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189A -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189A
KR20170126189A KR1020160056273A KR20160056273A KR20170126189A KR 20170126189 A KR20170126189 A KR 20170126189A KR 1020160056273 A KR1020160056273 A KR 1020160056273A KR 20160056273 A KR20160056273 A KR 20160056273A KR 20170126189 A KR20170126189 A KR 20170126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opening
plate
cooking
container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16005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189A/ko
Publication of KR2017012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불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판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 중앙 개구부 덮개 및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불판에 고정하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불판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불판과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구이용 불판; 상기 불판 및 상기 불판의 중앙 개구부 덮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바닥부를 갖는 국물류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이류 및 국물류의 동시 조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불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ROASTING PLATE USING CONVENTION HEAT AND METHOD FOR COOK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류열에 의한 고기 구이용 불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류열에 의해 불판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고기가 타지 않고 육즙이 살아있는 상태로 구워지며, 이와 함께 국물류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대류열에 의한 고기 구이용 불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에게 발생하는 암의 85% 이상이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환경 인자에 기인한다는 것이 국제 암 연구기관(IARC)에서 수년간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실시한 역학 조사에서 나타났다.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국가 기관의 주도로 식생활과 암 발생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고, 특히 육류의 조리 방법에 따라 강력한 발암 물질인 헤테로시클릭아민(heterocyclic amine)이 생성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쇠고기, 삼겹살 등의 육류를 불판에 구워 먹는 것이 대중화되어 있는데, 이때 강력한 발암 물질인 헤테로시클릭아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 직화구이 불판의 경우 고기의 맛을 살려줌과 동시에 고기 기름 제거가 가능하나, 고기가 타는 것을 막을 수 없어 발암 물질의 억제가 불가능하며, 나아가 통공이 없는 석판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우면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이 넓어서 한 번에 많은 양을 구울 수 있지만 열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고기가 균일하게 잘 익지 않는다.
반면, 일반적인 불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 고기를 빠르게 구울 수 있게 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원으로부터의 열 전도 차이에 의해 불판의 위치에 따라 열원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고기는 타고, 열원에서 먼 고기는 익지 않아 지속적으로 고기의 위치를 바꾸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10-1570035호의 경우 고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기 구이용 불판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열전도에 따른 불균일한 판의 온도 분포를 해결하는 방안은 개시된 바 없다.
한편, 구이 음식의 경우 국물류의 요리를 함께 먹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구이와 탕류 조리를 위한 두 개의 열원 사용으로 인해 공간의 제약이 있고, 에너지가 추가로 과다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 전도에 의해 발생되는 불판 상 온도의 불균일을 해결하면서도, 국물류의 요리를 통시에 조리할 수 있는 불판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열원과의 거리에 따른 불판의 온도 불균일 현상을 해소하고 국물류의 조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와 같은 불판을 포함하여 국물류 음식을 동시에 끓일 수 있는 구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불판의 전체 영역에서 고기가 균일하게 구워지도록 하며, 국물류 음식을 동시에 끓일 수 있는 조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불판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 중앙 개구부 덮개; 및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불판에 고정하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불판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불판과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구이용 불판이 제공된다.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중앙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중앙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1mm 내지 5cm 초과하여 덮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은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와 접촉되는 영역에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은 기름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기름 배출구를 외주면에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은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은 기름을 받기 위한 가장자리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은 철, 스테인레스, 돌, 구리, 티타늄, 알루미늄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 및 상기 불판의 중앙 개구부 덮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바닥부를 갖는 국물류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구이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의 바닥부는 불판의 중앙 개구부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불판의 걸림턱은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와 접촉되는 영역에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는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는 뚝배기이며, 상기 불판의 재질은 철,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중앙 개구부 덮개가 부착된 상기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을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불판이 전체적으로 달구어진 후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하는 단계; 및 중앙 개구부의 걸림턱에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이류 및 국물류의 동시 조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구이 재료를 불판에 올리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의하면, 구이 공정이 대류열에 의해 수행되어 불판 상의 온도가 균일하게 제공되고, 이에 따라 고기류를 구운 후에 육즙이 향상되고, 고기류가 타지 않도록 조리가 가능하며, 나아가 국물류의 조리도 효과적으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불판의 정면도(a) 및 단면도(b)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예시적인 본 발명의 중앙 개구부 덮개 단면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불판의 정면도 및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 및 도 3(c)는 절연부의 예시적인 추가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에 사용된 불판의 온도를 측정한 위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불판 상 위치에 따른 구운 후 고기의 육즙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판 상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여 불판 상 위치에 따라 굽기 정도가 달라지는 문제를 열 전도 및 열 대류를 조절하여 해결할 수 있는 구이용 불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은, 보다 상세하게, 불판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 중앙 개구부 덮개; 및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불판에 고정하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불판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불판과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불판을 도시한 것으로, 불판(10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불판의 전면도(a) 및 단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불판은 중앙부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불판의 외주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등의 불순물을 불판의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굽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사면의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름 등의 유도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각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사판이 너무 두꺼워지거나, 경사로 형성된 외주면에 고기류를 올려놓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두 종류 이상의 다양한 경사 각도가 포함된 경사면의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불판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제공되는 열원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개구부는 원형뿐 아니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개구부는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불판에 고정하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개구부가 원형인 경우, 상기 개구부의 지름은 예를 들어 8 내지 20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cm인 것이다. 상기 지름이 8cm 미만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개구부에 비하여 열원의 크기가 크게 되므로,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시키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개구부 가장자리에 접촉하게 되는 열원에 의한 전도를 억제하기 어려워 불판의 온도 구배가 발생할 여지가 있고, 개구부의 20cm 이상일 경우에는 불판 상에 고기가 구워지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이와 같은 개구부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중앙 개구부가 정사각형일 경우, 한 변이 8 내지 20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cm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가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긴 변이 8 내지 20cm, 그리고 다른 한 변은 2 내지 10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긴 변이 10 내지 15cm, 다른 한 변이 4 내지 8cm인 것이다. 수치 한정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가 원형인 경우와 동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앙 개구부 덮개(110, 110a, 110b)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불판에 고정하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걸림턱(120, 120a, 120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개구부 덮개 오픈부를 포함하여, 필요한 시점에 중앙 개구부 덮개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불판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불판과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구이 단계에 따라 열 전도가 필요한 경우 부착되고, 열 대류가 주로 필요한 경우에는 탈착되어 이후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의 배치를 통해 대류 열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불판과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구부 덮개가 부착된 상태에서 불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경우 열 전도에 의해 열을 빨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중앙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도 2(c)와 같이 중앙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1mm 내지 5cm 초과하여 덮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형태인 경우 제조 공정 및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턱은 수평한 형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120, 120a, 120b, 120c)은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와 접촉되는 영역에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130, 130a, 130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3(c)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절연부는 중앙 개구부 덮개 탈착 후 대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용기와 불판이 접촉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절연부"는 열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재료뿐만 아니라 불판의 열전도도 보다 낮은 전도도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절연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용기에 담긴 국물류의 조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열원으로부터 열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절연부에 의해 열이 불판으로 더 이상 전도되지 않아 추가적인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제어하여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한편 대류에 의한 온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균일한 온도로 고기를 구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불판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 배출을 위한 복수 개의 기름 배출구(2)를 외주면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름 배출구의 크기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기름 배출구를 구비하는 경우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 및 불순물들이 불판 아래로 배출되어 굽는 과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불판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는 구이 공정이 완료된 후 아직 열이 식지 않은 상태에서 불판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집게 등을 이용하여 불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을 받기 위한 가장자리 돌출부(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장자리 돌출부는 불판에서 발생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불판은 철, 스테인레스, 돌, 구리, 티타늄, 알루미늄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열된 재료에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열 전도성을 갖고, 고기를 구울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가열 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판이 적용될 수 있는 구이 대상은 생선류, 조개류, 육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굽는 대상이 될 수 있다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소고기, 돼지고기, 오리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을 포함하는 구이용 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구이용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 및 상기 불판의 중앙 개구부 덮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바닥부를 갖는 국물류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이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의 바닥부는 불판의 중앙 개구부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의 바닥부가 불판의 중앙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동일한 재질이지만 국물류 조리 용기가 불판의 걸림턱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용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열원의 열 전도가 억제될 수 있고, 따라서 대류에 의한 균일한 온도 구배가 가능해진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의 바닥부가 불판의 중앙 개구부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재질이지만 국물류 조리 용기가 불판의 걸림턱에만 접촉되는 영역이 보다 감소하므로, 열 전도 정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불판의 걸림턱은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와 접촉되는 영역에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는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는 뚝배기 또는 도자기이며, 상기 불판의 재질은 철,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금속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불판 또는 구이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구이류 및 국물류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조리 방법은 중앙 개구부 덮개가 부착된 상기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을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불판이 전체적으로 달구어진 후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하는 단계; 및 중앙 개구부의 걸림턱에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이류 및 국물류의 동시 조리 방법이다.
상기 가열하는 단계에 의하면, 개구부 덮개가 부착된 구이용 불판이 열 전도 및 대류에 의해 가열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불판이 전체적으로 달구어진 후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하는 단계에 의해 열원에 직접 접촉하는 중앙 개구부 덮개가 제거되어 불판 중앙으로부터의 연 전도가 억제된다. 이후 중앙 개구부의 걸림턱에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하면, 여전히 열 전도가 억제된 상태에서 용기를 배치에 의해 열 대류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어 불판의 전체적인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구이 재료를 불판에 올리는 단계는 상기 가열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구이 재료를 불판에 올리는 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 방법에 의하면 제한된 공간 내에서 구이류 및 국물류를 효과적으로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리 방법이 수행되는 공정에 있어서 열을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상기 가열하는 단계부터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그 이후 상기 용기 내의 국물류의 조리가 완료되는 때까지 열은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갓이다. 다만, 열의 강도는 구이 단계 및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열원은, 연탄불, 숯불, 가스불 등을 모두 포함하여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원형의 불판을 사용하여 중앙부에 지름 12.6cm의 원형으로 중앙 개구부를 형성한 불판 및 지름 13cm의 원형의 중앙 개구부 덮개를 제조하였다.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부착하여 개구부를 막은 상태에서 연탄불을 사용하여 초기 3분 동안 불판을 가열한 후,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하고, 계란탕이 담겨있는 뚝배기를 중앙 개구부에 배치한 후, 삼겹살을 10분 동안 앞뒤로 돌려가 구웠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에서 사용된 불판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었으나, 다만 중앙부에 개구부가 없는 불판을 사용하여 똑같은 방식으로 고기를 구웠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달구어진 불판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각 점과 점 사이의 거리가 39mm가 되도록 중앙부 및 A 내지 E 영역을 지정하고, 온도 측정기를 통해 뚝배기를 중앙 개구부에 배치한 후 15분 뒤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각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온도,℃) 비교예(온도,℃)
A 221 219
B 219 182
C 221 146
D 220 129
E 218 109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대류열로 인해 뚝배기를 중앙 개구부에 배치한 후 불판의 전체적인 온도 구배가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불판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에서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되어 불판의 어떠한 부분에서도 고기가 타지 않고 동일한 정도의 굽기 정도로 구울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워진 고기의 육즙을 측정하기 위해, 고기를 구운 후 구워진 고기의 육즙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육즙 함량은 고기를 구운 후 상온에 10분간 정치시킨 고기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AOAC 공정 분석법,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육즙 함량(%) = (구운 후 재료 중량)/굽기 전 재료 중량 ×100
구분 실시예(%) 비교예(%)
A 88.2 71.1
B 81.8 69
C 86.6 73.8
D 87.2 72.2
평균 86.1 71.6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육즙 함량은 5 군데 영역의 평균이 약 86.1%인 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71.6%로서 실시예의 공정을 통해 구운 돼지고기의 육즙이 현저하게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언급한데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불판은 직접적인 전도열에 의한 큰 온도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중앙 개구부에 용기를 배치한 이후에는 대류열의 주된 작용으로 인해 불판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에서 고기가 구워지므로, 고기가 타지 않고, 육즙의 보유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불판
1: 중앙 개구부
2: 기름 배출구
3: 손잡이부
10: 가장자리 돌출부
110, 110a, 110b: 중앙 개구부 덮개
120, 120a, 120b, 120c: 걸림턱
130, 130a, 130b: 절연부
140, 140a: 중앙 개구부 덮개 오픈부

Claims (14)

  1. 불판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
    중앙 개구부 덮개; 및
    중앙 개구부 덮개를 불판에 고정하고,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불판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불판과 중앙 개구부 덮개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구이용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개구부 덮개는 중앙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중앙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1mm 내지 5cm 초과하여 덮도록 형성된, 구이용 불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와 접촉되는 영역에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이용 불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기름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기름 배출구를 외주면에 추가로 포함하는, 구이용 불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이용 불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기름을 받기 위한 가장자리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이용 불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철, 스테인레스, 돌, 구리, 티타늄, 알루미늄 및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구이용 불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이용 불판; 및
    상기 불판의 중앙 개구부 덮개 걸림턱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바닥부를 갖는 국물류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구이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의 바닥부는 불판의 중앙 개구부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 구이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과 국물류 조리 용기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불판의 걸림턱은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와 접촉되는 영역에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로 포함하는, 구이용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는 불판의 전도도 미만의 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구이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류 조리 용기는 뚝배기이며, 상기 불판의 재질은 철,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구이용 장치.
  13. 중앙 개구부 덮개가 부착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이용 불판을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단계;
    불판이 전체적으로 달구어진 후 중앙 개구부 덮개를 탈착하는 단계; 및
    중앙 개구부의 걸림턱에 국물류 조리를 위한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이류 및 국물류의 동시 조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구이 재료를 불판에 올리는 단계가 수행되는, 구이류 및 국물류의 동시 조리 방법.
KR1020160056273A 2016-05-09 2016-05-09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KR20170126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73A KR20170126189A (ko) 2016-05-09 2016-05-09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73A KR20170126189A (ko) 2016-05-09 2016-05-09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89A true KR20170126189A (ko) 2017-11-17

Family

ID=6080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73A KR20170126189A (ko) 2016-05-09 2016-05-09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1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85B1 (ko) 2020-01-31 2021-03-25 유동덕 대류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KR102369922B1 (ko) * 2020-11-11 2022-03-02 안장홍 분해 조립형 구이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85B1 (ko) 2020-01-31 2021-03-25 유동덕 대류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KR102369922B1 (ko) * 2020-11-11 2022-03-02 안장홍 분해 조립형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4865A (en) Two stage process for cooking/browing/crusting food by microwave energy and infrared energy
CN104337409B (zh) 用于烹饪披萨等的铰接盖式烹饪烤架
US5197379A (en) Outdoor cooker
WO1992013432A1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KR20170126189A (ko)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KR20150007485A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US1398157A (en) Griller
RU2684451C2 (ru) Гибридный гриль-тэппан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люд методом тэппанъяки (тэппан-сумияки)
JP2021530340A (ja) 食品焼き器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JP2010172351A (ja) 輻射鍋
KR102469778B1 (ko) 돼지껍데기 조리방법
KR102177414B1 (ko) 구이용 불판
KR20120114207A (ko) 영양분과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3중석쇠
EP16482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rying and grilling
JP3146060U (ja) 肉の網焼き器具用プレート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KR100913250B1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기
US11751725B2 (en) Express press for fried, pressed plantain slices
RU225505U1 (ru) Сковорода-гриль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20100087894A (ko) 조리판
RU9277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