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110A - 캠 유닛 및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캠 유닛 및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110A
KR20170128110A KR1020170058179A KR20170058179A KR20170128110A KR 20170128110 A KR20170128110 A KR 20170128110A KR 1020170058179 A KR1020170058179 A KR 1020170058179A KR 20170058179 A KR20170058179 A KR 20170058179A KR 20170128110 A KR20170128110 A KR 2017012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am
carrier
carriers
cam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930B1 (ko
Inventor
토시나오 카토
Original Assignee
테크노 다이나믹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 다이나믹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크노 다이나믹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and guided by paralle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61Puck as articl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8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trains of unconnected load-carriers, e.g. belt sections, movable in a path, e.g. a closed path, adapted to contact each other and to be propelled by means arranged to engage each load-carrier in tur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2019/0613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being a toothed belt or chain engag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을 가지는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는, 원통형 캠, 및 상기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각각 상기 이동 경로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은 상기 제 1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은 상기 제 2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의 맞물림 홈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는 제 1 홈부와 연속하고 제 1 홈부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 유닛 및 이송 장치{CAM UNIT AND CONVEYING DEVIC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캠 유닛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송 대상(object to be conveyed)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가 이미 주지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이송 장치로서 체인 링크를 이용하는 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즉, 이러한 이송 장치는 각각의 이송 대상이 설치되는 복수의 설치부를 가지며 이러한 복수의 설치부는 체인에 의해 커플링되어 있다(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10-285248호).
종래의 이송 장치에서는, 설치부들(이송 대상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항상 일정하게 하면서) 이송 대상을 이송하도록, 복수의 설치부가 체인으로 커플링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같은 제한은 보다 다양한 방식의 이송 요구가 있었을 때조차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35 U.S.C. §119에 따라 2016년 5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96937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이 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캠 유닛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장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는 캠 유닛이며, 상기 캠 유닛은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을 가지는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는, 원통형 캠, 및
상기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으로서, 제 1 원통형 캠 및 제 2 원통형 캠이 상기 이동 경로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은 상기 제 1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은 상기 제 2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의 맞물림 홈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연속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킨다.
전술된 특징 이외의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장점을 더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이송 장치(10)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캐리어(12)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캐리어(12)가 이동 경로(30)를 따라 이동하는 방법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캠 유닛(5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원통형 캠(52)의 타이밍 도면이며;
도 6a는 도 5의 타이밍 A에서의 캐리어(1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b는 도 5의 타이밍 B에서의 캐리어(1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c는 도 5의 타이밍 C에서의 캐리어(1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d는 도 5의 타이밍 D에서의 캐리어(1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e는 도 5의 타이밍 E에서의 캐리어(1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적어도 아래의 내용은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캠 유닛은,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을 가지는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는, 원통형 캠, 및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으로서, 제 1 원통형 캠 및 제 2 원통형 캠이 각각 상기 이동 경로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은 제 1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은 제 2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의 맞물림 홈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연속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캠 유닛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캠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캠 유닛은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1 원통형 캠이 정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이 정지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캠 유닛에 따라, 더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캠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캠 유닛은 이동 경로의 길이보다 더 짧은 원통형 캠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원통형 캠은 상기 이동 경로의 일 부분에만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캠 유닛에 따라, 이동 경로의 일 부분에서만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하기 위한 요구는 이에 따라 비용 이익 등을 감안할 때 충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 장치는
캠 유닛,
복수의 캐리어,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캠 유닛은,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을 가지는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는, 원통형 캠, 및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으로서, 제 1 원통형 캠 및 제 2 원통형 캠이 각각 상기 이동 경로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은 상기 제 1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은 상기 제 2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의 맞물림 홈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연속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상기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송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캠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장치에 따라, 상기 이송 장치의 유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10)
여기서 이송 대상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 장치(10)의 구성 예들이 도 1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이송 장치(10) 전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캐리어(12)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좌측 도면은 주사기(1)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우측 도면은 주사기(1)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캐리어(12)(제 1 캐리어(12a) 및 제 2 캐리어(12b))가 이동 경로(30)를 따라 이동하는 방법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캠 유닛(5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e은 추후 설명된다.
도 2에 표시된 상기 캐리어(12)는 추후 설명될 제 1 및 제 2 캐리어들(12a 및 12b) 중에서 제 2 캐리어(12b)이다. 추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12)는 이동 경로(30)에서 이동하고, 상기 캐리어는 복수(N)의 제 1 캐리어(12a)를 포함하는 세트 및 복수(N)의 제 2 캐리어(12b)를 포함하는 세트가 교대로 배열되지만, 각각의 세트에 포함되는 캐리어(12)의 개수(즉, N의 값)는 임의적이다. 상기 원통형 캠(52)(제 1 원통형 캠(53) 및 제 2 원통형 캠(54))은 상기 캐리어(12)의 개수(N의 값)에 따라 준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리어(12)의 개수(N의 값)가 3개로 추정되어 설명되지만, 단지 도 4는 편의상 캐리어(12)의 개수(N의 값)가 6개일 때의 경우에 대응하는 원통형 캠(52)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10)는 비워진 또는 약물 용액이 충진된 주입 주사기(통상적으로 "주사기(1)"라 함)를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 장치(10)는 복수의(다수의) 캐리어(12), 이동 경로(30), 두 개의 회전하는 이송부(40)(이송부에 대응함), 캠 유닛(5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도시안됨)를 포함한다.
캐리어(12)(또한 "이동 테이블"이라 함)는 캐리어에 설치된 이송 대상으로서 기능하는 주사기(1)를 가지며 상기 캐리어(12)는 이동 경로(3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주사기(1)를 이송한다.
상기 이동 경로(30)는 복수의 캐리어(12) 각각이 그 위에서 이동하는 경로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경로(30)는 두 개의 곡선형 경로(제 1 곡선형 경로(30a) 및 제 2 곡선형 경로(30b)) 및 상기 곡선형 경로를 연결하는 두 개의 직선형 경로(제 1 직선형 경로(30c) 및 제 2 직선형 경로(30d))를 포함한다. 즉, 이동 경로(30)의 단일 회로는 두 개의 곡선형 경로 및 두 개의 직선형 경로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12)는 제 1 곡선형 경로(30a), 제 1 직선형 경로(30c), 제 2 곡선형 경로(30b), 제 2 직선형 경로(30d) 및 제 1 곡선형 경로(30a) 등의 순서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또한, 캐리어들(12) 각각은 서로 독립적이고 커플링되어 있지 않다. 즉, 복수의 캐리어(12)들 각각은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 경로(30)는 전체 원주에 제공된 상부 가이드 홈(31) 및 하부 가이드 홈(32)을 갖는다(도 3 참조). 한편, 캐리어(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상부 롤러(14) 및 하부 롤러(15)를 두 개씩 가진다. 상부 및 하부 롤러(14 및 15)는 상부 가이드 홈(31) 및 하부 가이드 홈(32)에 위치되는 회전 가능한 롤러이다. 상부 롤러(14) 및 하부 롤러(15)는 각각 상부 가이드 홈(31) 및 하부 가이드 홈(32)을 따라 회전 및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12)가 가이드 홈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 경로(3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도 1에 표시된 상기 이동 경로(30) 내의 장소는 주사기(1)를 캐리어(1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위치(P1) 및 캐리어(12)로부터 주사기(1)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위치(P2)를 각각 제공한다. 캐리어(12)의 최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1)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13)가 제공된다. 상기 주사기(1)는 부착 위치(P1)에서 캐리어(12)의 부착부(13)에 부착된다. 이러한 캐리어(12)(주사기(1))가 이송될 때, 캐리어(12)(주사기(1))는 결국 분리 위치(P2)에 도달한다. 이어서, 상기 주사기(1)는 분리 위치(P2)에서 부착 부분(13)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사기(1)가 캐리어(12)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분리 위치(P2)에서 주사기(1)가 카메라로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주사기(1)가 빛에 노출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분리 위치(P2)는 또한 주사기(1)가 카메라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위치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캐리어(12)에는 단지 하나의 주사기(1)만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캐리어(12)의 이동은 단일 주사기(1)가 이송되게 한다.
다음으로, 캐리어(12)를 이송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2)는 3가지 타입의 방법들에 의해 이송된다. 첫째로는, 캐리어(12)가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해 직접 이송된다(제 1 이송 방법).
회전하는 이송부(40)는 각각 제 1 곡선형 경로(30a) 및 제 2 곡선형 경로(30b)에 대응하여 제공된다(즉, 총 두 개의 회전하는 이송부(40)가 제공된다). 곡선형 경로에 위치되는 캐리어(12)는 구동원(도시안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하는 이송부(40)의 회전에 대한 반응으로 이송된다. 회전하는 이송부(40)의 외측 주변 에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오목부(40a)를 갖는다. 한편, 오목부(40a)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1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2)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다. 캐리어(12)가 회전하는 이송부(40)(곡선형 경로)에 도달할 때, 이러한 맞물림 부분(16)은 오목 부분(40a)과 맞물려 캐리어(12)가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해 밀리고 캐리어(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하는 이송부(40)는 캐리어(12)와 접촉하여 캐리어(12)를 직접 이동시킨다. 그러나, 또한, 회전하는 이송부(40)는 또한 접촉되고 이동된 캐리어(12)("접촉 캐리어"라 함)가 상기 캐리어(12)(접촉 캐리어)의 전방에 위치되는 복수의 캐리어(12)를 밀어서 복수의 캐리어(12)를 간접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12)는 결국 선형 경로에 도달하여 회전하는 이송부(4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이러한 캐리어(12)에 회전하는 이송부(40)로 이동하기 위한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캐리어(12)는 후방에 위치되고 회전하는 이송부(40)와 맞물리는 캐리어(12)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밀려서 이송 방향으로 이송된다(제 2 이송 방법).
제 1 곡선형 경로(30a)에 위치되는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한 전술된 간접 이송에 의해 캐리어(12)가 상기 제 1 선형 경로(30c)를 따라 결국 제 2 곡선형 경로(30b)에 도달한다. 이어서 이러한 캐리어(12)는 제 2 곡선형 경로(30b)에 위치되는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해 직접 이송된다. 이어서, 이러한 캐리어(12)가 제 2 곡선형 경로(30b)에 위치되는 회전하는 이송부(40)를 떠날 때, 이러한 캐리어(12)는 이러한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송되어 이러한 캐리어(12)가 결국 캠 유닛(50)(원통형 캠(52))에 도달한다. 이때, 이에 따라 캐리어(12)는 캠 유닛(50)(원통형 캠(52))에 의해 이송된다(제 3 이송 방법).
캠 유닛(50)은 두 개의 원통형 캠(52)(제 1 원통형 캠(53) 및 제 2 원통형 캠(54)), 원통형 캠(52)을 구동하기 위하여 각각의 원통형 캠(52)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70)(제 1 원통형 캠(53)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제 2 원통형 캠(54)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 즉 총 두 개의 구동원), 및 구동원(70)과 원통형 캠(52) 사이에 제공되는 중간 기어(72)(제 1 중간 기어 및 제 2 중간 기어, 즉 총 두 개의 중간 기어)를 포함한다. 원통형 캠(52)은 구동원(70)으로부터 중간 기어(72)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캠 유닛(50)은 이송 장치(10)(이동 경로(30))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캠 유닛(50)은 이송 장치(10)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부착되지 않고 캠 유닛(50)이 이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분리되고 다른 장소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원통형 캠(52)은 이동 경로(30)에 대응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원통형 캠(52)의 길이는 이동 경로(30)의 길이보다 더 짧아서 원통형 캠(52)이 이동 경로(30)의 일 부분에만 (및 전체 부분이 아님) 대응하도록(구체적으로, 전술된 분리 위치(P2)에 대응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제 1 원통형 캠(53) 및 제 2 원통형 캠(54)은 이동 경로(30)를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 즉 이동 경로(30)를 따라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원통형 캠(53)은 이동 경로(30)의 외측에 제공되고 제 2 원통형 캠(54)은 이동 경로(30)의 내측에 제공된다.
원통형 캠(52)은 캐리어(12)(접촉 캐리어)에 의해 밀려서 원통형 캠(52)에 도달된 복수의 캐리어(12)를 회전에 의해 이동시키며 그동안 복수의 캐리어(12)가 맞물림 홈(56)과 맞물린다. 즉, 원통형 캠(52)은 각각 나선형 맞물림 홈(56)을 가지며 한편 맞물림 홈(56)과 맞물리는 캠 종동체(17)가 캐리어(12)의 수직 중앙부에 제공된다. 캐리어(12)가 원통형 캠(52)에 도달할 때, 이러한 캠 종동체(17)는 나선형 맞물림 홈(56)과 맞물려서 캐리어(12)가 원통형 캠(52)의 회전에 따라 이송 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원통형 캠(52)은 캐리어(12)(접촉 캐리어)에 의해 밀려서 원통형 캠(52)에 도달된 복수의 캐리어(12)를 이동시키며 그 동안 복수의 캐리어(12)가 맞물림 홈(56)과 맞물리고 복수의 캐리어(12)들의 간격도 변화시킨다(본 실시예에서는 간격을 확장한다). 즉, 각각의 원통형 캠(52)의 맞물림 홈(56)은 제 1 홈부(56a) 및 제 2 홈부(56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홈부(56b)는 이러한 제 1 홈부(56a)와 연속하고 이러한 제 1 홈부(56a)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하며 또한 제 1 홈부(56a)와 상이한 피치(구체적으로, 제 1 홈부(56a)의 피치보다 큰 피치)를 갖는다. 복수의 캐리어(12)가 제 1 홈부(56a)를 지나서 이동하여 원통형 캠(52)의 회전에 따라 제 2 홈부(56b)에 도달할 때, 복수의 캐리어들(12)의 간격이 변화된다(확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2 홈부(56b)와 연속하고 제 1 홈부(56a)의 피치와 유사한 피치를 갖는 제 3 홈부(56c)가 제 2 홈부(56b)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타입의 캐리어(제 1 캐리어(12a) 및 제 2 캐리어(12b)라 함)가 캐리어(12)로서, 제공된다. 제 1 캐리어(12a)는 제 1 원통형 캠(53)의 맞물림 홈(56)과만 맞물림 가능하고 제 2 캐리어(12b)는 제 2 원통형 캠(54)의 맞물림 홈(56)과만 맞물림 가능하다. 즉, 제 1 원통형 캠(53)에는 맞물미 홈(56)이 제공되는데, 이 맞물림 홈(56)과 제 1 캐리어(12a) 만이 맞물림될 수 있고 제 2 원통형 캠(54)에는 맞물림 홈(56)이 제공되는데, 이 맞물림 홈(56)과 제 2 캐리어(12b) 만이 맞물림될 수 있다. 즉, 제 2 캐리어(12b)에서, 캠 종동체(17)는 상부 롤(14), 하부 롤(15) 및 맞물림 부분(16)이 제공되는 면에 부착되고, 제 1 캐리어(12a)에서, 캠 종동체(17)가 상부 롤(14), 하부 롤(15) 및 맞물림 부분(16)이 제공되는 면의 반대측 상의 면(후방 면)에 부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캐리어(12a)는 캠 종동체(17)에 부착되어 이동 부분(30)의 외측면에 대면하고 제 2 캐리어(12b)는 캠 종동체(17)에 부착되어 이동 부분(30)의 내측에 대면한다. 따라서, 제 1 캐리어(12a)는 제 1 원통형 캠(53)과만 맞물리고 제 2 캐리어(12b)는 제 2 원통형 캠(54)과만 맞물린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캐리어(12)는 이동 경로(30)에 장착되어 한 세트의 복수(3개)의 제 1 캐리어(12a) 및 한 세트의 복수(3개)의 제 2 캐리어(12b)가 교대로 정렬된다. 즉, 한 세트의 복수(3개)의 제 1 캐리어(12a)(이후, 편의상 "제 1 캐리어 세트"라 함) 및 한 세트의 복수(3개)의 제 2 캐리어(12b)(이후, 편의상 "제 2 캐리어 세트"라 함)가 교대로 정렬된 상태에서 캐리어(12)는 이동 경로(30)를 따라 이동한다.
도 5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캐리어(12)가 원통형 캠(52)으로 이송되는 방법이 후술된다. 도 5는 원통형 캠(52)의 타이밍 도표이며 상부 도면은 제 1 원통형 캠(53)의 타이밍 도표를 도시하고 하부 도면은 제 2 원통형 캠(54)의 타이밍 도표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각각의 타이밍 A 내지 E에서의 캐리어(1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제 1 캐리어 세트의 위치는 위치(1)이며 제 1 캐리어 세트에 후속하는 제 2 캐리어 세트의 위치는 위치(0)이다. 본 명세서에서, 캐리어 세트의 위치는 이러한 캐리어 세트의 헤드 캐리어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위치(0), 위치(1) 등은 도 5 내지 도 6e에서 원에 기재된 숫자로 표시된다.
제 1 원통형 캠(53) 및 제 2 원통형 캠(54)이 도 6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회전할 때, 제 1 캐리어 세트 및 제 2 캐리어 세트는 결국 도 6b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한다. 즉, 제 1 캐리어 세트가 이동하여 제 1 홈부(56a)를 지나서 제 1 원통형 캠(53)의 회전에 따라 제 2 홈부(56b)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3개의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된다(확장된다). 한편, 제 2 원통형 캠(54)의 회전에 따라, 제 2 캐리어 세트는 이송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지만 위치(1)에 도달하지 않는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할 때, 도 6c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원통형 캠(53)이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한다. 즉, 3개의 제 1 캐리어(12a)의 간격이 변화될 때(확장될 때) 제 1 원통형 캠(53)이 일단 정지한다. 따라서, 3개의 제 1 캐리어(12a)의 이동도 이러한 상태에서 일단 정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주사기(1)는 이러한 정지된 타이밍에서 3개의 주사기(1)들 중 각각의 주사기에 대응하는 3개의 조명(도시안됨) 및 3개의 카메라(도시안됨)를 이용하여 이미지가 촬영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하는 이유는 제 1 캐리어에 대응하는 주사기(1)만을 조명하기 위한 각각의 조명때문이다. 즉, 간격의 확장은 대응하는 주사기(1)뿐만 아니라 이러한 대응하는 주사기(1)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주사기(1)를 조명하는 빛에 의해 빛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된다. 부가적으로, 3개의 제 1 캐리어(12a)(제 1 원통형 캠(53))를 정지시키는 이유는 이미지를 흐리게 하지 않으면서 카메라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이유는 위에서 주어진 이유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이유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이유는 이송 대상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부재로 제조를 간섭 없이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제 1 원통형 캠(53)(3개의 제 1 캐리어(12a))이 정지될 때(즉, 3개의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될 때(확장될 때))도 제 2 원통형 캠(54)은 제 1 홈부(56a)에 도달된 제 2 캐리어(12b)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원통형 캠(54)의 회전에 따라, 제 2 캐리어 세트는 이송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지만 위치(1)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장치(10)는 무균 격리실(가능한 많은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설계된 격리실(도시안됨)) 내부에 포함된다. 따라서, 캐리어(12)의 이송이 최소한도로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캐리어(12)가 무균 격리실 내부에 정지되어 남아 있을 때 주사기(1)에 세균 등과 같은 먼지 및 입자가 달라붙는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입자가 세균일 때 세균이 증식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원통형 캠(53)(3개의 제 1 캐리어(12a))이 정지될 때도 제 2 원통형 캠(54)이 회전하여 제 2 캐리어(12b)를 계속 이송함으로써 이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 1 원통형 캠(53)(3개의 제 1 캐리어(12a))이 정지될 때 제 2 원통형 캠(54)이 회전을 유지하는 이유는 전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이유들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이유는 일단 제 2 원통형 캠(54)을 정지시키고 제 2 원통형 캠(54)을 재가속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할 때, 제 1 원통형 캠(53)은 정지 기간을 종료하고 다시 한번 회전하기 시작한다. 한편, 제 2 원통형 캠(54)은 계속해서 회전한다. 도 6d에 도시된 상태를 거친 후, 제 1 원통형 캠(53)은 결국 도 6e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 6e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할 때,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동하여 제 2 홈부(56b)를 지나서 제 3 홈(56c)에 도달하는 제 1 캐리어 세트의 위치는 위치(0)(좌측 상의 위치(0))에 있을 수 있어, 제 1 캐리어 세트의 제 1 캐리어(12a)가 후속하여 회전하는 이송부(40)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제 2 캐리어 세트에 후속하여 새로운 제 1 캐리어 세트는 위치(0)(우측 상의 위치(0))에 도달하고, 그 동안에 제 2 캐리어 세트는 위치(1)에 도달한다. 따라서, 도 6e에서의 제 1 캐리어 세트의 상태는 도 6a에 도시된 제 2 캐리어와 유사한 상태가 되고 도 6e에서의 제 2 캐리어 세트의 상태는 도 6a에 도시된 제 1 캐리어와 유사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원통형 캠(53)은 도 6a 내지 도 6e(타이밍(A) 내지 타이밍(E))에 도시되는 제 2 원통형 캠(54)의 이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하고, 제 2 원통형 캠(54)은 도 6a 내지 도 6e(타이밍(A) 내지 타이밍(E))에 도시되는 제 1 원통형 캠(53)의 이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제어기는 이송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이다. 제어기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CPU는 전체 이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산술 처리 유닛이다. 메모리는 CPU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구역 및 작업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RAM, EEPROM 등과 같은 저장 소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 및 이송 장치(10)의 유효성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50)은 이동 경로(30)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56)을 가지는 원통형 캠(52) (즉, 이동 경로는 주사기(1)가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12)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다), 및 원통형 캠(52)을 구동하는 구동원(70)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52)으로서, 제 1 원통형 캠(53) 및 제 2 원통형 캠(54)이 각각 이동 경로(3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53)은 제 1 캐리어(12a)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56)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은 제 2 캐리어(12b)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56)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70)으로서, 제 1 원통형 캠(53)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제 2 원통형 캠(54)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53)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의 맞물림 홈(56)은 제 1 홈부(56a) 및 제 2 홈부(56b)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56b)는 제 1 홈부(56a)와 연속하고 제 1 홈부(56a)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56a)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12a)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5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56a)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56b)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12a)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56a)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12b)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캠 유닛(50)이 제공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이송 장치로서 체인 링크를 이용하는 장치가 이용되었다. 즉, 이러한 이송 장치에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설치부가 제공되고 이러한 복수의 설치부는 체인에 의해 커플링되었다. 따라서, 이송 대상은 설치부들(이송 대상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항상 일정하게 하면서) 이송되었다. 따라서, 이 같은 제한은 보다 다양한 방식의 이송 요구가 있었을 때조차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은 이송 장치(10)(이동 경로(30))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캠 유닛(50)(원통형 캠(52))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 1 원통형 캠(53)이 회전하여 복수의 제 1 캐리어 세트가 이동하여 제 1 홈부(56a)를 지나서 제 2 홈부(56b)에 도달하게 하여 제 2 캐리어(12a)와의 사이의 간격이 이동될 때 제 2 원통형 캠(54)이 회전하여 제 1 홈부(56a)에 도달된 제 2 캐리어(12b)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완전히 분리된 타입(즉, 서로 독립된)의 이송이 제 1 캐리어(12a)(제 1 캐리어 세트) 및 제 2 캐리어(12b)(제 2 캐리어 세트) 사이에서 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동안,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에 발생된 변화와 관계없이, 제 2 캐리어(12b)가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50)에서,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제 1 원통형 캠(53)이 회전하여 복수의 제 1 캐리어 세트가 이동하여 제 1 홈부(56a)를 지나서 제 2 홈부(53b)에 도달하여 제 1 원통형 캠(53)이 정지되게 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53)이 정지되면서,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56a)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12b)를 이동시킨다.
이 같은 이유때문에, 제 1 캐리어(12a)에 대해, 제 1 캐리어(12a)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 동안 제 1 캐리어(12a)가 정지하고 한편으로는 제 2 캐리어(12b)에 대해, 제 1 원통형 캠(54)(제 1 캐리어(12a))이 정지될 때 제 2 원통형 캠(54)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않으면서 제 2 캐리어(12b)가 이송되도록 이송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50)에서, 원통형 캠(52)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이동 경로(30)의 길이보다 더 짧으며, 상기 원통형 캠(52)은 상기 이동 경로(30)의 일 부분에만 대응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 경로(30)의 일 부분에서만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하기 위한 요구는 이에 따라 비용 이익을 감안할 때 충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10)는 캠 유닛(50), 복수의 캐리어(12) 및 이동 경로(30)를 포함하고, 상기 캠 유닛(50)은 이동 경로(30)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56)을 가지는 원통형 캠(52) (즉, 이동 경로는 주사기(1)가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12)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다), 및 원통형 캠(52)을 구동하는 구동원(70)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52)으로서, 제 1 원통형 캠(53) 및 제 2 원통형 캠(54)이 각각 이동 경로(3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53)은 제 1 캐리어(12a)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56)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은 제 2 캐리어(12b)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56)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70)으로서, 제 1 원통형 캠(53)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제 2 원통형 캠(54)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53)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의 맞물림 홈(56)은 제 1 홈부(56a) 및 제 2 홈부(56b)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56b)는 제 1 홈부(56a)와 연속하고 제 1 홈부(56a)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56a)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12a)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5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56a)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56b)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12a)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54)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56a)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12b)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이송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10)에서, 캠 유닛(50)은 이송 장치(10)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캠 유닛(50)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이한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소정의 이유로 축소되는 경우가 있어 이송 장치(10)에 대한 이동 경로(30)의 루트가 불가피하게 변화된다. 또한, 이송 대상의 사양이 변화되어 이동 경로(30)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같은 경우, 본 실시예에 따라 이송 장치(10)가 이에 대해 유연성있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이송 장치의 유연성이 본 실시예에 따라 강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비록 본 발명에 따른 캠 유닛의 최상 모드 등이 전술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당연히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화 및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균등예가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이송 대상으로서 주입 주사기(주사기(1))가 예시되었지만, 이러한 이송 대상이 어떠한 물체로도 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제한이 아니다.

Claims (5)

  1. 캠 유닛으로서: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을 가지는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는, 원통형 캠; 및
    상기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으로서, 제 1 원통형 캠 및 제 2 원통형 캠이 상기 이동 경로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은 상기 제 1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은 상기 제 2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의 맞물림 홈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연속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캠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1 원통형 캠이 정지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이 정지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캠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캠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이동 경로의 길이 보다 짧고,
    상기 원통형 캠은 상기 이동 경로의 일 부분에만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캠 유닛.
  4. 이송 장치로서:
    캠 유닛;
    복수의 캐리어;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캠 유닛은,
    이동 경로에 대응하게 제공되고 맞물림 홈을 가지는 원통형 캠으로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송 대상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각각과 커플링 해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캐리어는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 및 한 세트의 복수의 제 2 캐리어가 교대로 정렬되는 상태에 있는, 원통형 캠, 및
    상기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캠으로서, 제 1 원통형 캠 및 제 2 원통형 캠이 상기 이동 경로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은 상기 제 1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고 상기 제 2 원통형 캠은 상기 제 2 캐리어만이 맞물림될 수 있는 맞물림 홈을 가지며,
    상기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 1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원통형 캠 및 상기 제 2 원통형 캠의 맞물림 홈은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를 가지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와 연속하고 상기 제 1 홈부에 대해 이송 방향으로 하류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홈부의 피치와 상이한 피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한 세트의 복수의 제 1 캐리어가 상기 제 1 원통형 캠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제 2 홈부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캐리어의 간격이 변화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캠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홈부에 도달되는 제 2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유닛은 상기 이송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제공되는,
    이송 장치.
KR1020170058179A 2016-05-13 2017-05-10 캠 유닛 및 이송 장치 KR102312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6937 2016-05-13
JP2016096937A JP6653102B2 (ja) 2016-05-13 2016-05-13 カムユニット、及び、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110A true KR20170128110A (ko) 2017-11-22
KR102312930B1 KR102312930B1 (ko) 2021-10-14

Family

ID=5869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179A KR102312930B1 (ko) 2016-05-13 2017-05-10 캠 유닛 및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39700B2 (ko)
EP (1) EP3243770A1 (ko)
JP (1) JP6653102B2 (ko)
KR (1) KR102312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7069A (zh) * 2017-12-05 2018-03-30 东莞智得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环形导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6200A (en) * 1957-10-14 1959-05-12 Pfizer & Co C Labeling machine
JPH08230830A (ja) * 1995-02-28 1996-09-10 Shibuya Kogyo Co Ltd 容器搬送処理装置
JP2010047048A (ja) * 2008-08-19 2010-03-04 Tsubakimoto Chain Co スクリュー駆動搬送台車およびスクリュー駆動搬送装置
JP2015531729A (ja) * 2012-08-16 2015-11-05 セラック グループ 送りスクリュー装置を備える物品を処理するための設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0787A (en) * 1957-01-25 1959-06-16 Meyer Geo J Mfg Co Apparatus for arranging like articles in uniformly spaced relation
US3036624A (en) * 1959-10-01 1962-05-29 Meyer Geo J Mfg Co Article feeding apparatus for processing machine
IT1292842B1 (it) * 1997-04-08 1999-02-11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Impianto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JP5383333B2 (ja) 2009-06-11 2014-01-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コンベヤ装置
US8678173B2 (en) * 2012-03-23 2014-03-25 Tim Lasley Modified push beams for highwall mi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6200A (en) * 1957-10-14 1959-05-12 Pfizer & Co C Labeling machine
JPH08230830A (ja) * 1995-02-28 1996-09-10 Shibuya Kogyo Co Ltd 容器搬送処理装置
JP2010047048A (ja) * 2008-08-19 2010-03-04 Tsubakimoto Chain Co スクリュー駆動搬送台車およびスクリュー駆動搬送装置
JP2015531729A (ja) * 2012-08-16 2015-11-05 セラック グループ 送りスクリュー装置を備える物品を処理するための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7320A1 (en) 2017-11-16
KR102312930B1 (ko) 2021-10-14
EP3243770A1 (en) 2017-11-15
JP6653102B2 (ja) 2020-02-26
JP2017202926A (ja) 2017-11-16
US10239700B2 (en)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3748B (zh) 鏈條搬送裝置
ATE468286T1 (de) Systeme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erbesserter synchronisierförderer
CN101262758A (zh) 带式馈送器、带式传送单元和带式剥离单元
JP5797097B2 (ja) 搬送装置
KR20170128110A (ko) 캠 유닛 및 이송 장치
KR102312929B1 (ko) 이송 장치
JPH1159847A (ja) 搬送装置
JP2009249111A (ja) 搬送装置
JP5289806B2 (ja) 搬送装置
CN106664819B (zh) 带式供料器、元件安装机
JP5700829B2 (ja) 搬送路変更可能なコンベヤシステム
US20180251246A1 (en) Relay device
WO2021235012A1 (ja) 容器搬送機構
KR20180013385A (ko) 인쇄매체 후처리 장치, 화상형성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구조체
JP5548799B2 (ja) 搬送装置
JP5441086B2 (ja) パレット駆動装置
JP2012046259A (ja) 搬送装置
JP2004299859A (ja) 物品揃え装置
KR20080035952A (ko) 연속 이송 장치
KR101926493B1 (ko) 테이프 피더
WO2019123621A1 (ja) テープフィーダ
JP2004050485A (ja) 容器の印字装置
JP2004250182A (ja) 帯状体の搬送ローラ及び帯状体搬送装置
JP2019189407A (ja) 物品供給装置
KR20000031309A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