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559A -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559A
KR20170127559A KR1020177029578A KR20177029578A KR20170127559A KR 20170127559 A KR20170127559 A KR 20170127559A KR 1020177029578 A KR1020177029578 A KR 1020177029578A KR 20177029578 A KR20177029578 A KR 20177029578A KR 20170127559 A KR20170127559 A KR 20170127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lasticizer
mass
alcohol
vi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923B1 (ko
Inventor
류사쿠 후지모토
마사루 나가하마
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7012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耐)프레스 착색성과 내한성(耐寒性)이 우수한 가소제, 및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로서, 상기 포화 지방족 알코올이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과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쇄 알코올과 상기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78/22∼50/50이다.

Description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이하, 간단히 「가소제」, 「수지 조성물」이라고도 칭함)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우수한 내(耐)프레스 착색 효과와 내한(耐寒)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지를 가소화하는 가소제는 다양한 것이 있으며, 특히 염화 비닐계 수지로의 가소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ESBO) 등의 에폭시화 식물유계 가소제, 프탈산 디옥틸(DOP)이나 프탈산 디이소노닐(DINP) 등의 프탈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아디프산 디옥틸(DOA)이나 아디프산 디이소노닐(DINA) 등의 아디프산계 가소제, 트리멜리트산 트리옥틸(TOTM) 등의 트리멜리트산계 가소제 등, 많은 가소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 가소제를 수지에 배합함으로써 유연성, 인장 특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수지를 건재(建材)나 전선 등의 다양한 성형품의 제조에 가공할 때, 상기한 배합이 행해지고 있다.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가소제를 가하는 경우, 그 성형품에 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첨가량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가공 시의 열이력이 원인이 되어 착색이 일어난다. 가공 시의 열이력에 의한 착색의 지표의 예로서 일반적으로 열안정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히 고온, 고압 하에서의 가공인 사출 성형 가공이나 압출 가공은 더욱 착색하기 쉬운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착색의 지표로서는 내프레스 착색성을 예로 들 수 있다.
열안정성이 우수한 종래의 가소제라도, 내프레스 착색성이 반드시 양호한 것은 아니며, 착색 억제는 지극히 어려운 문제였다.
또한, 착색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소제의 첨가량이나 종류의 선정 이외에, 다른 첨가제를 다수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에 의해 물성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소제에 요구되는 성능으로서는 가소성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자동차 전선 등에서는 내한성도 중요한 요구 성능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염화 비닐계 수지에 트리멜리트산 및 피로멜리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다가 카르복시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병용하고, 또한 염기성 규산염과 금속비누와 배합함으로써 내한성 등을 개선한 염화 비닐계 연질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배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탄소수 9의 지방족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의 가소제에 의해 내한성,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 9-132689호 일본공개특허 제2004-193138호 일본공개특허 제2014-189688호
그러나, 지금까지의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등의 가소제에 있어서는, 염화 비닐계 수지에 대하여 내프레스 착색성과 내한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유효한 가소제라고는 할 수 없으며, 보다 우수한 가소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프레스 착색성과 내한성이 우수한 가소제, 및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구조를 가지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화합물이,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우수한 내프레스 착색 효과와 내한 효과를 부여하는 가소제인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가소제는,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이며, 상기 포화 지방족 알코올이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과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쇄 알코올과 상기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78/22∼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는, 상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5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 및 상기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은, 각각 상이한 탄소수의 직쇄 알코올 및 분지 알코올이 병용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가 20∼120 질량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프레스 착색성과 내한성이 우수한 가소제, 및 상기 가소제를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소제는,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 화합물(이하, 「본 에스테르 화합물」로 칭함)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포화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과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은, 78/22∼50/50이며, 내프레스 착색성, 내한성, 가소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40∼50/50이다.
상기 직쇄 알코올의 질량비가 78을 넘으면, 내프레스 착색성이 뒤떨어지는 경우나 수지 조성물로 했을 때의 상용성(相溶性)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50 미만인 경우에는, 내한성이 뒤떨어지는 경우나 가소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가소제에 있어서, 포화 지방족 알코올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1-옥탄올, 1-노난올, 1-데칸올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1-옥탄올과 1-데칸올의 병용, 1-옥탄올 단독, 1-노난올 단독, 1-옥탄올과 1-노난올의 병용이 바람직하고, 1-옥탄올과 1-데칸올의 비율(질량비)이 80/20∼20/80, 1-옥탄올 단독, 1-옥탄올과 1-노난올의 비율(질량비)이 5/95∼95/5가 보다 바람직하고, 1-옥탄올과 1-데칸올의 비율(질량비)이 70/30∼30/70, 1-옥탄올 단독, 1-옥탄올과 1-노난올의 비율(질량비)이 10/90∼90/10이 더욱 바람직하고, 1-옥탄올과 1-데칸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40/60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소제에 있어서, 포화 지방족 알코올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산올, 3,3-디메틸-2-헥산올, 3,4-디메틸-1-헥산올, 2-메틸-1-헵탄올, 3-메틸-1-헵탄올, 5,5-디메틸-1-헥산올, 2-메틸-3-에틸펜탄올, 4-메틸-1-헵탄올, 4-메틸-4-헵탄올 등의 이소옥탄올, 2-노난올, 3-노난올, 2,4-디메틸-1-헵탄올, 2,2,5-트리메틸헥산올, 2,3,4-트리메틸-2-헥산올, 2,6-디메틸-4-헵탄올, 4,6-디메틸-1-헵탄올, 2-메틸-2-옥탄올, 7-메틸-3-옥탄올 등의 이소헵탄올, 8-메틸-1-노난올 등의 이소데칸올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탄소수 9의 분지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소제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무수 화합물 또는 산 클로라이드를, 탄소수 8∼10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 및 탄소수 8∼10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의 혼합물과 촉매 존재 하 또는 무촉매 하에서 일괄적으로, 또는 분할하여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고, 통상적 방법으로 후처리를 행하여, 본 발명의 가소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본 에스테르 화합물이 20∼120 질량부 배합, 바람직하게는 30∼10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 질량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에스테르 화합물의 배합량이 20질량부 미만에서는, 내프레스 착색성, 내열성 및 가소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한편, 120질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본 에스테르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염화 비닐계 수지로서는, 괴상(塊狀) 중합, 용액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등 그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프로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 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무수 말레산 3원 공중합체, 염화비닐-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3원 공중합체, 염화비닐-부타디엔 공중합체, 염화비닐-이소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소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 비닐리덴-아세트산 비닐 3원 공중합체, 염화비닐-말레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염화비닐-각종 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염소 함유 수지, 및 이들 상호의 블렌드 제품 혹은 이들 염소 함유 수지와 다른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합성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3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등과의 블렌드 제품, 블록 혼성 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이 있다.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0∼100,000이며, 300∼50,000이 바람직하고, 300∼3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본 에스테르 화합물 이외의 가소제, 또한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유기산 금속염,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화합물, 페놀계, 또는, 유황계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체,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폴리올류, 그 외의 무기 화합물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에스테르 이외의 가소제나 각종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에스테르 화합물 이외의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프탈레이트, 부틸헥실프탈레이트, 디헵틸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라우릴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디옥틸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디(부틸디글리콜)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크실레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과,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신남산 등의 2염기산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1가의 알코올, 모노카르본산(아세트산, 방향족산 등) 등을 스토퍼로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에폭시화 동유(桐油), 에폭시화 어유(魚油), 에폭시화 우지유(牛脂油), 에폭시화 피마자유, 에폭시화 사플라워유,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메틸,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부틸,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에폭시화 스테아르산 스테아릴에스테르,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트리스(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에폭시화 톨유 지방산 에스테르, 에폭시화 아마인유 지방산 에스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디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그 외,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계 가소제, 아젤라산계 가소제,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DOS), 디부틸세바케이트(DBS) 등의 세바스산계 가소제, 스테아르산계 가소제, 시트르산계 가소제, 피로멜리트산계 가소제, 비페닐렌폴리카르본산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의 방향족산 에스테르계 가소제(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벤조에이트 등)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세바스산계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의 방향족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9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8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산 금속염으로서는, 유기산 금속염의 유기산 성분으로서는, 카르본산, 유기 인산류 또는 페놀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로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옥틸 산, 2-에틸헥실산, 카프르산, 네오데칸산, 운데실렌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클로로스테아르산, 12-케토스테아르산, 페닐스테아르산, 리시놀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에루크산, 브라시드산 및 유사 산 및 수지(獸脂) 지방산, 코코넛 오일 지방산, 동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및 면실유 지방산 등의 천연에서 산출하는 상기한 산의 혼합물, 벤조산, p-tert-부틸벤조산, 에틸벤조산, 이소프로필벤조산, 톨루엔산, 크실릴산, 살리실산, 5-tert-옥틸살리실산, 나프텐산, 시클로헥산 카르본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옥틸산, 2-에틸헥실산, 네오데칸산,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올레산, 리시놀레산, 벤조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인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 또는 디옥틸인산, 모노 또는 디도데실인산, 모노 또는 디옥타데실인산, 모노 또는 디-(노닐페닐)인산, 포스폰산 노닐페닐에스테르, 포스폰산 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이 있다.
상기 페놀류로서는,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시클로헥실페놀, 노닐페놀, 도데실페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 금속염의 금속 성분으로서는,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스트론튬(Sr), 아연(Zn), 세슘(Cs), 주석(Sn), 바륨(Ba), 알루미늄(Al)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아연, 바륨이 바람직하고,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아연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성분과 금속 성분의 염인, 유기산 금속염은, 그 조합에 따라, 정염, 산성염, 염기성염, 과염기성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나 안정화 효과의 기여가 높은 점 등을 고려하면, 스테아르산 금속염, 라우르산 금속염, 올레산 금속염, 리시놀레산 금속염, 네오데칸산 금속염, 2-에틸헥실산 금속염, 벤조산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그 금속으로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아연, 바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금속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5 질량부이며, 열안정성, 가공성의 점에서, 0.003∼4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5∼3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2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0.1∼1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함유량이 0.001 질량부 미만에서는, 열안정성 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5질량부를 넘으면,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Mg1 - xAlx(OH)2(Ay-)x /z·nH2O (1)
단, 식 중 z는 1 또는 2이며, Ay-는 z가의 음이온, 즉, (CO3)2- 또는 (ClO4)-이며, x는, 0 <x≤ 0.5, n은 0 또는 정수를 나타낸다.
구체예로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Mg0 . 750Al0 .250(OH)2(CO3)0.125·0.5H2O
Mg0 . 692Al0 .308(OH)2(CO3)0.154·0.1H2O
Mg0 . 683Al0 .317(OH)2(CO3)0.159·0.5H2O
Mg0 . 667Al0 .333(OH)2(CO3)0.167·0.1H2O
Mg0 . 750Al0 .250(OH)2(ClO4)0.250·0.5H2O
Mg0 . 692Al0 .308(OH)2(ClO4)0.308·0.1H2O
Mg0 . 667Al0 .333(OH)2(ClO4)0.333·0.1H2O
시판품으로서는, DHT-4A(교와화학공업(協和化學工業)에서 제조한 상품명), 머그셀러 1(교와화학공업에서 제조한 상품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있다.
MpZnqAlr(OH)2(CO3)r /2·mH2O (2)
단, 식 중의 M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및 칼슘이며, p, q 및 r은 각각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조건을 충족하는 수이며, m은 0 또는 임의의 정수이다; 0<r≤0.5, p+q=1-r, p≥q, 0.3≤p<1, 0 <q<0.5.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공소 46-2280호 공보, 일본 특공소 47-32198호 공보, 일본 특공소 50-30039호 공보, 일본 특공소 48-29477호 공보 및 일본 특공소 51-2912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당연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로서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Mg0 . 38Zn0 . 3Al0 .32(OH)2(CO3)0.16·0.2H2O
Mg0.45Zn0.23Al0.32(OH)2(CO3)0.16
Mg0.48Zn0.18Al0.34(OH)2(CO3)0.17
Mg0.48Zn0.2Al0.32(OH)2(CO3)0.16
Mg0 . 50Zn0 . 17Al0 .33(OH)2(CO3)0.165·0.45H2O
Mg0 . 58Zn0 . 17Al0 .25(OH)2(CO3)0.125·0.5H2O
Mg0.50Zn0.18Al0.32(OH)2(CO3)0.15
Mg0.50Zn0.2Al0.30(OH)2(CO3)0.16
Mg0 . 50Zn0 . 2Al0 .30(OH)2(CO3)0.15·0.52H2O
Mg0.50Zn0.25Al0.25(OH)2(CO3)0.125
Mg0.51Zn0.17Al0.32(OH)2(CO3)0.16
Mg0 . 52Zn0 . 16Al0 .32(OH)2(CO3)0.16·0.5H2O
Mg0.55Zn0.15Al0.30(OH)2(CO3)0.15
Mg0.60Zn0.14Al0.26(OH)2(CO3)0.13
Mg0.60Zn0.16Al0.24(OH)2(CO3)0.12
Mg0.60Zn0.20Al0.20(OH)2(CO3)0.1
Mg0.40Ca0.10Zn0.18Al0.32(OH)2(CO3)0.16
Mg0.30Ca0.2Zn0.2Al0.30(OH)2(CO3)0.15
Mg0 . 50Zn0 . 17Al0 .33(OH)2(CO3)0.17·0.5H2O
Mg0 . 50Zn0 . 17Al0 .33(OH)2(CO3)0.17·0.42H2O
Mg0 . 60Zn0 . 16Al0 .24(OH)2(CO3)0.12·0.45H2O
Mg0 . 50Zn0 . 25Al0 .25(OH)2(CO3)0.13·0.39H2O
Mg0 . 67Zn0 . 08Al0 .25(OH)2(CO3)0.125·0.5H2O
Mg0.50Zn0.17Al0.33(OH)2(CO3)0.17
Mg0.50Zn0.25Al0.25(OH)2(CO3)0.125
Mg0 . 50Zn0 . 17Al0 .33(OH)2(CO3)0.17·0.5H2O
Mg0 . 58Zn0 . 08Al0 .34(OH)2(CO3)0.17·0.5H2O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의 굴절율은, 투명성의 관점에서 1.52∼1.56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알카마이저 4(알카마이저 P-93, 교와화학공업에서 제조한 상품명)이나 알카마이저 7(교와화학공업에서 제조한 상품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투명성의 점에서, 알카마이저 4(알카마이저 P-9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의 표면을,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 올레산 알칼리 금속염 등의 고급지방산 금속염류, 도데실벤젠술폰산 알칼리 금속염 등의 유기 술폰산 금속염류, 고급지방산 아미드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왁스 등으로 피복한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은 0.001∼10 질량부이며, 열안정성, 가공성, 내프레스 착색성의 점에서, 0.003∼8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5∼6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1∼4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함유량이 0.001질량부 미만에서는, 열안정성이나 내프레스 착색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며, 10질량부를 넘으면,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제올라이트 화합물로서는, 독특한 3차원 제올라이트 결정 구조를 가지는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의 알루미노 규산염이며, 예를 들면, 그 대표예로서, A형, X형, Y형 및 P형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 아날사이트, 소달라이트족의 알루미노 규산염, 클리노프틸로라이트, 에리오나이트 및 캐버자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제올라이트 화합물의 결정화물(소위 제올라이트 수)을 함유하는 함수물(含水物) 또는 결정화물을 제외한 무수 화합물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상기 제올라이트 화합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2,6-디-tert-부틸-p-크레졸,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스테아릴(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트리데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티오아세테이트,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2-옥틸티오-4,6-디(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s-트리아진,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티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4,4'-부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 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비스[2-tert-부틸-4-메틸-6-(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2,6-디메틸-3-하이드록시-4-tert-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tert-부틸-4-메틸-6-(2-아크릴로일옥시-3-tert-부틸-5-메틸벤질)페놀, 3,9-비스[2-{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파노일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 [β-(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황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의 디라우릴, 디미리스틸, 미리스틸스테아릴, 디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머캅토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류 등이 있다. 상기 유황계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체로서는, 예를 들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tert-부틸-4'-(2-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도데실-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C7∼9 혼합 알콕시카르보닐에틸페닐)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큐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tert-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2-(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틸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3-메틸-4-(2-옥타노일옥시에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류;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tert-아밀페닐-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의 치환 옥사닐리드류;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키스(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메탄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비스(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비스(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하이드록시 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숙신산 디에틸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디브로모에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모르폴리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tert-옥틸아미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비스(1-운데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보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0.8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폴리펜타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의 스테아르산 하프 에스테르, 비스(디펜타에리트리톨)아디페이트, 글리세린,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소르비톨, 만니톨, 락티톨 등이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1∼1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의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규산 칼슘, 인산 칼슘, 산화 칼슘, 수산화 칼슘, 규산 마그네슘, 인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등이 있다. 그 외의 무기 화합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3∼3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착색제, 가교제, 대전방지제, 방담제, 플레이트 아웃 방지제, 표면처리제, 윤활제, 난연제, 형광제, 방미제, 살균제, 금속 불활성화제, 이형제, 안료, 가공 조제, 발포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조제 방법, 혼합 방법 및 가공 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조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본 에스테르 화합물과 염화 비닐계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 성분을 일괄적으로 투입하는 방법이나, 분할하여 투입하는 방법이 있다. 혼합 방법으로서는, V형 블렌더, 리본 블렌더, 헨셀믹서, 록킹 믹서, 터블러 믹서, 플레너터리 믹서, 밴버리 믹서, 밀 블렌더, 믹싱 롤, 니더 등 혼합기나 혼련기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수지 조성물이 분말형이나 펠릿형인 경우, 예를 들면, 사출 성형기 등에 의한 사출 성형 가공, 압출기 등에 의한 압출 가공이나 용액 유연법, 압력 성형 가공, 진공 성형 가공, 프레스 성형 가공, 분체 형성 가공, 캘린더 가공 등이 있고, 수지 조성물이 페이스트형인 경우, 예를 들면, 스프레드 성형, 딥핑 성형, 그라비아 성형, 슬래시 성형법, 스크린 가공 성형 등이 있다. 이러한 성형 가공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성형체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로드형, 시트형, 필름형, 판형, 원통형, 원형, 타원형 등 혹은 장난감, 장식품 등의 특수한 형상을 가지는 것, 예를 들면, 별형, 다각형 형상 등의 이형상(異形狀)이 예시된다.
얻어진 성형체는, 수도관 등의 파이프류, 파이프용의 이음새류, 비의 홈통 등의 홈통류, 창틀 사이딩, 평판, 파형판, 자동차 언더보디코트, 인스트루먼트 ㅍ패널, 콘솔, 도어 시트, 언더카펫(under carpet), 트렁크 시트, 도어 트림류 등의 자동차 장재, 각종 레더류, 장식 시트, 농업용 필름, 식품 포장용 필름, 전선 피복, 각종 발포 제품, 호스, 의료용 튜브, 식품용 튜브, 냉장고용 개스킷, 패킹류, 벽지, 바닥재, 부츠, 커튼, 구두 밑창, 장갑, 지수판(止水板), 장난감, 화장판, 혈액 백, 수액 백, 다폴린, 매트류, 차수(遮水) 시트, 토목 시트, 루핑(roofing), 방수 시트, 절연 시트, 공업용 테이프, 유리 필름, 지우개 등에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받지 않는다.
<실시예 1∼10, 비교예 1∼6>
염화 비닐계 수지(신다이이치엔비(주) 제조, ZEST1000Z) 100질량부, 바륨/아연계 안정제((주) ADEKA 제조, AC-255) 2.5질량부,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가소제 80질량부를 배합하고, 170℃×30rpm(롤 회전 속도)×7분(혼련시간)×0.7mm(시트 두께)의 조건으로 롤 혼련하여 시트를 제작했다.
<내한성 시험>
클래쉬 버그(Clash-Berg) 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K-6773(1999)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유연 온도(℃)가 낮을수록 내한성에 양호하다. 여기에 말하는 유연 온도란, 상기 측정에 있어서 소정의 비틀림 강성율(3.17×103kg/cm2)을 나타내는 저온 한계의 온도를 지칭한다. 내한성능은, 이 유연 온도가 -40℃ 이하이면 그 성능으로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내프레스 착색성 시험>
상기에서 얻어진 0.7mm 두께의 시트를 중첩하고, 180℃ 5분간 프레스 가공을 행하여 1mm 두께의 시트를 제작하고, 범용형 색차계 컬러 에이스 TC-8600A(유한회사 도쿄 전색 제조)를 사용하여 황색도(Y.I; Yellowness Index)를 측정했다. 내프레스 착색 성능은, 이 황색도가 5.0 이하이면 그 성능으로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얻어진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 중의 가소제는 하기와 같다.
가소제 A: 탄소수 8 및 탄소수 10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질량비: 50/50)과 탄소수 9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
가소제 B: 상기 가소제 A의,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50/50
가소제 C: 탄소수 8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탄소수 9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
가소제 D: 상기 가소제 C의,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50/50
가소제 E: 탄소수 8 및 탄소수 10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질량비: 50/50)과 탄소수 10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75/25
가소제 F: 상기 가소제 E의,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
가소제 G: 상기 가소제 E의,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50/50
가소제 H: 탄소수 8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탄소수 10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75/25
가소제 I: 상기 가소제 H의,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
가소제 J: 상기 가소제 H의,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50/50
[표 2]
Figure pct00002
표 2 중의 가소제는 하기와 같다.
비교 화합물 1: 탄소수 8 및 탄소수 10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질량비: 50/50)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100/0
비교 화합물 2: 탄소수 8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100/0
비교 화합물 3: 탄소수 9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0/100
비교 화합물 4: 탄소수 9의 직쇄 및 분기의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80/20
비교 화합물 5: 탄소수 8 및 10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질량비: 50/50)과 탄소수 10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40/60
비교 화합물 6: 탄소수 8의 직쇄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탄소수 10의 분지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이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40/60
표 2의 비교예 1∼6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직쇄 알코올/분지 알코올의 비율이 특정한 범위 이외에서는, 내프레스 착색성과 내한성을 양립시키는 배합은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표 1의 실시예 1∼10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직쇄 알코올/분지 알코올의 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인 경우, 내프레스 착색성과 내한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포화 지방족 알코올과 트리멜리트산의 트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로서, 상기 포화 지방족 알코올이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과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쇄 알코올과 상기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78/22∼50/50인,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 알코올과 분지 알코올의 비율(질량비)이 60/40∼50/50인,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8∼10의 직쇄 알코올 및 상기 탄소수 8∼10의 분지 알코올이, 각각 상이한 탄소수의 직쇄 알코올 및 분지 알코올이 병용되어 이루어지는,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4. 염화 비닐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제1항에 기재된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가 20∼120 질량부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20177029578A 2015-03-13 2016-03-08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2510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1115A JP6689573B2 (ja) 2015-03-13 2015-03-13 トリメリット酸トリエステル可塑剤の製造方法
JPJP-P-2015-051115 2015-03-13
PCT/JP2016/057174 WO2016147953A1 (ja) 2015-03-13 2016-03-08 トリメリット酸トリエステル可塑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559A true KR20170127559A (ko) 2017-11-21
KR102510923B1 KR102510923B1 (ko) 2023-03-15

Family

ID=5691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578A KR102510923B1 (ko) 2015-03-13 2016-03-08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44504A1 (ko)
EP (1) EP3269766A4 (ko)
JP (1) JP6689573B2 (ko)
KR (1) KR102510923B1 (ko)
CN (1) CN107428991A (ko)
WO (1) WO20161479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67A (ko) * 2020-06-11 2021-12-20 애경케미칼주식회사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718B2 (ja) * 2019-12-16 2022-09-06 Dic株式会社 塩化ビニル樹脂用可塑剤、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並びに当該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を用いた成形品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15558220A (zh) * 2022-10-14 2023-01-03 深圳市好亚通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防静电spu鞋底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448A (ja) * 1989-09-29 1991-05-16 Fujikura Ltd 可塑化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H09132689A (ja) 1995-09-05 1997-05-20 Mitsui Toatsu Chem Inc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被覆電線
JP2004193138A (ja) 1997-09-08 2004-07-08 Mitsui Chemicals Inc 塩化ビニル系樹脂被覆電線
KR101109917B1 (ko) * 2004-08-04 2012-02-2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C8 내지 c10 알콜의 혼합물 및 유도된 가소제 및계면활성제
KR20140025491A (ko) * 2011-05-02 2014-03-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열 전도성 시트
JP2014189688A (ja) 2013-03-28 2014-10-06 New Japan Chem Co Ltd トリメリット酸トリエステル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用可塑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240A (ja) * 1997-12-15 1999-07-02 Sumitomo Bakelite Co Ltd 耐熱電線被覆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US7361704B2 (en) * 2003-09-30 2008-04-22 Adeka Corporatio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vehicles
US20100272984A1 (en) * 2008-02-29 2010-10-28 Hiroyuki Hada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molded object obtained therefrom, laminate, vehicle in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JP5929036B2 (ja) * 2011-08-12 2016-06-01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薄肉耐摩耗電線被覆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および、薄肉耐摩耗電線
JP5716653B2 (ja) * 2011-12-21 2015-05-13 日立金属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JP2016141787A (ja) * 2015-02-05 2016-08-08 新日本理化株式会社 非フタル酸エステル系の塩化ビニル系樹脂用可塑剤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16155938A (ja) * 2015-02-25 2016-09-01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トリメリット酸トリエステルを含有してなる医療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医療用材料
EP3124540B1 (en) * 2014-03-27 2020-12-23 New Japan Chemical Co., Ltd. Plasticizer for vinyl chloride resin containing non-phthalate ester an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uch plasticizer
WO2015147300A1 (ja) * 2014-03-27 2015-10-01 新日本理化株式会社 非フタル酸系エステル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用可塑剤、及び該可塑剤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448A (ja) * 1989-09-29 1991-05-16 Fujikura Ltd 可塑化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H09132689A (ja) 1995-09-05 1997-05-20 Mitsui Toatsu Chem Inc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被覆電線
JP2004193138A (ja) 1997-09-08 2004-07-08 Mitsui Chemicals Inc 塩化ビニル系樹脂被覆電線
KR101109917B1 (ko) * 2004-08-04 2012-02-2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C8 내지 c10 알콜의 혼합물 및 유도된 가소제 및계면활성제
KR20140025491A (ko) * 2011-05-02 2014-03-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열 전도성 시트
JP2014189688A (ja) 2013-03-28 2014-10-06 New Japan Chem Co Ltd トリメリット酸トリエステル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用可塑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867A (ko) * 2020-06-11 2021-12-20 애경케미칼주식회사 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4504A1 (en) 2018-02-15
JP2016169336A (ja) 2016-09-23
WO2016147953A1 (ja) 2016-09-22
EP3269766A1 (en) 2018-01-17
KR102510923B1 (ko) 2023-03-15
EP3269766A4 (en) 2018-09-26
JP6689573B2 (ja) 2020-04-28
CN107428991A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0742B2 (ja) 硬質透明製品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成形してなる硬質透明成型品
JPWO2011024399A1 (ja) 透明製品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12167232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4942513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WO2014141608A1 (ja) 透明製品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12241119A (ja) 射出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16056277A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自動車内装材、床材および壁紙
JP5709246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170127559A (ko) 트리멜리트산 트리에스테르 가소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
JP5553437B2 (ja) 耐候性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EP2392618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2012021122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EP2407510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5264080B2 (ja) 粉体成型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5258058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成形加工方法
EP2045291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2016204581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2005220319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16089101A (ja) 水道水接触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ホースおよび可撓性プール
JP2004285122A (ja) 硬質塩素含有樹脂組成物
JP2008274032A (ja) ハイドロタルサイト及び該ハイドロタルサイトを含有してなる合成樹脂組成物
JP2016056278A (ja) 食品包装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2017190384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