드와,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키는 제2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드라이버 회로(13)를 오프, 또한, 드라이버 회로(12)를 온하고,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킨다. 이 때, 공용 안테나(14)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휴대기(20)가 존재하고, 또한, 휴대기(20)의 버튼 전지(25)의 전지가 다 떨어지지 않고 동작 가능한 상태이면,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로부터 정기적으로 접속 요구 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공용 안테나(14)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전지가 다 떨어지지 않은 휴대기(20)가 존재하면, 그 휴대기(20)가, 접속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기(20)와의 사이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확립한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LF 대역 통신에 의해 휴대기(20)와의 무선 통신을 실현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장파(LF)(Low Frequency)를 접속 요구 신호로서 발신하고, 이것에 따라 휴대기(20)로부터 발신되는 고주파(RF)(Radio Frequency)를 응답 신호로서 수신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통신 형태는, LF 대역 통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드라이버 회로(12)를 오프, 또한, 드라이버 회로(13)를 온하고,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소위 이모빌라이저 장치로서 동작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드라이버 회로(13)를 온하면, 공용 안테나(14)로부터 휴대기(20)에 비해 무선에 의한 송전을 개시함과 함께, 인증 코드의 송신을 요구하는 인증 코드 요구 신호를 공용 안테나(14)로부터 발신한다. 휴대기(20)는, 인증 코드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안테나(24)를 통하여 인증 코드를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인증 코드를 취득하면, 당해 차량 제어 장치(10)가 갖는 인증 코드와, 휴대기(20)로부터 취득된 인증 코드를 대조한다. 그리고, 양 코드가 일치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을 제어 불능한 제어 불능 상태로부터 제어 가능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이어서,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드라이버 회로(12)를 온하고(S1),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킨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제1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를 발신한다(S2). 여기서, 공용 안테나(14)의 근방에 휴대기(20)가 존재하면서, 또한, 휴대기(20)가 전지가 다 떨어진 것은 아닌 상태에서는, 휴대기(20)로부터 응답 신호가 출력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접속 요구 신호를 발신하면, 이것에 따라 휴대기(2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3). 접속 요구 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S3: "예")에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제어 불능 상태로부터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S4).
한편, 접속 요구 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S3: "아니오")에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드라이버 회로(13)를 온하고(S5),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동작시킨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제2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송전을 개시함과 함께(S6), 공용 안테나(14)로부터 인증 코드 요구 신호를 발신한다(S7).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8).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인증 코드를 취득한 경우(S8: "예")에는, 인증 코드의 대조 처리를 행한다(S9). 그리고, 인증 코드가 일치한 경우(S10: "예")에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제어 불능 상태로부터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S4).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인증 코드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S8: "아니오") 및 인증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10: "아니오")에는, 스텝 S1로 이행하여, 제1 모드로 전환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제1 모드와,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제2 모드에 교대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 차량 제어 장치(10)에 의한 차량의 제어 예에 대해 설명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개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즉시 도어를 개정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휴대기(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도어를 개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한 것으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도, 차량의 도어를 개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하는 즉시 도어를 개정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휴대기(20)를 인증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도어를 개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휴대기(20)의 인증이 확인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한 것으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은,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엔진 시동용의 도시되지 않은 푸시 버튼을 유저가 조작하는 것이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하고 나서 소정의 접수 기간 중에 푸시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시킨다. 또한, 접수 기간의 길이는,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한 것으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시동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카 에어컨이나 카 오디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하고 나서 소정의 접수 기간 중에 디바이스의 시동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는, 그 디바이스를 시동시킨다. 또한, 접수 기간의 길이는,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한 것으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휴대기(20)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접수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휴대기(20)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는, 예를 들어 언로크 버튼(23)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개정 명령 신호 등이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인증하고 나서 소정의 접수 기간 중에 예를 들어 개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개정한다. 또한, 휴대기(20)에 엔진 시동용 버튼이나 디바이스 시동용 버튼을 설치하고, 이 시동용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이나 디바이스의 시동 명령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도, 차량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접수 기간 중에 시동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엔진이나 디바이스를 시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 및 인증용 안테나로서 공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신 접속용 안테나와 인증용 안테나를 별개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시스템 전체로서의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제1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기(20)로부터 응답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제2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기(20)를 인증한 경우에는, 차량을 제어 가능한 제어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휴대기(20)가 전지가 다 떨어진 상태에서는, 휴대기(20)를 차량 제어 장치(10)에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도어를 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기(20)가 전지가 다 떨어진 경우에도, 휴대기(20)를 공용 안테나(14)에 대고 인증시킴으로써 도어를 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용 안테나(14)는, 차량의 외부에서 휴대기(20)를 용이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휴대기(20)를 공용 안테나(14)부분에 대는 것으로 용이하게 휴대기(20)를 인증시킬 수 있다. 이 때, 공용 안테나(14)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 휴대기(20)를 대는 것을 이미지한 기호나 마크를 실시해 두면 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보다 용이하게 휴대기(20)를 인증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의 응답의 유무에 관계없이, 공용 안테나(14)를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제1 모드와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제2 모드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20)를 대는 것에 의해 차량을 제어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는 기간이 주기적으로 실현된다. 그로 인하여, 휴대기(20)가 전지가 다 떨어진 것이 아닌 경우에도, 휴대기(20)를 대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정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공용 안테나(14)를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함으로써 이모빌라이저 장치로서가 아니고,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통신 범위가 몇센티 내지 몇미터 정도의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에 휴대기(20)의 식별 코드를 미리 등록, 즉,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를 페어링해 둔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근거리 무연 통신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휴대기(20)로부터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식별 코드를 대조함으로써 휴대기(20)의 인증을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도,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모빌라이저 장치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20)는, 유저가 휴대 가능한 구성이면 되고, 예를 들어 다기능형 휴대 통신 단말기, 소위 스마트 폰이나, 손목 시계형 휴대 시계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휴대기(20)는, 가령 전지가 다 떨어졌다고 해도 공용 안테나(14)를 통한 인증을 수신함으로써, 차량을 제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휴대기(20)는, 비상용의 기계적인 키 부재, 소위 이머전시 키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머전시 키를 불필요로 함으로써, 휴대기(20)의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휴대기(20)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더욱이, 그것들의 하나의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4)

  1.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20)와,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상기 차량을 제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 제어 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공용 안테나(14)를 구비하고, 이 공용 안테나를, 상기 휴대기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신 접속용 안테나 및 상기 휴대기를 인증하는 인증용 안테나로서 공용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공용 안테나를 상기 통신 접속용 안테나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기로부터 응답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공용 안테나를 상기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공용 안테나를 상기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기를 인증한 경우도, 상기 차량을 제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안테나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상기 휴대기를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를 인증한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정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를 인증한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 기간을 설정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를 인증한 경우에는,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시동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 기간을 설정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를 인증한 경우에는, 당해 휴대기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를 접수하는 접수 기간을 설정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공용 안테나를 상기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함으로써 이모빌라이저 장치로서 동작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공용 안테나를 상기 인증용 안테나로서 사용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는, 휴대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시계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 제어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는, 기계적인 키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차량 제어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휴대기.
KR1020177030774A 2015-03-30 2016-03-15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휴대기 KR20170130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8820 2015-03-30
JP2015068820A JP2016188014A (ja) 2015-03-30 2015-03-30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PCT/JP2016/001474 WO2016157777A1 (ja) 2015-03-30 2016-03-15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579A true KR20170130579A (ko) 2017-11-28

Family

ID=5700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774A KR20170130579A (ko) 2015-03-30 2016-03-15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휴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188014A (ko)
KR (1) KR20170130579A (ko)
WO (1) WO2016157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92B1 (ko) * 2016-11-29 2018-09-27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샤크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437932A (zh) * 2018-02-06 2018-08-24 浙江齐享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助力自行车解锁的方法及系统
JP6997053B2 (ja) * 2018-08-23 2022-01-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通信不正成立防止システム及び通信不正成立防止方法
CN110356358B (zh) * 2019-08-01 2020-07-24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车辆防盗报警系统及方法
JP7364508B2 (ja) * 2020-03-23 2023-10-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無線通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699B2 (ja) * 2003-02-03 2008-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体の空調装置
JP4357515B2 (ja) * 2006-10-13 2009-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0859463B1 (ko) * 2007-06-14 2008-09-23 양재우 자동차 엔진 시동 장치 및 방법
JP2010132233A (ja) * 2008-12-08 2010-06-17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置き忘れ抑制システム
JP5319388B2 (ja) * 2009-05-13 2013-10-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JP2012007441A (ja) * 2010-06-28 2012-01-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制御装置
JP2012067530A (ja) * 2010-09-24 2012-04-05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充電システム
JP2013138529A (ja) * 2011-12-28 2013-07-11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JP2015044441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88014A (ja) 2016-11-04
WO2016157777A1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0579A (ko)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휴대기
JP4708957B2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
EP2048626A2 (en) Apparatus for medium-range vehicle communications and control
JP6054773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927536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2215047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5686776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6911780B2 (ja) 携帯機、及び、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0168009A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用携帯機
JP6856488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7217971A (ja) 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機
JP6597538B2 (ja) 車両用携帯機
JP201714483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50011031A (ko)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7085141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5010020B2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
JP2020075669A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WO2018186075A1 (ja) 車載器、携帯機、及び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6660772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6056598A (ja) 携帯機および車両通信システム
JP2012021318A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側装置
JP2013151817A (ja) 電力制御システム
JP6907868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4185481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EP3038071B1 (en) Identification device for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of a vehicle and remote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