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515B1 -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 Google Patents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515B1
KR102362515B1 KR1020210044122A KR20210044122A KR102362515B1 KR 102362515 B1 KR102362515 B1 KR 102362515B1 KR 1020210044122 A KR1020210044122 A KR 1020210044122A KR 20210044122 A KR20210044122 A KR 20210044122A KR 102362515 B1 KR102362515 B1 KR 10236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g
shape
uni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배
Original Assignee
(주)해원티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원티앤디 filed Critical (주)해원티앤디
Priority to KR102021004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광학제품의 렌즈(LZ)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S)에 있어서, 상기 시트유니트(S)는 합성수지재 필름시트의 다층 레이어이며, 최하단 레이어로서 베이스시트(10),상기 베이스시트(10)와 제1점착면(A1)에 의하여 점착되는 보호시트(20) 및 상기 보호시트(20)의 중앙부에 동일 시트면 상에 박리형상(SH)을 가지도록 타발되고 폭방향의 절단선인 박리라인(L)을 가지는 보호박리시트(25), 상기 보호박리시트(25)와 제2점착면(A2)에 의하여 점착되고 안티포그를 수행하는 방담재 필름으로서 상기 박리형상(SH)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박리형상(SH)의 일단이 절단된 지문방지절단부(35)를 가지는 안티포그시트(30) 및 상기 안티포그시트(30)의 동일 시트면의 상단부에 타발되어 상기 렌즈면에 부착되도록 광학면부착형상(AS)을 가지는 안티포그피스(P), 상기 안티포그시트(30) 및 안티포그피스(P)와 제3점착면(A3)에 의하여 점착되고 상기 박리형상(SH)과 동일한 형상의 핸들링시트(40), 상기 핸들링시트(40) 시트면 상의 상단부에 상기 박리형상(SH)의 일부형상체로서 상기 렌즈(LZ)로의 부착 시에, 시각적인 안내부가 되도록 접착되는 별도의 착색시트, 상기 핸들링시트(40)의 색상도포인쇄면, 도트를 가지는 인쇄면, 가이드선을 가지는 인쇄면의 어느 하나인 가이드시트(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ANTI-FOG SHEET UNIT FOR OPTICAL PRODUCTS}
본 발명은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고글, 오토바이용의 헬멧의 윈도우실드 등의 광학면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 시의 날숨에 의한 광학 렌즈면으로의 김서림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안티포그 시트유니트(Sheet unit)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체의 안구에 근접하여 사용하는 안경, 각종 스포츠용 및 의학용 등의 고글, 오토바이용 헬멧에서의 윈도우실드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호흡 중 날숨의 수분이 광학면 특히, 렌즈면에 부착함에 의한 흐려짐현상은 불가피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종래로부터 각종의 안티포그(Anti-Fog)제, 소위 방담(防淡)제가 화학적인 성분으로 제조되어 도포용의 약제 또는 필름 형태의 시트로서 개발되어 왔고, 다양한 제품이 종래로부터 시장에 출시되어 있다.
방담용의 안티포그 필름형의 시트는 적의의 크기로 절단되어 각종의 안티포그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전달되어 제품화되고 있으며, 제조업체에서는 이를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로서 절단하여 비닐시트 등의 이형지에 점착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형지인 시트로부터 역시 필름과 같은 시트재인 안티포그 시트를 박리하고자 하는 경우,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나아가 박리 시에 안티포그 시트의 주변부(에지부)를 따라서 먼지와 손가락의 지문 등이 극히 부착 내지는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하여 광학면으로의 방담시트의 부착 시에 부착을 실패하거나 부착하는 경우에도 먼지, 이물질, 지문 등에 의하여 흐려지는 자국이 발생함으로써 그 사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다발하였다.
또한, 부가적인 문제점으로서는 안경의 경우, 이형지로부터 박리된 안티포그 시트를 유효한 광학면에 부착하기가 어렵고, 촛점영역과 다른 위치에 부착 시에는 오히려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형지로부터 안티포그 시트를 실패없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광학면의 촛점영역에 유효하게 부착이 가능한 구성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 또는 그러한 시트를 수용하는 유니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이 속하는 동일,유사한 기술영역의 선원은 하기와 같다.
제 1의 선원의 특허문헌으로서는, 한국 특허 제10-1800135호의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한 이종 방담성을 갖는 방담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있으며 본 선원에서는, 폴리프로필렌 40 내지 60 중량부, 방담제 5 내지 10 중량부,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하며 방담층의 양 표면에 서로 다른 방전전압과 방전전류로 코로나 처리하여 서로 다른 표면장력을 갖도록 형성한 방담층(10); 상기 방담층(10)의 양면에 부착되며 폴리에틸렌계(PE)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PP)필름 중에서 선택되며 내부에 방담제가 혼합되는 보호층(20, 30); 상기 보호층(20)의 표면에는 접착제층(40)이 형성된 인쇄층(50);을 포함하되, 상기 방담층(10)의 두께가 10일 때 각각의 보호층(20, 30)의 두께는 5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적층 구성하여 방담층 양면에 서로 다른 강도의 코로나 처리를 통한 필름 내부에 포함된 방담제의 이형 정도를 조절하여 야채 및 과일이나 육류의 포장시 포장물의 호흡이나 포장 내외면의 온도차이 등으로 인하여 필름 내측에 수분이 응축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포장물의 식별력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한 이종 방담성을 갖는 방담필름을 제공하여 일반적인 농업용의 필름으로서의 방담재를 제공하고 있다.
제 2의 특허문헌으로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29870호의 2000-0052022호의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이 있으며 본 선원에서는, 요곡면에 대하여 곡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부착하는 부착 시트로서,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 을 갖는 부착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제 3의 특허문헌으로서는, 일본 공개실용신안 특개평 제 5-11127호의, '안경의 김서림 방지시트'를 제공하고, 고무 주걱 등에 의한 안경의 렌즈로의 접착 작업 시에 렌즈의 손상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으면서 구석구석까지 공기 혼입이 없는 확실한 접착을 할 수 있어 취급 도상에 있어서 김서림 방지 효과가 저하할 우려도 없어서 취급하기 쉬운 안경의 흐림 방지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캐리어의 상면에 김서림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그 하면에 안경에 대한 접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김서림방지 수단과 접착 수단에 상면 및 하면 보호 필름을 박리 가능하게 피복한 안경의 흐림 방지 시트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 수단을 피복하는 상면 보호 필름을 상기 접착 수단을 피복하는 하면 보호 필름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국 특허 제10-1800135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29870호 일본 공개실용신안 특개평 제 5-11127호
상술하는 제 1의 선원의 특허문헌에서는,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한 이종 방담성을 갖는 방담필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방담제가 혼입된 방담필름의 양면에 서로 다른 강도의 코로나 처리를 통하여 방담제(anti fogging)가 필름 표면으로 이행되는 속도와 양을 조절함으로서 필름 양 면에 서로 다른 표면성질을 제공하여 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가 용이하거나 또는 인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합기능을 갖는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한 이종 방담성을 갖는 방담필름에 관한 것이나, 통상적인 농업용의 비닐하우스 등에 채용되는 방담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영역과는 그 목적 및 효과를 달리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두께 0.1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면보다 곡률이 작은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적어도 상기 요곡면에 부착된 경우에 당해 요곡면과 대향되지 않는 면에 형성된 김서림방지층을 가짐으로서 기하학적인 형상의 구성에 의한 개선된 부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나, 본원과 같은 광학면으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은 아니다.
나아가, 특허문헌 3에서는 손상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으면서 구석구석까지 공기 혼입이 없는 확실한 접착을 할 수 있어 취급 도상에 있어서 김서림 방지 효과가 저하할 우려도 없어서 취급하기 쉬운 안경의 흐림 방지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구성에서는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와 달리하고 있어서 별이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선원의 기술과는 상이한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는 개선된 시트유니트의 레이어 구성의 변경을 통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광학면으로의 부착을 극히 용이하게 하고 최적의 부착을 도모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광학제품의 렌즈(LZ)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S)에 있어서,
상기 시트유니트(S)는 합성수지재 필름시트의 다층 레이어이며, 최하단 레이어로서 베이스시트(10), 상기 베이스시트(10)와 제1점착면(A1)에 의하여 점착되는 보호시트(20) 및 상기 보호시트(20)의 중앙부에 동일 시트면 상에 박리형상(SH)을가지도록 타발되고 폭방향의 절단선인 박리라인(L)을 가지는 보호박리시트(25), 상기 보호박리시트(25)와 제2점착면(A2)에 의하여 점착되고 안티포그를 수행하는 방담재 필름으로서 상기 박리형상(SH)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박리형상(SH)의 일단이 절단된 지문방지절단부(35)를 가지는 안티포그시트(30) 및 상기 안티포그시트(30)의 동일 시트면의 상단부에 타발되어 상기 렌즈면에 부착되도록 광학면부착형상(AS)을 가지는 안티포그피스(P), 상기 안티포그시트(30) 및 안티포그피스(P)와 제3점착면(A3)에 의하여 점착되고 상기 박리형상(SH)과 동일한 형상의 핸들링시트(40), 상기 핸들링시트(40) 시트면 상의 상단부에 상기 박리형상(SH)의 일부형상체로서 상기 렌즈(LZ)으로의 부착 시에, 시각적인 안내부가 되도록 접착되는 별도의 착색시트, 상기 핸들링시트(40)의 색상도포인쇄면, 도트를 가지는 인쇄면, 가이드선을 가지는 인쇄면의 어느 하나인 가이드시트(50)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시트를 점착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하여 상기 렌즈(LZ)로의 상기 안티포그피스(P)의 부착 시에 사용자의 지문 또는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기본적인 시트유니트(S)의 레이어구성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시트는 방담재 필름인 안티포그피스(P)를 제외하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이며, 상기 PET 시트는 TVLT 85 % 이상, 헤이즈(Haze) 2.0 이하이고,
상기 제1점착제(A1), 제2점착제(A2), 제3점착제(A3)는 실리콘(Si)계 점착제이며, 점착력이 5.0 ~ 30.0 gf 범위 내의 값을 가지는 것,
상기 베이스시트(10), 상기 안티포그시트(30: 상기 안티포그피스(P)를 포함), 상기 핸들링시트(40)는 투명한 시트이고, 상기 보호시트(20) 및 상기 가이드시트(50)는 유색의 착색시트인 것,
상기 베이스시트(10)는 75 ~100 μm, 상기 보호시트(20)는 75 ~100 μm, 상기 안티포그시트(30)는 23 ~ 50 μm, 상기 핸들링시트(40)는 50 ~ 75 μm, 접착시트일 경우의 상기 가이드시트(50)는 23 ~ 50 μm 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
상기 안티포그피스(P)는 상기 렌즈(LZ)보다 80 % 이하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렌즈(LZ)의 내면곡율 커브가 1.0 이하인 경우의 상기 안티포그피스(P)의 장반경 - 단반경 크기는 25 mm x 40 mm 이상, 2.0 ~ 3.0 인 경우는 20mm x 35mm ~ 25mm x 40mm, 4.0 이상인 경우는 23 mm x 38mm 이하인 것;
은 선택적이고도 한정적인 부가적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는, 실제적인 광학면으로의 부착 시에 부착 위치의 설정 및 조정이 극히 용이하다.
또한, 광학면으로의 부착을 위하여 이형지로부터 방담재인 안티포그피스를 박리 및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 박리와 부착이 극히 용이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는 안티포그피스의 박리 부착 시에 안티포그피스와 렌즈면의 접착면으로 이물질의 혼입이나, 안티포그피스로의 지문의 형성을 최대한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를 레이어 별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를 레이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 별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b,c는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에서의 가이드시트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핸들링시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를 실제로 안경렌즈부에 시행하는 각 단계별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에서, 베이스시트로부터 보호시트를 포함한 다른 레이어를 함께 박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를 레이어 별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를 레이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 별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b,c는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에서의 가이드시트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핸들링시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를 실제로 안경렌즈부에 시행하는 각 단계별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에서, 베이스시트로부터 보호시트를 포함한 다른 레이어를 함께 박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으로서 순차적으로 또한 함께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부재번호는 상술한 종래 선원의 부재번호와 겹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부재번호가 우선한다.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S)는 시트레이어 자체의 기구적이고 형상적인 구성에 기술적인 사상의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안티포그를 수행하는 부재의 화학적이고 물성적인 기술에 관한 것은 아니며 그러한 기술은 일반적이고도 상용화된 제품에 불과하여 여기에서는 기술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트유니트(S)는 다수의 레이어(Layer)로서 구성된다.
하기의 각각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시트는, 안티포그피스(P)를 제외하고는 그 소재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PET는 그 물성이, 고강도, 고강성 및 경도, 낮은 수분 흡수율, 내크리프성, 낮은 마찰성 및 내마모성, 내가수분해성, 알코올을 함유한 용매 접촉 불가성, 산에 대한 내화학성, 접착성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시트재 자체의 비교적 딱딱한 물성 및 탄성복원성(Stiffness and resilence)이 있어 부착 시의 이하의 설명에서의 박리작업 및 취급성이 좋아 그 사용이 바람직하나, 유사한 물성을 가지는 다른 합성수지재 필름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시트유니트(S)의 각각의 시트에 사용되는 PET필름은 기성품시트로서 두께는 23μm, 50μm, 75μm, 100μm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완성된 시트유니트(S)와 도 2의 레이어 별로 분리된 시트유니트(S), 및 도 3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설명한다.
시트유니트(S)는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며, 최하단에 제공되는 레이어로서 시트유니트(S)의 모재가 되는 대지(Base)로서의 베이스시트(Base Sheet:10)를 다양한 형상(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판상시트체로서 가진다.
베이스시트(10)는 실제적으로 제품화되어 제공되는 전체 시트유니트(S)의 형상을 결정하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직사각형상이 될 것이며 특별한 착색이 없는 PET필름형태의 시트이면 무방하다.
상기의 베이스시트(10)의 상면에는 박리작업면이 되고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취급하는 손잡이가 되는 보호시트(20)가 베이스시트(10)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판상시트체로서 부착되며, 이 부착은 베이스시트(10)와 보호시트(20) 사이에 실리콘(Si)계 점착제가 얇게 도포된 제 1점착면(A1)에 의하여 긴밀하게 점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시트유니트(S)를 구성함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반복적으로 박리 및 부착이 가능한 점착(粘着: Gluing Agent)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의 육안이 접하는 안경, 고글, 위도우실드 등의 광학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클릴계의 점착제는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어 불쾌감을 조성하고 눈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경시성에 따라 변질이 다발하기 때문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호시트(20)는 중앙부에 하술하는 실제 작업부가 되는 작업시트(30)의 형상과 크기를 같이하는 보호박리시트(25)가 보호시트(20)에 대하여 적의의 박리형상(SH:도면에서는 타원)으로 타발된 상태로 보호시트(20)와 동일한 시트 면상에 부착되어 있다.
보호시트(20) 및 중앙부의 타발되는 보호박리시트(25)는 베이스시트(10)로부터 박리되는 부재를 포함하므로 착색된 필름(예를 들면 도 6, 7의 제품사진과 같이 청색)인 것이 바라직하다.
즉, 보호시트(20)는 중앙부에 박리형상(SH)으로 타발선(L)을 따라 박리되도록 절개, 타발가공되어 보호박리시트(25) 만을 보호시트(20)로부터 박리하여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호박리시트(25)는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중간 상단부에서 보호박리시트(25)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절단선인 박리라인(F)을 제공하고 이는 하술하는 안티포그시트(30)로부터 보호박리시트(25)를 용이하게 박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한다.
보호시트(20)의 중앙부에 타발되어 일체로 제공되는 보호박리시트(25)의 상면에는 보호박리시트(25)의 형상과 동일하게 다른 공정과정에서 동일한 박리형상(SH)으로 타발되어 제공되는 안티포그시트(30)가 제공된다.
안티포그시트(30)는 실제적인 안티포그기능(방담기능)을 수행하는 방담재의 상용화된 필름을 사용하며, 안티포그시트(30)는 보호박리시트(25)와 동일한 형상의 박리형상(SH)이나 그 일단이 절단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지문방지절단부(35)를 가지도록 형상된다.
지문방지절단부(35)를 제공함으로써 하술하는 핸들링시트(40)의 취급 시에 핸들링시트(40)와 하술의 핸들링시트(40)를 손가락으로 박리하여 내는 경우, 지문방지절단부(35)가 보호박리시트(25)와 핸들링시트(40)를 공백부로 구성함으로써 안티포그시트(30)에 점착제로 인한 지문의 형성을 방지하게 된다.
안티포그시트(30)와 보호시트(20: 보호박리시트(25)를 동일 시트 면상에 포함.) 사이에는 제2첨착면(A2)이 역시 동일하게 실리콘계의 점착제가 얇게 도포되어 제공된다.
안티포그시트(30)는 실제로 안경의 렌즈(LZ) 등의 각종의 광학면에 부착되어 안티포그기능을 수행하는 주요한 독립부재가 되는 안티포그피스(P)를 그 시트면 상에 일체로 가지며, 안티포그피스(P)는 광학면부착형상(AS)을 가지도록 안티포그시트(30)가 타발되어 동일한 시트면에 있는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된다.
이는 안티포그시트(30)를 구성하는 통상적인 방담용 필름은 연성이 있고 흡수성을 가지므로, 안티포그피스(P) 만을 레이어 사이에 개재하는 작업이 극히 어려우므로 안티포그시트(30)의 절개된 일부로서 제공함으로써 취급의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안티포그피스(P)는 필름 상의 안티포그를 위한 코팅부의 두께가 1.5 ~ 5.0um 이면 수분흡습성이 보장되고 열경화형을 채용하는 것이 UV 경화형에 비하여 역시 냄새가 없고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안티포그피스(P)는 TVLT 85 % 이상, 헤이즈(Haze) 2.0 이하인 것이 좋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티포그시트(30)의 상면에는 역시 보호박리시트(25)의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타발되어 제공되는 핸들링시트(40)가 제3점착면(A3)을 개재하여 제공된다. 핸들링시트(40)는 바람직하게는 무색의 필름시트로 하여 착색재인 보호시트(20)를 베이스시트(10) 및 보호시트(20)로부터 박리되는 보호박리시트(25) - 안티포그시트(30)가 박리된 상태를 용이하게 사용자의 육안으로 파악하게 한다.
핸들링시트(40) 상면에는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광학면에 부착하는 경우, 시각적인 안내부가 되는 가이드시트(50)가 제공된다.
가이드시트(50)는 각각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시트(20) - 핸들링시트(40)가 형성하는 박리형상(FS)의 일측(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상단부)에 박리형상(FS)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별도로 부착되는 시트재 또는 착색된 필름재이거나 프린트면일 수 있다.
가이드시트(50)는 상술한 안티포그시트(30)의 타발된 안티포그피스(P)의 외주단부(P-1)가 가이드시트(50)의 외주내연부(50-1)에 위치하도록, 가이드시트(50)와 안티포그시트(30)는 그 위치가 설정된다.
가이드시트(50)는 바람직하게는 박리보호시트(25)의 착색된 색상과는 시각적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다른 다양한 색상(도 7,8의 제품의 사진에서는 황색)이며,
이는 도 5에서와 같은 안경의 렌즈(LZ) 면으로의 부착 시에 촛점영역인 렌즈(LZ)의 중앙부에 안티포그시트(30)의 타발 부분인 안티포그피스(P)를 정확하게 부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시각적인 가이드라인이 된다.
따라서, 가이드시트(50)는 핸들링시트(40)에 점착될 필요가 없으며, 접착제 및 열접착으로 부착된 필름재로서 제공하거나, 다른 실시 구성으로서는 가이드시트(50)는 단순히 안경의 렌즈(LZ) 면으로의 안티포그피스(P)를 정확하게 부착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므로 핸들링시트(40) 해당 위치에 구분을 위한 수단으로서,
도 5a에서와 같이, 착색을 가지는 전체 색상도포인쇄면이거나, 도 5b에서와 같이 도트를 가지는 인쇄면, 도 5c와 같이 가이드넘버를 인쇄한 가이드선을 가지는 인쇄면일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가이드시트(50)를 핸들링시트(40) 상의 인쇄면으로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시트(50)는 불요하게 되어 전체적인 시트들의 레이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하는 각각의 시트의 레이어의 구성에 따라 전체적인 레이어는 하방 레이어로부터 상방레이어의 순서는 도 4와 같으며 하기의 순서대로 형성된다.
투명한 베이스시트(10) - 제1점착면(A1) - 착색된 보호시트(20)( 중앙부에 타발된 보호박리시트(25)를 동일 시트면 상에 가진다.) - 제2점착면(A2) - 안티포그 필름인 안티포그시트(30)( 중앙부에 실제 광학면으로의 부착부재인 타발된 안티포그피스(P)를 동일 시트면 상에 가진다.) - 제3점착면(A3) - 투명한 핸들링시트(40)- 접착 또는 프린트되는 착색재 또는 도형이 인쇄된 인쇄면을 가지는 가이드시트(50)가 다층의 레이어를 구성하여 전체 시트유니트(S)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제 1점착면(A1), 제 2점착면(A2), 제 3점착면(A3)에 도포되는 실리콘계의 점착제는 그 점착력이 5.0 ~ 30.0 gf 정도인 것이 부착형상의 유지 및 박리의 용이성으로 보아 바람직하였다.
또한, 각각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시트는 작업성이나 원가적인 측면에서 최적화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시장에 출시되는 PET 필름의 두께는 몇가지로 정형화되어 있어 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없고, 기성품의 PET 필름의 두께 중, 실험적으로 얻어진 최적의 각 시트의 두께는 하기와 같다.
베이스시트(10)는 75 ~100 μm, 보호시트(20)는 75 ~100 μm, 안티포그시트(30)는 23 ~ 50 μm, 핸들링시트(40)는 50 ~ 75 μm, 접착시트일 경우의 가이드시트(50)는 23 ~ 50 μm 로 하는 것이 좋다.
역시, 기본 베이스인 베이스시트(10)와 보호시트(20)가 75 ~ 100 μm로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최적이었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광학면, 예를 들면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 6에서와 같은 안경의 렌즈(LZ) 면으로의 부착 시에 촛점영역인 렌즈(LZ)의 중앙부에 안티포그시트(30)의 타발 부분인 안티포그피스(P)를 부착하여야 하고, 안티포그피스(P)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또한, 렌즈(LZ)의 촛점영역은 대부분 곡률을 가지므로 안티포그피스(P)가 렌즈(LZ)에 부착되고 부착 후의 점착 유지를 위하여서는 불가불 안티포그피스(P)의 면적은 제한되어야 한다.
이 역시 기성품의 방담필름으로 제조되는 안티포그피스(P)의 크기는 렌즈(LZ)의 곡률에 따라서 하기와 같은 최적값이 발견되었다.
안경 등의 광학제품의 렌즈(LZ)의 형상은 타원형, 원형, 마름모형 등으로 다양할 수 있고, 안티포그피스(P)는 렌즈(LZ)의 크기보다 80 % 이하의 면적을 가져야 한다.
또한, 렌즈(LZ)의 내면곡율 커브가 1.0 이하인 경우는 안티포그피스(P)의 면적크기는 타원형, 원형, 마름모형의 렌즈(LZ)의 장반경 - 단반경 크기는 25 mm x 40 mm 이상, 2.0 ~ 3.0 인 경우는 20 x 35mm ~ 25 x 40mm, 4.0 이상인 경우는 23 mm x 38mm 이하여야 하였다. 이는 안티포그피스(P)를 구성하는 안티포그 필름의 탄성적인 물성(Stiffness)에 의하여 곡률에 따른 유효한 면적크기를 제한하여 부착성 및 부착후 점착유지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의 값이다.
도 7,8에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실제적인 제품형상이 도시되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의 완성된 예시적인 제품의 사진으로서 포장작업 이전의 제품을 도시하고 가공 공정 상의 타발안내를 위한 타발공이 천공되어 있다.
도 8은 베이스시트(10)로부터 보호시트(20) - 안티포그시트(30) - 핸들링시트(40) - 가이드시트(50)의 시트어레이들을 박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10: 베이스시트
20: 보호시트
25: 보호박리시트
30: 안티포그시트
40: 핸들링시트
50: 가이드시트
S: 시트유니트

Claims (6)

  1. 광학제품의 렌즈(LZ)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S)에 있어서,
    상기 시트유니트(S)는 합성수지재 필름시트의 다층 레이어이며,
    최하단 레이어로서 베이스시트(10),
    상기 베이스시트(10)와 제1점착면(A1)에 의하여 점착되는 보호시트(20) 및 상기 보호시트(20)의 중앙부에 동일 시트면 상에 박리형상(SH)을 가지도록 타발되고 폭방향의 절단선인 박리라인(L)을 가지는 보호박리시트(25),
    상기 보호박리시트(25)와 제2점착면(A2)에 의하여 점착되고 안티포그를 수행하는 방담재 필름으로서 상기 박리형상(SH)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박리형상(SH)의 일단이 절단된 지문방지절단부(35)를 가지는 안티포그시트(30) 및 상기 안티포그시트(30)의 동일 시트면의 상단부에 타발되어 상기 렌즈(LZ)의 부착부에 부착되도록 광학면부착형상(AS)을 가지는 안티포그피스(P),
    상기 안티포그시트(30) 및 안티포그피스(P)와 제3점착면(A3)에 의하여 점착되고 상기 박리형상(SH)과 동일한 형상의 핸들링시트(40),
    상기 핸들링시트(40) 시트면 상의 상단부에 상기 박리형상(SH)의 일부형상체로서 상기 렌즈(LZ)으로의 부착 시에, 시각적인 안내부가 되도록 접착되는 별도의 착색시트, 상기 핸들링시트(40)의 색상도포인쇄면, 도트를 가지는 인쇄면, 가이드선을 가지는 인쇄면의 어느 하나인 가이드시트(50);
    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시트를 점착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하여 렌즈(LZ)로의 상기 안티포그피스(P)의 부착 시에 사용자의 지문 또는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시트는 방담재 필름인 안티포그피스(P)를 제외하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이며, 상기 안티포그피스(P)는 TVLT 85 % 이상, 헤이즈(Haze)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면(A1), 제2점착면(A2), 제3점착면(A3)을 형성하도록 도포되는 점착제는 실리콘(Si)계이며, 점착력이 5.0 ~ 30.0 gf 범위 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10), 상기 안티포그시트(30: 상기 안티포그피스(P)를 포함), 상기 핸들링시트(40)는 투명한 시트이고, 상기 보호시트(20) 및 상기 가이드시트(50)는 유색의 착색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10)는 75 ~100 μm, 상기 보호시트(20)는 75 ~100 μm, 상기 안티포그시트(30)는 23 ~ 50 μm, 상기 핸들링시트(40)는 50 ~ 75 μm, 접착시트일 경우의 상기 가이드시트(50)는 23 ~ 50 μm 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포그피스(P)는 상기 렌즈(LZ)의 면적 대비, 80 % 이하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렌즈(LZ)의 내면곡율 커브가 1.0 이하인 경우의 상기 안티포그피스(P)의 장반경 - 단반경 크기는 25 mm x 40 mm 이상, 2.0 ~ 3.0 인 경우는 20mm x 35mm ~ 25mm x 40mm, 4.0 이상인 경우는 23mm x 38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KR1020210044122A 2021-04-05 2021-04-05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KR10236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22A KR102362515B1 (ko) 2021-04-05 2021-04-05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22A KR102362515B1 (ko) 2021-04-05 2021-04-05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515B1 true KR102362515B1 (ko) 2022-02-15

Family

ID=8032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122A KR102362515B1 (ko) 2021-04-05 2021-04-05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51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27A (ja) 1991-07-01 1993-01-19 Toray Ind Inc プラスチツク光フアイバの溶融紡糸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11127U (ja) * 1991-07-24 1993-02-12 有限会社生野工芸 メガネの曇り止めシ−ト
KR200250325Y1 (ko) * 2001-07-23 2001-11-17 이세엽 안경 부착식 김서림 방지용 박막 구조체
KR200441214Y1 (ko) * 2008-03-11 2008-07-30 송기석 물안경용 김서림방지구
KR20170129870A (ko) 2015-03-19 2017-11-27 윈즈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KR101800135B1 (ko) 2016-11-16 2017-12-20 소윤섭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한 이종 방담성을 갖는 방담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1448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부착용 방담필름
KR20200007245A (ko) * 2018-07-12 2020-01-22 율촌화학 주식회사 습기차단성 점착 필름 및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27A (ja) 1991-07-01 1993-01-19 Toray Ind Inc プラスチツク光フアイバの溶融紡糸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11127U (ja) * 1991-07-24 1993-02-12 有限会社生野工芸 メガネの曇り止めシ−ト
KR200250325Y1 (ko) * 2001-07-23 2001-11-17 이세엽 안경 부착식 김서림 방지용 박막 구조체
KR200441214Y1 (ko) * 2008-03-11 2008-07-30 송기석 물안경용 김서림방지구
KR20170129870A (ko) 2015-03-19 2017-11-27 윈즈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 부착 시트, 헬멧, 고글, 및, 김서림방지 시트의 부착 방법
KR101800135B1 (ko) 2016-11-16 2017-12-20 소윤섭 양면 코로나 처리를 통한 이종 방담성을 갖는 방담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1448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제이와이에스앤텍 부착용 방담필름
KR20200007245A (ko) * 2018-07-12 2020-01-22 율촌화학 주식회사 습기차단성 점착 필름 및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579B2 (en) Varnish-coated release liner
TWI488616B (zh) 隱形鏡片包裝及容納單一未使用隱形鏡片的隱形鏡片包裝
US6984037B2 (en) Eyewear
EP2273900B1 (en) Printable form having durable resistant wristband and labels
JP5805901B1 (ja) 皮膚シール
TW201944932A (zh) 具尺寸標示之人工指甲
JP2018149295A (ja) フェイスガード用シールド及びフェイスガード
JP2009195410A (ja) まぶた装粧具とその製造方法
KR102362515B1 (ko) 광학제품용 안티포그 시트유니트
JP6181052B2 (ja) ラベルアセンブリ
JP5667318B1 (ja) 装飾具
US20160286935A1 (en) Eye makeup kit
US9651798B1 (en) Thermoplastic film to prevent eyeglasses from slippage
JP4831489B2 (ja) Rfidラベル
US20110007394A1 (en) Anti-fog instrument for swimming goggles
JP6583859B2 (ja) ゴーグル用シールド及びゴーグル
KR101654309B1 (ko) 네임 스티커 제조 방법
JPH10278183A (ja) 透明貼着体、その製造方法及び貼着物
US5714221A (en) Transferable cover-up articles
KR200381983Y1 (ko) 접착이 간편한 일회용 의료밴드
WO2021250910A1 (ja) フェイスガード
JP3231806U (ja) 衛生用マスクに貼付するノーズフィッター
JP2000218960A (ja) 抗菌性カバー
JP6762696B2 (ja) 医薬品包装体
JPH01122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