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344A -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344A
KR20170127344A KR1020167004741A KR20167004741A KR20170127344A KR 20170127344 A KR20170127344 A KR 20170127344A KR 1020167004741 A KR1020167004741 A KR 1020167004741A KR 20167004741 A KR20167004741 A KR 20167004741A KR 20170127344 A KR20170127344 A KR 2017012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terest
screen
trend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윤 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63Display enlarged, zoomed detail and small overall schematic, pla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03Graphical display of proces as function of detected alarm signals

Abstract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 영역의 정보를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와,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 및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트렌드 화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및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DISPLAY APPARATUS, MONITOR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본 발명은, 플랜트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이 표시 장치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 상기 표시 장치가 실행하는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강 플랜트, 화학 플랜트, 발전 플랜트 등의 각종 플랜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거나 감시를 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스 제어를 하는 제어 장치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로서의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을 구비한 분산형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은, 제어 장치로부터 보내져오는 플랜트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화상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화상 콘텐츠로서, 예컨대 플랜트에 설치된 기기의 상태 정보의 시간적인 이력을 나타내는 트렌드 화면이 있다. 트렌드 화면에서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선택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트렌드 화면을 보다 보기 쉽게 하기 위한 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트렌드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영역을 지정 입력하면, 그 지정 입력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5-332360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트렌드 화면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할 수는 있지만, 예컨대 복수의 관심 영역을 비교하거나, 한번 확대한 영역을 나중에 재차 확대하거나 한다고 하는 것까지는 상정되어 있지 않아, 트렌드 화면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처리가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트렌드 화면상에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 영역의 정보를 상기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 및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및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하여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늘어놓음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늘어놓음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늘어놓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케일을 서로 같게 함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하여 중첩함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횡축을 시간축으로 하는 한편, 종축을 미리 정해진 측정치의 축으로 하여 그 측정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고,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각각 통과하는 상기 트렌드 그래프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선의 특징을 관심 영역마다 바꿈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횡축을 시간축으로 하는 한편, 종축을 미리 정해진 측정치의 축으로 하여 그 측정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고,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트렌드 그래프 중 어느 2개에 있어서의 동일한 시간의 측정치의 차가 임계치 이상인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과 상기 임계치 미만인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바꿈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은, 서로의 면적 및 형상이 각각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형상을 각각 유지한 채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위치, 면적 또는 형상을 변경하는 지시 입력을 접수할 수 있고,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가 접수한 지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위치, 형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화면 생성부는,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과 상기 트렌드 화면 내의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 이외의 비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이 다른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경색의 특성은 색의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플랜트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상기 복수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트렌드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적어도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 지시 입력 및 상기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및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가 입력을 접수한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북마크 등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북마크에 등록된 상기 관심 영역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북마크 등록부에 의해서 상기 북마크에 등록된 상기 관심 영역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관심 영역 선택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과 상기 트렌드 화면 내의 상기 관심 영역 이외의 비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플랜트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상기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방법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행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방법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행하는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관심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적어도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북마크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프로그램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프로그램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관심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적어도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북마크 등록 단계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렌드 화면상에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용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카운터가 1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카운터가 2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카운터가 3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3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4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가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관심 영역 변경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관심 영역의 이동 처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관심 영역의 확대·변형 처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관심 영역을 북마크 등록하는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등록 확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관심 영역 선택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을 선택할 때에 표시부가 표시하는 선택용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하는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에 있어서, 되돌아가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관심 영역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하나의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이 선택된 경우의 선택용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2개의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이 선택된 경우의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변형예 2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이 갖는 트렌드 표시 영역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한다.)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은, 감시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트렌드 화면상에서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관심 영역끼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감시 시스템(1)은, 철강 플랜트, 화학 플랜트 또는 발전 플랜트 등의 플랜트(P)에서 행해지는 프로세스의 제어나 감시를 하는 분산형 제어 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이다. 감시 시스템(1)은, 복수의 제어 장치(2)(도 1에서는 2개의 제어 장치(2)만을 도시)와,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과,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과, 프린터(5)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어 장치(2),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 및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은 제어 네트워크(6)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 및 프린터(5)는 정보 네트워크(7)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 네트워크(6) 및 정보 네트워크(7)의 각각은,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트라넷, 공중 회선망, 전용 회선망 등을 적절하게 조합한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구성된다.
제어 장치(2)는, 플랜트(P)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플랜트(P)에 설치된 각종 기기(도 1에서는 2개의 기기(P1, P2)만을 도시)에 접속된 센서 등의 계측 장치와 접속한다. 제어 장치(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하여, 계측 장치의 측정 결과 등에 기초한 연산을 행함으로써 각종 기기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2)가 행하는 제어 방식으로서, 예컨대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제어 장치(2)는, 상술한 계측 장치의 측정 결과 등에 기초하여 프로세스의 제어를 하기 위한 내부 계기(計器)에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다. 이러한 내부 계기로서, 예컨대 PID 제어 계기, 스위치(온/오프) 계기, 역율 계기, 풍향 계기 등이 있다.
제어 장치(2)는, 내부 계기의 정보를 제어 대상인 각종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로서, 제어 네트워크(6)를 통해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에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상태 정보에는, 계측 장치의 측정 결과에 더하여, 각종 설정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알람), 내부 계기를 식별하기 위한 TAG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제어 장치(2)는, 제어 네트워크(6)를 통해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으로부터 보내져오는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치의 변경 등의 처리를 한다.
도 2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사용자(플랜트 관리자 등의 오퍼레이터)가 플랜트(P)의 가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며,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기능한다.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입력부(31)와, 제1 통신부(32)와, 제2 통신부(33)와, 표시부(34)와, 화상 처리부(35)와, 제어부(36)와, 기억부(37)를 구비한다.
입력부(31)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한 각종 조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 입력부(31)를 구성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표시부(34)의 표시 화면상에 겹쳐 설치되는 터치 패널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통신부(32)는, 제어부(36)의 제어 하에, 제어 네트워크(6)를 통해 복수의 제어 장치(2)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통신부(32)가 제어 장치(2)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기억부(37)에 저장되고 기억된다.
제2 통신부(33)는, 제어부(36)의 제어 하에, 정보 네트워크(7)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이나 프린터(5)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표시부(34)는, 액정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등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제어부(36)에 의한 제어 하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은 표시부(34)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용의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100)은, 사용자가 플랜트의 상황이나 작업의 목적에 따라서 선택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 영역(100a)과, 제어 대상인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 표시 영역(100b)을 갖는다. 상태 정보 표시 영역(100b)에는, 플랜트(P)에 관련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그래픽 화면, 플랜트(P)의 기기(P1, P2)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상태 정보를 트렌드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및 기기(P1, P2) 등으로부터 얻어진 상태 정보를 장표 형식으로 표시하는 장표 화면, 플랜트(P)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출력되는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알람 화면 등이 표시된다.
화상 처리부(35)는,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351)와, 트렌드 화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복수의 영역)을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와,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를 갖는다. 화상 처리부(35)는 CPU나 각종 연산 회로 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트렌드 화면 생성부(351)는, 제어 장치(2)로부터 제1 통신부(32)를 통해 수신한 정보 및 기억부(37)가 기억하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선택된 내부 계기에 대응하는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트렌드 화면 속에서 관심 영역으로서 설정된 영역을 그 이외의 비관심 영역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하나의 화면상에서 2개의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설정된 복수의 관심 영역을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배치하여 확대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36)는, 입력부(31)가 접수한 관심 영역의 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트렌드 화면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관심 영역 설정부(361)와, 표시부(34)의 표시 처리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362)와, 제어 장치(2)가 행하는 프로세서 제어의 제어 파라미터를 입력부(31)의 입력에 따라서 변경하는 제어 파라미터 변경부(363)를 갖는다.
제어부(36)는, CPU나 각종 연산 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입력부(31)가 입력을 접수한 각종 조작 지시 신호에 따라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을 구성하는 각 부에 대응하는 지시나 데이터의 전송 등을 행함으로써,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의 동작을 통괄하여 제어한다. 한편, 화상 처리부(35)와 제어부(36)를, 공통의 CPU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억부(37)는, 상태 정보 기억부(371)와,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와,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73)와, 프로그램 기억부(374)를 갖는다.
상태 정보 기억부(371)는, 제1 통신부(32)가 제어 장치(2)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상태 정보를 기억한다. 상태 정보 기억부(371)는, 제어부(36)의 제어 하에, 복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는 정보를 갱신하는 동시에, 그 이전의 정보를, 제2 통신부(33)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이러한 정보로서, 관심 영역 설정부(361)가 설정한 관심 영역의 위치 및 크기(세로와 가로의 길이)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 1에서, 관심 영역 설정부(361)가 설정한 관심 영역의 정보는, 그 정보에 기초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에 의해서 생성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삭제하여도 좋다. 즉,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는, 관심 영역의 정보를,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생성할 때까지 동안 일시적으로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다.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73)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를 기억한다.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73)가 기억하는 레이아웃 정보는, 예컨대 복수의 관심 영역의 배치에 관한 정보, 종횡의 스케일 및 표시하는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 표시하는 그래프의 색에 관한 정보 등이다. 복수의 관심 영역의 배치에는, 예컨대 세로로 늘어놓는 배치, 가로로 늘어놓는 배치 및 복수의 관심 영역을 중첩하는 배치가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374)는,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을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한편, 프로그램 기억부(374)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의 기록부 또는 기록 매체에의 기록은, 컴퓨터 또는 기록 매체를 제품으로서 출하할 때에 기록하여도 좋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에 의해 기록하여도 좋다.
기억부(37)는,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프로그램이나 미리 정해진 OS를 기동하는 프로그램 등이 미리 인스톨된 ROM(Read Only Memory) 및 각 처리의 연산 파라미터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상술한 각종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함으로써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말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예컨대 기존의 공중 회선망, LAN, WAN 등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며, 유선, 무선을 묻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하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하여도 좋고, 복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면서 서로 연계하여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는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나 서버 등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복수의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 의해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입력부(31) 및 표시부(34)의 기능을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시키는 한편, 화상 처리부(35), 제어부(36) 및 기억부(37)의 기능을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에 분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은, 제어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 장치(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장치이며, 플랜트(P)에 관련한 알람의 이력 정보나 수치의 트렌드 정보를 장기간에 걸쳐 보존하기 위한 장치이다.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은, 정보 네트워크(7)를 통해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도 한다.
프린터(5)는, 정보 네트워크(7)를 통해 송신되어 오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 및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이 기억하는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여 인쇄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이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내부 계기에 대한 트렌드 화면의 표시가 선택된 경우의 처리(이하,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라고 한다.)의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트렌드 화면 생성부(351)는, 표시 대상으로서 설정된 내부 계기에 대응하는 기기의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측정치(PV: Process Variable) 등의 시간적인 변화를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 트렌드 화면 생성부(351)는, 트렌드 화면 데이터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1 통신부(32)를 통해 제어 장치(2)에 요구한다. 그 후, 트렌드 화면 생성부(351)는, 제어 장치(2)로부터 취득한 정보 및 상태 정보 기억부(371)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트렌드 화면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를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으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표시 제어부(362)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351)가 생성한 트렌드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렌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2).
도 5는 표시부(34)에 있어서의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트렌드 화면(101)은, 어떤 내부 계기의 시간적인 트렌드를 나타내는 곡선인 트렌드 그래프(201)를 보여주고 있다. 트렌드 그래프(201)의 횡축(t)은 시간이고, 종축(PV)은 측정치이다. 한편, 도 5에서는, 하나의 내부 계기의 트렌드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표시 대상의 트렌드 그래프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 후,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3: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확대 처리를 한다(단계 S4). 본 실시형태 1에서, 시작 지시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부(31)의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트렌드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한 후, 마우스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입력된다. 이하, 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확대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단계 S11에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관심 영역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터 n을 1로 초기화한다(단계 S11).
이후, 입력부(31)가 n번째의 관심 영역(이하, 제n 관심 영역이라고 한다.)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2: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3으로 이행한다.
카운터 n이 1인 경우의 제1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 조작은,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 드래그 조작은, 예컨대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가 구비하는 표시 모니터 상에서 표시되는 윈도우의 면적을 확대할 때에 행하는 조작과 같은 식이다. 마우스가 드래그되면, 제1 관심 영역은 마우스 포인터의 시점과 종점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카운터 n이 2 이상인 경우인 제n 관심 영역을 설정할 때의 선택 입력은, 예컨대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클릭 조작을 함으로써 실현된다.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관심 영역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갖는 영역이 제n 관심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단계 S13에서, 관심 영역 설정부(361)는, 입력부(31)가 접수한 제n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트렌드 화면에 있어서의 제n 관심 영역의 설정을 하고(단계 S13), 설정한 정보를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어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를 참조하여, 설정된 모든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4).
이후, 표시 제어부(362)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5). 도 7은 카운터 n이 1인 경우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2)은, 트렌드 그래프(201)의 일부를 통과하도록 설정된 직사각형의 제1 관심 영역(251)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카운터 n이 2인 경우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3)은, 제1 관심 영역(251)에 더하여, 제1 관심 영역(251)과 교점을 갖지 않을 정도에 떨어진 위치에서 트렌드 그래프(201)가 통과하고, 제1 관심 영역(251)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2 관심 영역(252)을 표시하고 있다. 도 9는 카운터 n이 3인 경우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4)은,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에 더하여,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과 교점을 갖지 않을 정도로 떨어진 위치에서 트렌드 그래프(201)가 통과하고, 제1 관심 영역(251)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3 관심 영역(253)을 표시하고 있다.
단계 S15에서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이 표시부(34)에서 표시된 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카운터 n을 1 늘리는 처리를 한다(단계 S16).
이후의 단계 S17의 처리는,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다르다.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은, 예컨대 마우스의 클릭 조작에 의해서 실현된다. 단계 S17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7: Yes)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모든 관심 영역을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배치하여 확대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8).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73)가 기억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참조하여, 전체 관심 영역을 세로 또는 가로로 나란하게 확대한다. 어느 방향으로 나란하게 확대 표시할지는 미리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73)가 기억해 둔다. 한편, 사용자가 마우스의 우측 클릭 조작 등에 의해서 화면상에 레이아웃에 관한 메뉴를 표시한 후, 전체 관심 영역의 레이아웃을 마우스의 클릭 조작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은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05)은,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3)에 있어서의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을 세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각각 확대 표시한 화면이며, 상측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11)는 제1 관심 영역(251)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고, 하측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21)는 제2 관심 영역(252)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다. 이 경우의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의 확대율은, 가로 방향의 확대율이 세로 방향의 확대율보다도 크다. 한편,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의 종횡의 비율을,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상과 같게 한 채로 확대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되는 확대 트렌드 그래프에 대응한 파라미터치 등의 부가 정보를 도 3에 도시하는 메뉴 표시 영역(100a)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은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06)은,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3)에 있어서의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을 가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각각 확대 표시한 화면이다. 좌측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12)는 제1 관심 영역(251)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고, 우측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22)는 제2 관심 영역(252)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다. 이 경우의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의 확대율은, 세로 방향의 확대율이 가로 방향의 확대율보다도 크다. 한편, 가로로 나란하게 확대 표시하는 경우에도,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의 종횡의 비율을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상과 같게 한 채로 확대 표시하여도 좋다.
도 12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3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07)은,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4)에 있어서의 제1 관심 영역(251), 제2 관심 영역(252) 및 제3 관심 영역(253)을 가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각각 확대 표시한 화면이다. 좌측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13)는 제1 관심 영역(251)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고, 중앙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23)는 제2 관심 영역(252)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고, 우측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31)는 제3 관심 영역(253)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다. 한편, 제1 관심 영역(251), 제2 관심 영역(252) 및 제3 관심 영역(253)의 종횡의 비율을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상과 같게 한 채로 확대 표시하여도 좋다.
도 13은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의 제4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08)은,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3)에 있어서의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을 중첩하여 각각 확대 표시한 화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확대 트렌드 그래프(214)는 제1 관심 영역(251)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확대 트렌드 그래프(224)는 제2 관심 영역(252)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것이다. 한편, 2개의 트렌드 그래프의 선의 종류를 바꾸는 대신에, 2개의 트렌드 그래프의 선의 색 또는 굵기 등의 특징을 바꾸더라도 좋다. 또한, 중첩하여 확대 표시하는 경우에도, 제1 관심 영역(251) 및 제2 관심 영역(252)의 종횡의 비율을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상과 같게 한 채로 확대 표시하여도 좋다.
단계 S17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단계 S12에서 입력부(31)가 제1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2: No)는,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단계 S19: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확대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9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9: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단계 S4의 확대 처리에 이어지는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4에서의 확대 처리 후,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생성되어 존재하고 있는 경우(단계 S5: Yes), 표시 제어부(362)는,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6). 이 단계 S6에서는, 예컨대 도 10~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확대 트렌드 화면이 표시된다.
이후,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단계 S7: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7에서,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7: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7을 반복한다.
단계 S3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3: No), 및 단계 S5에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 No), 제어부(36)는, 상태 정보 기억부(371)가 기억하는 상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판단 결과, 상태 정보가 갱신된 경우(단계 S8: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한편, 판단 결과, 상태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8: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9로 이행한다.
단계 S9에서,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9: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9: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8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2개의 관심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2개 이상의 관심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경우도 같은 식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르면,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트렌드 그래프와 함께 표시하고,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선택이 확정된 경우에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트렌드 화면상에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면, 트렌드 화면상에서 다른 관심 영역끼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면,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하여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비교하기가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면, 복수의 관심 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나란하게 표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교하기가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우스의 조작을 2회 하는 것만으로, 2개의 관심 영역의 설정 및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확대나 축소의 조작을 여러 번 반복해서 행할 필요는 없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을 볼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
도 14는 본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09)은, 측정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의 대소 관계에 따라서 트렌드 곡선의 종류를 바꿔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측에 표시되어 있는 확대 트렌드 그래프(221a)에 있어서, 임계치(TH) 이하로 되어있는 부분을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임계치란, 예컨대 측정치에 있어서의 정상 범위와 이상 범위의 경계라도 좋다. 한편, 임계치와의 대소에 따라서 선의 종류를 변화시키는 대신에 선의 색을 변화시켜 표시하여도 좋고, 선의 종류와 선의 색 양쪽을 변화시켜 표시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따르면, 사용자는 임계치와의 대소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판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
도 15는 본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10)은, 도 11에 도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2개의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를 중첩하여 표시하고 있다. 확대 트렌드 화면(110)에서는, 2개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14, 224)의 값의 차가 큰 영역을 강조하기 위해서, 값의 차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영역을 마스크 또는 배경색의 특성을 바꿔 표시하고 있다. 도 15에서는, 마스크하고 있는 영역을 사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교 대상의 2개의 트렌드 곡선에서 차가 큰 영역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판정을 용이하면서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
도 16은 본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11)은, 트렌드 그래프(201)를 통과하는 2개의 관심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관심 영역(251)의 면적은 제2 관심 영역(254)보다도 면적이 작고, 종횡비도 다르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 3에서는, 복수의 관심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 3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할 때는, 사용자가 일단 확정한 관심 영역의 경계 부근에 마우스 포인터를 맞춰 마우스를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관심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변화시킨다.
도 17은 본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12)은, 제1 관심 영역과 제2 관심 영역을 세로로 나란하게 표시할 때, 2개의 트렌드 그래프의 종횡의 스케일이 공통으로 되도록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관심 영역(251)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확대 트렌드 그래프(215)는, 제2 관심 영역(254)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확대 트렌드 그래프(225)보다도 데이터량이 적다. 한편, 횡축, 즉 시간축의 스케일은, 입력부(31)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또한, 세로 방향의 2개의 축(PV1, PV2)의 길이가 같게 되도록 표시하여도 좋다.
도 18은 본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113)은, 제1 관심 영역과 제2 관심 영역을 가로로 나란하게 표시할 때, 2개의 트렌드 그래프의 횡축, 즉 시간축의 스케일이 공통으로 되도록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관심 영역(251)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확대 트렌드 그래프(216)는, 제2 관심 영역(254)에 있어서의 트렌드 그래프(201)를 확대한 확대 트렌드 그래프(226)보다도 데이터량이 적고, 횡축이 짧게 표시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2개의 종축의 스케일이 공통인 경우에는, 2개의 확대 트렌드 그래프(216, 226)의 변화율을 비교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대하여, 2개의 확대한 트렌드 그래프의 절대치를 비교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로로 나란하게 된 2개의 트렌드 그래프의 종축, 즉 측정치를 나타내는 축이 동일하게 되게 하면 된다. 한편, 종축의 스케일은, 입력부(31)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또한, 가로로 나란하게 하는 경우에는, 제1 관심 영역과 제2 관심 영역의 종횡비에 따라서 화면 내에서의 트렌드 그래프 표시 영역의 면적이 다르게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에 따르면, 관심 영역을 보다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는, 감시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트렌드 화면상에서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관심 영역끼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동시에, 관심 영역을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2는, 관심 영역을 설정할 때에, 관심 영역의 위치, 크기,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감시 시스템(1)의 일부를 이룬다. 이하, 감시 시스템(1)이 갖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도 1 및 도 2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이 실행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의 개요는,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와 마찬가지지만, 확대 처리(단계 S4)의 내용이 다르다. 이하, 도 19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단계 S31~S37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하는 단계 S11~S17의 처리에 순차 대응하고 있다. 한편, 단계 S32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32: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후술하는 단계 S41로 이행한다.
단계 S37에 이어지는 단계 S38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변경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38: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관심 영역 변경 처리를 한다(단계 S39).
도 20은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이 실행하는 관심 영역 변경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변경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51: Yes), 관심 영역 설정부(361)는 관심 영역을 변경하고, 변경 후의 정보를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에 저장한다(단계 S52).
이어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를 참조하여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갱신한다(단계 S53). 표시 제어부(362)는, 갱신된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54).
도 21은 관심 영역 변경 처리의 일례로서 관심 영역의 이동 처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트렌드 표시 영역(301)은, 제1 관심 영역(302) 및 제2 관심 영역(303)을 갖는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영역(302a)은, 변경 전의 제1 관심 영역(302)의 위치 및 크기를 가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21에서는 트렌드 그래프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21에서는, 사용자가 제1 관심 영역(302)의 초기 위치(영역 302a)에 있어서의 외연 부근에 마우스 포인터(M)를 맞추고 나서 우측 아래 방향으로 마우스를 드래그-앤드-드롭(Drag and Drop)함으로써 제1 관심 영역(302)을 이동시킨 후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이동 조작은,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서의 윈도우의 이동 조작과 같은 식이다. 트렌드 표시 영역(301)의 아래쪽에는 「계속?」이라고 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동시에, 「Yes」 및 「No」의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다른 관심 영역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M)을 「Yes」 버튼에 위치를 맞춰 마우스를 클릭한다. 한편, 사용자는, 관심 영역의 선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M)를 「No」 버튼에 위치를 맞춰 마우스를 클릭한다.
도 22는 관심 영역의 변경 처리의 다른 예로서 관심 영역의 확대·변형 처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트렌드 표시 영역(311)은, 도 22에 도시하는 트렌드 표시 영역(301)에 대하여, 사용자가 제2 관심 영역(303)의 경계의 우측 아래 정점부에 마우스 포인터를 맞추고 나서 드래그-앤드-드롭함으로써, 제2 관심 영역(303)의 형상을 바꾸면서 확대하여 제2 관심 영역(303a)으로 변경한 후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서는, 이 확대·변형 조작은,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서 윈도우를 확대·변형하는 조작과 같은 식이다. 한편, 도 22에서는 확대·변형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같은 조작에 의해서 관심 영역을 축소·변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관심 영역의 형상은 바꾸지 않고서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트렌드 표시 영역(311)에도 「계속?」의 문자와 「Yes」, 「No」의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이후, 입력부(31)가 변경 계속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55: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51로 되돌아간다. 한편, 입력부(31)가 선택 계속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고, 종료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55: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관심 영역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51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변경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51: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56으로 이행한다.
단계 S56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 변경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56: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관심 영역 변경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56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 변경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56: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51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관심 영역 변경 처리(단계 S39) 후,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관심 영역을 트렌드 표시 영역의 전역으로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40). 이 경우의 확대 트렌드 화면은, 관심 영역마다의 크기에 따라서 각 관심 영역의 표시 영역을 바꿔 표시하여도 좋고, 각 관심 영역의 표시 영역을 등분하여 표시하여도 좋다.
단계 S38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변경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38: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40로 이행한다.
단계 S4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41: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확대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4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41: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32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르면,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에 더하여, 사용자는 마우스의 드래그-앤드-드롭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관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관심 영역의 위치, 형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관심 영역을 한층 더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은, 감시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트렌드 화면상에서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관심 영역끼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동시에, 과거에 선택한 관심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섬세한 감시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제어부(81) 및 기억부(82)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도 2를 참조). 또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부를 이룬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에 따른 감시 시스템(1)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하, 감시 시스템(1)이 갖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도 1 및 도 2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제어부(81)는, 관심 영역 설정부(361)와, 표시 제어부(362)와, 제어 파라미터 변경부(363)와, 북마크 등록부(811)와, 관심 영역 선택부(812)를 갖는다. 북마크 등록부(811)는,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관심 영역 선택부(812)는, 북마크에 등록된 관심 영역 중에서, 입력부(31)가 접수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을 선택한다.
기억부(82)는, 상태 정보 기억부(371)와,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와,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73)와, 프로그램기억부(374)와,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를 갖는다.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는, 관심 영역 설정부(361)가 설정한 관심 영역 중, 입력부(31)가 접수한 등록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북마크에 등록된 관심 영역의 정보를 기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에 있어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북마크의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면, 북마크 등록부(811)가 해당하는 관심 영역의 정보에 대하여 북마크 등록 정보를 부가하여,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에 저장한다. 북마크 등록 정보가 부가된 관심 영역 정보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가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도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에 의해서 기억된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이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트렌드 화면 데이터의 생성 처리(단계 S61) 및 트렌드 화면의 표시 처리(단계 S62)는 도 4의 단계 S1 및 S2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후, 입력부(31)가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 선택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는지 여부(단계 S63)에 따라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다른 처리로 이행한다.
우선, 단계 S63에서, 입력부(31)가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 선택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63: No)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64: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확대 처리를 한다(단계 S65). 본 실시형태 3에서도, 시작 지시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부(31)의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트렌드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한 후, 마우스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입력된다. 한편, 단계 S64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64: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후술하는 단계 S67로 이행한다.
이하, 도 25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단계 S65)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단계 S81~S87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하는 단계 S11~S17의 처리에 순차 대응하고 있다. 한편, 단계 S82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82: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후술하는 단계 S91로 이행한다.
단계 S87에 이어지는 단계 S88에서, 입력부(31)가, 선택이 확정된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88: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해당하는 관심 영역을 북마크 등록한다(단계 S89). 도 26은 관심 영역을 북마크 등록하는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택이 확정된 관심 영역의 수가 N(≥1)이었다고 하자. 우선,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관심 영역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터 n을 1로 초기화한다(단계 S101).
이후, 표시 제어부(362)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에 제n 관심 영역의 등록을 확인하는 표시를 중첩하여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02). 도 27은 표시부(34)가 표시하는 등록 확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7은, 도 8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103)에 있어서, 제1 관심 영역(251)에 대한 등록 확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등록 확인 화면(121)에 있어서, 제1 관심 영역(251)의 경계선은 제2 관심 영역(252)의 경계선보다도 굵은 선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 확인 화면(121)에서는, 등록 확인 표시부(401)가 표시되어 있다. 등록 확인 표시부(401)에는, 「등록하시겠습니까?」라고 하는 문장이 표시되는 동시에, 「Yes」 및 「No」 버튼이 표시된다. 이들 2개의 버튼 중 어느 것으로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M)의 위치를 맞춰 마우스를 클릭하면, 「Yes」 또는 「No」의 표시에 따른 신호의 입력 접수가 이루어진다.
입력부(31)가 제n 관심 영역의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03: Yes), 북마크 등록부(811)는, 제n 관심 영역의 정보에 북마크 등록 정보를 부가하여,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에 저장하는 등록 처리를 한다(단계 S104).
이어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카운터 n을 1 늘리는 처리를 한다(단계 S105). 한편, 입력부(31)가 제n 관심 영역의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03: No)에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105의 처리를 한다.
단계 S105 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카운터 n이 선택된 관심 영역의 수 N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6). 카운터 n이 N 이하인 경우(단계 S106: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102로 되돌아간다. 한편, 카운터 n이 N보다 큰 경우(단계 S106: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북마크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다시 도 25를 참조하여, 이상 설명한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처리(단계 S89) 후의 처리를 설명한다.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확정한 관심 영역의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90). 이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확대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88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88: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90으로 이행한다.
단계 S9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91: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확대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9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91: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82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단계 S65의 확대 처리에 이어지는 처리를, 다시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65에서의 확대 처리 후,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생성되어 존재하고 있는 경우(단계 S66: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후술하는 단계 S72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66에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단계 S66: No), 제어부(81)는, 상태 정보 기억부(371)가 기억하는 상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7). 판단 결과, 상태 정보가 갱신된 경우(단계 S67: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61로 되돌아간다. 한편, 판단 결과, 상태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67: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68로 이행한다.
단계 S68에서, 입력부(31)가 트렌드 화면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68: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력부(31)가 트렌드 화면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68: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67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단계 S63에서, 입력부(31)가 북마크 등록 완료된 관심 영역 선택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63: Yes)를 설명한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관심 영역 선택 처리를 한다(단계 S69).
도 28은 관심 영역 선택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표시 제어부(362)는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용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11). 도 29는 표시부(34)에 있어서의 선택용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선택용 화면(501)은, 복수의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의 시점(始點)에 상당하는 일시를 메뉴 표시하고 있다. 선택용 화면(501)에서는, 마우스 포인터(M)가 지시하고 있는 메뉴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다. 도 29에서는,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 중, 메뉴 「2.2013/5/20 18:30」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일시는,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시점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메뉴의 변경은, 예컨대 사용자가 마우스휠 또는 키보드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써, 입력부(31)는 메뉴 「2.2013/5/20 18:30」에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다.
이후, 입력부(31)가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12: Yes), 관심 영역 선택부(812)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정보를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로부터 취득하여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에 출력한다(단계 S113).
단계 S113에 이어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관심 영역 선택부(812)로부터 출력된 관심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14). 그 후, 표시 제어부(362)는, 단계 S114에서 생성된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15).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북마크 등록된 관심 영역 중 원하는 관심 영역을 열람할 수 있다.
도 30은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2)은, 트렌드 표시 영역에 표시되며, 타이틀 표시 영역(511)과 트렌드 표시 영역(521)을 갖는다. 타이틀 표시 영역(511)에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시점의 일시 정보(「2.2013/5/20 18:30」)에 더하여, 확대 버튼(512), 되돌아가기 버튼(513) 및 진행하기 버튼(514)이 표시된다. 관심 영역(522)은 트렌드 표시 영역(52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트렌드 표시 영역(521)의 아래쪽에는, 「계속?」이라는 문자와 「Yes」, 「No」의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다른 관심 영역의 선택을 원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M)를 「Yes」 버튼에 위치를 맞춰 마우스를 클릭한다. 한편, 사용자는, 관심 영역의 선택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M)를 「No」 버튼에 위치를 맞춰 마우스를 클릭한다. 도 30에서, 트렌드 그래프 등은 생략하고 도시한다. 한편, 타이틀에 관심 영역의 시점의 일시 정보를 표시하는 대신에, 사용자가 설정 입력한 타이틀이나 내부 계기의 TAG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확대 버튼(512)은, 표시 중인 관심 영역의 확대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확대 버튼(512)에 마우스 포인터를 맞춘 상태에서 마우스가 클릭되면, 관심 영역의 확대 트렌드 화면이 생성된다. 한편, 관심 영역의 내부에 마우스 포인터를 맞춰 클릭 또는 더블클릭 등의 조작을 함으로써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 지시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되돌아가기 버튼(513)은, 하나 전에 등록된 관심 영역으로 표시를 이행하는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하는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2)에 있어서, 되돌아가기 버튼(513)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관심 영역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3은), 타이틀 표시 영역(531)과 트렌드 표시 영역(541)을 갖는다. 타이틀 표시 영역(531)에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시점의 일시 정보(「1.2013/2/9 12:10」)에 더하여, 확대 버튼(532), 되돌아가기 버튼(533) 및 진행하기 버튼(534)이 표시되어 있다. 관심 영역(542)은 트렌드 표시 영역(54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도 31에서도 트렌드 그래프 등은 생략하고 도시한다.
진행하기 버튼(514)은, 하나 후에 등록된 관심 영역으로 표시를 이행하는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예컨대, 도 30에 도시하는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2)에 있어서, 진행하기 버튼(514)이 선택되면, 도 29의 선택 화면에서의 메뉴 「3.2014/1/15 9:00」에 상당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이 표시부(34)에서 표시되게 된다.
이후, 입력부(31)가 선택 계속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16: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112로 되돌아간다. 한편, 입력부(31)가 선택 계속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고, 종료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16: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관심 영역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12에서, 입력부(31)가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12: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117로 이행한다.
단계 S117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 선택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17: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관심 영역 선택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17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 변경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17: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112로 되돌아간다.
도 32는, 이미 하나의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이 선택된 경우의 선택용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선택용 화면(504)에서는, 복수의 메뉴 중, 선택이 끝난 메뉴 「2.2013/5/20 18:30」은 굵은 글씨로 둘러싸여져 있다. 도 3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메뉴 「4.2014/4/10 15:25」가 선택되면,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에서는 2개의 관심 영역이 표시된다.
도 33은 2개의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부(34)에 있어서의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하는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5)은, 트렌드 표시 영역에 표시되며, 2개의 타이틀 표시 영역(551, 552)과, 2개의 트렌드 표시 영역(553, 554)을 갖는다. 타이틀 표시 영역(551)에는, 1번째로 선택된 관심 영역의 시점의 일시 정보(「2.2013/5/20 18:30」)가 표시되고, 타이틀 표시 영역(552)에는, 2번째로 선택된 관심 영역의 시점의 일시 정보(「4.2014/4/10 15:25」)가 표시된다. 트렌드 표시 영역(553)에는, 1번째로 선택된 제1 관심 영역(555)(도 30의 관심 영역(522)에 대응)이 표시된다. 트렌드 표시 영역(554)에는, 2번째로 선택된 제2 관심 영역(556)이 표시된다.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5)에서도 「계속?」이라고 하는 문자와 「Yes」, 「No」의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이후, 관심 영역의 선택이 반복될 때마다,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에는 선택된 모든 관심 영역이 표시된다. 한편, 1번째로 선택된 쪽을 아래에 표시하여도 좋고, 2개의 관심 영역을 좌우로 나란하게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문자 및 버튼의 표시 위치는 도 33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타이틀 표시 영역(551, 552)에, 확대 버튼, 되돌아가기 버튼 및 진행하기 버튼을 표시하여, 선택에 의해서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관심 영역 선택 처리(단계 S69) 후,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확대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70: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71로 이행한다. 한편,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확대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70: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74로 이행한다.
우선,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확대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70: Yes)를 설명한다. 이 경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관심 영역을 트렌드 표시 영역의 전역으로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71). 그 후, 표시 제어부(362)는,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72). 한편,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할 때에, 그 확대 트렌드 화면이 북마크 등록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추가하여도 좋다.
단계 S72 후,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단계 S73: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73에서,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73: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73을 반복한다.
이어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확대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70: No)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변경 지시 입력을 접수했을 때(단계 S74: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69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단계 S69에서의 관심 영역 선택 처리는, 초기화된 상태부터 행해지는 것으로 하지만, 선택용 화면에 있어서, 전회의 관심 영역 선택 처리에서 선택한 관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70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확대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70: No),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변경 지시 입력을 접수하여 않을 때(단계 S74: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단계 S67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르면, 실시형태 1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북마크 등록 기능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관심 영역을 일시적으로 기억시켜 놓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에 따르면, 북마크 등록된 관심 영역을 선택하여 열람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과거에 선택한 관심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한층 더 세심한 감시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 3에서,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관심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주변에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다른 관심 영역이 존재하고 있을 때, 이들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4는 이 경우의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506)은, 타이틀 표시 영역(561)과 트렌드 표시 영역(571)을 갖는다. 타이틀 표시 영역(561)에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시점의 일시 정보(「3.2014/1/15 9:00」)에 더하여, 확대 버튼(562), 되돌아가기 버튼(563) 및 진행하기 버튼(564)이 표시된다. 트렌드 표시 영역(571)에는, 선택된 관심 영역(572)에 더하여, 그 주변에서 북마크 등록이 완료된 2개의 관심 영역(573, 574)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과거에 선택하여 북마크 등록된 관심 영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하는 경우는, 예컨대 관심 영역(572)만을 굵은 테로 표시하거나 하여 다른 관심 영역(573, 574)과의 차별화를 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영역(572)을 명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영역을 트렌드 표시 영역의 중앙에 배치시킬 필요는 없다.
여기까지 설명한 도 34는, 관심 영역(572)과 관심 영역(573, 574)이 겹쳐 있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관심 영역이 겹쳐 있는 경우에는, 다른 것과 겹치지 않은 부분에 마우스 포인터를 맞춰 클릭함으로써, 전체를 하나의 관심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조작을 함으로써, 겹친 관심 영역 중 하나를 확대 표시하게 하여도 좋다. 한편, 겹쳐 있는 관심 영역을 클릭한 경우에는, 겹쳐 있는 부분만을 새로운 관심 영역으로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겹쳐 있는 관심 영역에서 하나의 관심 영역을 선택하여 확대 표시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을 재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 3에서,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를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2 통신부(33)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4)과의 사이에서 적절하게 통신을 함으로써 상술한 표시 방법을 실현하게 된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는, 감시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트렌드 화면상에서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특히 다른 관심 영역끼리를 용이하면서 또한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동시에, 관심 영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할 때에, 확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한층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감시 시스템(1)의 일부를 이룬다. 이하, 감시 시스템(1)이 갖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4에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트렌드 표시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가 변경하는 배경색의 특성으로서, 예컨대 투과성, 빛의 3 속성인 색상, 채도,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투과성 및 빛의 3 속성 중 복수를 조합시킨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5는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가 실행하는 표시 방법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5에서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이 행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 S131, S132의 처리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단계 S1, S2의 처리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36은 표시부(34)에 있어서의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트렌드 화면(601)은, 3개의 내부 계기 A, B, C의 트렌드를 표시하고 있다. 트렌드 화면(601)은, 타이틀 표시 영역(611)과, 수치 정보 표시 영역(612)과, 트렌드 표시 영역(613)을 갖는다. 타이틀 표시 영역(611)에는 「트렌드 화면」이라고 하는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수치 정보 표시 영역(612)에는, 예컨대 각 내부 계기의 최신의 측정치(PV), 데이터 취득 기간, 계측 주기, 세로 괘선 간격 등의 수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트렌드 표시 영역(613)에는, 내부 계기 A, B, C의 트렌드를 각각 나타내는 절선의 트렌드 그래프(614, 615, 616)에 더하여, 표시 범위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각각 스크롤하기 위한 세로 스크롤바(617) 및 가로 스크롤바(618)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36에서는, 3개의 내부 계기의 트렌드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표시 대상의 트렌드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2 후,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33: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확대 처리를 한다(단계 S134). 본 실시형태 4에서, 시작 지시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부(31)의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트렌드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한 후, 마우스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입력된다. 이하, 도 37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확대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단계 S133에서 입력된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트렌드 표시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51). 이어서, 표시 제어부(362)는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52). 도 38은 표시부(34)에 있어서의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602)은, 원래의 트렌드 화면(601)의 트렌드 표시 영역(613) 전체를 음영으로 한 양태로 표시하고 있다. 이 음영은, 배경색의 특성으로서, 그 투과성을 낮게 하여 표시하고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단계 S152 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관심 영역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터 n을 1로 초기화한다(단계 S153).
이어서, 입력부(31)가 제n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54: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55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 4에서, 확대 표시 대상 영역의 선택 입력 조작은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 드래그 조작은, 예컨대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가 구비하는 표시 모니터 상에서 표시되는 윈도우의 면적을 확대할 때에 행하는 조작과 마찬가지다. 마우스가 드래그되면, 관심 영역은 마우스 포인터의 시점과 종점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관심 영역 설정부(361)는, 입력부(31)가 접수한 제n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트렌드 화면에 있어서의 제n 관심 영역의 설정을 하고(단계 S155), 설정한 정보를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어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352)는,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를 참조하여, 설정된 관심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원래로 되돌림으로써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56).
이후, 표시 제어부(362)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57). 도 39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603)은, 트렌드 표시 영역(613) 중에 제1 관심 영역(613a)을 트렌드 화면(601)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는 한편, 비관심 영역(613b)은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602)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39에서는, 사용자가 제1 관심 영역(613a)의 좌측 위의 정점(도 38을 참조)에서 우측 아래의 정점까지 마우스로 드래그 조작을 함으로써 관심 영역을 설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제1 관심 영역(613a) 내의 파선의 화살표 L을 참조). 화살표 L은, 도 38의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602)에서부터 도 39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603)에 이르기까지의 마우스 포인터(M)의 궤적을 나타내는 가상적인 선이며 실제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단, 궤적을 명시하기 위해서 화면상에서 표시하게 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39에서는, 트렌드 표시 영역의 대략 중앙부에 선택 확정 확인 표시부(619)가 표시된다. 선택 확정 확인 표시부(619)에는 「선택 확정?」이라고 하는 문자와 함께 「Yes」 및 「No」의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M)를 이용하여 「Yes」를 선택하면, 제1 관심 영역(613a)만의 선택으로 관심 영역의 선택이 확정된다. 한편, 사용자가 마우스 포인터(M)를 이용하여 「No」를 선택하면, 또 다른 관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0은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604)은, 트렌드 표시 영역(613) 중에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을 트렌드 화면(601)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각각 표시하는 한편, 비관심 영역(613d)은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602)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40에서는, 도 3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선택 확정 확인 표시부(619)의 「No」 버튼이 선택된 후, 사용자가 제2 관심 영역(613c)을 설정하기 위한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을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2 관심 영역(613c)의 영역이 제1 관심 영역(613a)과 맞는 영역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과는 무관하게 제2 관심 영역(613c)을 결정하여도 좋다.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604)에도 선택 확정 확인 표시부(619)가 표시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관심 영역의 선택을 확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마우스의 조작에 의해서 「Yes」 버튼을 선택하는 한편, 또 다른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No」 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단계 S157에서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이 표시부(34)에서 표시된 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은, 카운터 n을 1 늘리는 처리를 한다(단계 S158).
이어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59: Yes),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선택된 영역을 트렌드 표시 영역 전역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60). 상술한 것과 같이, 단계 S159에서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 접수는, 도 39 등의 선택 확정 확인 표시부(619)의 「Yes」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실행된다.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관심 영역을 트렌드 표시 영역(613)의 전역으로 확대한다. 본 실시형태 4에서,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확대할 때에, 확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의 트렌드에 관한 상태 정보를 재취득하여, 확대하는 트렌드 표시 영역(613)의 스케일(세로 스케일, 가로 스케일)에 맞춰 재묘화한다. 이 때문에, 관심 영역의 종횡비(aspect비)가 트렌드 표시 영역의 종횡비와 같지 않은 경우,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확대율은 다르다. 예컨대, 도 39에 도시하는 경우, 제1 관심 영역(613a)의 가로 방향의 확대율 쪽이 세로 방향의 확대율보다도 커진다.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제1 관심 영역(613a) 주변의 비관심 영역(613b)에 관해서도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353)는, 확대 전의 제1 관심 영역(613a) 및 비관심 영역(613b)의 배경색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입력부(31)가 확대 트렌드 화면의 스크롤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표시부(34)에서 스크롤 화면을 스무스하게 표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후술하는 단계 S138을 참조).
단계 S154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54: No), 및 단계 S159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59: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61로 이행한다.
단계 S161의 처리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6의 단계 S19와 마찬가지다. 단계 S16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61: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54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단계 S134의 확대 처리에 이어지는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134에서의 확대 처리 후,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생성되어 존재하고 있는 경우(단계 S135: Yes), 표시 제어부(362)는,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36). 도 41은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605)은, 도 40의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604)에 있어서의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을 트렌드 표시 영역(613)에서 세로로 나란하게 확대한 화면이다. 이 경우의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의 확대율은, 상술한 것과 같이, 가로 방향의 확대율이 세로 방향의 확대율보다도 크다.
이후, 입력부(31)가, 확대 트렌드 화면의 스크롤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37: Yes), 표시 제어부(362)는, 스크롤량에 따라서 표시하는 부분을 변경하여(스크롤하여)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38). 도 42는 스크롤량에 따른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제2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606)은, 제1 관심 영역(613a)에 대하여 세로 스크롤바(617a)를 이용하여 화면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한편, 가로 스크롤바(618a)를 이용하여 화면을 오른쪽으로 스크롤하는 동시에, 제2 관심 영역(613c)에 대하여 세로 스크롤바(617b)를 이용하여 화면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한편, 가로 스크롤바(618b)를 이용하여 화면을 오른쪽으로 스크롤한 후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확대 트렌드 화면(606)에서는,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과 비관심 영역(613d)의 배경색의 특성이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604)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확대 트렌드 화면을 스크롤한 경우,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과 비관심 영역(613d)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입력부(31)가 축소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39: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31로 되돌아간다.
단계 S139에서, 입력부(31)가 축소 표시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39: No)는,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단계 S140: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40에서, 입력부(31)가 트렌드 표시 종료의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40: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37로 되돌아간다.
단계 S133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33: No), 및 단계 S135에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단계 S135: No), 제어부(36)는, 상태 정보 기억부(371)가 기억하는 상태 정보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1). 판단 결과, 상태 정보가 갱신된 경우(단계 S141: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31로 되돌아간다. 한편, 판단 결과, 상태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141: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42로 이행한다. 단계 S142의 처리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4의 단계 S9와 마찬가지다.
단계 S137에서, 확대 트렌드 화면의 스크롤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37: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3)은 단계 S139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르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확대 대상의 영역으로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을 그 이외의 비관심 영역과는 다른 배경색의 특성으로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생성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일부를 확대할 때에, 관심 영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4에 따르면, 비관심 영역에서는 배경색의 투과성을 저하시킴으로써 관심 영역과의 특성의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에, 비관심 영역의 트렌드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4에 따르면,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생성할 때, 관심 영역 주변의 비관심 영역도 확대하기 때문에, 스크롤함으로써 관심 영역 주변의 트렌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비관심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은 확대 전후로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확대 후에도 관심 영역과 비관심 영역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4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우스의 드래그-앤드-드롭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관심 영역의 설정 및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런데, 트렌드 화면과 같이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는 화면에서는, 예컨대 관심 영역을 단순한 프레임으로 표시하여도, 그래프와 구별하기 어렵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4에서는, 관심 영역과 비관심 영역에서 배경색의 특성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트렌드 그래프를 포함하는 화면 내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라도, 관심 영역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
도 43은 본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에 따른 표시부(34)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607)은, 도 40에 도시하는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의 종횡의 비율을 바꾸지 않고서 동일한 배율로 각각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 확대 트렌드 화면(607)의 트렌드 표시 영역(613') 내의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에서는, 세로 방향이 최대인 한편, 가로 방향은 최대는 아니다. 이 때문에, 확대 트렌드 화면에서는, 가로 방향을 따라서 비관심 영역(613d')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확대 트렌드 화면(607)은, 2개의 관심 영역의 횡폭이 거의 일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2)
도 44는 본 실시형태 4의 변형예 2에 따른 표시부(34)에 있어서의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608)은, 트렌드 표시 영역(613'')의 제1 관심 영역(613a'') 및 제2 관심 영역(613c'')의 표시 범위가, 각 표시 영역의 전역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주연부에 비관심 영역(613d'')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를 함으로써, 사용자는 확대 트렌드 화면에서도 관심 영역과 비관심 영역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 및 2가 실시형태 4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 5)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는, 감시 시스템이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트렌드 화면상에서의 다양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 영역을 기억시켜 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는, 하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할 때에, 확대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한층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5는 본 실시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인 오퍼레이터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오퍼레이터 스테이션(8)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감시 시스템(1)의 일부를 이룬다. 이하, 감시 시스템(1)이 갖는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도 23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이 구비하는 화상 처리부(91)는,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911)와, 트렌드 화면에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을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912)와,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913)를 갖는다. 화상 처리부(91)는 CPU나 각종 연산 회로 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912)는, 트렌드 화면 속에서 관심 영역으로서 설정된 영역을 그 이외의 비관심 영역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912)는, 입력부(31)가 확대 처리의 시작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면, 트렌드 표시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후,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912)는, 트렌드 표시 영역 속에 관심 영역을 트렌드 화면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는 한편, 비관심 영역은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912)가 변경하는 배경색의 특성은 상술한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다.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이 실행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처리의 개요는, 도 24에 도시하는 흐름도와 마찬가지지만, 확대 처리(단계 S65)의 내용이 다르다. 이하, 도 4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이 실행하는 확대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46에서, 단계 S171~S172의 처리는 도 37의 단계 S151~S152의 처리와 각각 마찬가지이다. 도 47은 표시부(34)에 있어서의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7에 도시하는 트렌드 화면(701)은 도 36에 도시하는 트렌드 화면(601)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트렌드 화면(60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트렌드 화면(601)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놓는다. 또한, 트렌드 화면(701)도, 3개의 내부 계기 A, B, C의 트렌드를 각각 나타내는 절선의 트렌드 그래프(711, 712, 713)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표시 대상의 트렌드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8은 표시부(34)에 있어서의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702)은, 원래의 트렌드 화면(701)의 트렌드 표시 영역(613) 전체를 음영으로 한 양태로 표시하고 있다. 이 음영은, 배경색의 특성으로서, 그 투과성을 낮게 하여 표시하고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후,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73: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단계 S174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 5에서, 확대 표시 대상 영역의 선택 입력 조작은,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에 의해서 실현된다.
관심 영역 설정부(361)는, 입력부(31)가 접수한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트렌드 화면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의 설정을 하고, 설정한 정보를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단계 S174).
이어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912)는,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372)를 참조하여, 설정된 관심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원래로 되돌림으로써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75).
이후, 표시 제어부(362)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부(34)에 표시하게 한다(단계 S176). 도 49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703)은, 트렌드 표시 영역(613) 속에 관심 영역(721)을 트렌드 화면(701)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는 한편, 비관심 영역(722)은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702)과 같은 특성을 갖는 배경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49에서는, 사용자가 관심 영역(721)의 좌측 위의 정점(도 48을 참조)에서부터 우측 아래의 정점까지 마우스로 드래그 조작을 함으로써 관심 영역을 설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관심 영역(721) 내의 파선의 화살표 L을 참조). 한편, 도 49에서도, 화살표 L은 가상적인 선이지만, 화면상에서 표시하게 하여도 좋다.
이어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77: Yes)는, 입력부(31)가 확정한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단계 S178: Yes), 북마크 등록부(811)는, 해당하는 관심 영역의 정보에 대하여 북마크 등록 정보를 부가하여, 북마크 정보 기억부(821)에 저장한다(단계 S179).
이어서,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913)는, 선택된 영역을 트렌드 표시 영역(613) 전역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80). 본 실시형태 5에서, 선택 확정 신호는,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마우스의 드롭 조작에 의해서 실현된다. 도 49에서는, 관심 영역(721)의 좌측 위의 정점이 시점이고, 우측 아래의 정점이 종점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180 후,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확대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도 24를 참조)으로 되돌아간다.
도 50은 확대 트렌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704)은, 도 49의 관심 영역 표시 화면(703)에 있어서의 관심 영역(721)을 트렌드 표시 영역(613)의 전역으로 확대한 화면이다. 이 경우의 관심 영역(721)의 확대율은, 상술한 것과 같이, 가로 방향의 확대율이 세로 방향의 확대율보다도 크다.
단계 S178에서, 입력부(31)가, 확정한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8: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단계 S180로 이행한다.
단계 S173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3: No), 및 단계 S177에서 입력부(31)가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7: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단계 S181로 이행한다.
단계 S18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단계 S181: Yes),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확대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81에서, 입력부(31)가 확대 처리를 종료하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 경우(단계 S181: No), 오퍼레이터 스테이션(9)은 단계 S173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르면, 트렌드 화면상에서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북마크 등록 기능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관심 영역을 기억시켜 둘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북마크 등록된 관심 영역을 선택하여 열람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과거에 선택한 관심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한층 더 세심한 감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확대 대상의 영역으로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을 그 이외의 비관심 영역과는 다른 배경색의 특성으로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생성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일부를 확대할 때에, 관심 영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비관심 영역에서는 배경색의 투과성을 저하시키는 점이나,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생성할 때, 관심 영역 주변의 비관심 영역도 확대한다는 점이 실시형태 4와 동일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비관심 영역의 트렌드도 파악할 수 있거나, 확대 후에도 관심 영역과 비관심 영역을 명확하게 구별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트렌드와 같은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는 화면에 대하여 적합하다는 점도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북마크 등록 기능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관심 영역을 일시적으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북마크 등록된 관심 영역을 선택하여 열람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과거에 선택한 관심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한층 더 세심한 감시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5에 따르면,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마우스의 드래그-앤드-드롭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관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관심 영역의 위치, 형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관심 영역을 한층 더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형태 5에서, 도 50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704)에서 도 49에 도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703)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에는, 마우스휠을 조작함으로써, 조작량(회전량)에 따라서 서서히 화상을 축소해 나가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중에 마우스휠의 조작을 멈춤으로써, 중간 상태의 트렌드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관심 영역과 비관심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하면, 사용자는 화상을 축소하고 있는 도중 단계에서도 관심 영역과 비관심 영역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 5에서, 도 50에 도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704)에서 도 49에 도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703)으로 되돌아가는 경우, 표시부에서 「되돌아가기」라고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처리를 시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확대 트렌드 화면(704)에서 관심 영역 표시 화면(703)으로 서서히 축소해 나가도록 표시하면, 상술한 마우스휠 조작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서 「정지」라고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축소 처리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마우스휠 조작을 축소 도중에 멈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여기까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1~5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형태 1에 대하여, 실시형태 2~4의 적어도 어느 한 실시형태의 내용을 조합시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트렌드 화면 이외의 각종 감시 시스템용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명세서에서는, 플랜트에 설치된 기기의 상태 정보의 트렌드에 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트렌드 그래프를 이용하여 트렌드를 표시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트렌드로서는, 예컨대 주가, 약속어음, 상품 선물 거래 등의 트렌드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흐름도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모순 없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DCS 이외에,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소프트가 내장된 표시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감시 시스템이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표시부를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 시스템에 의한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감시 시스템, 2: 제어 장치, 3, 8, 9: 오퍼레이터 스테이션, 4: 데이터베이스 스테이션, 5: 프린터, 6: 제어 네트워크, 7: 정보 네트워크, 31: 입력부, 32: 제1 통신부, 33: 제2 통신부, 34: 표시부, 35, 91: 화상 처리부, 36, 81: 제어부, 37, 82: 기억부, 100: 표시 화면, 100a: 메뉴 표시 영역, 100b: 상태 정보 표시 영역, 101, 601, 701: 트렌드 화면, 102, 103, 104, 111, 603, 604: 전체 관심 영역 표시 화면, 105, 106, 107, 108, 109, 110, 112, 113, 605, 606, 607, 608, 704: 확대 트렌드 화면, 121: 등록 확인 화면, 201, 614, 615, 616, 711, 712, 713: 트렌드 그래프, 211, 212, 213, 214, 215, 216, 221, 221a, 222, 223, 224, 225, 226, 231: 확대 트렌드 그래프, 251: 제1 관심 영역, 252, 254: 제2 관심 영역, 253: 제3 관심 영역, 301, 311, 521, 541, 553, 554, 571, 613, 613', 613'': 트렌드 표시 영역, 302, 555, 613a, 613a', 613a'': 제1 관심 영역, 303, 303a, 556, 613c, 613c', 613c'': 제2 관심 영역, 351, 911: 트렌드 화면 생성부, 352, 912: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 353, 913: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 361: 관심 영역 설정부, 362: 표시 제어부, 363: 제어 파라미터 변경부, 371: 상태 정보 기억부, 372: 관심 영역 정보 기억부, 373: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 374: 프로그램 기억부, 401: 등록 확인 표시부, 501, 504: 선택용 화면, 502, 505: 선택 관심 영역 표시 화면, 503, 506, 703: 관심 영역 표시 화면, 511, 531, 551, 552, 561, 611: 타이틀 표시 영역, 512, 532, 562: 확대 버튼, 513, 533, 563: 되돌아가기 버튼, 514, 534, 564: 진행하기 버튼, 522, 542, 572, 573, 574, 721: 관심 영역, 602, 702: 배경색 특성 변경 화면, 612: 수치 정보 표시 영역, 613b, 613d, 613d', 613d'', 722: 비관심 영역, 617, 617a, 617b: 세로 스크롤바, 618, 618a, 618b: 가로 스크롤바, 619: 선택 확정 확인 표시부, 811: 북마크 등록부, 812: 관심 영역 선택부, 821: 북마크 정보 기억부, M: 마우스 포인터, P: 플랜트, P1, P2: 기기.

Claims (24)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관심 영역의 정보를 상기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와,
    각 관심 영역의 화면상에서의 배치, 종횡의 스케일 및 표시하는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 및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및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하여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늘어놓음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늘어놓음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늘어놓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케일을 서로 같게 함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하여 중첩함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횡축을 시간축으로 하는 한편, 종축을 미리 정해진 측정치의 축으로 하여 상기 측정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고,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각각 통과하는 상기 트렌드 그래프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선의 특징을 관심 영역마다 바꿈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횡축을 시간축으로 하는 한편, 종축을 미리 정해진 측정치의 축으로 하여 상기 측정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고,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트렌드 그래프 중 어느 2개에 있어서의 동일한 시간의 측정치의 차가 임계치 이상인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과 상기 임계치 미만인 영역의 배경색의 특성을 바꿈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은, 서로의 면적 및 형상이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형상을 각 관심 영역의 종횡비에 따라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선택 확정 입력을 접수한 후에 각 관심 영역의 위치, 면적 또는 형상을 변경하는 지시 입력을 접수할 수 있고,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입력부가 접수한 지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위치, 형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화면 생성부는,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과 상기 트렌드 화면 내의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 이외의 비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이 다른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색의 특성은 색의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플랜트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상기 복수의 상태 정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트렌드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생성부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적어도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와,
    상기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생성 지시 입력 및 상기 관심 영역의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와,
    상기 트렌드 화면,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 및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입력부가 입력을 접수한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북마크 등록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북마크에 등록된 상기 관심 영역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북마크 등록부에 의해서 상기 북마크에 등록된 상기 관심 영역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관심 영역을 선택하는 관심 영역 선택부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과 상기 트렌드 화면 내의 상기 관심 영역 이외의 비관심 영역에 있어서의 배경색의 특성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플랜트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제1항에 기재한 표시 장치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9.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플랜트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접속된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제15항에 기재한 표시 장치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20.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행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각 관심 영역의 화면상에서의 배치, 종횡의 스케일 및 표시하는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1.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가 행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관심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적어도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북마크 등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22. 표시 프로그램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관심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트렌드 화면과 함께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각 관심 영역의 화면상에서의 배치, 종횡의 스케일 및 표시하는 값의 범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
  23. 표시 프로그램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표시 영역에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트렌드 화면 내에 포함되는 관심 영역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는 관심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관심 영역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적어도 상기 관심 영역을 확대한 확대 트렌드 화면을 표시하는 확대 트렌드 화면 표시 단계와,
    북마크 등록 지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하여 북마크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북마크 등록 단계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화면은, 횡축을 시간축으로 하는 한편, 종축을 미리 정해진 측정치의 축으로 하여 상기 측정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를 표시하고,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측정치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와의 대소 관계에 따라서 상기 트렌드 그래프의 선의 종류 및 선의 색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바꿈으로써 상기 확대 트렌드 화면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67004741A 2015-03-12 2015-03-12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 KR20170127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379 WO2016143140A1 (ja) 2015-03-12 2015-03-12 表示装置、監視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344A true KR20170127344A (ko) 2017-11-21

Family

ID=5687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741A KR20170127344A (ko) 2015-03-12 2015-03-12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28766B2 (ko)
KR (1) KR20170127344A (ko)
CN (1) CN106164796B (ko)
TW (1) TWI715546B (ko)
WO (1) WO2016143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327A (ko) *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차트에 대한 부분 스케일 조정이 가능한 스프레드시트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839B2 (ja) * 2016-11-16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解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040293A (ja) * 2017-08-23 2019-03-14 アズビル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方法
KR20230078661A (ko) * 2020-10-01 2023-06-02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769A (ja) * 1994-06-06 1995-12-22 Toshiba Corp トレンドグラフ表示装置
JP4153011B2 (ja) * 2007-02-19 200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630859B2 (en) * 2007-05-01 2009-12-08 Verity Instru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effects of window clouding on a viewport window in a reactive environment
US20090063185A1 (en) * 2007-08-30 2009-03-05 Fego Precision Industrial Co., Ltd. System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JP2010049533A (ja) * 2008-08-22 2010-03-04 Toshiba Corp データ表示装置
JP4798250B2 (ja) * 2009-04-15 2011-10-19 横河電機株式会社 波形表示装置および波形表示方法
JP2011070554A (ja) * 2009-09-28 2011-04-07 Aisin Aw Co Ltd 入出力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327A (ko) *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차트에 대한 부분 스케일 조정이 가능한 스프레드시트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15546B (zh) 2021-01-11
CN106164796A (zh) 2016-11-23
TW201633026A (zh) 2016-09-16
JPWO2016143140A1 (ja) 2017-06-29
CN106164796B (zh) 2020-11-13
WO2016143140A1 (ja) 2016-09-15
JP6428766B2 (ja)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51805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の情報をグラフィカルに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US10013149B2 (en)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for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180681B2 (en)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with zoom features for use in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4903799B (zh) 过程控制系统中的可配置用户显示
EP3156871B1 (en)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predictive analytics and fault detec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3116277B (zh) 预测故障分析
US10803636B2 (en)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predictive analytics and fault detec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11977717B2 (en) Guided user interface (GUI) 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regionizing full-size process plant displays for rendering on mobile user interface devices
WO2018236665A1 (en) USER INTERFACE OF REALITY INCREASED ON A MOBILE DEVI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INDUSTRIAL PROCESS, A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 OR ANOTHER SYSTEM
JP6111898B2 (ja) 画像表示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170127344A (ko) 표시 장치, 감시 시스템, 표시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
US94541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system
US1124962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s and methods for refactoring full-size process plant displays at various zoom and detail levels for visualization on mobile user interface devices
US20110261057A1 (en) Method and device to supervise a power network
JP2016517585A (ja) ナビゲーションペインを提供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3052921A (zh) 用于使能够对技术系统进行监管和控制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JP2023182690A (ja) オペレータ画面切り替えプレビュー
US8001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ning and controlling graphical faceplate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235853B2 (en)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s
JP2009265944A (ja) 画面表示方法、画面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画面表示装置
JP2017126333A (ja) 異常なプロセスの挙動の検出を可能にするための設定をプロセスオペレータがパーソナライズするための方法
US20210397775A1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369111B2 (ja) 表示装置、監視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EP3227767B1 (en) Hierarchical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780387B2 (ja) フィールドデータ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