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870A -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870A
KR20170129870A KR1020177030072A KR20177030072A KR20170129870A KR 20170129870 A KR20170129870 A KR 20170129870A KR 1020177030072 A KR1020177030072 A KR 1020177030072A KR 20177030072 A KR20177030072 A KR 20177030072A KR 20170129870 A KR20170129870 A KR 2017012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hield
attachment sheet
attachment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778B1 (ko
Inventor
타다시 카타오카
히로카즈 코바야시
준페이 요코치
Original Assignee
윈즈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즈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윈즈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6Visors with cleaning means, e.g. wipers ; Movable or interchangeable vision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4Visors with means for avoiding fogging or mi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헬멧의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의 렌즈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한편, 쉽게 벗겨지지 않는 부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착 시트(10)는,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의 내벽면인 요곡면에 대하여 곡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부착하는 부착 시트로서,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재 시트(100)와,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105),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본 발명은,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오버레이 시트를 바이저로부터 이격시켜, 바이저와 오버레이 시트 사이에 실링(sealing)된 구획을 형성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바이저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바이저의 시야 범위의 외주부(外周部)를 따라 연속되는 실링 또는 스페이서를, 급속 응고성 엘라스토머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표특허 특표 2010-518270호 공보 일본공표특허 특표 2010-540787호 공보
헬멧의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의 렌즈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한편, 쉽게 떨어지지 않는 부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시트는, 요곡면(凹曲面)에 대하여 곡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부착 시트로서,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을 갖는다.
호적하게는, 상기 기판과 상기 김서림방지층을 합한 두께는, 5.0mm 이하이다.
호적하게는, 상기 요곡면은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의 내벽면이고, 상기 기판의 두께는, 0.2mm 이상 1.0mm 이하이다.
호적하게는, 상기 요곡면은 매끄러운 삼차원 요곡면으로, 상기 기판의 두께는, 0.2mm 이상 0.6mm 이하이다.
호적하게는, 상기 김서림방지층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화학결합된 친수성의 김서림방지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은, 바이저 쉴드와, 상기 바이저 쉴드의 요곡면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와, 상기 바이저 쉴드의 요곡면에 상기 부착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을 가지며, 상기 부착 시트는,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을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러한 양단으로 상기 바이저 쉴드에 고정된다.
호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이저 쉴드와 상기 부착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저 쉴드와 상기 부착 시트의 적어도 일방과 대향되는 면에 볼록 곡면을 갖는 탄성 점착층이다.
호적하게는, 상기 바이저 쉴드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휘어진 상태의 상기 부착 시트의 양단을 끼워 넣어 고정시킨다.
호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상기 부착 시트의 외연부(外緣部)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탄성 점착층이다.
호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보다,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높게 솟아오른 탄성 점착층 또는 폭이 넓은 탄성 점착층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은, 고글 렌즈와, 상기 고글 렌즈의 요곡면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와, 상기 고글 렌즈의 요곡면에 상기 부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을 가지며, 상기 부착 시트는,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을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러한 양단으로 상기 고글 렌즈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은, 두께 0.1mm 이상 5.0mm 이하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김서림방지층을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상기 김서림방지층이 형성된 면을 요곡면이 되도록 휘게 한 상태에서, 피부착 요곡면에 고정시키는 스텝, 을 갖는다.
헬멧의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의 렌즈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한편, 쉽게 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헬멧(1)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헬멧(1)의 내측에서의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고정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부착 시트(10)의 부착 전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4는,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쉴드(9)에 부착된 부착 시트(10)의 헬멧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 물(30)이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6은, 쉴드(9)와 부착 시트(10) 사이에 물(30)이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7은,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부착시키는 상태(좌단영역 또는 우단영역)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8은, 부착 시트(10)의 부착 방법(S10)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변형예 1에서의 고글(2)의 내측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2에서의 부착 시트(10)의 부착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가습시킨 경우의 변형량을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12는, 가습변형시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촬영 화상이다.
도 13은, 바이저 쉴드에 장기간 부착한 후의 변형량을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촬영 화상이다.
도 14는, 가습시킨 경우의 김서림 정도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15는, DRY/WET시의 표면 경도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16은, DRY시의 락사(落砂) 표면 마모치(HAZE값)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17은, 변형예 3의 부착 시트(10) 및 그 부착 방법을 예시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헬멧(1)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헬멧(1)에는 바이저 쉴드(9)(이하 쉴드(9))가 형성되고, 헬멧(1)의 내측인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 시트(10)가 점착되어 있다.
쉴드(9)는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쉴드(9)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다.
부착 시트(10)는, 쉴드(9) 중, 착용자의 시야 에리어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헬멧(1)의 내측에 있어서의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고정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쉴드(9)의 내측에는, 부착 시트(10)가 부착되어 있다. 쉴드(9)는, 쉴드(9)의 내측에 해당하는 내벽면이 매끄러운 삼차원 요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착 시트(10)는, 그러한 삼차원 요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내벽면에 대하여 곡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와 점착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착 시트(10)에는,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쉴드(9)의 요곡면과 대향되는 면에 점착층(1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착 시트(10)에는,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에 연속적으로 점착층(120)이 배치되어 있다. 부착 시트(10)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점착층(120)에 의해 쉴드(9)와 부착 시트(10)와의 사이의 공간에 기밀성이 부여된 상태로 쉴드(9)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착 시트(10)에는,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쉴드(9)의 내벽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시트(10)는, 쉴드(9)에 부착됨으로써 김서림방지 시트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부착 시트(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부착 시트(10)의 부착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3의 (A)는 부착 시트(1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부착 시트(10)의 단면을 예시하는 도이다. 또한 도 3의 (C)는, 점착층(120)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의 (A) 및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과, 점착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쉴드(9)의 내벽면과 대향되는 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을 형성할 수도 있고,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을 형성한 투명 시트를 붙여 한 장의 시트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예의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김서림방지층(105)를 형성하는 경우를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기재 시트(100)]
기재 시트(100)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일례이다.
기재 시트(100)는, 투광성을 갖는 판상 또는 시트상의 수지로 구성되는 투명 시트이다. 또한 기재 시트(100)는,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보다 곡률이 작은 시트재이고,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이 형성된다. 본 예의 기재 시트(100)는, 가요성을 갖는 평면 형상의 투명 시트이다.
기재 시트(100)는, 예를 들면 투과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 기재 시트(100)는, 쉴드(9)로 동일한 소재인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투명 시트이다. 기재 시트(10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므로, 내열성과 내흡습성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 시트(100)는, 내열성과 내흡습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열이나 수분에 의한 영향을 쉽게 받지 않기 때문에 변형량이 작다. 또한 기재 시트(10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므로 가요성을 구비하는 한편 탄성적으로 만곡시켜도 만곡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높은 반발력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 시트(100)는 탄성적으로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휘어진 상태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반발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휘어진 상태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됨으로써, 쉴드(9)의 내벽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재 시트(100)는 점착층(120)의 점착 강도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또한 기재 시트(10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두께 0.1mm 이상의 투명 시트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시트(100)의 두께는, 0.2mm 이상 1.0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 시트(100)의 두께는, 0.2mm 이상 0.6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된다. 기재 시트(100)의 두께가 0.2mm 이상 0.6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쉴드(9)의 삼차원 요곡면인 내벽면을 따라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한편, 휘어져 쉴드(9)에 부착된 경우에 쉴드(9)의 내벽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가요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기재 시트(100)는 두께가 얇은(0.1mm 미만) 경우, 기재 시트(100)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105)에 의해 구부러져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0.1mm 이상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100)는 복수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서로 붙여, 두께 0.1mm 이상의 기재 시트(100)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기재 시트(100)는 쉴드(9)의 형상에 맞추어, 기재 시트(100)의 두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시트(100)의 두께는 쉴드(9)의 내벽면 형상이 삼차원 형상(구면 / 비구면 형상 등)인 경우, 두께가 0.2mm~0.5mm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시트(100)의 두께는, 쉴드(9)의 내벽면 형상이 이차원 형상(실린더 형상 등)인 경우, 두께가 0.5mm~1.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시트(100)는, 부착 시트(10)에 대하여, 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열적굽힘하는 전제라면, 기재 시트(100)의 두께가 0.9mm~5.0mm일 수 있다.
또한 부착 시트(10)의 두께(즉,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을 합한 두께)가 5.0m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을 합한 두께가 1.0mm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6mm 이하의 두께이다.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을 합한 두께가 5.0mm 이상인 경우, 쉴드(9)의 내벽면인 요곡면 형상을 따라 휘는 것이 곤란해지고, 쉴드(9)로부터 벗겨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을 합한 두께가 5.0mm 이하인 두께가 바람직하다.
[김서림방지층(105)]
도 3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김서림방지층(105)은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된 경우에 쉴드(9)의 내벽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김서림방지층(105)은, 쉴드(9)의 내벽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 또는, 기재 시트(10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기재 시트(10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김서림방지층(105)은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화학 결합된 친수성막으로,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폴리머, 또는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김서림방지액으로 형성된 친수성 김서림방지막이다. 김서림방지층(105)은, 예를 들면 김서림방지액을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김서림방지층(105)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100)가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범위에서 막 두께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주성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초산 셀룰로오스로 형성된 투명 시트의 표면에 김서림방지액을 도포하여 김서림방지층(105)을 형성하고, 김서림방지층(105)이 형성된 투명 시트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기재 시트(100)를 서로 붙일 수도 있다.
[점착층(120)]
점착층(12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일례이다.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재 시트(100) 및 점착층(120)은 좌우 대칭이다. 점착층(120)은,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배치란, 본 도에서와 같이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연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파선 형상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쉴드(9)와 부착 시트 (10) 사이의 공간에 기밀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점착층(120)이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닫힌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에서의 점착이란, 점착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며, 순수한 점착제에만 의한 것 외에, 접착제 등이 고화되기 전의 점성을 갖는 상태의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원에서의 점착제란, 순수한 점착제뿐만 아니라, 점성을 갖는 접착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와 같이 고화되지 않는 점착제를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고화되지 않는 점착제는, 착탈이 자유롭고, 고쳐 붙일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점착층(120)은, 예를 들면 액체상의 탄성 점착제를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즉 점착층(120)은, 표면에 점착성을 갖는 한편 소정의 체적을 갖고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 점착제로 구성되어, 탄성변형할 수 있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과, 착탈 자유로운 점착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액체상의 탄성 점착제는, 예를 들면 세메다인 주식회사의 세메다인 BBX909라는 일액습기 반응형 탄성 점착제이다. 또한 점착층(120)은, 기재 시트(100)와 쉴드(9)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재로서도 기능하고, 이러한 실링재 자체에 점착성이 있기 때문에 높은 밀폐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120)은 기재 시트(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점착층(120)(점착층 상부(120C) 및 점착층 하부(120D))보다, 기재 시트(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의 점착층(120)(점착층 좌단부(120A) 및 점착층 우단부(120B))이 폭이 넓은 탄성 점착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시트(100)의 좌단부(100A) 및 우단부(100B)에 형성된 점착층(120A) 및 점착층(120B)은, 기재 시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점착층(120C) 또는 점착층(120D)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즉 기재 시트(100)의 좌단부 및 우단부에 설치된 점착층(120A) 및 점착층(120B)은, 기재 시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점착층(120C) 또는 점착층(120D)보다 강한 점착력을 갖는다.
또한, 도 3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120)은 볼록 곡면의 단면을 갖도록 솟아올라 있다. 점착층(120)은, 솟아오른 볼록 곡면의 단면을 갖는 탄성 점착제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접촉 각도에서 가압되더라도 탄성변형하여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접촉면에서 쉴드(9)의 내측면과 점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120)은, 기재 시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120C) 또는 점착층(120D)의 점착력보다 기재 시트(100)의 좌단부 및 우단부에 형성된 점착층(120)의 점착력이 강한 점착력을 갖게 하려면, 예를 들면 기재 시트(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부의 점착층(120)보다, 기재 시트(100)의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의 점착층(120)을 높이 솟아오른 탄성 점착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와, 김서림방지층(105)과, 점착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4~도 7을 이용하여 부착 시트(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길이방향에서의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4의 (B)는, 폭방향에서의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부착 전에는 거의 평면 형상인 부착 시트(10)를 길이방향으로 휘어 만곡시키고, 부착 시트(10)를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킨다. 부착 시트(10)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휨으로써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이 때문에, 부착 시트(10)가 쉴드(9)에 부착된 경우에, 길이방향으로 휘게 하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부착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인 반발력에 의해, 부착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한다. 부착 시트(10)는, 이러한 반발력에 의해,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 전역에 연속되는 점착층(120)(미도시)이 전체적으로 쉴드(9)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점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부착 시트(10)를 길이방향으로 휘어 만곡시키고, 부착 시트(10)을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폭방향에서도 쉴드(9)의 내벽면의 곡면에 맞추어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부착 시트(10)는, 쉴드(9)에 부착된 경우에, 부착 시트(10)의 반발력에 의해 부착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발력에 의해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 전역에 연속되는 점착층(120)(미도시)이, 전체적으로 쉴드(9)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점착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쉴드(9)에 부착된 부착 시트(10)의 헬멧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 물(30)이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반발력과 점착층(120)의 점착력에 의해, 쉴드(9)(미도시)의 내벽면에 부착된다. 부착 시트(10)는, 헬멧(1)의 외측과 헬멧(1)의 내측에 온도차를 발생시킨 경우, 부착 시트(10)의 양면 중, 쉴드(9)와 대향되지 않는 면에 물(30)이 부착된다.
헬멧(1)의 내측에 있어서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105)에 의해, 물(30)의 부착에 의한 김서림을 방지한다. 부착 시트(10)는, 김서림방지층(105)에 부착된 물(30)을 김서림방지층(105)이 흡습하고, 기재 시트(100)는 흡습하지 않으므로, 부착 시트(10)의 반발력이 유지된다.
도 6은, 쉴드(9)와 부착 시트(10) 사이에 물(30)이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6의 (A)는, 쉴드(9)의 내측에 물(30)이 부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고, 도 6의 (B)는, 쉴드(9)의 내벽면으로부터 부착 시트(10)를 떼어내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반발력과 점착층(120)의 점착력에 의해,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다.
쉴드(9)는, 헬멧(1)의 외측과 헬멧(1)의 내측의 온도차에 의해, 쉴드(9)와 부착 시트(10) 사이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물(30)이 부착된다.
도 6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쉴드(9)의 내벽면의 물(30)을 제거하기 위해 쉴드(9)의 내벽면으로부터 부착 시트(10)를 떼어낸다.
부착 시트(10)는, 쉴드(9)와 부착 시트(10) 사이에 물(30)이 있으므로, 부착 시트(10) 중 쉴드(9)의 내벽면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105)에 의해 물(30)의 수분을 흡습한다.
도 7은, 쉴드(9)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하는 상태(좌단 영역 또는 우단 영역)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길이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된다. 부착 시트(10)는, 쉴드(9)에 부착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휘는 힘이 제거되고, 부착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인 반발력이 발생된다. 부착 시트(10)는, 발생된 반발력에 의해 부착 시트(10)의 좌단 영역 또는 우단 영역을 쉴드(9)의 내벽면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부착 시트(10)는, 좌단 영역 또는 우단 영역을 쉴드(9)의 내벽면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볼록 곡면 형상으로 배치된 점착층(120)이 변형되어, 전체적으로 쉴드(9)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점착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시트(10)의 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부착 시트(10)의 부착 방법(S10)의 플로차트이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텝 100(S100)에서 가공자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부터, 미리 설계한 형상대로 기재 시트(100)를 펀칭한다. 기재 시트(100)는 두께 0.1mm 이상이다.
스텝 105(S105)에서, 가공자는 펀칭한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쉴드(9)의 내벽면에 대향되지 않는 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을 형성한다. 본례에서의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양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을 형성한다. 가공자는, 예를 들면 롤코터를 이용하여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김서림방지액을 도포할 수 있고, 김서림방지액에 기재 시트(100)을 함침시킴으로써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김서림방지액을 도포할 수도 있다.
스텝 110(S110)에서, 가공자는 기재 시트(100)에 도포된 김서림방지액을 건조시켜 기재 시트(100)의 표면에 김서림방지층(105)을 형성시킨다.
스텝 115(S115)에서, 가공자는 김서림방지층(105)이 형성된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에, 액체상의 탄성 점착제를 도포한다. 탄성 점착제의 도포는, 예를 들면 점착제를 토출시키는 노즐을, 미리 프로그램된 위치 및 스피드로 이동시켜 실시한다. 이로 인해 원하는 형상, 폭 및 높이로 액체상의 탄성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스텝 120(S120)에서, 가공자는 기재 시트(100)에 도포된 탄성 점착제를 건조시켜 기재 시트(100)상에 점착층(120)을 형성시킨다. 건조된 점착층(120)은,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 등의 보호 시트로 씌울 수 있다.
스텝 125(S125)에서, 가공자는 점착층(120)이 더러워져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점착층(120)이 더러워져 있는 경우에는 S130의 공정으로 이행되고, 점착층(120)이 더러워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35의 공정으로 이행된다.
스텝 130(S130)에서, 가공자는 점착층(120)의 표면을 물로 씻는다. 점착층(120)의 표면은, 물로 씻는 등에 의해 먼지 등의 더러움을 제거함으로써 점착성이 복원된다.
스텝 135(S135)에서, 가공자는 부착 시트(10)를 길이방향으로 휘어 만곡시키고, 부착 시트(10)를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킨다. 구체적으로 가공자는 부착 시트(10) 중, 쉴드(9)의 내벽면에 대향되지 않는 면(점착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내측으로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킨다. 또한 가공자는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킨 후에 부착 시트(10)의 외연부를 쉴드(9) 방향으로 가압하여 점착층(120)을 전체적으로 쉴드(9)의 내벽면에 접촉시킨다.
스텝 140(S140)에서, 가공자는 점착층(120)이 전체적으로 쉴드(9)의 내벽면에 충분히 접촉되어 점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점착층(120)의 일부가 쉴드(9)의 내측면에 충분히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 S145의 공정으로 이행되고, 점착층(120)이 전체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 부착 방법(S10)을 완료한다.
스텝 145(S145)에서, 가공자는 쉴드(9)의 내벽면으로부터 부착 시트(10)를 떼어내고, S125의 공정부터 다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부착 방법(S10)에서는 부착 시트(10)의 위치를 미묘하게 변경하면서 부착 시트(10)의 부착 위치를 확정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재 시트(100)와,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된 경우에 쉴드(9)의 내벽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105), 을 포함하여 구성된 부착 시트(10)를, 길이방향으로 휘어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킨다. 헬멧(1)은, 부착 시트(10)를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부착(휘어짐) 전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 전역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점착층(120)을 전체적으로 쉴드(9)의 내벽면에 접촉시켜 가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시트(10)가 쉴드(9)의 내벽면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헬멧(1)은, 부착 시트(10)를 점착층(120)에 의해 쉴드(9)로부터 이격시키는 한편, 실링된 상태에서 착탈 자유롭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헬멧에 결로방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특히, 점착층(120)이 볼록 곡면의 단면을 가지므로, 다양한 형상의 쉴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부착 시트(10)는,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이(簡易)하고, 작업의 일부(점착 위치의 조정, 점착 작업 등)를 일반 유저에게 맡길 수 있다. 또한 점착층(120)의 점착력은 물로 씻음으로써 일정 정도 복원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변형예 1)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변형예 1에서의 고글(2)의 내측에 부착 시트(10)를 부착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고글(2)의 고글 렌즈(8)(이하 렌즈(8))에 배치할 수 있다.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를 렌즈(8) 형상에 맞추어 형성하고, 기재 시트(100)의 양면 중, 적어도 렌즈(8)의 내벽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김서림방지층(105)(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에 점착층(1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고글(2)의 렌즈(8)에도 이용할 수 있고,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부착 시트(10)의 내벽면과 렌즈(8)와의 사이에 물이 부착되는 경우에도, 청소 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0은, 변형예 2에서의 부착 시트(10)의 부착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쉴드(9)는 그 내벽면에 고정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20)는, 쉴드(9)의 내벽면에 장착되어, 부착 시트(10)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20)는 쉴드(9)의 내벽면에 부착된 부착 시트(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0)는, 쉴드(9)의 내벽면 중, 적어도 길이방향에서의 부착 시트(10)의 양단을 휜 상태에서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고정부(20)는, 부착 시트(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으로 실링층(122)을 가압할 수 있는 정도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착 시트(10)는, 기재 시트(100)의 외연부에 연속적으로 실링층(122)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층(122)은, 액체상의 탄성 실링재이고, 예를 들면 실리콘이다. 실링층(122)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쉴드(9)와 부착 시트(10)와의 사이의 공간에 기밀성을 부여한 상태에서 쉴드(9)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일방의 단부를 쉴드(9)의 내벽면에 설치된 일방의 고정부(20)에 걸어 고정시킨다. 부착 시트(10)는, 일방의 단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휘어지고, 휘어진 상태에서 부착 시트(10)의 타방의 단부를 쉴드(9)의 내벽면에 설치된 타방의 고정부(2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부착 시트(10)는, 쉴드(9)의 내벽면에 설치된 고정부(20)에 의해 부착 시트(10)를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시트(10)는, 고정부(20)에 의해 쉴드(9)의 내벽면으로 실링층(122)을 가압할 수 있는 정도로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실링층(122)에 점착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추가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헬멧은 오토바이용뿐만 아니라, 방재용 헬멧 등일 수도 있다. 또한 고글은 스키 / 스노보드용뿐만 아니라, 수영용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안경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비교예와의 성능 평가]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의 성능을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먼저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된 김서림방지 시트이다.
본 실시예의 김서림방지 시트는 두께가 0.3mm이고, 투과율이 89.89%(EN산출)이다.
비교예 1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A)로 구성된 김서림방지 시트이다. 비교예 1의 김서림방지 시트는 두께가 0.8mm이고, 투과율이 86.24%(EN산출)이다.
비교예 2는,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로 구성된 김서림방지 시트이다. 비교예 2의 김서림방지 시트는 두께가 0.8mm이고, 투과율이 86.79%(EN산출)이다.
상기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의 투과율 산출 방법은, 분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에서 적외선까지의 빛을 쬐어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1. 가습에 의한 변형 시험]
도 11은, 가습시킨 경우의 변형량을 측정한 시험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로서, 도 11의 (A)는 표, 도 11의 (B)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12는, 가습변형시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촬영 화상이다. 도 12의 (A)는 본 실시예의 가습변형시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이고, 도 12의 (B)는 비교예 1의 가습변형시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이며, 도 12의 (C)는 비교예 2의 가습변형시험의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이다.
(시험 목적)
시험 목적은,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를 가습시킨 경우의 변형량을 비교 / 평가한다.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약 50의 워터 배스에, 일부 구멍을 뚫은 아크릴판 뚜껑을 덮는다. 이와 같은 아크릴판에 형성된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김서림방지 시트를 배치하고, 김서림방지 시트의 일방의 면을 가습시켰다.
(시험 결과)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의 변형량은, 초기(가습 없음), 가습 1분 후, 가습 10분 후, 가습 10분 후 1.5시간 경과 후의 각 시간에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는, 가습 후(가습 1분 후, 가습 10분 후)에 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가습 10분 후 1.5시간 경과 후에는 변형이 제로(초기와 동일한 상태)가 되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가습 후(가습 1분 후, 가습 10분 후)에, 본 실시예의 김서림방지 시트보다 크게 변형되었다. 또한 가습 10분 후 1.5시간 경과 후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변형이 해소되지 않고, (초기와 동일한 상태로) 복원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김서림방지 시트의 두께는 0.3mm인데 비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김서림방지 시트의 두께는 0.8mm로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본 실시예에 비해 두께가 있기 때문에 본래대로라면 변형에 대해서 유리해야 하나, 크게 변형이 일어났다.
[2. 소성변형시험]
도 13은, 바이저 쉴드에 장기간 부착된 후의 변형량을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촬영 화상을 예시하는 촬영 화상이다. 도 13의 (A)는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를 나타내고, 도 13의 (B)는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촬영 화상을 나타낸다.
(시험 목적)
시험 목적은, 김서림방지 시트를 바이저 쉴드에 장기간 부착한 후에 떼어내고,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의 소성 변형된 변형량을 비교 / 평가한다.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헬멧 메이커 C사의 쉴드 바이저에 김서림방지 시트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온 상습 하에 50일간 두고, 50일 후에 쉴드 바이저에서 떼어내어 김서림방지 시트의 변형량을 측정한다. 상온이란, 예를 들면 5~35의 범위이고, 상습이란, 예를 들면 45~85%의 범위이다.
(시험 결과)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장기간 일정 형상으로 유지한 경우라 하더라도 과도한 열을 가하지 않는 한, 부착 전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복원된다.
한편 비교예 1은, 장기간 일정 형상으로 유지한 경우, 임의의 형상(쉴드 바이저의 곡면 형상)으로 유지되고, 변형된 방향의 역방향의 응력을 가하지 않는 한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3. 김서림방지 시험]
도 14는, 가습 시킨 경우의 김서림도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로서, 도 14의 (A)는 표를 나타내고, 도 14의 (B)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시험 목적)
시험 목적은,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를 가습한 경우의 김서림방지 성능을 비교 / 평가한다.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를 시트편 30*40mm로 형성하고, 이와 같은 시트편에 일정 온도로 가열한 증기를 일정 유량 쐬어, 시트에 김서림이 시작된 시간, 측정면적당 시트의 1/3이 김서릴 때까지의 시간 및 시트의 1/2이 김서릴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친수성 소재로 구성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높은 김서림방지 성능을 가졌다.
[0056]
[4. 표면의 경도시험 1]
도 15는, DRY/WET시의 표면 경도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로서, 도 15의 (A)는 표를 나타내고, 도 15의 (B)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시험 목적)
시험 목적은, DRY/WET시의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의 김서림방지면 마모 저항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김서림방지 시트의 시험편과 JK 와이퍼(등록상표)의 종이편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 하중(하중 500g)을 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서로 문질러 임의의 회수 일정 방향으로 왕복하여 마찰시킨다. 일정 방향으로 왕복하여 마찰시킴으로써 시험편의 표면에 발생된 상처의 갯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시험방법으로 DRY시와 WET시의 각 조건하에서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한다. DRY시(초기시)란, 수분을 포함시키지 않은 상태이고, WET시(젖은 후)란, 일정량 표면에 수분을 포함시킨 상태이다.
(시험 결과)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DRY시 및 WET시에서도,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시트 표면에 상처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본 실시예의 김서림방지 시트가 내흡습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 김서림방지 가공에 의한 김서림방지층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WET시에도, 수분을 포함하지 않고 표면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고, 표면에 상처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WET 상태에서 본 실시예보다 시트 표면에 상처가 쉽게 발생된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김서림방지 시트가 흡습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WET시에 수분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의 경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져 표면에 상처가 나기 쉽다.
[5. 표면의 경도시험 2]
도 16은, DRY시에 락사(落砂)표면마모치(HAZE값)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예시하는 표 및 그래프로서, 도 16의 (A)는 표를 나타내고, 도 16의 (B)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시험 목적)
시험 목적은, DRY시에 본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김서림방지 시트의 탁도(濁度)(HAZE값)를 비교/ 평가한다.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김서림방지 시트의 시험편의 표면인 김서림방지면에, 400g의 규정 입경(粒徑)의 모래(연마재 또는 연삭재)를 낙하시키고, 락사 후의 시험편의 표면의 탁도를 헤이즈미터(흐림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JIS T-8147: 2003 8.1e 참조). 이 시험방법에서는, DRY시의 조건하에서 실시한다.
(시험 결과)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초기시(락사 전)에, 본 실시예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큰 차이가 없는 HAZE값이다.
한편, 락사 후에 본 실시예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HAZE값이 분명하게 낮아졌다.
이상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김서림방지 시트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김서림방지 시트에 비해, 열이나 수분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고, 또한 상처도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김서림방지 시트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김서림방지 시트에 비해, 소성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또한 휜 상태에서 바이저 쉴드의 내벽면에 부착한 후에도, 휘기 전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높은 복원력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되며, 발명의 범위를 망라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개시되는 발명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명확히,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실시형태는,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의 적용을 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기재되었다. 이로 인해 당업자가,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변형예 3)
상기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로 기판이 구성된 부착 시트(10)는 고습도 환경하에서 탄력성을 유지하는 한편,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채용할 수 있다. 즉,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의 내벽면에, 적어도 부착 시트(10)의 내벽면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적어도 부착 시트(10)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예를 들면, 부착 시트(10)의 길이방향의 양단)가 고정수단에 의해 내벽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넓어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부착 시트(10)의 주변부에 형성된 탄성 점착층 또는 점착 실링일 수 있고,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일 수도 있다.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의 내벽면을 따라 휜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 시트(10)을 고정시킨 경우, 만일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가 변형되어 복수의 고정수단 사이의 거리가 넓어졌다 하더라도, 부착 시트(1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수단과 부착 시트(1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부착 시트(10)의 탈락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부착 시트(10)는 그 단부에 있어서, 고습도 환경하에서도,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비교예에 비해 작기 때문에, 고정수단의 규제 방향은, 내벽면을 따르는 외측 방향만으로 충분하다.
도 17은, 변형예 3의 부착 시트(10) 및 그 부착 방법을 예시하는 도이다. 본례에서는, 부착 시트(10)에 점착층(120)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도 1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부착 시트(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단부 노치(norch)(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쉴드(9)의 내벽면에는, 2개의 고정 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고정 돌기(22) 사이의 거리는, 도 1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쉴드(9)의 내벽면을 따라 부착 시트(10)를 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정도이다. 단부 노치(130)는, 고정 돌기(22)와 접촉하고 있을 수 있고, 약간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례에서의 부착 방법은, 도 17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부착 시트(10)를 휜 상태에서, 쉴드(9)의 내벽면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돌기(22)에, 부착 시트(10)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단부 노치(13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17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부(단부 노치(1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부착 시트(10)를 쉴드(9)의 내벽면으로 가압한다.
부착 시트(10)의 외연부에 탄성 점착층인 점착층(120) 또는 점착 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착 시트(10)를 쉴드(9)의 내벽면에 단단히 가압하여 점착 시킨다. 부착 시트(10)의 외연부에 점착층(120) 또는 점착 테이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착 시트(10)의 단부 노치(130)에, 쉴드(9)의 내벽면의 고정 돌기(22)를 단단히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 돌기(22)를 부착 시트(10)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기구로 이용하고 있다.
1 헬멧
9 쉴드
10 부착 시트
100 기재 시트
105 김서림방지층
120 점착층
2 고글
8 렌즈
20 고정부
122 실링층
130 단부 노치
22 고정 돌기

Claims (12)

  1. 요곡면에 대하여 곡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부착하는 부착 시트로서,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을 갖는 부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김서림방지층을 합한 두께가 5.0mm 이하인 부착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곡면은, 바이저 쉴드 또는 고글 렌즈의 내벽면이고,
    상기 기판의 두께는, 0.2mm 이상 1.0mm 이하인 부착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곡면은, 매끄러운 삼차원 요곡면이고,
    상기 기판의 두께는, 0.2mm 이상 0.6mm 이하인 부착 시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방지층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화학결합된 친수성의 김서림방지막인 부착 시트.
  6. 바이저 쉴드와,
    상기 바이저 쉴드의 요곡면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와,
    상기 바이저 쉴드의 요곡면에 상기 부착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을 갖고,
    상기 부착 시트는,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을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러한 양단에서 상기 바이저 쉴드에 고정되는,
    헬멧.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이저 쉴드와 상기 부착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저 쉴드와 상기 부착 시트의 적어도 일방과 대향되는 면에 볼록 곡면을 갖는 탄성 점착층인 헬멧.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 쉴드는,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휘어진 상태의 상기 부착 시트의 양단을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헬멧.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상기 부착 시트의 외연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탄성 점착층인 헬멧.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보다,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높게 솟아오른 탄성 점착층 또는 폭이 넓은 탄성 점착층인 헬멧.
  11. 고글 렌즈와,
    상기 고글 렌즈의 요곡면에 부착되는 부착 시트와,
    상기 고글 렌즈의 요곡면에 상기 부착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을 갖고,
    상기 부착 시트는,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을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적어도 상기 부착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러한 양단에서 상기 고글 렌즈에 고정되는,
    고글.
  12. 두께 0.1mm 이상 5.0mm 이하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김서림방지층을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상기 김서림방지층이 형성된 면을 요곡면이 되도록 휜 상태에서, 피부착 요곡면에 고정시키는 스텝,
    을 갖는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방법.
KR1020177030072A 2015-03-19 2016-03-18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KR102509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6792 2015-03-19
JP2015056792 2015-03-19
PCT/JP2016/058802 WO2016148291A1 (ja) 2015-03-19 2016-03-18 取付シート、ヘルメット、ゴーグル、及び、防曇シート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870A true KR20170129870A (ko) 2017-11-27
KR102509778B1 KR102509778B1 (ko) 2023-03-14

Family

ID=5691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072A KR102509778B1 (ko) 2015-03-19 2016-03-18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77992A1 (ko)
EP (1) EP3272241B1 (ko)
JP (1) JP6730562B2 (ko)
KR (1) KR102509778B1 (ko)
CN (1) CN107427099A (ko)
TW (1) TWI730956B (ko)
WO (1) WO201614829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747A (ko) * 2017-12-20 2019-06-28 (주)아이엠 결로 방지 초박막형 고글용 발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90111448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부착용 방담필름
KR20210048114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스포컴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KR20210053828A (ko) * 2019-10-23 2021-05-12 주식회사 스포컴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KR102362515B1 (ko) 2021-04-05 2022-02-15 (주)해원티앤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3459A4 (en) 2014-05-11 2017-06-21 Addon Optics Ltd. Adhesive optical film to convert an eyeglass lens to a progressive lens
CN108873376A (zh) * 2018-06-29 2018-11-23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防雾护目镜
CN109011425B (zh) * 2018-09-05 2020-07-21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除雾泳镜
US11378821B2 (en) 2019-09-26 2022-07-05 AddOn Optics Ltd. Progressiv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11544792A (zh) * 2020-05-18 2020-08-18 安徽众衣联供应链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一次性卫生防疫面罩
CN113455754A (zh) * 2021-05-11 2021-10-01 严妹妹 一种防水透气型防护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823A (ja) * 2003-09-12 2005-04-14 Opticos Srl 曇り止めシールドアセンブリ
JP2010518270A (ja) 2007-02-09 2010-05-27 エイチディー インスピレー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 バイザーオーバーレイ組立体
JP2010540787A (ja) 2007-09-27 2010-12-24 エイチディー インスピレー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 バイザ及びその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54777B (ko) * 1971-09-22 1973-03-26 Conort Eng Ab
US4047249A (en) * 1975-12-29 1977-09-13 Booth Robert G Protective helmet and face shield assembly therefor
US4076373A (en) * 1976-03-10 1978-02-28 E. D. Bullard Company Method of and means for shielding the lens of a face mask
JPS60250927A (ja) * 1984-05-28 1985-12-11 Mitsubishi Gas Chem Co Inc 防曇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の製法
US4716601A (en) * 1986-08-05 1988-01-05 Scott Usa Limited Partnership, A Washington Limited Partnership Tear-off lens system and method for goggles
US5018223A (en) * 1989-09-20 1991-05-28 John R. Gregory Non-fogging goggles
US5163185A (en) * 1991-06-21 1992-11-17 Hodnett Jack L Helmet with interchangeable lenses
JP3004795B2 (ja) * 1992-02-10 2000-01-31 早川ゴム株式会社 防曇性フィルムの使用方法および透明成形品の防曇構造
JPH073515A (ja) * 1993-06-10 1995-01-06 Sutaaraito Kogyo Kk 顔面保護カバー付きヘルメ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NL9402012A (nl) * 1994-11-30 1996-07-01 Dereks Patent Bv Anti-condens vizier.
US5642530A (en) * 1996-05-03 1997-07-01 John R. Gregory Non-fogging goggles
NL1012896C2 (nl) 1999-08-24 2001-03-06 Dereks Patent Bv Viziersamenstel.
DE19952219C2 (de) * 1999-10-29 2003-07-03 Uvex Sports Gmbh & Co Kg Visier für einen Helm, insbesondere einen Motorradhelm
US6870686B2 (en) * 1999-11-24 2005-03-22 Bart Wilson Stack of clear laminated removable lenses for reducing surface drag on airfioils
US6640346B2 (en) * 2001-04-13 2003-11-04 Henri Dufresne Visor protector
TWM279322U (en) * 2005-06-14 2005-11-01 Chia-Hsuan Huang Wireless rechargeable type cleaner
JP4835183B2 (ja) * 2006-02-08 2011-12-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体およびバリア層
ITBG20070050A1 (it) * 2007-10-31 2009-05-01 Ci Erre E S R L Struttura di visiera
US8166576B2 (en) * 2008-05-21 2012-05-01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and helmet having the same
US8176913B2 (en) * 2008-12-02 2012-05-15 Rpb Safety, Llc Respirator helmet with quick release safety lens
JP5222227B2 (ja) 2009-05-22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IT1394493B1 (it) * 2009-07-03 2012-07-05 Righi Sistema di ritenzione per visiere
JP5468469B2 (ja) * 2010-06-03 2014-04-09 株式会社Shoei シールドへの防曇シート取り付け構造
JP4858736B2 (ja) * 2011-05-31 2012-01-18 山本光学株式会社 水中ゴーグル
US9301879B2 (en) * 2011-10-18 2016-04-05 Abominable Labs, Llc Goggle with easily interchangeable lens that is adaptable for heating to prevent fogging
WO2014078380A1 (en) * 2012-11-13 2014-05-22 Alphamicron Incorporated Attachable optical element arrangement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823A (ja) * 2003-09-12 2005-04-14 Opticos Srl 曇り止めシールドアセンブリ
JP2010518270A (ja) 2007-02-09 2010-05-27 エイチディー インスピレー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 バイザーオーバーレイ組立体
JP2010540787A (ja) 2007-09-27 2010-12-24 エイチディー インスピレー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 バイザ及びその製作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747A (ko) * 2017-12-20 2019-06-28 (주)아이엠 결로 방지 초박막형 고글용 발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90111448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부착용 방담필름
KR20210048114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스포컴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KR20210053828A (ko) * 2019-10-23 2021-05-12 주식회사 스포컴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고해상도 렌즈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글
KR102362515B1 (ko) 2021-04-05 2022-02-15 (주)해원티앤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2241A1 (en) 2018-01-24
TW201633941A (zh) 2016-10-01
CN107427099A (zh) 2017-12-01
KR102509778B1 (ko) 2023-03-14
TWI730956B (zh) 2021-06-21
US20180077992A1 (en) 2018-03-22
JPWO2016148291A1 (ja) 2018-02-15
JP6730562B2 (ja) 2020-07-29
WO2016148291A1 (ja) 2016-09-22
EP3272241A4 (en) 2018-10-17
EP3272241B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9870A (ko)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TWI357513B (ko)
US9760121B2 (en) Method for using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KR101383438B1 (ko) 펠리클
RU2480340C1 (ru) Водоотталкивающая пленка и дета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ключающая пленку
US4414693A (en) Optical devices for use in moisture laden atmosphere
JP2006154571A5 (ko)
EP2942694A1 (en)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TWI649199B (zh) 透明積層體
US20080166953A1 (en) Adhesive Tape For Fixing Lens and Method For Processing Lens Using the Same
JP6442733B2 (ja) 貼付シート、ヘルメット、及び製造方法
AU2022206774A1 (en) Anti-Fog Lens Covering Systems
US5266978A (en) Spectacle frame
US20110007394A1 (en) Anti-fog instrument for swimming goggles
KR200441214Y1 (ko) 물안경용 김서림방지구
KR20170068265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US69513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water condensation on hard surfaces
JP3233845U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変色シールドの構造
JP2010049281A (ja) 眼用光学構造物
JP2004294719A (ja) 重合レンズ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832907A (zh) 防霧鏡片及其製作方法
JP2016123693A (ja) 顔面保護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